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932A -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932A
KR20110112932A KR1020100032164A KR20100032164A KR20110112932A KR 20110112932 A KR20110112932 A KR 20110112932A KR 1020100032164 A KR1020100032164 A KR 1020100032164A KR 20100032164 A KR20100032164 A KR 20100032164A KR 20110112932 A KR20110112932 A KR 2011011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lin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data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김나영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932A/ko
Publication of KR2011011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203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baseline cor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내 기록단위별로 기록되는 동기정보(Sync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의 시작을 표시하는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동기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1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동기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RATUS FOR REPRODUCING A DATA FROM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 내 기록단위별로 기록되는 동기정보(Sync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 기록매체,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이하 "BD"라고 한다)가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용량의 기록매체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데이터를 기록해야하는 특성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피트(Pit)의 사이즈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이는 물리적으로 한계를 가진 기록매체 물질과 광의 특성상, 데이터 신호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고밀도 광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동기정보(Sync Information) 또한 이러한 신호의 열화로 인하여, 그 검출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신호의 열화가 발생한 동기정보를 검출하는 방법과 그 장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기록매체 내 기록단위별 동기정보(Sync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바람직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의 시작을 표시하는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동기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1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는 재생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의 시작을 표시하는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동기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1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장치를 통해, 신호의 열화가 발생한 동기정보(Sync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에 기록된 기록단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내의 동기정보의 종류 및 동기정보의 비트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나타내는 RF 신호(11)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가 비정상적인 RF 신호(11)로 검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판단 방법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 판단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40) 내의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Optical 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에 기록된 기록단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록매체(10)는 디스크 내주(Inner)부터 외주(Outer)까지 기록영역을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기록 트랙(Recording Track)이라 한다. 또한, 기록 트랙은 기록매체(10)의 기록단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 이를 클러스터(Cluster)라 하며, 각 클러스터에는 에러정정 코드와 함께 데이터를 기록되게 된다. 이를 ECC cluster라 한다.
하나의 클러스터 내에는 복수의 하위 기록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어드레스 유닛(Address Unit)이라 하고,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 하나의 클러스터 내에 총 16개의 어드레스 유닛이 구비되어, 각각은 AUN0 ~ AUN15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어드레스 유닛 내에는 복수의 최하위 기록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레코딩 프레임(Recording Frame)이라고 한다. 일례로,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 하나의 어드레스 유닛 내에 총 31개의 레코딩 프레임이 구비되어 지며, 각각의 레코딩 프레임은 1288비트들(Bits)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레코딩 프레임은 해당 레코딩 프레임의 동기정보(이를 프레임 싱크(Frame Sync)라고도 한다)와 데이터(Dat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레코딩 프레임의 동기정보는, 해당 레코딩 프레임의 시작을 지시함은 물론 어드레스 유닛 내 레코딩 프레임의 위치를 확인가능 하게 한다. 따라서, 기록매체(10)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최소 기록단위인 레코딩 프레임 내의 동기정보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종류 및 동기정보의 비트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종류는 모두 7개로 구성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FS0 ~ FS6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동기정보는 30 채널 비트(bits)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24 비트는 동기정보임을 인식하는 인식 비트열(24-bit sync body)로 활용되고, 나머지 6비트는 각 동기정보의 종류를 지정하는 동기ID 비트열(6-bit sync ID)로 구성될 수 있다.
동기정보 인식 비트열(24-bit sync body)은 동기정보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동기정보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동기정보 인식 비트열이 검출되면, 레코딩 프레임의 동기정보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기ID 비트열(6-bit sync ID)은 각각의 동기정보별로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재생 장치는 동기정보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동기정보 인식 비트열(24-bit sync body)은, "#01 010 000 000 010 000 000 010"과 같은 비트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동기ID 비트열(6-bit sync ID)은 "FS0 = 000 001", "FS1 = 010 001", "FS2 = 101 000", "FS3 = 100 001", "FS4 = 000 100", "FS5 = 001 001" 및 "FS6 = 010 00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기록매체(10)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 후,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 기록매체(10)로부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얻은 신호를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11)라고 한다. 기록매체(10)에는 이진 신호가 기록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기록매체(10)로부터 얻은 RF 신호(11)는 기록매체(10)의 특성과 광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아날로그 신호(즉, DC 신호)의 성질을 가지게 된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러한 RF 신호(11)를 이치화(Binarization)함으로써 이진 데이터가 얻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전술한 동기정보 인식 비트열(24-bit sync body)의 비트 패턴 또한,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에 해당하는 RF 신호(11)를 이치화하여 얻게 된다.
관련하여,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는 2T/9T/9T의 피트(Pit)로 기록매체(10) 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T는 클럭 시간(Clock Time)을 의미하는바, 즉, 2T 만큼 기록매체(10) 내에 피트 마크(Pit Mark)를 형성하고, 이어서, 9T 만큼 기록매체(10) 내에 블랭크(Blank) 구간을 형성한 후, 다음 9T 만큼 기록매체(10) 내에 피트 마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2T/9T/9T 패턴의 피트 조합은 일반적인 데이터 기록시에는 사용되지 않는 특이한 피트의 조합으로서, 이러한 피트 조합의 검출을 통해, 데이터 재생 장치는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2T/9T/9T 패턴의 피트 조합으로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레코딩 프레임 동기신호의 RF 신호(11)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레코딩 프레임 동기신호의 RF 신호(11) 중에서, -2T/9T/-9T의 패턴으로 구성된 RF 신호(11)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에 해당하는 RF 신호(11)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는 2T/9T/9T 패턴의 피트 조합으로 기록매체(10)에 기록되는바, 데이터 재생 시에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2T/9T/-9T 패턴의 RF 신호(11)로 검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검출된 RF 신호(11)를 하나의 기준선을 통해, 해당 RF 신호(11)가 2T/9T/-9T 패턴의 신호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전 신호의 평균치를 통해 정해지는 신호의 DC 레벨 값인 DSV(Digital Sum Value)를 기준으로, RF 신호(11)의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DSV 기준선을 DSV_slicer으로 명명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DSV_slicer를 기준으로 위, 아래로, 해당 RF 신호(11)가 -2T/9T/-9T 패턴의 신호임을 판단한다. 또한, 해당 RF 신호(11)가 -2T/9T/-9T 패턴의 신호로 판단되면, 해당 RF 신호(11)의 데이터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임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관련하여,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기록매체(10)는, 광 레이저를 높은 개구수(NA)의 렌즈에 통과시켜고, 기록매체(10)에 집광시킴으로써, 피트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고용량의 기록매체(10)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데이터 한 개의 피트 사이즈는 더욱 작아지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한계를 가진 미디어 물질과 광의 특성상, 신호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신호의 열화 등의 이유로,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는 도 3에서 도시된 정상적인 RF 신호(11)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검출된 RF 신호(11)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갖는 신호이지만, -2T/9T/-9T 패턴의 RF 신호(11)로 검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 재생 장치는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검출하지 못하여, 해당 레코딩 프레임의 데이터를 재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 재생 장치는 적절한 신호 처리를 통하여, 해당 RF 신호(11)를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RF 신호(11)의 신호 처리 즉,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판단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신호 열화 현상과 같은 이유로, 정상적인 RF 신호(11)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가 비정상적인 RF 신호(11)로 검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i)은 -2T/9T/-9T 패턴의 RF 신호(11)에서 앞의 -2T 신호가 신호의 열화 등의 이유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9T의 신호를 포함하여, -2T 신호의 전후 신호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게 된다.
도면 (ii)는 9T/-9T 신호에 앞서 검출되는 2T/-2T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로, 이 경우에도 도면 (i)과 마찬가지로 -2T 신호 이후의 9T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도면 (iii)는 9T/-9T 신호 이후에 검출되는 신호(예를 들어, 2T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9T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경우들에서는,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RF 신호(11)가 -2T/9T/-9T패턴의 신호로 검출되지 않아, 데이터 재생 장치는 해당 RF 신호(11)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임을 판단하지 못하게 된다.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판단 방법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술한 DSV_slicer 외에 두 가지의 기준선을 더 사용한다.
우선, Variable_slicer는 2T/9T/9T 패턴의 RF 신호(11)를 검출하기 위해, 위아래로 미세하게 조정하며 변하는 기준선을 의미한다. Variable_slicer는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의 두 가지 기준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Variable_slicer+는 DSV_slicer 보다 DC 레벨 값이 높은 기준선이고, Variable_slicer-는 DSV_slicer 보다 DC 레벨 값이 낮은 기준선이다. 또한,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는 DSV_slicer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하게 된다.
Limit_slicer는 Variable_slicer+가 변하는 한계 기준선을 의미한다.
변수 A는 Variable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이며, 변수 B는 Variable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이다. 또한, 변수 C는 DSV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이다.
위와 같은 용어들을 바탕으로, 신호의 열화 등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검출되는 RF 신호(11)를 이용하여,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판단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은 2T/9T/9T 패턴의 RF 신호(11)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흐름도는 도 5에서 도시한 비정상적인 RF 신호(11)에서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검출된 RF 신호(11)가 비정상적인 RF 신호(11)임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데이터 재생 장치는 DSV_slicer을 이용하여, 검출된 RF 신호(11)의 패턴을 측정한다.(S100)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DSV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인 C 값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는 측정된 C 값이 기설정된 값인 decision1 보다 큰 값을 갖는지 판단한다.(S110) decision1은 검출된 RF 신호(11)가 2T/9T의 패턴으로 시작되는 신호인지 판단하는 값으로,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decision1을 10T로 설정할 수 있다.
C 값이 decision1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해당 RF 신호(11)가 2T/9T/9T 패턴의 신호 즉,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라고 결정한다.(S170)
C 값이 decision1 보다 큰 값을 가진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Variable_slicer를 이용하여, 검출된 RF 신호(11)의 패턴을 측정한다.(S120) 따라서, 데이터 재생 장치는 Variable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인 A 값과 Variable_slicer+에 의해 정해지는 RF 신호(11)의 길이인B 값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는 측정된 A 값과 B 값이 기설정된 값인 decision2보다 큰 값을 갖는지, A 값과 B 값의 차이 값(|A-B|)이 기설정된 값인 decision3보다 작은 값을 갖는지 판단한다.(S130)
decision2는 측정된 RF 신호(11)가 9T/9T 패턴의 신호인지 판단하는 값으로,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decision2를 7T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decision3은 RF 신호(11)가 대칭적인 9T/9T의 패턴을 가지는지 확인하는 값으로,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decision3을 2T로 설정할 수 있다.
A 값과 B 값이 decision2보다 큰 값을 가지고, A 값과 B 값의 차이 값(|A-B|)이 decision3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해당 RF 신호(11)는 2T/9T/9T 패턴의 신호, 즉 레코딩 프레임의 동기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라 판단하게 된다.(S160)
그렇지 않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의 값을 조절한다.(S140) 데이터 재생 장치는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의 값에 일정한 값 α를 가감하여, Variable_slicer 기준선을 조절할 수 있다. 즉, Variable_slicer+ 값에는 α를 더하고, Variable_slicer+ 값에는 α를 빼도록 하여, 새로운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 값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α는 Variable_slicer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α 값에 따라 데이터 재생 장치가 레코딩 프레임의 동기정보 판단하는 시간이 결정되게 된다. 즉, α 값을 작게 하면 Variable_slicer는 미세하게 조절되므로, 그만큼 데이터 재생 장치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 판단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것이다.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새로 설정된 Variable_slicer+ 값이 기설정된 Limit_slicer 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지 판단한다.(S150) Limit_slicer의 값은 Variable_slicer+가 변할 수 있는 한도 값을 정해놓은 것으로, DSV_slicer의 값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Limit_slicer의 값을 DSV_slicer에 일정한 실험값 β를 더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새로 설정된 Variable_slicer+ 값이 기설정된 Limit_slicer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새로 설정된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 값을 이용하여, RF 신호(11)의 패턴을 검출하도록 한다.(S120)
그러나, 새로 설정된 Variable_slicer+ 값이 기설정된 Limit_slicer 값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Variable_slicer가 2T/9T/9T 패턴의 RF 신호(11)를 검출할 수 있는 한도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RF 신호(11)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가 아니라고 결정한다.(S170)
전술한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 검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F 신호(11) 처리 방법으로는 검출하지 못하는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F 신호(11) 검출 방법을 사용한 후에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재생부(70)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는다. 재생부(7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픽업(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픽업(70)은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구비하여 기록매체(10)의 표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매체(10)에서 반사되는 RF 신호(11)를 읽어온다.
서보(90)는 픽업(70)의 트래킹(Tracking) 및 포커싱(Focusing) 동작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R/F부(80)는 픽업(70)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11)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포커스 이탈과 트랙 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포커스 에러(Focus Error)신호와 트랙킹 에러(Tracking Error) 신호를 생성한다.
스핀들 모터(110)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장착된 디스크(10)를 회전시킨다.
모터 구동부(100)는 서보(90)의 제어를 받아 픽업(70)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구동한다.
신호 처리부(40)는 R/F부(80)로부터 수신된 RF 아날로그 신호(11)를 원하는 재생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데이터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40)는 도 6에서 전술한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의 검출을 처리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비트 인코더(5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된 기록 신호를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변환하고, 픽업 구동부(60)는 비트 인코더(50)에서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기록매체(10)에 저장될 광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40)는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 등 기록매체(10)와 관련된 정보를 일시 저장하거나, 기록매체(10)에 기록 또는 재생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Buffer)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컴(120)은 신호 처리부(40), 서보(90), 메모리(1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가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면에 마이컴(120)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컴(120)의 기능을 여러 개의 구성 요소들이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마이컴(120)은 호스트(130)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마이컴(120)을 신호 처리부(40), 비트 인코더(50), 픽업 구동부(60), 픽업(70), 서보(90), 모터 구동부(100), 스핀들 모터(110), 메모리(140)를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에 추가로 연결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호스트(130)는 데이터 재생 장치 내 전체 구성 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어 기록매체(10)의 재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140)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재생 장치가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마이컴(120)에 전달하고, 마이컴(120)는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재생 장치 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관련하여, 마이컴(120)과 호스트(130)는 별개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마이컴(120)과 호스트(130)의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제어부(Control Unit,150)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트(130)는 컴퓨터, 서버, 오디오 장치 또는 비디오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등에 제공되는 광 드라이브(Drive)일 수 있으며, PC 등에 장착되지 않는 플레이어(Player)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PC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광 드라이브(Drive) 및 단독 제품으로 활용되는 플레이어(Player)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AV 인코더(20)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특정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4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AV 인코더(20)는 입력 신호를 엠펙(MPEG) 포멧 신호로 인코드(Encode)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0)는 AV 인코더(20)로부터 인코드된 신호에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가하여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멧으로 변환하여 비트 인코더(50)에 전달하게 된다.
AV 디코더(3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전송받은 기록매체(10)의 재생 신호를 최종적으로 디코드(Decode)하여 비디오, 오디오 신호, 그래픽 신호 등의 출력 데이터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40) 내의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신호처리부(40) 내의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구성요소는, 픽업(70)을 통해 기록매체(10) 내에 기록된 데이터가 독출되어 아날로그 신호인 RF 신호(11)로 입력되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0" 또는 "1"의 값으로 변환하는 등화부(41, equalizer)와, 디지털 변환된 신호 중에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검출하는 프레임 동기 검출부(42, Frame sync detector)와,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43, Demodulator)와, 복조된 정보에 에러정정 디코더를 수행하는 에러정정 디코더부(44)로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재생 장치는,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를 검출함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는 2T/9T/9T 패턴에 특징이 있는바, 프레임 동기 검출부(42)는 기록매체(10)에서 독출된 RF 신호(11)를 이용하여, 도 6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해당 RF 신호(11)가 2T/9T/9T의 패턴을 가지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전술한 방법의 특징들을 설명하면, 프레임 동기 검출부(42) RF 신호(11)를 세 가지 기준선인 DSV_slicer, Variable_slicer (Variable_slicer+, Variable_slicer-), Limit_slicer를 이용하여, RF 신호(11)가 특정 2T/9T/9T 패턴을 가지는 신호임을 판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동기 검출부(42)는 DSV_slicer를 이용하여 RF 신호(11)가 2T/9T 패턴을 가지는지 판단하고, Variable_slicer+, Variable_slicer-를 이용하여 RF 신호(11)가 9T/9T 패턴을 가지는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Limit_slicer를 이용하여, Variable_slicer가 조절되는 한도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Variable_slicer+와 Variable_slicer-를 재설정하여 RF 신호(11)의 패턴을 재판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판단들을 종합하여, 프레임 동기 검출부(42)는 해당 RF 신호(11)가 레코딩 프레임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컴(120)은 결정된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딩 프레임 내의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신호처리부(40) 내의 디모듈레이터(43)와 에러정정 디코더부(44)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의 시작을 표시하는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가 동기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1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제 2 기준선을 재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재설정된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제 2 기준선의 한계 값으로 설정된 제 3 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을 기준으로 높은 레벨 값을 가지는 제 2 기준선과 낮은 레벨 값을 가지는 제 2 기준선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재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선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평균 레벨 값으로 정해지는 데이터 재생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선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기준선에 일정한 레벨 값을 가감하여 재설정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에 일정한 레벨 값이 더해져 정해지는 데이터 재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정보 판단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2T/9T/9T"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RF 신호인지 판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9. 기록매체에서 데이터 신호를 독출하는 재생부;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생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단위의 시작을 표시하는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동기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기록단위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1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준선을 재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재설정된 제 2 기준선으로 나눠지는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동기정보임을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준선이, 상기 제 2 기준선의 한계 값으로 설정된 제 3 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선을 기준으로 높은 레벨 값을 가지는 제 2 기준선과 낮은 레벨 값을 가지는 제 2 기준선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선은 상기 데이터 신호의 평균 레벨 값으로 정해지는 데이터 재생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준선에 일정한 레벨 값을 가감하여, 상기 제 2 기준선을 재설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선은 상기 제 1 기준선에 일정한 레벨 값이 더해져 정해지는 데이터 재생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2T/9T/9T"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RF 신호인지 판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100032164A 2010-04-08 2010-04-08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10112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64A KR20110112932A (ko) 2010-04-08 2010-04-08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64A KR20110112932A (ko) 2010-04-08 2010-04-08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932A true KR20110112932A (ko) 2011-10-14

Family

ID=4502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164A KR20110112932A (ko) 2010-04-08 2010-04-08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209B2 (en) High-density optical disc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thereof
KR100295986B1 (ko) 광기록매체의최적기록방법
JP2007280571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再生信号処理方法
US20030198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ector sync signal on an optical storage medium
KR100932506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재생 제어정보 관리 및 데이터 재생제어방법
JP3920666B2 (ja) データ記録制御装置
JP3723197B2 (ja) 光記録/再生装置の欠陥信号検出装置及びその欠陥信号検出方法
US7526185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thereon
US6819642B2 (en)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c
KR20110112932A (ko) 기록매체의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50030168A (ko) 결점검출장치, 결점검출방법
CA265386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second code into optical disc data by data modulation rule variation
KR100857082B1 (ko) 광 디스크 장치에서의 디스크 판별 방법
JP4461544B2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EP1209679A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7149320A (ja) 追記型/書換型光ディスク及び同ディスクのためのアドレス情報記録方法
KR100920657B1 (ko)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재생방법
KR101275323B1 (ko) 광 기록/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JP4389637B2 (ja) アドレス再生回路及びこのアドレス再生回路を有する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752872B1 (ko) 기록재생 장치
KR100564615B1 (ko) 광 디스크 기록 방법 및 장치
JP2005332571A (ja)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514967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60125171A (ko) 광디스크 유형 판별 방법
KR20060057068A (ko) 광디스크 기기에서의 트래킹 서보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