KR20110116072A -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072A
KR20110116072A KR1020117023674A KR20117023674A KR20110116072A KR 20110116072 A KR20110116072 A KR 20110116072A KR 1020117023674 A KR1020117023674 A KR 1020117023674A KR 20117023674 A KR20117023674 A KR 20117023674A KR 20110116072 A KR20110116072 A KR 20110116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network
module
target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322B1 (ko
Inventor
스리니바산 발라수브라마니안
무랄리 바라드와제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1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설명된 형태들은 어떤 네트워크 도메인과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 간,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셀룰러 네트워크 간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이동성 등의 개선을 제공한다. 본 형태들은 최종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혼란을 최소화하고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수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서비스들이 끊김 없이 그리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원에 제시되는 형태들은 각 서비스가 언제 그리고 어떤 기술에 관련될지를 예상하는 것과 관련된 결정 포인트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며 트래픽 상태일 때와 유휴 상태일 때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더 나은 기술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본 특허 출원은 "WLAN and 2G/3G Mobility Support"라는 명칭으로 2007년 10월 9일자 제출된 예비 출원 60/978,74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시된 형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domain) 간에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액세스 단말들은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액세스 단말들은 종래의 셀룰러 통신뿐 아니라 이메일, 인터넷 액세스를 빈번하게 제공하는 다기능 디바이스가 되고 있다. 액세스 단말들에는 3세대 무선 또는 셀룰러 시스템들(3G), 전기전자 기술자 학회(IEEE) 802.16(WiMax) 및 다른 차후 규정될 무선 광역 통신망(WWAN) 기술들과 같은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하는 광역 무선 접속이 설비될 수 있다. 한편, IEEE 802.11 기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접속도 액세스 단말들에 설치되고 있다. 조짐상, 초광대역 (UWB) 및/또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PAN) 로컬 접속 또한 액세스 단말들에 이용 가능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에서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의 다른 예들은 무선 마우스, 무선 키보드 등에 휴대용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WPAN을 포함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랩탑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가 WLAN과 통신하게 하는 IEEE 802.11b 또는 802.11g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대중화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개인용과 사무용으로 댁내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커피숍, 인터넷 카페, 도서관, 공공기관 및 사설기관이 WLAN을 이용한다.
고유한 사용자 요구들 및 서로 다른 프로토콜과 관련된 기능에 대한 요구로 인해 사용자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 수는 계속해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스위칭하기에 곤란하며, 많은 경우 소정 시점에 무엇이 사용자에 대한 최적 네트워크일 수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의 관련 네트워크 서비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구속된다. 상술한 것에 비추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네트워크들 및/또는 프로토콜들 간의 끊김 없는(seamless) 전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사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필수 서비스 품질(QoS)로 제공되도록 서로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의 사용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하나 이상의 형태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형태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예기되는 모든 형태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며, 모든 형태의 주요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형태의 범위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유일한 목적은 하나 이상의 형태의 일부 개념들을 뒤에 제공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형태들은 어떤 네트워크 도메인과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 간,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1X, LTE, 2G, 3G 셀룰러 네트워크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즉,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도메인) 간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장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을 정의한다. 본 형태들은 최종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혼란을 최소화하고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수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서비스들이 끊김 없이 그리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원에 제시되는 형태들은 각 서비스가 언제 그리고 어떤 기술에 관련될지를 예상하는 것과 관련된 결정 포인트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며 트래픽 상태일 때와 유휴 상태일 때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더 나은 기술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한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방법은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drop)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add)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서빙(serving)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현재 상기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상기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상기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상기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상기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한 형태에서, 서빙 네트워크가 현재 음성 통화, 단문 서비스(SMS), 푸쉬-투-토크 등과 같은 연속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핸드오프가 제공될 수 있다. 어떤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은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으로 정의되고 서빙 도메인은 셀룰러 네트워크인 한편, 다른 형태들에서는 타깃 도메인이 셀룰러 네트워크일 수 있고 서빙 도메인이 WLAN일 수 있다.
상기 발명의 한 형태에서,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파라미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서빙 도메인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서빙 도메인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핸드오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다른 형태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현재 상기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상기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상기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상기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상기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추가 관련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현재 상기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상기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상기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상기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상기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장치에 의해 또 다른 관련 형태가 정의된다. 상기 장치는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현재 상기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상기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상기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상기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상기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또 다른 형태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한다.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타깃 도메인 모듈을 포함한다. 타깃 도메인 모듈은 현재 상기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상기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상기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상기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상기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활성화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한 특정 형태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은 서빙 네트워크가 현재 음성 통화, SMS, 푸쉬-투-토크 등과 같은 연속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활성화되도록 추가 동작 가능하다.
통신 디바이스의 한 형태에서,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모니터링 모듈로 정의되고,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로 정의되며,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WLAN 도메인 모듈로 정의된다. 한편,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로 정의되고,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모니터링 모듈로 정의되며, 타깃 도메인 모듈은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로 정의된다.
통신 디바이스의 한 형태에서,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파라미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서빙 도메인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모니터링되는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깃 도메인 및 상기 타깃 도메인의 서비스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이 다른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방법은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충족되는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충족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의 활성화는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과 관계없다.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은 WLAN 도메인일 수 있고, 또는 다른 형태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다른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또한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다른 대안 형태에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는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최저 임계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정의한다.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을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임의의 네트워크 도메인 서비스 임계치들이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고 관련 서비스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모니터링되는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이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서빙 네트워크 도메인의 활성화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상기 방법은 서빙 네트워크 도메인에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충족된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서빙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이 활성화되어 최선(BE) 데이터 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임계치를 충족할 수 있지만,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계치를 충족한다.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및 상기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들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관련 형태를 정의한다. 프로세서는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모듈, 및 충족되는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한 제 3 모듈, 및 충족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다른 관련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충족되는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게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충족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장치가 다른 관련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장치는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충족되는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 제공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충족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다른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타깃 도메인 모듈을 포함한다. 타깃 도메인 모듈은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다는 결정을 기초로 해당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는 또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 서비스 모듈은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응하며, 해당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고, 충족된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의 한 형태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은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서 해당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 서비스 모듈과 관계없이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을 활성화하도록 추가 동작 가능하다.
디바이스의 다른 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 서비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현재 네트워크 상태들을 기초로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통신 디바이스의 다른 대안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은 또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최저 임계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정의한다.
*통신 디바이스의 추가 다른 형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네트워크 서비스 모듈은 또한 해당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모니터링되는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파워업(power-up) 동안 네트워크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에 의해 추가 형태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등록이 성공적인 경우에 등록이 시도되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WLAN 도메인의 획득 시도는 또한 WLAN 도메인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RSSI 측정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일관성 체크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제 2 네트워크 도메인은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 시도는 또한 파일럿 Ec/Io 신호의 측정 및 파일럿 Ec/Io 신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다는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형태들에서, 상기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도메인과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중 먼저 선택되는 우선적이지 않은 네트워크 도메인을 기초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중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의 성공적인 등록 후 제 1 네트워크 도메인과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간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파워업 동안 네트워크 도메인 활성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또 다른 관련 형태가 정의된다. 프로세서는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제 2 모듈,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제 3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과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기 위한 제 4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다른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게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또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는 추가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과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을 포함한다.
장치가 다른 관련 형태를 정의한다.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과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또 다른 관련 형태가 제공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워업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제 1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은 상기 파워업 메커니즘에 대한 입력 수신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을 포함한다.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과 상기 제 2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은 시도된 해당 네트워크 도메인이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해당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도록 추가 동작 가능하다.
상기 및 관련 목적들의 이행을 위해, 하나 이상의 형태는 뒤에 충분히 설명되며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형태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몇 가지를 나타낼 뿐이며, 이 설명은 이러한 모든 형태 및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개시된 형태들은 아래에서 개시된 형태들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동일 부호들이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형태들에 따라 구현된 예시적인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형태들과 관련하여 구현된 예시적인 셀룰러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통신 시스템이다.
도 3은 본 형태에 따라 도메인들을 통해 경험하는 현재 성능을 기초로 두 레벨의 획득 임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한 형태에 따라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활성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한 형태에 따라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한 형태에 따라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한 형태에 따라 시동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한 형태에 따른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한 형태에 따른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통신 환경에서 IMS 등록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무선 환경에서 IMS 등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무선 환경에서 IMS 등록을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성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한 형태에 따른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구성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한 형태에 따른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해 구성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형태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을 강조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형태가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형태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을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항목이 언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들)는 이들 특정 항목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한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예시로, 연산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산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각종 데이터 구조를 저장한 각종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거쳐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갖는 신호에 따르는 등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각종 실시예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통신은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위성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 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연산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보다는 포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달리 지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다면,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구문은 당연히 임의의 포괄적 치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구문은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와 B를 모두 이용한다는 경우들 어떤 것에 의해서도 충족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a"와 "an"(하나의)이라는 관사는 달리 지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단일 형태로 정해지는 것으로 명확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흔히 교환할 수 있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Evolved) UTRA(E-UTRA), UMB(Ultra Mobile Broa㏈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며,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이용한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추가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흔히 쌍을 이루지 않는 비허가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대-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 컴포넌트,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특징이 제시될 것이다. 각종 시스템은 추가 디바이스, 컴포넌트,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 컴포넌트, 모듈 등을 전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 및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다수의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나타내며,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를 위해 시스템(10)은 셀(12a - 12c)과 같은 다수의 셀을 제공하며, 각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14)에 의해 서비스된다. 각 셀은 또한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애드 액세스 단말(AT)로도 교체할 수 있게 지칭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6)가 시스템 도처에 분산되어 있다. 각 무선 통신 디바이스(16)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활성 상태인지 여부 그리고 소프트 핸드오프중인지 여부에 따라, 소정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형태들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 및 WLAN을 포함하는 다중 도메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개념 블록도이다. 일련의 파선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16)는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210)에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210)는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도처에 분산된 다수의 기지국 트랜시버(BTS)를 지원하는 기지국 제어기(BSC)(212)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도 2에는 단일 BTS(214)가 도시되어 있다. 공중 전화 교환망(PSTN)(218)에 대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교환국(MSC)(216)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셀룰러 네트워크(210)는 각각 임의의 수의 BTS를 지원하는 다수의 BSC를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210)의 지리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210) 도처에서 다수의 BSC가 이용될 때, BSC들 간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해 MSC(216)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또한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 도처에 분산된 하나 이상의 무선 LAN(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단일 무선 LAN(220)이 도시되어 있다. 무선 LAN(220)은 IEEE 802.11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LAN(22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6)가 IP 네트워크(224)와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222)를 포함한다. IP 네트워크(224)를 MSC(216)에 인터페이스 접속하기 위해 서버(226)가 사용되며, MSC(216)는 PSTN(218)에 대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도메인 획득 임계치들
도 3을 참조하면, 본 형태에 따라 도메인들을 통해 경험하는 현재 성능을 기초로 두 레벨의 획득 임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4) 및 메모리(106)를 갖는 컴퓨팅 플랫폼(10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는 다중 모드 통신을 위해 구성되며, 그 때문에 메모리(106)는 서빙 도메인 모듈(108) 및 적어도 하나의 타깃 도메인 모듈(110)을 포함한다. 어떤 형태들에, 서빙 도메인 모듈(108)은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도메인 모듈, 블루투스® 도메인 모듈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110)은 회선 교환 2세대(2G) 셀룰러 도메인들, 1X 셀룰러 도메인 모듈과 같은 패킷 교환 3세대(3G) 셀룰러 도메인들, 예를 들어, WiMax 셀룰러 도메인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셀룰러 도메인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서빙 도메인 모듈(108)은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일 수 있고, 타깃 도메인 모듈(110)은 WLAN 도메인 모듈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서빙 도메인 모듈(108) 및/또는 타깃 도메인 모듈은 WLAN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들 이외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관련된 모듈들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빙 도메인 모듈(108)이 WLAN 도메인 모듈이고 타깃 도메인 모듈(110)이 셀룰러 도메인 모듈인 형태들에서, 서빙/WLAN 도메인은 디바이스가 서빙/WLAN 도메인의 이용 가능성을 기초로 통신하는데 이용하고자 하는 우선하는 도메인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는, 타깃/셀룰러 네트워크가 우선하는 도메인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106)는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4) 및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116)를 포함하는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2)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부분, 각 타깃 도메인은 추가 임계치(114) 및 대응하는 관련 누락 임계치(116)를 가질 것이다.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4)는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에 대해 고려되거나 아니면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한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신 신호 세기 표시자(RSSI), 패킷 에러율, 패킷 재전송률, 서비스 품질(QoS) 등과 같은 성능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될 수 있다.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116)는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깃 도메인이 비활성화에 대해 고려되거나 아니면 비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한계를 나타낸다.
본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2)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116)보다 높고 대응하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4)보다 낮은 타깃 도메인 상태로 작동하고 있는 시기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4)가 12 ㏈M의 신호 세기값으로 정의되고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가 16 ㏈의 신호 세기값으로 정의된다면,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2)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가 12 ㏈M 내지 16 ㏈M로서 정의된 신호 세기 상태에서 작동하고 있는 시기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임계치의 충족이 임계치보다 낮은 값, 임계치보다 높은 값 및/또는 임계치와 같은 값을 포함할 수 있도록 임계치들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메모리(106)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120)를 포함하는 서빙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118)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는 관련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응한다.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120)는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타깃 도메인이 비활성화에 대해 고려되거나 아니면 비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한계를 나타낸다.
*본 형태들에 따르면,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8)은 무선 통신이 현재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는 서빙 도메인 상태로 작동하고 있는 시기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무선 통신이 현재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는 서빙 도메인 상태로 작동하고 있는 시기를 결정함으로써, 디바이스는 음성 통화 등과 같은 연속 사용 서비스가 중단되게 하거나 아니면 도메인에 의해 지원되는 임의의 다른 서비스가 중단되게 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8)은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성능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고, 성능 파라미터들의 추세를 기초로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들은 RSSI,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MAC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MAC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재시도율 등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형태에서,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8)이 RSSI가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감소하고 있고, MAC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이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리고/또는 MAC 패킷 재시도들이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어떤 성능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떨어지고 있다고 결정한다면,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118)은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지만 이를 충족 또는 초과해야 하는 서빙 도메인 상태에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114)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6)보다 낮다면, 그리고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네트워크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지만 이를 아직 충족하지 못했다면, 타깃 도메인 모듈(110)이 활성화될 수도 있고 또는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메인 획득 레벨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 단문 서비스(SMS) 애플리케이션, 푸쉬-투-토크(PTT)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있는 경우에 활성화/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서빙 도메인이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120)에 접근하고 있음(예를 들어, 음성 통화가 막 중단되려고 하는 등)을 나타내는 서빙 도메인 상태라면,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116)보다 낮더라도(그러나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114)보다는 높음), 무선 디바이스(100)를 활성화하거나 아니면 타깃 도메인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4는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20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벤트(20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서빙 도메인에서 활동적으로 통신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빙 도메인은 WLAN 도메인, 셀룰러 도메인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또는 추후 공지되는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 있다. WLAN 도메인이 우선하는 도메인인 한 형태에서, 서빙 도메인은 WLAN 도메인일 수 있다. 이벤트(204)에서, 서빙 도메인의 성능이 모니터링된다. 서빙 도메인의 모니터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 값,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206)에서, 서빙 도메인 상태가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지만 아직 이를 충족하거나 초과하지 않았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가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감소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이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이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이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 이러한 성능 파라미터 레이트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이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면, 프로세스는 추가 서빙 도메인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204)로 돌아간다.
모니터링이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다고 결정한다면, 선택적인 결정(208)에서, 서빙 도메인에서 구현되고 있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어떤 형태들에서, 도 4에 나타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방법은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된다.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 SMS 애플리케이션, PTT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다면, 프로세스는 서빙 도메인 성능의 추가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204)로 돌아간다. 다른 형태들에서, 도 4에 나타낸 프로세스는 서빙 도메인에서 구현되고 있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 체크를 구현하는 형태들에서, 체크의 발생은 프로세스 흐름에서 특정 포인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 전에 임의의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이벤트(210)에서, 서빙 도메인의 모니터링(이벤트(204))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의 모니터링이 발생한다. 타깃 도메인의 모니터링은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 및/또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와 관련된 임의의 성능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도메인의 모니터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 값,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212)에서는, 현재 타깃 도메인 상태가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은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타깃 도메인 상태가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낮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프로세스는 타깃 도메인의 추가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210)로 돌아간다.
타깃 도메인 상태가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결정(214)에서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대응하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타깃 도메인 상태가 대응하는 추가 임계치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결정(216)에서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누락 임계치보다 높은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하였다면, 이벤트(218)에서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된다.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서빙 도메인 및 타깃 도메인의 추가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204, 210)로 돌아간다.
결정(218)에서, 타깃 도메인 상태가 대응하는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결정(220)에서 서빙 도메인 상태가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고 타깃 도메인 상태가 동시에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와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 사이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필요한 서빙 도메인 상태와 타깃 도메인 상태가 동시 발생적이라면, 이벤트(218)에서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된다. 필요한 타깃 도메인 상태와 서빙 도메인 상태가 동시 발생적이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서빙 도메인 및 타깃 도메인의 추가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204, 210)로 돌아간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모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른 방법(300)을 설명하는 다른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벤트(302)에서,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대응하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은 것은 임계치가 히스테리시스 레벨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임계치에 가장 가깝게 또는 타깃 도메인 누락 임계치와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 사이의 미리 정의된 범위 내에서 임계치를 충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타깃 도메인 추가 및 누락 임계치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 값,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 등과 같은 성능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이벤트(304)에서,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성능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하락률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메인 상태가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다고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성능 파라미터 레이트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감소하는 RSSI,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증가하고 있는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 성능 파라미터 레이트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이벤트(306)에서, 현재 서빙 도메인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이라는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셀룰러 서비스, SMS, 푸쉬-투-토크 등과 같은 연속 사용인 것으로 판단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끊임없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서빙 도메인이 누락 임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그리고 타깃 도메인이 추가 임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핸드오버/타깃 도메인의 활성화에 특히 적합하다. 어떤 형태들에서, 여기서 설명한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현재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여기서 설명한 방법은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 전개와 무관하게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벤트(308)에서, 현재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추가 임계치보다 낮은 어떤 타깃 도메인 및 동시에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타깃 도메인으로 핸드오프/활성화가 제공된다. 또한, 어떤 형태들에서는 연속 사용 애플리케이션인 현재 실행중인 서빙 도메인 애플리케이션을 기초로 핸드오프/활성화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라 다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가 제시된다. 장치(1220)는 메모리(1230)와 통신하며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논리 그룹(122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 내에는 타깃 도메인 상태가 현재 타깃 누락 임계치보다 높고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낮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24)이 포함된다. 논리 그룹(1222)은 또한 서빙 도메인 상태가 현재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음(그러나 아직 누락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그 아래로 떨어지진 않았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26)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상기 수단들은 서빙 도메인이 서빙 도메인 누락 임계치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빙 도메인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미리 결정된 레이트에 의존할 수 있다. 논리 그룹(1222)은 또한 현재 타깃 도메인 상태 및 현재 서빙 도메인 상태를 기초로 서빙 도메인으로부터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1228)을 포함한다.
독립적인 도메인 획득 임계치들 및 도메인 서비스 획득 임계치들
어떤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의 획득은 타깃 도메인 상에서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의 활성화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 중 하나 이상 그리고 가능하다면 모든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게 될 서비스에 대해 충족되거나 아니면 초과해야 하는 개개의 추가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 형태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최저 추가 임계치를 갖는 타깃 도메인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추가 임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도메인이 WLAN 도메인인 어떤 한 경우에, 어떤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데이터 서비스 추가 임계치에 대응할 수 있어, WLAN 도메인의 활성화는 처음에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의 오프로딩(offload)을 제공한다. 그러나 WLAN 도메인은 네트워크 성능이 충족되거나 초과하는 서비스 추가 임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개선될 때까지 음성 서비스 등에 대해 등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설명한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의 서비스 동작과 관계없을 수도 있다.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에 대한 개개의 추가 임계치 외에도, 서비스별로 개개의 누락 임계치 또한 정의될 수 있다. 도메인 상에 제공되는 개개의 추가 임계치 및 누락 임계치는 애플리케이션 타입 및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 레벨에 좌우된다.
도 6은 한 형태에 따라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활성화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활성화/비활성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04) 및 메모리(406)를 갖는 컴퓨팅 플랫폼(40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의 메모리(406)는 와이파이(Wi-Fi) 도메인 모듈, 블루투스® 도메인 모듈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 모듈일 수 있는 타깃 도메인 모듈(408)을 포함한다.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408)은 회선 교환 2세대(2G) 셀룰러 도메인들, 1X 셀룰러 도메인 모듈과 같은 패킷 교환 3세대(3G) 셀룰러 도메인들, 예를 들어, WiMax 셀룰러 도메인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셀룰러 도메인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모듈(408)은 WLAN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들 이외의 도메인 모듈들일 수도 있다.
타깃 도메인 모듈(408)은 타깃 도메인 상에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4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성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의 메모리(406)는 또한 도메인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동작 가능한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412)을 포함한다. 성능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 값,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MAC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MAC 계층 패킷 재시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깃 도메인 모니터링 모듈은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414),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416)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타깃 도메인 서비스 누락 임계치들(417)을 포함한다. 각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416) 및 선택적인 타깃 도메인 서비스 누락 임계치는 타깃 도메인 상에 제공되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다.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410)는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했을 때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416)는 관련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했을 때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 가능한 개개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타깃 도메인 서비스 누락 임계치(417)는 관련 누락 임계치가 누락 임계치를 충족하거나 그 아래로 떨어졌을 때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개개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은 도메인 추가 임계치들과 관계없고, 이 때문에 활성화 또는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의 활성화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도메인의 성능 품질이 타깃 도메인 상의 서비스를 신뢰성 있게 유지할 레벨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거나 다른 요인들 때문일 수 있다.
한 특정 형태에서, 최저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갖는 타깃 도메인 서비스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414)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저 추가 임계치를 갖는 서비스, 예를 들어 최소 복합 서비스에 대한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할 때, 타깃 도메인 임계치가 활성화되거나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가 발생한다. 일단 활성화되면, 타깃 도메인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더 복합적인 서비스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로, 특정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들 및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은 서로 무관하게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어떤 형태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성능, 허용할 수 있는 사용자 품질 레벨 또는 임의의 다른 인자를 기초로 추가 임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단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되었다면, 사용자는 각자 자신들의 허용할 수 있는 서비스 품질 레벨을 충족하거나 요구에 따라 서비스가 쉽게 이용 가능함을 보장하도록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임계치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할 수 있다.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되지만 그 후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관련된 추가 임계치에 도달할 수 없는 어떤 형태들에서, 디바이스는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해 이용 가능한 다른 타깃 도메인들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음 타깃 도메인이 충족되지만 음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추가 임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활성화되는 WLAN 도메인이라면,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도메인과 같은 다른 도메인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다른 도메인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하여, 설명되는 예에서는 음성 서비스와 같은 필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깃 네트워크 도메인이 활성화되어 최선(BE) 데이터 트래픽을 제공하기 위한 임계치를 충족할 수 있지만,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임계치를 충족한다.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는 다른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여(또는 동시에 활성화된다면,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을 구현하기로 결정하여) VOIP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타깃 도메인은 VOIP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임계치가 충족될 것을 요구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타깃 도메인은 임계치 제한 없이 VOIP 서비스가 사용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한 형태에 따라 독립적인 타깃 도메인 획득 임계치들 및 타깃 도메인-서비스 획득 임계치들을 위한 방법(500)의 흐름도를 제공한다. 이벤트(50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 전에 타깃 도메인 성능을 모니터링한다. 이 경우에 "타깃 도메인"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서빙 도메인이 현재 활성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 전에 도메인과의 활성 접속을 이루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로,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도메인일 수도 있지만, 어떤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은 WLAN 도메인일 것이다. 타깃 도메인 성능의 모니터링은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성능 파라미터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RSSI,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MAC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에러율, 업링크 MAC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패킷 재시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504)에서는,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바람을 기초로,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는지 또는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성능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반할 수 있다. 추가 임계치가 충족 또는 초과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타깃 도메인의 추가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502)로 돌아간다.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하였다면, 이벤트(506)에서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되거나 타깃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가 발생한다.
어떤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최저 추가 임계치와 동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정(508)에서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활성화와 관련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활성화와의 관련은 동등한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어, 도메인의 활성화 또한 동등한 추가 임계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활성화한다. 서비스들이 타깃 네트워크의 활성화와 관련된 것으로 결정된다면, 이벤트(510)에서는 무선 디바이스 상에서 관련 서비스(들)가 활성화되거나 아니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 허가가 제공된다.
서비스들이 활성화와 관련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면 또는 관련 서비스들이 활성화된 후, 이벤트(512)에서 타깃 도메인은 활성화 후 모니터링된다. 결정(514)에서,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된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어떤 서비스들은 서비스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레벨의 네트워크 성능을 필요로 하는 더 복잡한 서비스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비스는 타깃 도메인의 추가 임계치보다 높은 개개의 추가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도메인 추가 임계치보다 높은 추가 임계치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가 처음에 제공되지 않고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할 수 있고, 복잡한 서비스에 필요한 타깃 도메인 성능의 레벨은 활성 타깃 도메인 세션 동안 달성될 수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결정된다면, 이 방법은 타깃 도메인의 추가적인 활성화 후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512)로 돌아간다.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다고 결정된다면, 이벤트(516)에서 추가 임계치와 관련된 서비스(들)가 활성화되거나 서비스가 타깃 도메인 상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허가된다. 일단 서비스(들)가 활성화되면, 이벤트(518)에서 타깃 도메인 성능이 서비스 활성화 후 추가 모니터링된다. 결정(520)에서, 활성화된 서비스들과 관련된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었거나 누락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서비스에 대한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지 않았거나 누락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타깃 도메인의 성능의 추가적인 서비스 활성화 후 모니터링을 위해 이벤트(518)로 돌아간다. 서비스(들)에 대한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었다면, 이벤트(522)에서 누락 임계치와 관련된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이 타깃 도메인 상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메인 서비스는 서로 다른 추가 임계치 및 누락 임계치를 가질 수 있고, 이 때문에 도 7의 방법에는 지시되지 않았지만, 어떤 서비스들은 다른 서비스들이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거나 다른 서비스들이 비활성화되고 있는 도중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고 타깃 도메인 상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독립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6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벤트(602)에서,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된다. 한 형태에서, 타깃 도메인은 충족되거나 초과하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활성화될 수 있는 한편, 다른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은 다른 기준들 또는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벤트(604)에서, 일단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되면,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되거나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와 관련된다. 이벤트(606)에서, 충족되거나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가 활성화되도록 허가된다. 따라서 형태들에 따르면,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활성화와 무관하다. 어떤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다는 결정은 또한 도메인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될 수 있는 성능 파라미터들의 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된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을 포함한다.
충족되는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를 기초로 타깃 도메인이 활성화되는 한 형태에서, 타깃 도메인 추가 임계치는 타깃 도메인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최저 추가 도메인 서비스 임계치에 대응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은 최저 추가 임계치를 갖는 서비스가 충족되고 타깃 도메인 및 대응하는 서비스가 처음에 활성화될 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후 이들의 대응하는 타깃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이 충족될 때 추가 서비스들의 활성화가 허가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타깃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은 네트워크 상태들, 네트워크 관리자 선호도 또는 사용자 선호도를 기초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어떤 형태들에서, 사용자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타깃 서비스 추가 임계치를 디스에이블하여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시 서비스가 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방법(600)의 다른 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타깃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동안 다른 네트워크를 유지 또는 모니터링할 수 있어, 타깃 도메인 상에서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달성될 수 없다면(즉, 타깃 도메인 상에서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없다면),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원하는 서비스의 활성화를 허가할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의 모니터링은 하나 이상의 성능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성능 파라미터들의 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된 타깃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표시(RSSI), 업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 에러율 또는 업링크 송신 재시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라 타깃 도메인 및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을 독립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가 제시된다. 장치(1240)는 메모리(1250)와 통신하며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논리 그룹(124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1242)은 타깃 도메인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1244) 및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 후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46)을 포함한다. 추가로, 논리 그룹(1242)은 충족된 서비스 추가 임계치들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타깃 도메인 서비스의 활성화를 허가하기 위한 수단(1248)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타깃 도메인의 활성화는 타깃 도메인 상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과 관련된 추가 임계치(들)로부터의 독립적인 추가 임계치를 갖는 타깃 도메인을 기초로 한 타깃 도메인 서비스들의 활성화와는 무관하다. 하나 이상의 활성화된 서비스 누락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고 충족된 누락 임계치를 기초로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도 17에 도시하지 않은) 추가 수단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들에서, 서비스들의 비활성화는 타깃 도메인의 비활성화와 무관하다.
파워업 도중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
다른 형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파워업 동안 2개 이상의 도메인이 연속적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동시에 획득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획득에서 동시 시도들을 제공함으로써, 프로세스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네트워크 도메인의 첫 번째 획득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에 도메인 획득이 가속될 수 있다.
도 9는 한 형태에 따라 시동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04) 및 메모리(706)를 갖는 컴퓨팅 플랫폼(702)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추가로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워업 입력 메커니즘(70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디바이스는 시스템 고장 등의 결과로서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으로 파워업, 다시 말하면 재부팅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700)의 메모리(706)는 프로세서(704)와 통신하며 파워 메커니즘(708)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파워업/재부팅을 자동으로 트리거하는 다른 이벤트의 발생을 기초로 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 파워업 모듈(710)을 포함한다. 메모리(706)는 추가로 프로세서(704)와 통신하며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도메인과의 통신을 획득 및 유지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 1 도메인 모듈(712) 및 제 2 도메인 모듈(716)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 2 도메인 모듈(712, 716)은 와이파이(Wi-Fi) 도메인 모듈, 블루투스® 도메인 모듈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 모듈일 수도 있고 다른 대응하는 도메인 모듈(712, 716)은 회선 교환 2세대(2G) 셀룰러 도메인들, 1X 셀룰러 도메인 모듈과 같은 패킷 교환 3세대(3G) 셀룰러 도메인들, 예를 들어, WiMax 셀룰러 도메인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셀룰러 도메인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무선 디바이스(700)는 3개 이상의 도메인 모듈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도메인 모듈(712)은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 1 도메인 획득 루틴(714)을 포함하고, 제 2 도메인 모듈(716)은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 2 도메인 획득 루틴(718)을 포함한다. 본 형태들에 따르면, 제 1 도메인 획득 루틴(714) 및 제 2 도메인 획득 루틴(718)은 디바이스 파워업 처리 동안 동시에, 다시 말하면 병렬로 구현된다. 추가로, 무선 디바이스(700)가 3개 이상의 도메인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에, 디바이스는 2개 이상의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모든 관련 도메인 획득 루틴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도메인 모듈(712)은 추가로 제 1 도메인 등록 루틴(7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도메인 모듈(716)은 제 2 도메인 등록 모듈(7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형태들에 따르면, 관련 도메인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는 시간상 제 1 도메인 획득 루틴은 관련 도메인에 디바이스를 등록하기 위한 시도에서 관련 등록 루틴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메인 획득 루틴(714)이 관련된 제 1 도메인의 획득에서 시간상 첫 번째라면, 제 1 도메인 모듈(712)이 네트워크를 등록하기 위한 시도에서 제 1 도메인 등록 루틴(720)을 구현할 수 있다. 한 형태에서, 시간상 첫 번째로 획득된 도메인의 등록이 성공적이지 않다면, 디바이스는 시간상 첫 번째로 획득된 도메인에 대한 재등록을 재시도하고 또는 시간상 두 번째 도메인이 획득되었다면, 시간상 두 번째로 획득된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들에 따르면, 도메인 획득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지만, 도메인 등록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한 형태에 따른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한 방법(8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벤트(802)에서, 파워업 입력 메커니즘에 입력이 제공되거나 무선 통신의 파워업/재부팅을 자동으로 트리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벤트(804)에서, 파워업 입력 메커니즘에 대한 입력 또는 자동 파워업/재부팅을 트리거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기초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파워업 모듈이 개시된다.
이벤트(806, 808)에서는, 파워업 루틴이 실행되고 있으므로 제 1 도메인 획득 시도 및 제 2 도메인 획득 시도가 동시에 또는 병렬로 실행된다. 제 1 및/또는 제 2 도메인이 WLAN 도메인인 형태들에서, 도메인의 획득은 다수의 일관성 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도메인이 셀룰러 도메인인 다른 형태들에서, 도메인의 획득은 파일럿 Ec/Io 신호의 측정 및 파일럿 Ec/Io 신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하였다는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WLAN 도메인 일관성 체크는 디바이스가 안정적인 RF 환경에서 작동하고 있고 측정된 WLAN 액세스 포인트(AP)에 최소한의 편차가 존재함을 보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WLAN 도메인 획득은 셀룰러 도메인 획득보다 장기간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여기서 "동시"라는 용어는 동시에 일어나는 관련 도메인 획득 루틴들의 임의의 부분으로서 정의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획득 루틴 모두 모든 시점에 동시에 실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동시 실행의 목적으로는, 어떤 시점에 획득 루틴들이 함께 실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벤트(810)에서, 제 1 도메인 또는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어느 것이 먼저 획득되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벤트(812)에서, 시간상 어느 도메인이 먼저 획득되는지에 대한 결정을 기초로, 시간상 먼저 획득된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시간상 먼저 획득된 도메인이 성공적으로 등록되지만 디바이스 상에서 우선적인 도메인으로서 구성되지 않는다면, 디바이스는 시간상 먼저 선택된 도메인의 성공적인 등록 직후 우선하는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WLAN 도메인이 셀룰러 도메인에 비해 우선하고 셀룰러 도메인이 시간상 먼저 획득된 도메인이라면, 일단 셀룰러 도메인이 등록되면 디바이스는 우선하는 WLAN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즉시 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른 파워업 동안의 동시 도메인 획득을 위한 방법(900)이 설명된다. 이벤트(903)에서, 적어도 제 1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파워업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은 해당 파워업 입력 메커니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 작동 중단(system crash) 등과 같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의 발생을 기초로 파워업이 자동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이벤트(904)에서, 파워업 동안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고, 이벤트(906)에서 파워업 동안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한다. 제 1 및/또는 제 2 도메인이 WLAN 도메인인 형태들에서, 제 1 도메인의 획득은 WLAN 도메인의 신뢰성 상태를 보증하기 위한 다양한 일관성 체크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및/또는 제 2 도메인이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인 다른 형태들에서, 제 2 도메인의 획득은 Ec/Io 신호의 측정 및 파일럿 Ec/Io 신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거나 초과했다는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906)에서, 제 1 또는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도메인 등록이 시도된다. 제 1 도메인이 WLAN 도메인이고 제 2 도메인이 셀룰러 도메인인 어떤 형태에서, 셀룰러 획득 프로세스는 WLAN 획득 프로세스보다 덜 복잡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셀룰러 도메인이 시간상 먼저 획득되기 더 쉽다. 추가로, WLAN 도메인이 우선하는 도메인인 어떤 형태들에서, 셀룰러 도메인이 시간상 먼저 획득되며 성공적으로 등록된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도메인이 등록된 후 WLAN 도메인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파워업시 동시 도메인 획득 시도들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가 제시된다. 장치(1260)는 메모리(1272)와 통신하며 여기서 설명한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논리 그룹(126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1262)은 제 1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수단(1264)을 포함한다. 추가로, 논리 그룹(1262)은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1266) 및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1268)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1262)은 또한 제 1 및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1270)을 포함한다.
다중 도메인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IMS 등록
WLAN 도메인 등과 같은 많은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 IMS(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이 패킷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사용된다. IMS가 패킷 기반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되기 위해서는 IMS 등록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의 다중 도메인 환경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WLAN 도메인과 같은 제 1 도메인에서 셀룰러 도메인과 같은 제 2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디바이스는 IMS 등록을 빠져나가도록 구성될 수 있어, WLAN 도메인으로의 재진입시 재등록을 필요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추가로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가 계속해서 식별되면서 IMS 등록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등록 절차는 시간 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활성 셀룰러 도메인과 휴지 WLAN 도메인에 대한 이중 등록을 유지함으로써 디바이스가 발생할 수 있는 등록 횟수와 특히, 발생할 수 있는 IMS 등록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형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가 WLAN 도메인과 같은 제 1 도메인에서 셀룰러 도메인과 같은 제 2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 디바이스는 셀룰러 또는 회선 교환 도메인에 등록하며 모든 호가 셀룰러 도메인의 이동 교환국(MSC)을 통해 라우팅된다. 그러나 디바이스가 다시 WLAN 도메인으로 이동할 때는, WLAN 도메인 등록이 여전히 유효하더라도, 디바이스는 재등록을 수행하여 IMS/WLAN 도메인으로의 호의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디바이스가 다시 WLAN 도메인으로 이동하고 IMS 등록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디바이스는 전체 IMS 등록을 수행할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도 12는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통신 환경에서 IMS 등록을 위해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4) 및 메모리(1006)를 갖는 컴퓨팅 플랫폼(100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6)의 메모리는 프로세서(1004)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 교환 도메인 모듈(1008)을 포함한다. WLAN 도메인 모듈 등과 같은 패킷 교환 도메인 모듈(1008)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활성화되도록 동작 가능하며,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0)의 메모리(1006)는 또한 프로세서(1004) 및 패킷 교환 도메인 모듈(들)(1008)과 통신하는 IMS 서비스 모듈(1010)을 포함한다. IMS 서비스 모듈(1010)은 IMS를 이용하는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추가로, IMS 서비스 모듈(1010)은 활성화된 패킷 교환 도메인이 IMS 서비스들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IMS 서비스가 지원된다면 IMS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IP 어드레스 결정기(1014)를 구현하고,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다면 패킷 교환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에 등록 요청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한 IMS 등록 루틴(1016)을 구현하도록 동작 가능한 IMS 등록 모듈(1012)을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되는 IMS 등록 요청은 패킷 교환 도메인 상에서 다른 IMS 서비스들의 등록과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IMS 서비스를 등록하도록 동작 가능한 서비스 기반 IMS 등록 요청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에서, IMS 서비스 모듈(1010)은 IP 어드레스 결정기(1014)가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현재 IMS 등록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IMS 결정기(1018)를 포함할 수 있다. IMS 결정기(1018)가 현재 IMS 등록이 되어 있다고 결정한다면,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부터 IMS 서비스들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IMS 결정기(1018)가 현재 IMS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면, IMS 재등록 루틴(1022)을 포함하는 IMS 재등록 모듈(1020)은 IMS 재등록 요청을 네트워크 엔티티에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IMS 재등록 요청은 이전에 설정된 IMS 등록 자격 증명서(credential)들의 신속한 리프레시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MS 재등록은 인증 절차뿐 아니라 전체 등록 프로세스의 다른 단계들 또한 회피한다. 이와 같이, IMS 재등록 절차는 인증을 수반하는 전체 IMS 등록 절차보다 훨씬 덜 시간 소모적이다. 한 형태에서, IMS 재등록 요청은 또한 다른 IMS 서비스들의 재등록과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IMS 서비스를 재등록하도록 동작 가능한 서비스 기반 재등록 요청으로서 정의된다. 어떤 형태들에서, 재등록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시간 간격이 만료하거나 재등록 프로세스가 실패한다면, IMS 등록 루틴(1016)이 호출되어 인증을 포함한 전체 등록 절차를 제공한다.
어떤 형태들에서, IMS 등록 모듈이 IMS 서비스들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면, 셀룰러 도메인들과 같은 회선 교환 도메인들이 지원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회선 교환 도메인 모듈(1024)을 활성화한다. 회선 교환 도메인이 3GPP2와 같은 IMS를 지원하는 형태들에서, 회선 교환 도메인 모듈은 패킷 교환 도메인 등록이 그대로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서비스들이 회선 교환 도메인에 의해 제공될 것임을 회선 교환 도메인에 통보하는 SMS 메시지 등과 같은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이중 등록 메시지 생성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MS 등록은 그대로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가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돌아갈 때 무선 통신이 완전히 IMS 등록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IMS를 재등록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무선 환경에서 IMS 등록을 위한 방법(1100)의 흐름도가 제시된다. 도 13에 따르면, 결정(1102)에서, 패킷 교환 도메인, 예를 들어 WLAN 도메인을 통해 IMS 서비스들이 지원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IMS 서비스들이 지원된다면, 결정(1104)에서 IMS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무선 디바이스가 서브 계층 경계들을 가로지르는 경우나 다른 공지된 또는 추후 공지되는 예시에서는 IP 어드레스가 변경될 수 있다.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다면, 이벤트(1106)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IMS 등록을 패킷 교환 엔티티에 전송한다. 한 형태에서, IMS 등록은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해 지원되는 서비스들을 식별하는 특징 태그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기반 IMS 등록일 수 있다. 서비스 기반 IMS 등록은 다른 서비스와 관계없이 등록될, VoIP(Voice over IP), 단말 서비스(SMS), 화상 전화 등과 같은 각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WLAN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와 같이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무선 디바이스는 전체 등록 프로세스의 수행과는 대조적으로 디바이스의 재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결정(1108)에서, 현재 IMS 등록이 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IMS 등록이 되어 있고 타이머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이 최신이라면, 이벤트(1010)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IMS가 현재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결정되거나 아니면 패킷 교환 도메인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결정(1012)에서 등록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등록 타이머가 만료했다면, 이벤트(1014)에서 IMS 등록이 패킷 교환 엔티티로 전달된다. 등록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았다면, 이벤트(1016)에서 IMS 재등록 요청이 패킷 교환 엔티티로 전송된다. 재등록은 이전에 설정된 IMS 등록 자격 증명서들의 신속한 리프레시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재등록은 등록과 다르다. 한 형태에서, 재등록 요청은 패킷 교환 도메인 상에서 다른 IMS 서비스들의 재등록과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IMS 서비스를 재등록하도록 동작 가능한 서비스 기반 IMS 재등록일 수 있다.
결정(1018)에서, 재등록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재등록 프로세스가 성공적이지 않다면, 이벤트(1014)에서 전체 등록 요청이 패킷 교환 엔티티로 전송된다. 재등록 프로세스가 성공적이라면, 이벤트(1010)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본 형태들은 IMS 등록 및 등록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형태들은 WLAN 도메인 등과 같은 패킷 교환 도메인 상에서의 등록을 필요로 할 수도 있는 다른 서비스들에도 관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가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해 IMS 서비스들을 지원하지 않고 디바이스가 여전히 IMS 등록되어 있다면, 결정(1120)에서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 도메인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 도메인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이벤트(112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 도메인을 지원한다면, 결정(1124)에서 회선 교환 도메인이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회선 교환 도메인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회선 교환 도메인이 3GPP 회선 교환 도메인이라면, 이벤트(1126)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 도메인 및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3GPP는 IMS 서비스들을 지원하지 않으며,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가 WLAN 서비스를 먼저 시도한 다음 셀룰러 서비스를 시도함으로써 응답하여 서비스들을 전달하게 된다.
회선 교환 도메인이 3GPP가 아니라 3GPP2(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라면, 이벤트(1128)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모든 서비스를 회선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시킬 필요성을 나타내며 패킷 교환 도메인 상의 IMS 등록이 여전히 활성화 상태/그대로임을 나타내는 SMS 메시지 등과 같은 메시지를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 서버(VCC-AS)에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패킷 교환 네트워크가 여전히 활동적으로 등록되어 있더라도, 서비스들이 회선 교환 도메인을 통해 제공되어야 함을 상기 메시지가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 통보한다. 일단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벤트(1130)에서, 무선 디바이스들이 회선 교환 도메인으로 이동한다. 무선 도메인이 이후에 다시 패킷 교환 도메인으로 돌아갈 때, 디바이스는 도 13에 나타낸 흐름별로 전체 IMS 등록을 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IMS 재등록을 시도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한 형태에 따른 다중 도메인 무선 디바이스에서 IMS 등록을 위한 방법(1200)의 흐름도가 설명된다. 이벤트(1202)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WLAN 도메인 등과 같은 패킷 교환 도메인이 활성화된다. 이벤트(1204)에서, 패킷 교환 도메인을 통해 IMS 서비스들이 지원되는지가 결정된다.
결정(1206)에서, IMS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벤트(1208)에서, IP 어드레스가 변경된 것으로 결정된다면, IMS 등록 요청이 패킷 교환 도메인 엔티티로 전송된다. 한 형태에서, IMS 등록 요청은 패킷 교환 도메인에 제공된 다른 서비스들과 관계없이 등록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반 IMS 등록 요청일 수 있다.
선택적 이벤트(1210)에서,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IP 어드레스를 기초로 현재 IMS 등록이 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선택적 이벤트(1212)에서, 현재 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된 등록을 기초로 IMS 재등록 요청이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달된다. 재등록은 무선 디바이스가 전체 등록 프로세스를 피하면서 이전에 설정된 IMS 등록을 신속하게 리프레시하게 한다.
우선적이지 않은 도메인을 통한 순차적 페이징
무선 디바이스가 패킷 교환 도메인에 IMS 등록되어 있고 동시에 회선 교환 도메인에 등록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징 절차를 통해 이러한 회선 교환을 통보할 수 없어 회선 교환 도메인이 이중 등록 상태를 알지 못하는 형태들에서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우선적이지 않은 도메인을 통한 페이지들이 적절히 수신됨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또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는 회선 교환 도메인이 IMS를 특징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3GPP 회선 교환 도메인인 경우이다. 본 형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우선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먼저, 그리고 페이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우선적이지 않은 네트워크를 통해 순차적으로 페이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다중 도메인 통신을 위해 구성되고 디바이스가 현재 서비스, 예를 들어, 제 1 도메인 또는 제 2 도메인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다면, 제 1 및 제 2 도메인 모두를 통해 페이지를 청취한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도메인이 우선적인 도메인이 되도록 구성된다. 한 형태에서, 제 1 도메인은 WLAN 도메인일 수 있고 제 2 도메인은 셀룰러 도메인일 수 있다. 한 형태에 따르면, 도메인 엔티티는 디바이스가 현재 활성화되어 있다고 네트워크가 믿고 있는 도메인 상에서 먼저 페이징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페이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 2 도메인 상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선적이지 않은 도메인을 통해 페이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우선적인 도메인이 여전히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다면 트래픽 상태의 호를 우선적인 도메인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디바이스가 호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면, 호는 우선적이지 않은 도메인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단 호가 종료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우선적인 도메인으로 자신의 등록을 리프레시할 수 있어 네트워크가 이후 우선적인 도메인을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페이징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한 형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는 무선 통신 시스템 상에서 작동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흔히 서로 다른 스펙트럼 대역폭 및/또는 서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들은 CDMA(CDMA 2000, EV DO, WCDMA), OFDM 또는 OFDMA(Flash-OFDM, 802.20, WiMAX), FDD 또는 TDD 허가 스펙트럼들을 이용하는 FDMA/TDMA(GSM) 시스템들, 흔히 쌍을 이루지 않는 비허가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또는 블루투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대-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는 여기서 설명한 컴포넌트들과 기능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컴포넌트(104, 404, 704, 10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컴포넌트(104, 404, 704, 1004)는 프로세서들의 단일 또는 다수의 세트들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컴포넌트(104, 404, 704, 1004)는 집적 처리 시스템 및/또는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처리 컴포넌트(104, 404, 704, 1004)는 본 형태들에 따라 링크 품질을 결정하거나 링크 바인딩을 설정할 수 있는 처리 서브시스템들, 또는 본 형태들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다른 처리 서브시스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처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는 또한 프로세서 컴포넌트(104, 404, 704, 1004)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모듈들의 로컬 버전들을 저장하기 위한 것과 같은 메모리(106, 406, 706, 1006)를 포함한다. 메모리(106, 406, 706, 100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도 19에 도시하지 않은) 어떤 형태들에서 메모리(106, 406, 706, 1006)는 타깃 도메인 모듈, 서빙 도메인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100, 400, 700, 1000)은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티와의 통신을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통신 모듈(130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300)은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 상의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뿐 아니라, 통신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타깃/서빙 네트워크 엔티티들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에 직렬로 또는 국부적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 간의 통신도 취급할 수 있다.
추가로,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는 또한 데이터 저장소(13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설명한 형태들과 관련하여 이용되는 정보의 대용량 저장소, 데이터베이스들 및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떤 형태들에서 데이터 저장소(1302)는 (도 19에 도시하지 않은) 도메인들 및/또는 도메인 서비스들에 대한 추가/누락 임계치를 저장하는데 쓰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는 무선 디바이스(100, 400, 700, 1000)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키보드, 숫자 패드, 마우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방향 키, 기능 키, 마이크, 음성 인식 컴포넌트,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 프린터,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형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1400)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나타낸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1400)은 하나의 기지국과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그러나 시스템은 2개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2개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기지국들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후술하는 예시적인 기지국 및 사용자 디바이스와 실질적으로 비슷할 수도 있고 또는 이와 다를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송신기 시스템(14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본 형태들의 코드북을 포함하는 데이터 소스(141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414)로 제공된다. 어떤 형태들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4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어떤 형태들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1414)는 심벌들이 전송되고 있는 사용자 및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를 기초로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어떤 형태들에서, 빔 형성 가중치들은 액세스 네트워크와 액세스 단말 간의 송신 경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응답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채널 응답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 추정치들 또는 CQI(채널 품질 표시자)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된 송신들의 경우에, TX 데이터 프로세서(1414)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랭크 정보를 기초로 패킷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수신기 시스템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을 기초로 변조(즉, 심벌 매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430)에 의해 수행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어떤 형태들에서, 병렬 공간 스트림들의 수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랭크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은 TX MIMO 프로세서(1420)에 제공되고, TX MIMO 프로세서(1420)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한)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420)는 NT개의 심벌 스트림을 NT개의 송신기(TMTR; 1422a-1422t)에 제공한다. 어떤 형태들에서, TX MIMO 데이터 프로세서(1420)는 심벌들이 전송되고 있는 사용자 및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를 기초로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에 사용자의 채널 응답 정보로부터의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 송신기(1422)는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기(1422a-14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 신호는 각각 NT개의 안테나(1424a-1424t)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145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1452a-14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14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 수신기(RCVR; 1454)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14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해당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4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초로 NR개의 수신기(1454)로부터 NR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랭크 개수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460)에 의한 처리는 뒤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은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전송된 변조 심벌들의 추정치인 심벌들을 포함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4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418)에 의한 처리는 송신기 시스템(14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3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4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RX 프로세서(1460)에 의해 생성되는 채널 응답 추정치는 수신기에서의 공간, 공간/시간 처리 수행, 전력 레벨 조정, 변조 레이트 또는 방식 변경, 또는 다른 동작들에 사용될 수 있다. RX 프로세서(1460)는 또한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의 신호대 잡음 및 간섭비(SNR), 및 가능하면 다른 채널 특성들을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수량들을 프로세서(1470)에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460) 또는 프로세서(1470)는 또한 시스템에 대한 "유효" SNR의 추정치를 유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70)는 추정된 채널 정보(CSI)를 제공하며, CSI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는 동작 SNR만을 포함할 수 있다. CSI는 데이터 소스(141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41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4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1454a-1454t)에 의해 조정되며, 다시 송신기 시스템(1410)으로 전송된다.
송신기 시스템(1410)에서, 수신기 시스템(1450)으로부터의 변조 신호들은 안테나들(14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422)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14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4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에 의해 보고되는 CSI를 복원한다. 보고되는 CSI는 프로세서(1430)에 제공되어 (1) 데이터 스트림들에 사용될 데이터 레이트들과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결정하고, (2) TX 데이터 프로세서(1414) 및 TX MIMO 프로세서(1420)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는, NR개의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NT개의 송신 심벌 스트림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 처리 기술들은 2개의 주요 카테고리 (ⅰ) (등화 기술로도 지칭되는) 공간 및 공간-시간 수신기 처리 기술들, 및 (ⅱ) ("연속 간섭 제거" 또는 "연속 제거" 수신기 처리 기술들로도 지칭되는) "연속 널(nulling)/등화 및 간섭 제거" 수신기 처리 기술로 그룹화될 수 있다.
NT개의 송신 안테나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로 분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N s ≤ min{N T , N R }이다. Ns개의 독립 채널 각각은 MIMO 채널의 공간 서브채널(또는 송신 채널)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차원(dimension)에 대응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여기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컴포넌트,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술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떤 네트워크 도메인과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 간, 구체적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1X, LTE, 2G, 3G 셀룰러 네트워크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즉,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도메인) 간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이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형태들이 제공된다. 본 형태들은 최종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혼란을 최소화하고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필수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서비스들이 끊김 없이 그리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원에 제시되는 형태들은 각 서비스가 언제 그리고 어떤 기술에 관련될지를 예상하는 것과 관련된 결정 포인트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며 트래픽 상태일 때와 유휴 상태일 때 셀룰러 도메인과 WLAN 도메인 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더 나은 기술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형태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추가로,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추가로, 어떤 형태들에서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소자,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초고주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한 개시는 예시적인 형태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보여주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설명한 형태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설명한 형태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로의 한정이 명시되지 않는 한 다수가 예측된다. 추가로, 임의의 형태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형태 및/또는 실시에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통신 디바이스 파워업(power-up) 동안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 도메인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는 추가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으로서 상기 제 1 도메인을 정의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WLAN 도메인의 일관성을 보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일관성 체크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는 추가로 셀룰러 네트워크로서 상기 제 2 도메인을 정의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는 단계는 파일럿 Ec/Io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파일럿 Ec/Io 신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이 성공적인 경우, 등록이 시도된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중 먼저 획득되는, 비선호 도메인을 기초로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중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의 성공적인 등록 후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간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메인 활성화를 위한 방법.
  8. 통신 디바이스 파워업 동안 도메인 활성화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제 1 도메인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제 1 모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제 2 모듈;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제 3 모듈; 및
    상기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기 위한 제 4 모듈
    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9.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도메인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게 하기 위한 제 1 세트의 코드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2 세트의 코드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3 세트의 코드들;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게 하기 위한 제 4 세트의 코드들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0. 제 1 도메인 및 제 2 도메인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수단;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상기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도메인과 제 2 도메인 중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1.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파워업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워업 메커니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제 1 도메인 모듈 ― 상기 제 1 도메인 모듈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파워업시 제 1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함 ― ;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제 2 도메인 모듈 ― 상기 제 2 도메인 모듈은 상기 제 1 도메인의 획득 시도와 동시에 제 2 도메인의 획득을 시도하도록 동작 가능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메인 모듈과 상기 제 2 도메인 모듈은 해당 도메인이 시간상 먼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해당 도메인에 대한 등록을 시도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 모듈은 추가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도메인 모듈로서 정의되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WLAN 도메인 모듈은 상기 WLAN 도메인의 일관성을 보증하기 위해 상기 WLAN 네트워크를 획득하기 위한 시도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일관성 체크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메인은 추가로 셀룰러 네트워크 도메인 모듈로서 정의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도메인 모듈은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고 파일럿 신호 추가 임계치가 충족되었음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메인 모듈 및 상기 제 2 도메인 모듈은 상기 등록이 성공적인 경우, 등록이 시도된 해당 도메인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도메인 핸드오프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메인 핸드오프 모듈은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중 먼저 획득되는, 비선호 도메인을 기초로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중 먼저 획득되는 도메인의 성공적인 등록 후 상기 제 1 도메인과 상기 제 2 도메인 간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도록 동작 가능한,
    통신 디바이스.
KR1020117023674A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257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874907P 2007-10-09 2007-10-09
US60/978,749 2007-10-09
US12/244,529 2008-10-02
US12/244,529 US8780857B2 (en) 2007-10-09 2008-10-02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PCT/US2008/078816 WO2009048817A2 (en) 2007-10-09 2008-10-03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93A Division KR101181902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072A true KR20110116072A (ko) 2011-10-24
KR101257322B1 KR101257322B1 (ko) 2013-04-24

Family

ID=4021997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674A KR101257322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07010293A KR101181902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17023673A KR101278984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37001539A KR20130026480A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93A KR101181902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17023673A KR101278984B1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20137001539A KR20130026480A (ko) 2007-10-09 2008-10-03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780857B2 (ko)
EP (2) EP2210440A2 (ko)
JP (3) JP5290302B2 (ko)
KR (4) KR101257322B1 (ko)
CN (2) CN101897215B (ko)
AU (1) AU2008311022B2 (ko)
BR (1) BRPI0818093B1 (ko)
CA (3) CA2830238C (ko)
HK (2) HK1151164A1 (ko)
IL (3) IL204907A (ko)
MX (1) MX2010003896A (ko)
MY (2) MY180873A (ko)
RU (3) RU2476016C2 (ko)
SG (4) SG10201606600SA (ko)
TW (1) TWI387384B (ko)
WO (1) WO200904881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4B1 (ko) * 2011-12-26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Vcc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887B2 (en) *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US9246951B2 (en) * 2008-01-24 2016-0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remotely de-registering devices in IMS system
US20090191873A1 (en) * 2008-01-24 2009-07-30 At&T Labs System and method of registering users at devices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using a network-based device
US9246950B2 (en) * 2008-01-24 2016-0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gistration macros in an IMS network-based device
US8134956B2 (en) * 2008-01-24 2012-03-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gistration alert in an IMS system
US9241253B2 (en) 2008-01-24 2016-0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with a registration review in IMS system
US8275830B2 (en) 2009-01-28 2012-09-25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CDR creation, aggregation, mediation and billing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548428B2 (en) 2009-01-28 2013-10-01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8391834B2 (en) 2009-01-28 2013-03-05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techniques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346225B2 (en) 2009-01-28 2013-01-01 Headwater Partners I, Llc Quality of service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340634B2 (en) 2009-01-28 2012-12-25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635335B2 (en) 2009-01-28 2014-01-21 Headwater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8402111B2 (en) 2009-01-28 2013-03-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services install
US8675507B2 (en) 2009-01-28 2014-03-18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rofile management with user preference, adaptive policy, network neutrality and user privacy for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8626115B2 (en) 2009-01-28 2014-01-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8406748B2 (en) 2009-01-28 2013-03-26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ve ambient services
WO2009151452A1 (en) * 2008-06-12 2009-1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ell phone wlan access point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9578182B2 (en) 2009-01-28 2017-02-21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9755842B2 (en) 2009-01-28 2017-09-05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9253663B2 (en) 2009-01-28 2016-02-02 Headwater Partners I Llc Controll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on a roaming network based on device state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1973804B2 (en) 2009-01-28 2024-04-30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10264138B2 (en) 2009-01-28 2019-04-16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US10057775B2 (en) 2009-01-28 2018-08-21 Headwater Research Llc Virtualized policy and charging system
US10779177B2 (en) 2009-01-28 2020-09-15 Headwater Research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9392462B2 (en) 2009-01-28 2016-07-12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end-user device with agent limi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specified background applications based on a stored policy
US10248996B2 (en) 2009-01-28 2019-04-02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end-user device mobile payment agent
US9954975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8793758B2 (en) 2009-01-28 2014-07-29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10492102B2 (en) 2009-01-28 2019-11-26 Headwater Research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10484858B2 (en) 2009-01-28 2019-11-19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955332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child wireless device activation to subscriber account of a master wireless device
US9858559B2 (en) 2009-01-28 2018-01-02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957155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10783581B2 (en) 2009-01-28 2020-09-22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providing ambient or sponsored services
US9351193B2 (en) 2009-01-28 2016-05-24 Headwater Partners I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0841839B2 (en) 2009-01-28 2020-11-17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9270559B2 (en) 2009-01-28 2016-02-23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for an end-user device having a control application or a proxy agent for routing an application traffic flow
US10715342B2 (en) 2009-01-28 2020-07-14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10200541B2 (en) 2009-01-28 2019-02-05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divided user space/kernel space traffic policy system
US10064055B2 (en) 2009-01-28 2018-08-28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11218854B2 (en) 2009-01-28 2022-01-04 Headwater Research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8745191B2 (en) 2009-01-28 2014-06-03 Headwater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9557889B2 (en) 2009-01-28 2017-01-3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9609510B2 (en) 2009-01-28 2017-03-28 Headwater Research Llc Automated credential porting for mobile devices
US9647918B2 (en) 2009-01-28 2017-05-09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method attributing media services network usage to requesting application
US8805364B2 (en) * 2009-05-22 2014-08-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 equipment attachment/detachment from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CA2667820C (en) 2009-05-29 2013-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ignal quality determination methods and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wlan-to-wwan transitioning
US20100329206A1 (en) * 2009-06-30 2010-12-30 Thome Timothy A Dual idle-traffic stat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719365B1 (ko) 2009-10-30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DE102010008852B4 (de) 2010-01-04 2011-09-01 Init Innovative Informatikanwendungen In Transport-, Verkehrs- Und Leitsystemen Gmbh Verfahren, Auswerterechner und Bordcomputer zur Beeinflussung einer Lichtsignalanlage
US9491619B2 (en) * 2010-09-27 2016-11-08 Infosys Technolog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authenticating a mobile node
EP2647175B1 (en) * 2010-12-03 2018-04-04 Nokia Technologies Oy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2655669B (zh) * 2011-03-03 2015-04-29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手机及其接收呼叫的方法
US9154826B2 (en) 2011-04-06 2015-10-06 Headwater Partners Ii Llc Distributing content and service launch objects to mobile devices
CN102892143B (zh) * 2011-07-20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分流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20140114362A (ko) * 2012-01-11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도메인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9251792B2 (en) * 2012-06-15 2016-02-02 Sri International Multi-sample conversational voice verification
KR20140011616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신망 접속제어장치 및 방법
CN103813296B (zh) * 2012-11-14 2018-07-24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因特网协议多媒体子系统终端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KR20140072968A (ko) * 2012-12-05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을 이용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CN103974359B (zh) * 2013-02-05 2017-12-05 英特尔公司 与lte与cdma 1x通信的装置以及方法
US9661544B2 (en) 2013-02-18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offloading handover of wireless connections from a LTE network to a Wi-Fi network
US20150003411A1 (en) * 2013-06-28 2015-0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hd voice (volte) calls over cs voice calls
EP2830366A1 (en) * 2013-07-23 2015-01-28 Thomson Licensing Method of management of a wireless interface of a device and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CN103607780B (zh) * 2013-11-19 2018-03-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设备及其网络连接方法
US9326208B2 (en) * 2013-12-17 2016-04-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n to handover communications from a first to a second access network
RU2646590C2 (ru) * 2014-02-24 2018-03-06 ИНТЕЛ АйПи КОРПОРЕЙШН Возврат в сеть с коммутацией каналов
US10506053B2 (en) * 2014-03-07 2019-12-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Location aware security system
US9854004B2 (en) * 2014-05-09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fferent types of registrations for IMS services on SIM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239110B1 (ko) * 2014-06-27 202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60021673A1 (en) * 2014-07-18 2016-01-21 Qualcomm Incorporated Ims based wwan-wlan mobility
US20160050589A1 (en) * 2014-08-13 2016-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mbient network sensing and handoff for device optimiz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655008B2 (en) * 2014-09-30 2017-05-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network scanning for quality of service applications
US10165472B2 (en) * 2014-10-03 2018-12-25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calls
KR102226522B1 (ko) 2014-11-04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US9349431B1 (en) * 2015-03-17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refresh storage elements
US9854482B2 (en) 2015-04-21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 delivery of voice communications over a cellular data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based on user's profile
EP3635980B1 (en) * 2017-05-08 2024-05-0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s registered via multiple access networks
KR20200011137A (ko)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si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15794B1 (ko) 2018-12-14 2020-05-27 국방과학연구소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에서 에러 내성 트래픽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751083C1 (ru) * 2020-10-02 2021-07-08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сетев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устройства сетев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CN113259970B (zh) * 2021-05-08 2022-07-08 Tcl通讯(宁波)有限公司 通信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3457A (en) * 1917-09-10 1918-01-15 Thomas N Atkinson Necktie holder and former.
US1995864A (en) * 1933-08-04 1935-03-26 John J Reinhold Article package
US2093830A (en) * 1935-05-28 1937-09-21 James J Flatley Apparatus for treatment of infantile paralysis
US2907045A (en) * 1956-10-29 1959-10-06 Joseph A O'reilly Necktie clip
US3060448A (en) * 1960-07-27 1962-10-30 Anthony L Mongelli Necktie ornament
US3308935A (en) * 1963-07-15 1967-03-14 Int Paper Co Folding carton
US3964105A (en) * 1975-03-24 1976-06-22 Gideon Thomas R Knot simulator
US3999222A (en) * 1976-03-18 1976-12-28 Walborn Luther C Necktie knot simulator
US4173792A (en) * 1978-04-06 1979-11-13 Intengan Franklin S Adjustable length simulated knotted necktie combination
US4546494A (en) * 1984-10-22 1985-10-15 Garber Michael I Necktie construction
US4590610A (en) * 1985-02-14 1986-05-20 Rhyne & Company Hanging product display packages
US4667346A (en) * 1986-10-15 1987-05-26 Strollo Joyce J Necktie retainer and method for securing necktie
US5002220A (en) * 1989-10-18 1991-03-26 Manufacturing Concepts, Inc. Adhesive closure flap with protective liner and detachable tab
US5448569A (en) 1994-04-12 1995-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off monitoring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slow frequency hopping
US5774893A (en) * 1994-10-26 1998-07-07 Torres; Miguel Grajales Simulated necktie knot and necktie combination
US5673434A (en) * 1995-06-01 1997-10-07 Risk Design, Inc. Necktie fabricated from a plurality of rigid components
US5826191A (en) * 1996-07-03 1998-10-2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mode network call forwarding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5870673A (en) * 1996-08-30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receipt of incoming calls from a wide area cellular network and a privat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6072768A (en) * 1996-09-04 2000-06-06 Globalstar L.P. Automatic satellite/terrestrial mobile terminal roaming system and method
US6126000A (en) * 1998-08-03 2000-10-03 Tung; David Garment presentation pack
US6102279A (en) * 1998-12-15 2000-08-15 Technology Container Corporation Collapsible corrugated plastic box
JP3293599B2 (ja) 1999-07-28 2002-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間ハンドオフ制御方法
US6438117B1 (en) * 2000-01-07 2002-08-20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handover in a hybrid GSM/CDMA network
US7433929B2 (en) 2000-12-29 2008-10-07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network selection based on quality of service and applications over different wireless networks
JP2002232929A (ja) 2001-02-01 2002-08-16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移動局及び通信制御装置
US6499590B1 (en) * 2001-09-14 2002-12-31 Travel Caddy, Inc. Case for neck ties
US7826844B2 (en) 2002-01-16 2010-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30162543A1 (en) 2002-02-28 2003-08-28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upt-free hand-over in a mobile terminal
US20030220900A1 (en) 2002-03-28 2003-11-27 Bajko Gabor Method and apparatus for deprecating IP addresses
US7177658B2 (en) 2002-05-06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907229B2 (en) 2002-05-06 2005-06-14 Extricom Ltd. Enhancing wireless LAN capacity us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AU2002333921A1 (en) * 2002-10-08 2004-05-04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s in radio system, and radio system
US7640008B2 (en) * 2002-10-18 2009-12-29 Kineto 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51818B2 (en) 2002-11-15 2010-07-06 Nokia Corporation Smart inter-technology handover control
US20050025182A1 (en) * 2003-06-25 2005-02-03 Ala Nazari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rotocol communication
CN1264309C (zh) 2003-06-26 2006-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给无线局域网用户发送业务数据的方法
US7283506B2 (en) 2003-10-13 2007-10-1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leasing sessions at network entities associated with the sessions
US20050113109A1 (en) * 2003-11-25 2005-05-26 Farid Adrang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ext-based registrations based on intelligent location detection
ATE413740T1 (de) 2003-12-26 2008-11-15 Zte Corp Mehrweggesuchverfahren eines codemultiplex- mehrfachzugriffsystem
WO2005064958A1 (en) 2003-12-30 2005-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discovering the multmedia service capability
EP1551144A1 (en) 2003-12-31 2005-07-06 France Teleco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communications services
US7672690B2 (en) * 2004-04-22 2010-03-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ystem selection in a multi-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435627B2 (ja) * 2004-06-17 2010-03-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情報通信システム
EP1757047B1 (en) 2004-06-29 2019-11-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message related to packet call service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CN1278519C (zh) 2004-07-30 2006-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将终端能力变化通知给网络的方法
KR20060020512A (ko) 2004-08-31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GB0422275D0 (en) 2004-10-07 2004-11-10 Nokia Corp Callback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87069A (ko) 2005-01-28 2006-08-02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이종 무선 데이터망간의 핸드오프 방법
CN100484315C (zh) * 2005-03-08 2009-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模终端选网注册方法
US7920551B2 (en) 2005-03-08 2011-04-05 Genband Us Llc Multiple access service convergence
US7937083B2 (en) * 2005-04-14 2011-05-0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viding for rapid network selection in a multimode device
US20060276190A1 (en) * 2005-05-19 2006-1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handoff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deployed under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070076664A1 (en) * 2005-09-30 2007-04-05 Yafan An Handoff decision making for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US20070091848A1 (en) * 2005-10-03 2007-04-26 Snehal Karia Reducing data loss during handoffs in wireless communication
ES2384698T3 (es) 2005-10-21 2012-07-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ovisión de servicios IMS mediante acceso por conmutación de circuitos.
KR100868948B1 (ko) * 2005-12-10 2008-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CN1992958A (zh) * 2005-12-28 2007-07-04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不同接入系统共存时多模终端的网络附着方法
CN101035308A (zh) * 2006-03-09 2007-09-1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和移动性管理方法
DE102006012743A1 (de) 2006-03-17 2007-09-27 Nec Europe Lt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en Knotens
US8391865B2 (en) * 2006-03-27 2013-03-05 Kyocera Corporation System selec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2047655B1 (en) 2006-08-03 2011-06-22 Accuris Technologies Limited A roaming gateway
US7912042B2 (en) 2006-10-11 2011-03-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surrogate registration
US20080092224A1 (en) * 2006-10-16 2008-04-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connections and service continuity in an agnostic acces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9288276B2 (en) 2006-11-03 2016-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lication services infrastructure for next generation networks including a notification capability and rel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080182575A1 (en) 2007-01-30 2008-07-31 Motorola, Inc. Ims reliability mechanisms
US7856226B2 (en) 2007-04-17 2010-12-21 Aylus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S user sessions with dynamic service selection
US7668159B2 (en) 2007-04-25 2010-0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variable call parameters suitable for use in originating a SIP call via a circuit-switched network from a user equipment device
US7876719B2 (en) 2007-06-18 2011-01-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figuring an IMS service for use by a circuit-switched device
US8743887B2 (en)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US7539373B1 (en) 2007-11-26 2009-05-26 Onechip Photonics Inc. Integrated lateral mode conver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4B1 (ko) * 2011-12-26 2014-10-17 주식회사 케이티 Vcc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1164A1 (en) 2012-01-20
SG185986A1 (en) 2012-12-28
CN103916924A (zh) 2014-07-09
JP2011502377A (ja) 2011-01-20
EP3185613B1 (en) 2020-04-22
KR101181902B1 (ko) 2012-09-11
KR101257322B1 (ko) 2013-04-24
MX2010003896A (es) 2010-06-24
US20090116447A1 (en) 2009-05-07
MY153441A (en) 2015-02-13
SG185985A1 (en) 2012-12-28
TWI387384B (zh) 2013-02-21
KR20130026480A (ko) 2013-03-13
US8780857B2 (en) 2014-07-15
EP2210440A2 (en) 2010-07-28
CA2830238A1 (en) 2009-04-16
IL204907A0 (en) 2010-11-30
RU2010118318A (ru) 2011-11-20
WO2009048817A3 (en) 2009-06-04
HK1197785A1 (zh) 2015-02-13
SG10201606600SA (en) 2016-09-29
RU2011142991A (ru) 2013-04-27
CA2792422C (en) 2015-04-21
CN101897215B (zh) 2014-04-23
KR20110116071A (ko) 2011-10-24
BRPI0818093A2 (pt) 2015-08-18
IL204907A (en) 2014-05-28
RU2476016C2 (ru) 2013-02-20
SG10201606604RA (en) 2016-10-28
JP2013211911A (ja) 2013-10-10
TW200934268A (en) 2009-08-01
RU2536174C2 (ru) 2014-12-20
EP3185613A1 (en) 2017-06-28
AU2008311022A1 (en) 2009-04-16
WO2009048817A2 (en) 2009-04-16
KR101278984B1 (ko) 2013-07-02
JP5567183B2 (ja) 2014-08-06
AU2008311022B2 (en) 2012-06-14
JP5290302B2 (ja) 2013-09-18
KR20100075626A (ko) 2010-07-02
BRPI0818093B1 (pt) 2020-02-11
IL231418A (en) 2015-02-26
IL225320A (en) 2015-09-24
JP2013232916A (ja) 2013-11-14
IL231418A0 (en) 2014-04-30
RU2536175C2 (ru) 2014-12-20
MY180873A (en) 2020-12-10
JP5567184B2 (ja) 2014-08-06
CA2830238C (en) 2015-10-20
CN101897215A (zh) 2010-11-24
CA2701835A1 (en) 2009-04-16
CA2792422A1 (en) 2009-04-16
CN103916924B (zh) 2016-03-30
RU2011142990A (ru) 201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984B1 (ko)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136301B1 (ko) 다중 모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 지원 및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등록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AU201221685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