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942A -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942A
KR20110113942A KR1020100033297A KR20100033297A KR20110113942A KR 20110113942 A KR20110113942 A KR 20110113942A KR 1020100033297 A KR1020100033297 A KR 1020100033297A KR 20100033297 A KR20100033297 A KR 20100033297A KR 20110113942 A KR20110113942 A KR 2011011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y
metadata
information
type
sh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453B1 (ko
Inventor
한승주
한재준
방원철
김도균
김상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53B1/ko
Priority to EP11769010.7A priority patent/EP2560395A4/en
Priority to US13/641,082 priority patent/US20130103703A1/en
Priority to JP2013504806A priority patent/JP2013538469A/ja
Priority to CN201180018832.0A priority patent/CN102893612B/zh
Priority to PCT/KR2011/002409 priority patent/WO2011129544A2/ko
Publication of KR2011011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감 효과 정보 및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실감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에 포함되는 실감 효과를 현실 세계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거나,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거나, XML 형태로 인코딩한 후에 다시 이진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고 낮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에 포함된 실감 효과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정보를 단순히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별도의 구동 장치(Actuator)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과와 함께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4D 극장의 경우, 영화 영상을 제공할 뿐 아니라, 영화 내용에 대응하여 극장 의자가 진동하는 효과, 바람이 부는 효과, 물이 튀기는 효과 등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실감나게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사용자에게 실감적인 효과를 함께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구동 장치는 다양한 생활 영역으로 적용되어 가고 있다. 콘트롤러가 진동하는 게임기, 냄새를 제공하는 TV 등이 판매 및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에 포함되는 효과 정보가 구동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고 있지 않아, 효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현실 세계에서 구현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효과 정보를 현실 세계의 엑추에이터에서 구현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은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실감 효과 정보 및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실감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에 포함되는 실감 효과를 현실 세계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거나,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거나, XML 형태로 인코딩한 후에 다시 이진형태로 인코딩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이고 낮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100)은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 및 실감 장치(130)를 포함한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DVD 플레이어, 영화 상영기, PC, 게임기,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정보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현실 세계에서 구현되는 소정의 효과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실감 효과 정보는 게임기에서 재생되는 가상 세계 안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게임기의 컨트롤러가 진동하도록 하는 효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컨텐츠로부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SEM)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실감 효과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는 생성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130)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130)는 효과 이벤트를 현실 세계에서 구현하는 엑추에이터(Actuator)일 수 있다. 실감 장치(130)는 진동 게임 컨트롤러, 4D 극장의 좌석, 가상 세계 재생 고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효과 이벤트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여 실감 장치(130)를 통하여 현실 세계에서 구현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효과 이벤트는 게임기의 컨트롤러가 진동하도록 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여 게임기의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이벤트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130)는 실감 장치(1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apability Metadata, SDCap Metadata)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실감 장치(130)는 특성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감 장치(1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130)는 생성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130)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실감 장치(130)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 USP Meta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는 개별적인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정보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효과 이벤트의 레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가 진동하도록 하는 효과 이벤트에 있어서, 사용자가 진동을 원하지 않는다면, 선호 정보는 진동 효과에 대한 효과 이벤트의 레벨을 0으로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130)는 선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실감 장치(130)는 생성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110)로부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실감 장치(130)로부터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1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실감 장치(130)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장치(130)가 실감 장치(130)의 특성에 부합하게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명령 정보는 실감 장치(130)에 의한 효과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명령 정보는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장치(130)로부터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 및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명령 정보는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장치(130)가 실감 장치(130)의 특성에 부합하면서도 사용자의 선호 정도를 반영하여 효과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생성한 명령 정보를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생성한 명령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실감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1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120)로부터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실감 장치(13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130)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13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130)는 명령 정보에 기반하여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200)은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210),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 및 실감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210)는 XML 인코더(XML Encoder, eXtensible Mark-up Language Encoder)(211)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211)는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21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로 XML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는 XML 디코더(XML Decoder)(221)를 포함할 수 있다.
XML 디코더(221)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XML 디코더(221)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장치(230)는 XML 인코더(231)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231)는 실감 장치(2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2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로 XML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XML 인코더(231)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2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로 XML 형태로 인코딩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는 XML 디코더(222)를 포함할 수 있다.
XML 디코더(222)는 실감 장치(23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XML 디코더(222)는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2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디코더(222)는 실감 장치(2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XML 디코더(222)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는 XML 인코더(223)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223)는 실감 장치(230)에 의한 효과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는 실감 장치(230)로 XML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230)는 XML 디코더(232)를 포함할 수 있다.
XML 디코더(232)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XML 디코더(232)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300)은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310),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 및 실감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310)는 이진 인코더(Binary Encoder)(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인코더(311)는 실감 효과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31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로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는 이진 디코더(Binary Decoder)(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321)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디코더(321)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장치(330)는 이진 인코더(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인코더(331)는 실감 장치(3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3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로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이진 인코더(331)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3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로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는 이진 디코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322)는 실감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디코더(322)는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3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진 디코더(322)는 실감 장치(3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디코더(322)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는 이진 인코더(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인코더(323)는 실감 장치(330)에 의한 효과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는 실감 장치(330)로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330)는 이진 디코더(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332)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32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디코더(332)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400)은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410),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 및 실감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410)는 XML 인코더(411) 및 이진 인코더(412)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411)는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3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진 인코더(412)는 제3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41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는 이진 디코더(421) 및 XML 디코더(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421)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410)로부터 수신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3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디코더(422)는 제3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장치(430)는 XML 인코더(431) 및 이진 인코더(432)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431)은 실감 장치(4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2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진 인코더(432)는 제2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4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XML 인코더(431)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4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진 인코더(432)는 제4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4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는 이진 디코더(423) 및 XML 디코더(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423)는 실감 장치(43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디코더(424)는 제2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4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진 디코더(423)는 실감 장치(4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4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디코더(424)는 제4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는 XML 인코더(425) 및 이진 인코더(426)를 포함할 수 있다.
XML 인코더(425)는 실감 장치(430)에 의한 효과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진 인코더(426)는 제1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는 실감 장치(430)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430)는 이진 디코더(433) 및 XML 디코더(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진 디코더(433)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420)로부터 수신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디코더(434)는 제1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530)는 디코딩부(531) 및 구동부(532)를 포함한다.
디코딩부(531)는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즉, 디코디부(531)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5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는 명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코딩부(531)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동부(532)는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32)는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5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실감 장치(530)는 인코딩부(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부(533)는 실감 장치(5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즉, 인코딩부(533)는 특성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부(533)는 XML 인코더 및 이진 인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부(533)는 특성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533)는 특성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533)는 특성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2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성 정보는 실감 장치(530)의 특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는 실감 장치(530)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실감 장치 특성 기본 타입(Sensory Device Capability Base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실감 장치 특성 기본 타입은 모든 실감 장치(53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특성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표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타입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는 실감 장치(530)의 공통적인 속성(Common Attributes)에 대한 그룹을 나타내는 실감 장치 특성 기본 속성(Sensory Device Capability Base Attributes)을 포함할 수 있다.
표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속성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속성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속성 중 위치 타입(Location Type)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6
Figure pat00006
표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특성 기본 속성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처리 시스템은 MPEG-V 정보(MPEG-V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표 7-1은 일실시예에 따른 MPEG-V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를 나타낸다.
표 7-1
Figure pat00008
표 7-2는 일실시예에 따른 MPEG-V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을 나타낸다.
표 7-2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530)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하는 구동부(532)의 유형(Type)에 따라 복수 개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530)는 빛 유형(Light Type), 플래쉬 유형(Flash Type), 히팅 유형(Heating Type), 쿨링 유형(Cooling Type), 바람 유형(Wind Type), 진동 유형(Vibration Type), 냄새 유형(Scent Type), 안개 유형(Fog Type), 분무 유형(Sprayer Type), 색채 교정 유형(Color Correction Type), 촉각 유형(Tactile Type), 근감각 유형(Kinesthetic Type) 및 강체 모션 유형(RigidBody Motion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표 7-2는 실감 장치(530)의 개별적인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7-2
Figure pat00010
이하 개별적인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자세히 살펴 본다.
표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
Figure pat00011
표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
Figure pat00012
표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0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표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
Figure pat00015
표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
Figure pat00016
표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3
Figure pat00017

표 14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
Figure pat00018
표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
Figure pat00019
표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6
Figure pat00020
표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
Figure pat00021
표 18는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
Figure pat00022
표 19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
Figure pat00023

표 20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
Figure pat00024
표 21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
Figure pat00025
표 22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2
Figure pat00026

표 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
Figure pat00027
표 24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4
Figure pat00028
표 25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5
Figure pat00029

표 26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6
Figure pat00030
표 27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7
Figure pat00031
표 28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28
Figure pat00032
표 29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9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표 30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0
Figure pat00035
표 31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1
Figure pat00036
표 32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32
Figure pat00037

표 33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3
Figure pat00038
표 34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4
Figure pat00039
표 35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35
Figure pat00040
표 36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36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표 37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7
Figure pat00043
표 38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38
Figure pat00044
표 39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39
Figure pat00045

표 40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0
Figure pat00046
표 41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1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표 42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42
Figure pat00049
표 43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43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표 44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4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표 45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표 46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46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표 4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7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표 48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48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표 49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특성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49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인코딩부(533)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딩부(533)는 선호 정보를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부(533)는 XML 인코더 및 이진 인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부(533)는 선호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533)는 선호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533)는 선호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4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제4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감 장치(530)는 입력부(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34)는 실감 장치(530)의 사용자로부터 선호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기본적인 선호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타입(User Sensory Preference Base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타입은 모든 사용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선호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표 50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타입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0
Figure pat00081
표 51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1
Figure pat00082
표 52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52
Figure pat00083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Common Attributes)에 대한 그룹을 나타내는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속성(User Sensory Preference Base Attributes)을 포함할 수 있다.
표 53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속성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3
Figure pat00084
표 5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속성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4
Figure pat00085
표 55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속성 중 적응 모드 타입(Adaptation Mode Type)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55
Figure pat00086
표 56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실감 선호 기본 속성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56
Figure pat00087

이하 개별적인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를 자세히 살펴 본다.
표 57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7
Figure pat00088
표 58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58
Figure pat00089
표 59는 일실시예에 따른 유닛 CS(Unit CS)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5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표 60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60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표 6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1
Figure pat00095
표 6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2
Figure pat00096
표 63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63
Figure pat00097

표 64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4
Figure pat00098
표 65는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5
Figure pat00099
표 66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66
Figure pat00100

표 67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7
Figure pat00101
표 68는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68
Figure pat00102
표 69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69
Figure pat00103

표 70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0
Figure pat00104
표 71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1
Figure pat00105
표 72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72
Figure pat00106

표 7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3
Figure pat00107
표 74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4
Figure pat00108
표 75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75
Figure pat00109

표 76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6
Figure pat00110
표 77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77
Figure pat00111
표 78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78
Figure pat00112
표 79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79
Figure pat00113

표 80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0
Figure pat00114
표 81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1
Figure pat00115
표 82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82
Figure pat00116

표 83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3
Figure pat00117
표 84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4
Figure pat00118
표 85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85
Figure pat00119
표 86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86
Figure pat00120

표 87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7
Figure pat00121
표 88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88
Figure pat00122
표 89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89
Figure pat00123

표 90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0
Figure pat00124
표 91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1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표 92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92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표 93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3
Figure pat00129
표 94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4
Figure pat00130
표 95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95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표 9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6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Figure pat00137

표 97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7
Figure pat00138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2

표 98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선호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98
Figure pat00143
Figure pat00144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620)는 디코딩부(621), 생성부(622) 및 인코딩부(623)를 포함한다.
디코딩부(621)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620)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610)로부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실감 장치(630)로부터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코딩부(621)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코딩부(621)는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630)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디코딩부(621)는 XML 디코더 및 이진 디코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코딩부(621)는 도 2에서 설명한 XML 디코더(221), 도 3에서 설명한 이진 디코더(321) 및 도 4에서 설명한 이진 디코더(421), XML 디코더(4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622)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실감 장치(630)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한다.
명령 정보는 실감 장치(630)에 의한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효과 제어 장치(620)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실감 장치(630)로부터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코딩부(621)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디코딩부(621)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622)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실감 장치(630)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부(623)는 명령 정보를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딩부(623)는 명령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부(623)는 XML 인코더 및 이진 인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부(623)는 명령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623)는 명령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부(623)는 명령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는 실감 장치(630)를 제어하는 기본적인 명령 정보를 나타내는 실감 장치 명령 기본 타입(Sensory Device Command Base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실감 장치 명령 기본 타입은 모든 실감 장치(630)의 제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명령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표 99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타입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99
Figure pat00151
표 100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0
Figure pat00152
표 10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01
Figure pat00153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는 명령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Common Attributes)에 대한 그룹을 나타내는 실감 장치 명령 기본 속성(Sensory Device Command Base Attributes)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0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속성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2
Figure pat00154
표 103는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속성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3
Figure pat00155
표 104은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 명령 기본 속성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04
Figure pat00156

이하 개별적인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를 자세히 살펴 본다.
표 105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5
Figure pat00157
표 106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6
Figure pat00158
표 107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CS(Color CS)에 대한 이진 표현을 나타낸다.
표 107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Figure pat00161
Figure pat00162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Figure pat00165
Figure pat00166
Figure pat00167
Figure pat00168
Figure pat00169
표 108은 일실시예에 따른 빛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08
Figure pat00170

표 109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09
Figure pat00171
표 110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0
Figure pat00172
표 1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11
Figure pat00173

표 112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2
Figure pat00174
표 113는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3
Figure pat00175
표 114은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14
Figure pat00176

표 115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5
Figure pat00177
표 116는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6
Figure pat00178
표 1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쿨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17
Figure pat00179

표 11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8
Figure pat00180
표 119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19
Figure pat00181
표 120은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20
Figure pat00182

표 121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1
Figure pat00183
표 122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2
Figure pat00184
표 12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23
Figure pat00185

표 124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4
Figure pat00186
표 125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5
Figure pat00187
표 126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126
Figure pat00188
표 127은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27
Figure pat00189

표 128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8
Figure pat00190
표 129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29
Figure pat00191
표 130은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30
Figure pat00192

표 131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1
Figure pat00193
표 132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2
Figure pat00194
표 133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133
Figure pat00195
표 134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34
Figure pat00196

표 135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5
Figure pat00197
표 136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6
Figure pat00198
표 137은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37
Figure pat00199

표 138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8
Figure pat00200
표 139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39
Figure pat00201
표 140은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40
Figure pat00202

표 141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1
Figure pat00203
표 142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2
Figure pat00204
표 143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감각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43
Figure pat00205
Figure pat00206
표 144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4
Figure pat00207
Figure pat00208
표 145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5
Figure pat00209
Figure pat00210
Figure pat00211
표 146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6
Figure pat00212
Figure pat00213
표 147은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 모션 유형의 실감 장치에 대한 명령 정보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47
Figure pat00214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Figure pat00217
Figure pat00218
Figure pat00219
Figure pat00220
Figure pat00221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색체 교정 유형은 초기 색채 교정 파라미터 유형(Initialize Color Correction Parameter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색채 교정 파리미터 유형은 톤 복사 곡선 유형(Tone Reproduction Curves Type), 변환 LUT 유형(Conversion LUT Type), 발광 유형(illuminant Type) 및 입력 장치 색채 전체 유형(Input Device Color Gamu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48은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 색채 교정 파라미터 유형의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8
Figure pat00222
표 149는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 색채 교정 파라미터 유형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49
Figure pat00223
표 150는 일실시예에 따른 톤 복사 곡사 유형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0
Figure pat00224
표 151는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LUT 유형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1
Figure pat00225
표 152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유형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2
Figure pat00226
표 153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 색채 전체 유형의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3
Figure pat00227
표 154는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 색채 교정 파라미터 유형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54
Figure pat00228
Figure pat00229
표 155는 일실시예에 따른 톤 복사 곡선 유형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55
Figure pat00230
표 156는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LUT 유형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56
Figure pat00231
Figure pat00232
표 157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유형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57
Figure pat00233
표 158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 색채 전체 유형의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58
Figure pat00234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추출부(711), 인코딩부(712) 및 전송부(713)를 포함한다.
추출부(711)는 컨텐츠로부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한다. 실감 장치(730)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인코딩부(712)는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즉, 인코딩부(712)는 실감 효과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코딩부(712)는 XML 인코더 및 이진 인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713)는 인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기본적인 실감 효과 정보를 나타내는 SEM 기본 타입(SEM Base Type, Sensory Effect Metadata Base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59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타입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59
Figure pat00235
표 160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0
Figure pat00236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에 대한 이진 부호화는 메타데이터의 타입(Type of Metadata), 개별적인 메타데이터의 타입(Type of Individual Metadata) 및 개별적 메타데이터 타입(Individual Metadata Type)의 데이터 필드 타입(Data Field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60-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진 부호화의 기본 구조(Basic Structure)를 나타낸다.
표 160-2
Figure pat00237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의 타입은, 실감 장치 명령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즉,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 Sensory Device Command Metadata),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60-3은 메타데이터의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를 나타낸다.
표 160-3
Figure pat00238
표 160-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의 타입은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M), 인터랙션 정보 메타데이터(Interaction Information Metadata), 명령 정보 메타데이터(Control Information Metadata), 가상 세계 객체 특성(Virtual World Object Characteristics) 및 예약 메타데이터(Reserved Metadata)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적인 메타데이터의 타입은 빛 효과(Light Effect), 플래쉬 효과(Flash Effect) 등에 대한 선택(Selection)일 수 있다. 표 160-4은 개별적인 메타데이터의 타입의 효과 타입(Effect Type)에 대한 식별자(ID)를 나타낸다.
표 160-4
Figure pat00239
표 161은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61
Figure pat0024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실감 효과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Common Attributes)에 대한 그룹을 나타내는 SEM 기본 속성(SEM Base Attributes)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62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속성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2
Figure pat00241
Figure pat00242
표 163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속성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3
Figure pat00243
Figure pat00244
표 164은 일실시예에 따른 SEM 기본 속성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64
Figure pat00245
Figure pat00246
Figure pat00247
Figure pat00248
Figure pat00249
Figure pat00250
Figure pat00251
Figure pat00252
Figure pat00253
표 165은 일실시예에 따른 SEM 적응 속성(SEM Adaptability Attributes)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65
Figure pat00254
Figure pat00255
표 166는 일실시예에 따른 si 속성 리스트(si Attribute List)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6
Figure pat00256
Figure pat00257
표 167는 일실시예에 따른 si 속성 리스트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7
Figure pat00258
Figure pat00259
표 168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 메타데이터 타입(Description Metadata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68
Figure pat00260
Figure pat00261
Figure pat00262
표 169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루트 엘리멘트(SEM Root Element)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69
Figure pat00263
표 170는 일실시예에 따른 SEM 루트 엘리멘트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0
Figure pat00264
표 171은 일실시예에 따른 SEM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71
Figure pat00265
Figure pat00266
Figure pat00267
표 172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 메타데이터(Description Metadata)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2
Figure pat00268
표 173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 메타데이터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3
Figure pat00269
표 174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 메타데이터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74
Figure pat00270
표 17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언 타입(Declarations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5
Figure pat00271
표 176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6
Figure pat00272
표 177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77
Figure pat00273
Figure pat00274
표 178는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그룹 타입(Group of Effect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8
Figure pat00275
표 179는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그룹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79
Figure pat00276
표 180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80
Figure pat00277
Figure pat00278
표 181는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기본 타입(Effect Base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1
Figure pat00279
Figure pat00280
Figure pat00281
표 182는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2
Figure pat00282
표 183는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83
Figure pat00283
표 18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충 정보 타입(Supplimental Information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84
Figure pat00284
표 185는 일실시예에 따른 참조 효과 타입(Reference Effect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5
Figure pat00285
표 186는 일실시예에 따른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6
Figure pat00286
표 187는 일실시예에 따른 참조 효과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87
Figure pat00287
표 188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미터 기본 타입(Parameter Base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8
Figure pat00288
표 189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미터 기본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89
Figure pat00289
표 190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미터 기본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0
Figure pat00290
표 191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파라미터 타입(Color Correction Parameter Type)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91
Figure pat00291
Figure pat00292
표 19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파라미터 타입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92
Figure pat00293
Figure pat00294
Figure pat00295
Figure pat00296
Figure pat00297
Figure pat00298
표 193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파라미터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3
Figure pat00299
색채 교정 파리미터 타입은 톤 복사 곡선 타입(Tone Reproduction Curves Type), 변환 LUT 타입(Conversion LUT Type), 발광 타입(illuminant Type) 및 입력 장치 색채 전체 타입(Input Device Color Gamut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94는 일실시예에 따른 톤 복사 곡선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4
Figure pat00300
표 19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LUT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5
Figure pat00301
표 196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6
Figure pat00302
표 197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 색채 전체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197
Figure pat00303
표 198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타입(Light Type)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98
Figure pat00304
Figure pat00305
표 199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199
Figure pat00306
Figure pat00307
표 200는 일실시예에 따른 빛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00
Figure pat00308
Figure pat00309
Figure pat00310
Figure pat00311
Figure pat00312
Figure pat00313
Figure pat00314
Figure pat00315
Figure pat00316
Figure pat00317
표 201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01
Figure pat00318
표 20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RGB 타입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02
Figure pat00319
표 203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타입(Flash Type)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3
Figure pat00320
표 20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4
Figure pat00321
표 20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04
Figure pat00322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730)는 온도 타입(Temperature Typ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 205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5
Figure pat00323
표 206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6
Figure pat00324
표 207는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07
Figure pat00325
표 208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8
Figure pat00326
표 209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09
Figure pat00327
표 210는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10
Figure pat00328
표 211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1
Figure pat00329
표 2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2
Figure pat00330
표 213는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13
Figure pat00331
표 214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4
Figure pat00332
표 215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5
Figure pat00333
표 216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무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16
Figure pat00334
표 217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7
Figure pat00335
표 218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18
Figure pat00336
표 219는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19
Figure pat00337
표 220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0
Figure pat00338
표 221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1
Figure pat00339
표 222는 일실시예에 따른 안개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22
Figure pat00340
표 223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3
Figure pat00341
표 224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4
Figure pat00342
표 225는 일실시예에 따른 색채 교정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25
Figure pat00343
표 226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채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6
Figure pat00344
Figure pat00345
Figure pat00346
Figure pat00347
표 227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채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27
Figure pat00348
Figure pat00349
Figure pat00350
Figure pat00351
Figure pat00352
Figure pat00353
Figure pat00354
Figure pat00355
Figure pat00356
Figure pat00357
표 228는 일실시예에 따른 강채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28
Figure pat00358
Figure pat00359
표 22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투워드 타입(Move Torward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29
Figure pat00361
표 230는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 타입(Incline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0
Figure pat00362
Figure pat00363
표 231는 일실시예에 따른 쉐이크 타입(Shake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1
Figure pat00364
Figure pat00365
표 232는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브 타입(Wave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2
Figure pat00366
Figure pat00367
표 233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 타입(Spin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3
Figure pat00368
표 234는 일실시예에 따른 턴 타입(Turn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4
Figure pat00369
표 235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 타입(Collide Type)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5
Figure pat0037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근감각 타입의 실감 장치는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 패시브 근감각 힘 타입 및 액티브 근감각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표 236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Passive Kinesthetic Motion Type)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6
Figure pat00371
표 237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7
Figure pat00372
표 238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8
Figure pat00373
표 238-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힘 타입(Passive Kinesthetic Force Type)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8-2
Figure pat00374
표 238-3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8-3
Figure pat00375
표 238-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근감각 모션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38-4
Figure pat00376
표 239는 일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근감각 타입(Active Kinesthetic Type)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39
Figure pat00377
표 240는 일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근감각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40
Figure pat00378
Figure pat00379
표 241는 일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근감각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41
Figure pat00380
표 242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XML 부호화 신택스(XML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42
Figure pat00381
표 243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이진 부호화 신택스(Binary Representation Syntax)를 나타낸다.
표 243
Figure pat00382
표 244는 일실시예에 따른 촉각 타입의 실감 장치에서 구현되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한 기술어 구성 의미론(Descriptor Components Semantics)을 나타낸다.
표 244
Figure pat00383
Figure pat00384
표 24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연상 기호(Mnemonics)를 나타낸다.
표 245
Figure pat00385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적어도 하나의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컨텐츠로부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Sensory Effect Metadata, SEM)로 인코딩할 수 있다(S741). 즉,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실감 효과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710)는 생성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730)는 실감 장치(7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Sensory Device Capability Metadata, SDCap Metadata)로 인코딩할 수 있다(S742). 즉, 실감 장치(730)는 특성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장치(730)는 생성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S743).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장치(730)의 특성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실감 장치(730)를 제어하는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44).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생성한 명령 정보를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S745). 즉,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생성한 명령 정보를 인코딩하여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실감 장치(730)로 전송할 수 있다.
실감 장치(730)는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로부터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S746). 즉, 실감 장치(73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730)는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S747).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730)는 실감 장치 명령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명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실감 장치(730)는 명령 정보에 기반하여 실감 효과 정보에 대응하는 효과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730)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할 수 있다(S751). 즉, 실감 장치(730)는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인코딩하여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User Sensory Preference Metadata, USP Meta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감 장치(730)는 생성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실감 장치(730)로부터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 및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52).
이 때,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사용자의 실감 효과에 대한 선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753).
또한,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는 디코딩된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 디코딩된 실감 장치 특성 메타데이터 및 디코딩된 사용자 실감 선호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명령 정보는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효과 제어 방법은 실감 효과 제어 장치(720)가 단계(S743) 내지 단계(S745)를 수행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실감 장치 동작 방법은 실감 장치(730)가 단계(S746) 및 단계(S747)를 수행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110: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120: 실감 효과 제어 장치
130: 실감 장치

Claims (11)

  1.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이진 부호화 신택스, 상기 이진 부호화 신택스의 속성의 비트 수 및 상기 속성의 형식을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장치.
  6. 실감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실감 효과 정보를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실감 효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 효과 정보를 XML 형태로 인코딩하여 제1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메타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인코딩하여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형태로 인코딩된 상기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는,
    이진 부호화 신택스, 상기 이진 부호화 신택스의 속성의 비트 수 및 상기 속성의 형식을 포함하는 실감 미디어 재생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00033297A 2010-04-12 2010-04-12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4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297A KR101746453B1 (ko) 2010-04-12 2010-04-12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EP11769010.7A EP2560395A4 (en) 2010-04-12 2011-04-06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S
US13/641,082 US20130103703A1 (en) 2010-04-12 2011-04-06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s
JP2013504806A JP2013538469A (ja) 2010-04-12 2011-04-06 実感効果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201180018832.0A CN102893612B (zh) 2010-04-12 2011-04-06 实感效果处理系统和方法
PCT/KR2011/002409 WO2011129544A2 (ko) 2010-04-12 2011-04-06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297A KR101746453B1 (ko) 2010-04-12 2010-04-12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42A true KR20110113942A (ko) 2011-10-19
KR101746453B1 KR101746453B1 (ko) 2017-06-13

Family

ID=4479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297A KR101746453B1 (ko) 2010-04-12 2010-04-12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03703A1 (ko)
EP (1) EP2560395A4 (ko)
JP (1) JP2013538469A (ko)
KR (1) KR101746453B1 (ko)
CN (1) CN102893612B (ko)
WO (1) WO201112954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090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124093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1713B (zh) * 2011-05-26 2016-11-02 宝洁公司 具有有效香料浓郁度的组合物
KR20130134130A (ko) * 2012-05-30 2013-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융합형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미디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9098984B2 (en) * 2013-03-14 2015-08-0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broadcasting during a group event
US10595095B2 (en) * 2014-11-19 2020-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broadcast signal for viewing environment adjustment
KR102300997B1 (ko) * 2015-03-11 2021-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정 재활 운동을 위한 실감 효과 장치 및 방법
CN108885500A (zh) * 2016-04-07 2018-11-23 国立研究开发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触觉信息转换装置、触觉信息转换方法、及触觉信息转换程序
US10861221B2 (en) * 2017-07-14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adaptation method, and adaptation engine and sensory device to perform the same
US11647261B2 (en) 2019-11-22 2023-05-09 Sony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s control based on media-content context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000A (en) * 1976-09-29 1979-09-0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ing-while drill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ncoder with feedback compensation
US4077061A (en) * 1977-03-25 1978-0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Digital processing and calculating AC electric energy metering system
US4375287A (en) * 1981-03-23 1983-03-01 Smith Henry C Audio responsive digital toy
US6940405B2 (en) * 1996-05-30 2005-09-06 Guardit Technologies Llc Portable motion detector and alarm system and method
US6590588B2 (en) * 1998-05-29 2003-07-08 Palm, Inc. Wireless, radio-frequency communications using a handheld computer
MXPA03000418A (es) * 2000-07-13 2003-07-14 Belo Company Sistema y metodo para asociar informacion historica con datos sensoriales y distribucion de los mismos.
US20050203927A1 (en) * 2000-07-24 2005-09-15 Vivcom, Inc. Fast metadata generation and delivery
JP2003092753A (ja) * 2000-12-21 2003-03-28 Victor Co Of Japan Ltd 構造化メタデータの伝送方法
US6678641B2 (en) * 2001-08-08 2004-01-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selected content using sensory data
US20030090531A1 (en) * 2001-11-02 2003-05-15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data preservation system
JPWO2003088665A1 (ja) * 2002-04-12 2005-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メタデータ編集装置、メタデータ再生装置、メタデータ配信装置、メタデータ検索装置、メタデータ再生成条件設定装置、及びメタデータ配信方法
EP1499406A1 (en) * 2002-04-22 2005-01-26 Intellocity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ceiver and controller
JP4052556B2 (ja) * 2002-05-07 2008-02-27 日本放送協会 外部機器連動型コンテンツ生成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4097350A2 (en) * 2003-04-28 2004-11-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Room volume and room dimension estimation
KR100581060B1 (ko) * 2003-11-12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감 데이터 동기화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실감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84903A (ja) *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書符号化装置、文書復号化装置、文書符号化方法及び文書復号化方法
US20060015560A1 (en) * 2004-05-11 2006-01-19 Microsoft Corporation Multi-sensory emotic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949395B2 (en) * 2004-06-01 2015-02-03 Inmag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event driven recovery management
US8634606B2 (en) * 2004-12-07 2014-01-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binarization of biometric data
KR100737804B1 (ko) * 2005-03-30 2007-07-10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US7602301B1 (en) * 2006-01-09 2009-10-13 Applied Technology Holdings,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and processing biometric and biomechanical data
WO2008048067A1 (en) * 2006-10-19 2008-04-24 Lg Electronics Inc.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2081636A4 (en) * 2006-10-26 2010-12-22 Wic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FUNCTIONS AND TREATING BRAIN AND BODY CONDITIONS AND DISEASES
US8635307B2 (en) * 2007-02-08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Sensor discovery and configuration
US7667596B2 (en) * 2007-02-16 2010-02-23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oring surveillance system footage
US9052817B2 (en) * 2007-06-13 2015-06-09 Apple Inc. Mode sensitive processing of touch data
US8095646B2 (en) * 2007-08-16 2012-01-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ent ancillary to sensory work playback
CA2701900A1 (en) * 2007-09-11 2009-03-19 Rgb Light Limited Byte representation for enhanced image compression
CN101408873A (zh) * 2007-10-09 2009-04-15 劳英杰 全范围语义信息综合认知系统及其应用
WO2009051426A2 (en) * 2007-10-16 2009-04-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nsory effect media generating and consu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090038835A (ko) * 2007-10-16 2009-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미디어 생성 및 소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미디어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245124B1 (en) * 2008-03-20 2012-08-14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ent modification and metadata
KR101078641B1 (ko) * 2008-07-14 2011-11-0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각 재생 장치에 관계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응용 시스템 및 방법
JPWO2010007987A1 (ja) * 2008-07-15 2012-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視聴環境制御方法
US20110125790A1 (en) * 2008-07-16 2011-05-26 Bum-Suk Choi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sensory effec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nsory effect metadata
WO2010008234A2 (ko) * 2008-07-16 201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00008777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제어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00008775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10188832A1 (en) * 2008-09-22 2011-08-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realising sensory effects
KR101014630B1 (ko) * 2008-09-25 2011-0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디바이스 제어 서버와 지그비 코디네이터 및 앤드 디바이스와 이를 위한 다중 디바이스 제어 방법
US9189670B2 (en) * 2009-02-11 2015-11-17 Cogn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detecting symbology features and parameters
KR101318756B1 (ko) * 2009-02-20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정보 처리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WO2010120137A2 (ko) * 2009-04-15 2010-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감각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00138725A (ko) * 2009-06-25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US9027062B2 (en) * 2009-10-20 2015-05-0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Gateway apparatus and methods for digital content delivery in a network
US20110241908A1 (en) * 2010-04-02 2011-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ory effect
KR20110111251A (ko) * 2010-04-02 2011-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감각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10276659A1 (en) * 2010-04-05 2011-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685922B1 (ko) * 2010-04-05 201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10282967A1 (en) * 2010-04-05 2011-11-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677718B1 (ko) * 2010-04-14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40043B1 (ko) * 2010-04-14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090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124093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8469A (ja) 2013-10-10
US20130103703A1 (en) 2013-04-25
EP2560395A2 (en) 2013-02-20
KR101746453B1 (ko) 2017-06-13
CN102893612B (zh) 2015-11-25
EP2560395A4 (en) 2015-04-15
WO2011129544A3 (ko) 2012-01-12
CN102893612A (zh) 2013-01-23
WO2011129544A2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3942A (ko)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6550158B2 (ja) ヘッドマウントシステムに関連するホップ数を削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98669B1 (ko) 정보 상호작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5208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processing in a virtual reality system
KR102378669B1 (ko) 감소된 홉을 이용해 두부 장착형 시스템 내에서 증강 가상 현실 장면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530163B (zh) 基於延時量測及其他反饋之壓縮視訊之系統及方法及機器可讀媒體
CN106303555A (zh) 一种基于混合现实的直播方法、装置和系统
KR101807176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501981A (ja) ゲームプレイイベントに対応した効果スクリプトの生成方法
US8988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rtual world
KR20110111204A (ko) 실감 효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254296C (zh) 一种标示语言启动的装置和操作一组装置的方法
TW201322743A (zh) 用於控制視訊串流之圖形使用者介面,系統及方法
EP25975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virtual worlds
US20110093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reproducing of motion effect
US11806625B2 (en) Patch and bulk operations for a legacy game
US118135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ulation of user input during a play of a legacy game
US113607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 legacy code into an updated code
KR101986608B1 (ko) 가상 세계 처리 장치 및 방법
TWI809786B (zh) 用於自舊有遊戲產生元遊戲之系統及方法
CN115686523A (zh) 用于传统游戏的aot编译器
CN116635120A (zh) 用于将传统代码转换为更新代码的系统和方法
WO20221401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 legacy code into an updated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