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790A -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790A
KR20110115790A KR1020100035312A KR20100035312A KR20110115790A KR 20110115790 A KR20110115790 A KR 20110115790A KR 1020100035312 A KR1020100035312 A KR 1020100035312A KR 20100035312 A KR20100035312 A KR 20100035312A KR 20110115790 A KR20110115790 A KR 20110115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ggage
conveyor
transf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209B1 (ko
Inventor
최의식
김승호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3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20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3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을 안전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처리 장치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수하물 수직 이송 위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는,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수평 이동되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로 수직 이동시키고,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수직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수직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UGGAGE VERTICALLY}
본 발명은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항 등에서 수하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공 교통수단의 발달로 전 세계가 1일 생활권에 들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항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항공기를 이용해서 해외로 출국하기 위해서는 공항에서 출국절차를 받은 후, 일정무게 또는 일정크기 이상의 수하물에 소유자, 항공편 등이 기록된 꼬리표를 부착하고 항공기의 화물칸에 탑재함으로써 소유자와 함께 목적지로 향하게 된다.
수하물은 공항의 지하에 위치하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에 의하여 항공기에 탑재되는데, 수하물 이송 시스템은 거미줄 같이 매우 복잡한 경로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에서 로딩되는 수하물은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며, 이송 과정에서 수하물의 목적지에 따라 분류되어 이송되며, 이송을 마친 수하물은 항공기에 탑재되거나, 또는 반대로 항공기에서 하역된 수하물은 수하물 이송 시스템을 통하여 소유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수하물 회수 장소로 이송된다.
수하물은 인력에 의하여 수하물 이송 시스템에 로딩되거나 언로딩되는데, 수하물의 로딩 또는 언로딩은 항공사 데스크 등이 위치하는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이송은 지하에서 이루어지므로 수하물이 지상으로부터 지하로 이송되거나 지하로부터 지상으로 이송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며, 대략 30°내외(도1 α)의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수하물이 이송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컨베이어 벨트(20)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수하물(10)이 굴러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하물(10)은 로딩 과정이나 이송 중에 불안정한 자세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수하물(10)이 굴러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기울어진 컨베이어 벨트(20)는 설치경사에 제한이 있어 설치면적이 넓어지며,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송 거리가 길어져 이송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현재 인천공항 등과 같이 날마다 수많은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수많은 승객이 출발, 도착, 및 환승하는 공항에서는 수많은 수하물(10)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처리되고, 처리 장치 또한 매우 복잡하고 광대한 규모이다. 더욱이 시간에 맞추어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항공기의 출발 또는 도착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며, 이는 일반적인 수하물(10) 처리와 달리 공항의 입장에서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설치 면적을 줄여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하물 이송 중의 낙하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하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하물 처리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하물 수직 이송시 위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는,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수평 이동되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로 수직 이송시키고,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수직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수직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이송부는, 상기 수하물을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운반부; 상기 수직 운반부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 및 상기 수직 운반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다수의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코드의 값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운반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식별코드 리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운반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 및 회전각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지며, 상기 수직 운반부는 상기 식별코드의 위치 값과 상기 엔코더의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운반부는,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직 운반부로의 상기 수하물 진입 시작 및 진입 종료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운반부의 수직 이동시에 상기 수하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 운반부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수하물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상기 수하물을 향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수직 이송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4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수직 이송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상기 제4 컨베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방법은, 제1 이송부가 위치하는 제1 높이에 수직 운반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수직 운반부가 연동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수직 운반부로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제2 높이로 상기 수직 운반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운반부 및 상기 제2 이송부가 연동하여 상기 수직 운반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 가이드에 형성되는 다수의 식별코드 및 상기 수직 운반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위치하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운반부를 상기 제1 높이 및 상기 제2 높이로 위치시키고, 상기 다수의 식별코드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수직 운반부로 상기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수하물을 상기 수직 운반부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은, 수하물을 수직 이동시켜 수하물 이송 중의 낙하 또는 파손 방지가 가능하고, 수하물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하물 처리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하물 수직 이송에 있어서 위치 오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빠른 수하물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하물 이송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식별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수직 운반부의 정면투영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수직 운반부의 터브(Tub) 고정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동 장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평 이동 장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식별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수직 운반부의 정면투영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의 수직 운반부의 터브(Tub) 고정 예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이송 장치는 수하물을 수직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100),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200) 및 제1 이송부(200)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수하물(10)을 제1 이송부(200)와 다른 높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이송부(300) 보다 더욱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수하물(10)을 제1 이송부(200) 및 제2 이송부(300)와 다른 높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400)를 더 포함한다.
수직 이송부(100)는 제1 이송부(200) 내지 제3 이송부(4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를 통해 수평 이동되는 수하물(10)을 수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직 가이드(130) 및 수직 운반부(110)를 포함한다. 수직 가이드(130)는 수직 운반부(110)가 수직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담당한다. 수직 운반부(110)는 수직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 해당 이송부(제1 내지 제3 이송부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한 수하물(1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 이동된 수하물(10)을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수하물(10)을 이동시키고, 수직 이동시에 수하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 운반부(110)는 모터에 의해 이동되는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톱니 벨트에 의해 이동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는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가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 사이에 수직 이송부(1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는 각각 수직 이송부(10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수직 이송부(100)가 제1 높이(h1)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컨베이어(202), 수직 이송부(100) 및 제2 컨베이어(204)는 수하물(10)이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높이(h1)에서의 수평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제2 이송부(300)는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가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 사이에 수직 이송부(1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는 각각 수직 이송부(10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수직 이송부(100)가 제1 높이(h1)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 높이(h2)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3 컨베이어(302), 수직 이송부(100), 및 제4 컨베이어(304)는 수하물(10)이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높이(h2)에서의 수평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제3 이송부(400)는 제5 컨베이어(402) 및 제6 컨베이어(4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5 컨베이어(402) 및 제6 컨베이어(404)가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이송부(200)와 마찬가지로, 제5 컨베이어(402) 및 제6 컨베이어(404) 사이에 수직 이송부(1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5 컨베이어(402) 및 제6 컨베이어(404)는 각각 수직이송부(100)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수직 이송부(100)가 제2 높이(h2)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3 높이(h3)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5 컨베이어(402), 수직 이송부(100), 및 제6 컨베이어(404)는 수하물(10)이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높이(h3)에서의 수평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한편, 제1 컨베이어 내지 제6 컨베이어(202, 204, 302, 304, 402, 404)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거나,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의 사이,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의 사이, 그리고 제5 컨베이어(302) 및 제6 컨베이어(304)의 사이에 수직 이송부(100)가 위치되도록, 제1 컨베이어(202) 및 제2 컨베이어(204)의 사이, 제3 컨베이어(302) 및 제4 컨베이어(304)의 사이, 그리고 제5 컨베이어(302) 및 제6 컨베이어(304)의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수하물의 원할한 수평 이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수직 이송부(1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수직 운반부(110)는 모터에 구비되는 엔코더 및 수직 가이드(130)에 형성되는 식별코드(120)를 이용하여 정확한 수직 위치 이동을 수행한다.
도 3과 같이 수직 가이드(130)는 해당 수직 위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코드(120)를 포함하며, 식별코드(120)는 수직 가이드(130)의 측면에 일렬로 부착될 수 있다. 수직 운반부(110)는 식별코드(120)를 인식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부(111)를 포함하고, 식별코드 리더부(111)는 수직 가이드(130)의 측면에 부착되는 식별코드(120)가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식별코드(12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운반부(110)는 식별코드 리더부(111)로부터 독출되는 식별코드 값을 이용하여 수직 위치가 확인되고, 모터에 구비된 엔코더로부터 획득된 엔코더 출력값을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식별코드(120) 사이의 위치가 확인되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정확히 이동된다.
각각의 식별코드(12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므로 서로 이웃하는 식별코드(120) 사이에서는 수직 운반부(11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획득된 엔코더 출력값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식별코드(120) 사이에서의 수직 운반부(110)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식별코드 값에 의해 수직 운반부(110)의 높이를 검출하고, 서로 이웃하는 식별코드(120) 사이에서는 엔코더 출력값에 의해 수직 운반부(110)의 높이를 정밀하게 검출함으로써 수직 운반부(110)를 매우 정밀하게 정지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코드는 바코드일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변화를 인식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 가이드(130)와 수평으로 빔(beam)이 배치되고, 식별코드(120)가 빔의 측면에 일렬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수직 가이드(130)가 윤활유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경우에 식별코드(120)를 수직 가이드(130)로부터 분리시켜 식별코드(12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운반부(110)는 이송 컨베이어(112), 고정부(113), 제1 터브 센서(114), 및 제2 터브 센서(115)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터브 센서(114, 115)는 수직 운반부(110) 상부의 터브(500) 이동을 인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터브(5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수하물(10)을 용이하게 담아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터브(500)를 사용하지 않고 수하물(10) 자체를 이송할 수도 있으나, 현재 수하물(10) 이송, 및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공항 등에서 사용된다.
제1 터브 센서(114) 및 제2 터브 센서(115) 중 어느 하나는 수직 운반부에 진입하는 터브(500)의 진입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터브(500)의 진입 완료를 감지한다. 예컨대, 제2 컨베이어(204)로부터 수직 운반부(110)로 터브(500)가 진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제1 터브 센서(114)가 터브(500)의 진입을 감지하고, 이어서 제2 터브 센서(115)가 터브(500)를 감지하면 터브(500)의 진입 완료가 확인된다. 반대로 제1 컨베이어(202)로부터 터브(500)가 진입하는 경우에는 제2 터브 센서(115)가 터브(500)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1 터브 센서(114)가 터브(500)의 진입 완료를 감지한다. 터브(500)의 진입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이송 컨베이어(112)를 정지시키고, 터브(500)는 수직 운반부(110) 상부에서 정지된다.
고정부(113)는 수직 운반부(110) 상부에서 이송되는 터브(5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브(500)의 진입이 완료되어 터브(500)가 수직 운반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면 터브(500)의 하부 형태를 따라 양측에서 돌출되어 터브를 고정시키는 모습이 보여지며, 이로써 수직 운반부(110)의 수직 이동 시에 터브(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 이송부(100)에 거버너(Governor)가 구성되어 비상 시에 수직 운반부(110)의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거버너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장치에 구성되어 낙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지 관용 기술에 불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하물 이동 장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수하물 이동 장치의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터브를 수직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터브를 수평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수직 운반부(110)가 제1 높이(h1)에 위치하면 제1 컨베이어(202)와 이송 컨베이어(11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터브(500)를 수직 운반부(11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도 6 'ⓐ'). 수직 운반부(110)는 식별코드(120) 및 엔코더 출력값에 의해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정확히 이동된다. 터브(500)에는 수하물(10)이 안착될 수 있거나, 또는 수하물(100이 안착되지 않은 빈 터브(500)일 수도 있다. 제2 터브 센서(115)는 터브(500)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1 터브 센서(114)는 터브(500)의 진입 완료를 감지한다. 이송 컨베이어(112)는 제1 터브 센서(114)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되고, 이송 컨베이어(112)가 정지되면 고정부(113)가 동작하여 터브(500)를 고정시킨다. 제1 컨베이어(202)는 이웃하는 다음 터브(5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계속해서 동작될 수 있고, 또는 전력 절감을 위하여 수직 운반부(110)가 수직 이동하는 동안에는 정지될 수 있다. 물론, 수하물(10)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컨베이어(204) 및 이송 컨베이어(112)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제1 터브 센서(114) 및 제2 터브 센서(115)의 역할은 조절된다.
이어서, 수직 운반부(110)가 제2 높이(h2)로 이동되면(도 6 'ⓑ'), 고정부(113)가 동작하여 터브(500)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4 컨베이어(304)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터브(500)를 제4 컨베이어(404)로 이동시킨다(도 6 'ⓒ'). 터브(500)가 수직 운반부(1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 수직 운반부(110)는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수직 이동된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3 컨베이어(30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다른 터브(500)를 수직 운반부(110)에 이동시킨 후에,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 수직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터브(500)를 제3 컨베이어(302)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3 컨베이어(302)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터브(500)를 제3 컨베이어(302)로 이동시킨다. 도 6에서는 터브(500)를 제1 높이(h1)에서 제2 높이(h2)로 수직 하강 이동시켜 이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터브(500)를 수직 상승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운반부(110)가 제1 높이(h1)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컨베이어(202),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2 컨베이어(204)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제1 컨베이어(202)에 위치한 터브(500)는 수직 운반부(112)를 거쳐 제2 컨베이어(204)로 이동된다. 고정부(113)는 수평 이동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아니한다. 터브(50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컨베이어(202),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2 컨베이어(204)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수직 운반부(110)가 제2 높이(h2)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3 컨베이어(302),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4 컨베이어(304)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제3 컨베이어(302)에 위치한 터브는 수직 운반부(112)를 거쳐 제4 컨베이어(304)로 이동된다. 고정부(113)는 수평 이동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아니한다. 터브(50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 컨베이어(302), 이송 컨베이어(112) 및 제4 컨베이어(304)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제3 높이(h3)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로 터브(500)가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은, 수하물(10)을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경사진 컨베이어 벨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하물(10) 이송 중의 낙하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컨베이어 벨트에 비하여 설치 면적을 약 80% 줄일 수 있어 기존에 비하여 20%의 면적만으로 수하물(10)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길이가 긴 것과는 달리 수직으로 이동하여 이송거리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수하물(10)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하물(10) 수직 이송에 있어서 식별코드(120)와 엔코더를 동시에 이용하여 위치 보정함으로써 위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하고 신속한 수하물(10)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수하물 20: 컨베이어 벨트
100: 수직 이송부 110: 수직 운반부
111: 식별코드 리더부 112: 이송 컨베이어
113: 고정부 114: 제1 터브 센서
115: 제2 터브 센서 120: 식별코드
130: 수직 가이드 200: 제1 이송부
300: 제2 이송부 400: 제3 이송부
500: 터브(Tub)

Claims (14)

  1.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수평 이동되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로 수직 이동시키고,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2 이송부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부
    를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수직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며, 상기 수직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연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부는,
    상기 수하물을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운반부; 및
    상기 수직 운반부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 및
    상기 수직 운반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다수의 식별코드
    를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의 값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운반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식별코드 리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운반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 및 회전각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수직 가이드의 일측에 부착되어 수직 높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위치 값을 가지며, 상기 수직 운반부는 상기 식별코드의 위치 값과 상기 엔코더의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운반부는,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수하물의 상기 수직 운반부로의 진입 시작 및 진입 종료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를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운반부의 수직 이동시에 상기 수하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 운반부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수하물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상기 수하물을 향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수직 이송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수직 이송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컨베이어 및 제4 컨베이어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하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
  12. 제1 이송부가 위치하는 제1 높이에 수직 운반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수직 운반부가 연동하여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수직 운반부로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제2 이송부가 위치하는 제2 높이로 상기 수직 운반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직 운반부 및 상기 제2 이송부가 연동하여 상기 수직 운반부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로 상기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직 가이드에 형성되는 다수의 식별코드 및 상기 수직 운반부를 수직 이동시키는 구동부에 위치하는 엔코더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높이 및 제2 높이로 위치시키고, 상기 다수의 식별코드는 각각 서로 다른 높이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상기 수직 운반부로 상기 수하물을 이동시키는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수하물을 상기 수직 운반부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하물 수직 이송 방법.
KR1020100035312A 2010-04-16 2010-04-16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119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12A KR101190209B1 (ko) 2010-04-16 2010-04-16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312A KR101190209B1 (ko) 2010-04-16 2010-04-16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90A true KR20110115790A (ko) 2011-10-24
KR101190209B1 KR101190209B1 (ko) 2012-10-16

Family

ID=4503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312A KR101190209B1 (ko) 2010-04-16 2010-04-16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984A (zh) * 2017-12-25 2018-05-04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上下搬运的移送平台
CN109649410A (zh) * 2019-01-16 2019-04-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空轨的城市值机行李装运站台
KR20190126558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용 이동로봇 및 이를 포함한 운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85B1 (ko) * 2021-02-04 2023-08-17 홍영환 부품 가공용 이축 브로칭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4919A (ja) * 1984-11-08 1986-06-02 Fujitsu Ltd 連結コンベアの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984A (zh) * 2017-12-25 2018-05-04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上下搬运的移送平台
KR20190126558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엔티로봇 물류운반용 이동로봇 및 이를 포함한 운반시스템
CN109649410A (zh) * 2019-01-16 2019-04-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空轨的城市值机行李装运站台
CN109649410B (zh) * 2019-01-16 2024-01-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空轨的城市值机行李装运站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209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961B2 (en) Locating station
US20110241845A1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Identification Features
US20090035104A1 (en) Transporting system, and teaching method in the transporting system
US20190177086A1 (en) A picking system having a transport robot for moving underneath individualshelves and transporting vehicle
KR101190209B1 (ko) 수하물 수직 이송 장치 및 방법
CN107697533B (zh) 一种传输系统及方法
KR102390053B1 (ko) 물품 반송 설비
US20180148271A1 (en)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KR20070011226A (ko) 컨베이어 시스템 상의 화물을 추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03659B1 (ko)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 및 이를 이용한 물류 처리 시스템
CN209720632U (zh) 自动装卸装置
WO2019192327A1 (zh) 集装箱检查系统、转运方法及港口设施
WO2010106659A1 (ja) 昇降移載装置及び搬送処理システム
JP2018162132A (ja) 目的地指定トレイ搬送システム
CN105293103B (zh) 一种运输车辆用行李集装箱自动化输送方法及其装置
KR102229194B1 (ko) 수화물 크기 측정 및 자동처리 시스템
CN110745520A (zh) 一种智能存取装置
JP7294029B2 (ja) 物品搬送設備
KR102061188B1 (ko) 기판 검출 장치
CN109436643A (zh) 自动装卸装置
CN215709064U (zh) 中转装置及仓储系统
JP4949869B2 (ja) コラムの段積み順検出装置
KR20130110856A (ko) 보안검색용 수하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의 이송방법
JP2023517356A (ja) 手荷物および小荷物の取り扱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096702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ゲー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