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918A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918A
KR20110111918A KR1020100031236A KR20100031236A KR20110111918A KR 20110111918 A KR20110111918 A KR 20110111918A KR 1020100031236 A KR1020100031236 A KR 1020100031236A KR 20100031236 A KR20100031236 A KR 20100031236A KR 20110111918 A KR20110111918 A KR 2011011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twists
food
twi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선
Original Assignee
정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선 filed Critical 정미선
Priority to KR102010003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1918A/ko
Publication of KR2011011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의 선단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트위스트를 형성하여 집은 음식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에 복수의 트위스트가 형성된 젓가락으로서,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다각형 단면이 상기 젓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90°비틀어져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젓가락의 선단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트위스트를 형성함으로써, 최하단의 트위스트가 집은 음식물이 선단쪽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상단의 트위스트가 음식물이 손가락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젓가락의 선단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트위스트를 형성하여 집은 음식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젓가락은 통상적으로 대나무, 흑단 등의 목재, 은, 구리,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상아 등의 동물의 골각, 또는 합성수지 등의 여러가지 재료로 제작된다. 젓가락은 사용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길이의 것을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젓가락의 길이는 21 ~ 36 ㎝ 정도이다.
젓가락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테이퍼 형 등으로 다양하지만, 선단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공통점이 있다. 젓가락의 선단측이 가느다란 이유는 음식을 잡기 쉽게하고, 각종 조미료 등이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다변화 등으로 전통 한식 이외에 일본, 중국 등 동남아시아 또는 서구식 음식이나 향신료를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젓가락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이와 같은 다양한 음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젓가락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종래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젓가락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음식은, 예컨대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 부드러운 것과 딱딱한 것, 얇은 것과 두꺼운 것, 큰 것과 작은 것, 긴 것과 짧은 것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음식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도 종래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젓가락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젓가락의 선단부에 젓가락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미세한 홈을 다수 형성하여 집은 음식물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미세한 홈에 고추가루 등 작은 입상 성분 등 이물질이 끼게되면 세척시에도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음식을 집을 때 음식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척시 표면에 붙은 이물질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젓가락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식을 집을 때 음식이 미끌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을 들었을 때 음식이 손가락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척시 표면에 붙은 이물질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부에 복수의 트위스트가 형성된 젓가락으로서,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다각형 단면이 상기 젓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90°비틀어져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단부에 2개의 트위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젓가락의 선단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트위스트를 형성함으로써, 최하단의 트위스트가 집은 음식물이 선단쪽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최상단의 트위스트가 음식물이 손가락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1)은 선단측(3)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단면 형상은 마름모꼴이다. 상기 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젓가락(1)의 선단부(3)에는 제1 트위스트(4) 및 제2 트위스트(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트위스트(4) 및 제2 트위스트(5)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트위스트를 상호 이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트위스트(4) 및 제2 트위스트(5)는 상기 젓가락의 파지부(2)에서 선단측(3)을 향해 우측으로 각각 90°비틀어진 연속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젓가락의 선단부에 2개의 트위스트(4, 5)가 형성된다.
상기 젓가락의 선단과 인접하게 형성된 상기 제1 트위스트(4)는 음식물을 집었을 때 음식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동일한 힘으로 음식을 집었을 때, 입체적인 트위스트 형상으로 인하여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트위스트(4)로부터 상기 젓가락의 파지부(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2 트위스트(5)는 음식물을 집은 후 상기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하여 젓가락을 들었을 때 상기 음식물이 상기 파지부(2)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트위스트(4)와 마찬가지로 입체적 트위스트 형상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1)을 사용하면 선단부(3)에 복수의 트위스트(4, 5)를 형성함으로써 집은 음식물과 젓가락(1)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집은 음식물이 앞으로 낙하하거나 파지부(2) 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1)의 트위스트(4, 5) 형상은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홈 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세척시에 이물질의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1)은 입체적인 트위스트(4, 5)를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아름다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젓가락의 단면을 마름모꼴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젓가락의 단면은 마름모꼴 이외에도 각종 다각형, 원형, 테이퍼형 등 필요에 따라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위스트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트위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형성하는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목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젓가락 2 파지부
3 선단부 4 제1 트위스트
5 제2 트위스트

Claims (2)

  1. 선단부에 복수의 트위스트가 형성된 젓가락으로서,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다각형 단면이 상기 젓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90°비틀어져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 2개의 트위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1020100031236A 2010-04-06 2010-04-06 젓가락 KR20110111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36A KR20110111918A (ko) 2010-04-06 2010-04-06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36A KR20110111918A (ko) 2010-04-06 2010-04-06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18A true KR20110111918A (ko) 2011-10-12

Family

ID=4502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236A KR20110111918A (ko) 2010-04-06 2010-04-06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19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21A (zh) * 2019-03-11 2019-05-28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21A (zh) * 2019-03-11 2019-05-28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CN109808021B (zh) * 2019-03-11 2023-09-19 南平市建阳区和家乐竹木家居用品有限公司 全自动竹筷扭花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1881S1 (en) Spoon and chopstick set
KR20110111918A (ko) 젓가락
KR101108800B1 (ko) 젓가락
JP3156379U (ja)
KR20110111921A (ko) 젓가락
US20120110861A1 (en) Eating Fork With Reverse Tapered Tines
JP3156376U (ja)
KR20110111919A (ko) 젓가락
JP3156378U (ja)
KR20110111917A (ko) 젓가락
JP3156380U (ja)
KR20190000475U (ko) 잘 나눠지는 나무젓가락
CN208404030U (zh) 一种便于夹菜的筷子
CN202858713U (zh) 一种筷子
JP5681245B2 (ja) パスタ用フォーク
JP2010148840A (ja) 食品用分割串
JP3176066U (ja) 先端部に複数の山を形成した箸
KR20110111914A (ko) 젓가락
JP3156377U (ja)
KR200386393Y1 (ko) 젓가락
CN202386421U (zh) 一种防滑筷子
TWM477845U (zh) 金屬筷改良構造
CN204260459U (zh) 一种防滑金属筷
KR200469130Y1 (ko) 다형 돌기를 이용한 젓가락
CN204181388U (zh) 一种防滑空心金属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