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35A -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835A
KR20110113835A KR1020100033133A KR20100033133A KR20110113835A KR 20110113835 A KR20110113835 A KR 20110113835A KR 1020100033133 A KR1020100033133 A KR 1020100033133A KR 20100033133 A KR20100033133 A KR 20100033133A KR 20110113835 A KR20110113835 A KR 2011011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ire
strain gauge
tire pressure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이대호
박동수
Original Assignee
(주)오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레카 filed Critical (주)오레카
Priority to KR102010003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835A/ko
Publication of KR201101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resistance-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은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두 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첫 번째 기능은 타이어는 양호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노면과 마찰한다. 이것은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고 가속, 제동, 회전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두 번째 기능으로 노면의 불규칙성 때문에 발생하는 충격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공기 충전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타이어는 불규칙한 노면과 만날 때 변형이 일어난다. 이것은 차량, 승객, 하중 등에 미치는 도로 충격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앞서 설명한 두 번째 기능을 위해,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적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 등 타이어의 물리적 상태를 차내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 장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타이어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면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계기판의 경고등이 켜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휠의 변형을 통해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치에서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은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내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신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휠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은 알루미늄 재질의 로드셀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로드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그리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휠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상기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외주를 감싸는 타이어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인게이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 상기 제1 및 제2 송신부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휠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상기 휠의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외주를 감싸는 타이어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휠의 변형을 통해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에서 휠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가 외주면에 설치된 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휠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로드셀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휠의 변형에 따른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휠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가 외주면에 설치된 휠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wheel)(10)은 내주면(도 1을 기준으로 상부면)과 외주면(도 1을 기준으로 하부면)을 가지며, 휠(10)의 양단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대체로 'ㄷ'자 형상을 이룬다.
타이어(20)는 휠(10)의 외측에 설치되어 휠(10)의 외주면을 감싼다. 타이어(20)는 양단에 비드(bead)(24)를 가지며, 비드(24)는 플랜지(12)에 고정되어 타이어(20)를 고정한다. 휠(10)과 타이어(20) 사이에는 충전영역(22)이 형성되며, 공기주입구(도시안함)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충전영역(22)에 충전되어 타이어(20)가 원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가 충전영역(22)에 주입됨에 따라 충전영역(22)의 압력은 증가하며, 충전영역(22)의 내부압력으로 인해 타이어(20)는 충전영역(22)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때, 비드(24)가 타이어(20)와 함께 팽창하면서 휠(10)에 힘을 가하며, 휠(10)은 타이어(20)의 내부압력으로 인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휠(10)의 내주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32)가 설치되며,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의 변형을 감지한다.
스트레인 게이지(32)는 물리적인 변형량(strain)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피측정물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저항센서이다. 스트레인 게이지(32)의 기본원리는 금속저항체를 당기면 길어지는 동시에 가늘어져 전기 저항값이 증가하고 반대로 압축되면 전기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L:저항체의 길이, A:단면적, ρ:비저항)
Figure pat00001

즉, 스트레인 게이지(32)를 휠(10)에 부착시켜 길이 방향으로 이완, 수축시킬 경우 그 변형량에 비례하여 저항값의 변화가 생기며, 특히, 저항체가 얇고 가늘수록 피측정물인 휠(10)과 같이 거동할 것이므로, 휠(10)의 변형량을 충분히 전달해 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32)는 변형량 감지 저항체(322)와 절연체(324)를 구비한다. 변형량 감지 저항체(322)는 스트레인 게이지(32)의 가장 주요한 부분이며, 보통 여러 가닥의 세선을 한 방향(예를 들어, 변형이 예상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직렬 연결함으로써 감지량을 증대시킨다. 용도에 따라 콘스탄탄(constantan), 카르마(karma), 니크롬(nichrome) 등 금속 합금이 쓰이고 있으나 구리와 니켈의 합금인 콘스탄탄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두께는 대략 5㎛ 정도로 사용한다. 절연체(324)는 변형량 감지 저항체(322)와 피측정물(예를들어, 휠(10)과 같은) 사이의 절연을 시켜주는 기본적인 기능과, 패턴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보관이나 취급을 편하게 하며 피부착물(예를 들어, 휠(10)과 같은)에 접착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재료는 유리 섬유 강화 에폭시(glass fiber reinforced 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유리 섬유 강화 페놀(glass fiber reinforced phenoli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절연체(324)의 두께는 대략 50㎛ 정도로 사용한다. 이밖에, 변형량 감지 저항체(322)를 물리적, 화학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체(324)와 같은 소재로 보호(encapsulation)를 하거나 전용의 코팅(coating) 재료를 이용하여 보호한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송신부(34)에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32)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들(32)이 휠(1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휠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타이어(20)는 더욱 팽창하며, 이로 인해, 휠(10)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변형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점선을 기준으로 볼 때, 휠(10)의 좌측 부분은 좌측을 향해 신장되고, 휠(10)의 우측 부분은 우측을 향해 신장된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과 함께 변형되며, 도 1에 도시한 휠(10) 및 타이어(20)의 상태를 표준상태로 정의할 때, 스트레인 게이지(32)는 양측으로 +δ만큼 신장된다. 변형량 δ는 증가한 내부압력에 비례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감소할 경우, 타이어(20)는 수축되며, 이로 인해, 휠(10)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변형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점선을 기준으로 볼 때, 휠(10)의 좌측 부분은 우측을 향해 축소되고, 휠(10)의 우측 부분은 좌측을 향해 축소된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과 함께 변형되며, 도 1에 도시한 휠(10) 및 타이어(20)의 상태를 표준상태로 정의할 때, 스트레인 게이지(32)는 양측이 -δ만큼 수축된다. 변형량 δ는 감소한 내부압력에 비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휠부(30)와 모니터부(40)를 구비한다. 휠부(30)는 휠(10) 상에 설치되어 휠(10)의 상태를 감지하며, 모니터부(40)는 운전자의 계기판(도시안함)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휠부(30)는 스트레인 게이지(32) 및 송신부(34)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 상에 설치되어 휠(10)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부(34)는 스트레인 게이지(32)에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RF(Radio Frequency)값으로 송출한다.
모니터부(40)는 수신부(42), 제어부(44), 표시부(46), 그리고 경고음발생부(48)를 구비한다. 수신부(42)는 송신부(34)에서 송출한 전기적 신호를 받으며, 전기적 신호는 수신부(42)에 연결된 제어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4)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휠(10)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휠(10)의 변형량을 통해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10)의 변형량은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크기에 비례하므로, 휠(10)의 변형량과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해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값을 연산한다.
이후, 연산된 압력변화값은 표시부(46)로 전달되며, 운전자는 표시부(46)를 통해 압력변화값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연산된 압력변화값이 설정된 허용값을 넘을 경우, 즉, 과도하게 압력이 증가하거나 과도하게 압력이 감소한 경우, 제어부(44)는 경고음발생부(48)에 신호를 보내며, 경고음발생부(48)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휠(10)의 변형을 통해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휠(10)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알루미늄은 0.72×106㎏/㎠ 의 탄성계수(young's modulus)를 가지며, 알루미늄은 강철보다 가볍고 스프링 아래 중량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반발감이 작기 때문에 승차감이 개선된다. 또한 알루미늄은 강철보다 빨리 열을 전달한다. 알루미늄 재질의 휠(10)은 강철 재질의 휠(10) 보다 잘 냉각된 채 달리게 되고, 이것은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휠(10)은 휠(10) 상에 설치된 로드셀(16)을 구비할 수 있다. 로드셀(16)은 외력에 의해 수축되거나 팽창하는 등 변하는 탄성체이며, 스트레인 게이지(32)는 로드셀(16)에 부착된다. 이때, 로드셀(16)은 외력의 크기에 비례적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진다.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해 휠(10)의 변형이 있을 경우, 로드셀(16)은 탄성 거동을 하고, 스테리인 게이지(32)는 변형에 상응하는 저항변화를 일으킨다. 이때, 로드셀(16)은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32)를 사용할 수 있으며,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32)를 휘트스톤 브리지(wheststone bridge)로 배선할 수 있다. 즉, 로드셀(16)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32)를 이용하여 전기저항 변화로 변환시키고 휘트스톤 브리지라는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정밀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변환된 신호는 앞서 설명한 송신부(34)에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로드셀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로드셀(16)은 정확한 변형량 측정을 위해 채택될 수 있으며, 로드셀(16)은 휠(10)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이거나 다른 재질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은 휠의 변형에 따른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타이어(20)는 더욱 팽창하며, 이로 인해, 휠(10)의 플랜지(12)는 화살표 방향으로 굽혀진다. 즉, 도 8에 도시한 점선을 기준으로 볼 때, 휠(10)의 좌측 플랜지(12)는 시계방향으로 굽혀지고, 휠(10)의 우측 플랜지(12)는 반시계방향으로 굽혀진다. 따라서, 휠(10)의 외측(또는 하부)에서는 인장이 발생하며, 휠(10)의 내측(또는 상부)에서는 수축이 발생한다. 제1 스트레인게이지(32)는 휠(10)의 외주면(또는 하부면)에 설치되며, 표준상태에 비해 양측으로 +δ만큼 신장된다. 제2 스트레인게이지(33)는 휠(10)의 내주면(또는 상부면)에 설치되며, 표준상태에 비해 양측으로 -δ만큼 수축된다.
반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감소할 경우, 타이어(20)는 수축되며, 이로 인해, 휠(10)의 플랜지(12)는 화살표 방향으로 굽혀진다. 즉, 도 9에 도시한 점선을 기준으로 볼 때, 휠(10)의 좌측 플랜지(12)는 반시계방향으로 굽혀지고, 휠(10)의 우측 플랜지(12)는 시계방향으로 굽혀진다. 따라서, 휠(10)의 외측(또는 하부)에서는 수축이 발생하며, 휠(10)의 내측(또는 상부)에서는 인장이 발생한다. 제1 스트레인게이지(32)는 휠(10)의 외주면(또는 하부면)에 설치되며, 표준상태에 비해 양측으로 -δ만큼 수축된다. 제2 스트레인게이지(33)는 휠(10)의 내주면(또는 상부면)에 설치되며, 표준상태에 비해 양측으로 +δ만큼 신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휠부(30)와 모니터부(40)를 구비한다. 휠부(30)는 휠(10) 상에 설치되어 휠(10)의 상태를 감지하며, 모니터부(40)는 운전자의 계기판(도시안함) 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휠부(30)는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33)와 제1 및 제2 송신부(34,35)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는 휠(10) 상에 설치되어 휠(10)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제1 및 제2 송신부(34)는 제1 및 제2 스트레인 게이지(32)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출한다.
모니터부(40)는 제1 및 제2 수신부(42,43), 제어부(44), 표시부(46), 그리고 경고음발생부(48)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수신부(42)는 제1 및 제2 송신부(34)에서 각각 송출한 전기적 신호를 각각 받으며, 전기적 신호는 제1 및 제2 수신부(42)에 연결된 제어부(44)로 전달된다.
제어부(44)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휠(10)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휠(10)의 변형량을 통해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제1 스트레인게이지(32)는 양측으로 +δ만큼 신장되고, 제2 스트레인게이지(33)는 양측으로 -δ만큼 수축된다. 반대로,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감소할 경우, 제1 스트레인게이지(32)는 양측으로 -δ만큼 수축되고, 제2 스트레인게이지(33)는 양측으로 +δ만큼 신장된다. 이를 통해, 타이어(20) 내부압력의 증가/감소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휠(10)의 변형량은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크기에 비례하므로, 휠(10)의 변형량과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해 타이어(20) 내부의 압력변화값을 연산한다.
이후, 연산된 압력변화값은 표시부(46)로 전달되며, 운전자는 표시부(46)를 통해 압력변화값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연산된 압력변화값이 설정된 허용값을 넘을 경우, 즉, 과도하게 압력이 증가하거나 과도하게 압력이 감소한 경우, 제어부(44)는 경고음발생부(48)에 신호를 보내며, 경고음발생부(48)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제1 스트레인게이지(32)와 제2 스트레인게이지(33)의 팽창/수축의 편차를 이용하여 타이어 내부의 압력변화값을 연산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해 보다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 스트레인게이지(32)와 제2 스트레인게이지(33)의 팽창/수축의 편차가 클 경우, 제1 스트레인게이지(32)와 제2 스트레인게이지(33)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 내지 불량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는 도 6에 도시한 휠의 변형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33)는 휠(10)의 내측(또는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타이어(20)에 의해 폐쇄된 휠(10)의 외측과 달리 휠(10)의 내측은 접근이 가능하므로, 운전자는 필요한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33)를 쉽게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33)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면서 변형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10)의 내측에 설치된 스트레인 게이지(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스트레인 게이지(32)와 다른 거동을 보이며,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32)는 양측이 -δ만큼 수축되고, 타이어(20)의 내부압력이 감소할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32)는 양측이 +δ만큼 신장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휠(10)의 다양한 위치에서 휠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인 게이지(33)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휠 12 : 플랜지
20 : 타이어 22 : 충전공간
24 : 비드 30 : 휠부
32,33 : 스트레인게이지 34,35 : 송신부
40 : 모니터부 42,43 : 수신부
44 : 제어부 46 : 표시부
48 : 경고음발생부

Claims (6)

  1.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2.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내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신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알루미늄 재질의 로드셀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로드셀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휠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상기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외주를 감싸는 타이어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6. 휠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휠과 함께 신장하여 상기 휠의 변형을 전기적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제1 및 제2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제1 및 제2 스트레인게이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
    상기 제1 및 제2 송신부로부터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휠의 변형량을 연산하며, 상기 휠의 변형량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외주를 감싸는 타이어 내부의 압력변화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KR1020100033133A 2010-04-12 2010-04-12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KR20110113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33A KR20110113835A (ko) 2010-04-12 2010-04-12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33A KR20110113835A (ko) 2010-04-12 2010-04-12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35A true KR20110113835A (ko) 2011-10-19

Family

ID=4502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33A KR20110113835A (ko) 2010-04-12 2010-04-12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8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52276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6741169B2 (en) Tire tread integ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3350896B2 (ja) タイヤ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959593B2 (en) System, tire, wheel, veh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behavior of a tire in motion
US7707876B2 (en) Method for estimating tire force acting on rolling tire
US200502048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behaviour of a tyre during the running of a motor vehicle
JP4479992B2 (ja) 応力からタイヤの特徴を決定する方法
KR100740440B1 (ko) 타이어에가해진응력을모니터하는장치
JP2005528270A (ja) 車両タイヤ及び車両の監視方法、ならびに車両・タイヤ相関モデルの生成方法、車両診断システム
US9068878B2 (en) Vehicle weight sensor based on wheel rim strain measurements
US9815343B1 (en) Tire sensing method for enhanced safety and controllability of vehicles
JP4131855B2 (ja) タイヤの内部キャビティ内の空気温度を推定する方法およびランニング・フラットシステムの異常作動の検出への適用
US20070251619A1 (en) Tire provided with a sensor placed between the carcass ply and the inner liner
US20150268083A1 (en) Fuel-level measuring apparatus
US20160153828A1 (en) Force sensor device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 vehicle
KR20190062791A (ko) 변형 감지 수단이 장착된 타이어
KR20180122425A (ko) 부품의 순간 변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 측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자동차
JP2007271620A (ja) カーカスプライとインナーライナとの間に配置されたセンサを備えたタイヤ
JP4358035B2 (ja) 路面摩擦係数の推定方法とその装置
US8566042B2 (en) Direct contact force measurement system
KR20110113835A (ko)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KR100794738B1 (ko) 타이어의 압력 및 진동 측정장치
KR101306851B1 (ko) 차량 중량 측정 장치
KR100972124B1 (ko) 타이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JP4274076B2 (ja) 走行可能距離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