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198A -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198A
KR20110109198A KR1020100028805A KR20100028805A KR20110109198A KR 20110109198 A KR20110109198 A KR 20110109198A KR 1020100028805 A KR1020100028805 A KR 1020100028805A KR 20100028805 A KR20100028805 A KR 20100028805A KR 20110109198 A KR20110109198 A KR 2011010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lamp
cutting machine
detection signal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198A/ko
Publication of KR2011010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절단 작업 중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는 클램프의 오 감지로 인한 슬라브의 이상 절단 현상을 방지하는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하고, 슬라브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브의 절단이 완료되고 클램프가 상승하면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하고 상기 토치커팅머신을 락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OUCH CUTTING MACHINE IN CONTINUOUS CASTING LINE}
본 발명은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라브 절단 작업 중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는 클램프의 오 감지로 인한 슬라브의 이상 절단 현상을 방지하는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주설비의 연속주조공정은 용강을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세그먼트를 통과시키면서 주조와 압연을 동시에 행하여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슬라브를 주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연주설비에서 주조되는 슬라브는, 용강이 운반용기인 래들(ladle)에 담겨진 상태에서 주입용기인 턴디시(tundish)를 통해 주형(mold)으로 주입되어 세그먼트(Segment)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냉각수에 의해 응고가 진행되어 고체 상태의 슬라브 형태로 주조된다.
주조된 슬라브는 토치커팅머신(touch cutting machine)을 통해 운반이 용이하도록 절단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슬라브 절단 작업 중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는 클램프의 오 감지로 인한 슬라브의 이상 절단 현상을 방지하는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은,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하고, 슬라브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브의 절단이 완료되고 클램프가 상승하면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하고 상기 토치커팅머신을 락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는 상기 클램프가 상기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면 활성화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의 락킹을 해제하고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한 상태에서 슬라브의 절단을 수행함으로써 슬라브 절단 작업 중에 테이블의 이동과 진동에 의해 클램프 감지신호가 오프되더라도 토치커팅머신이 락킹되지 않으므로 슬라브가 이상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장치는 클램프 감지부(1), 제어부(2), 클램프 구동부(3), 락킹부(4) 및 슬라브 절단부(5)를 포함한다.
클램프 감지부(1)는 슬라브(7) 절단시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는 클램프(6)를 감지한다. 이러한 클램프 감지부(1)는 리미트센서를 포함하고 클램프(6)가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면 클램프 감지신호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제어부(2)는 슬라브 절단명령이 입력되면 클램프(6)가 슬라브(7) 표면에 안착되도록 클램프 구동부(3)를 구동하고, 클램프(6)가 슬라브(7)에 표면에 안착되면 즉 클램프 감지부(1)로부터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8)을 레일(9)로부터 락킹이 해제되도록 락킹부(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는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을 해제한 후 슬라브 절단부(5)를 동작시켜 슬라브(7) 절단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는 클램프 감지부(1)로부터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Latch)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어부(2)는 클램프 감지부(1)로부터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하고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을 해제시켜 슬라브(7)와 같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슬라브(7)를 절단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가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하는 이유는 슬라브(7) 절단 작업 중간에 테이블의 이동과 진동에 의해 클램프 감지신호가 오프되더라도 절단 작업 중 토치커팅머신(8)이 레일(9)에 락킹되어 슬라브(7)가 이상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슬라브 절단 작업 중 클램프 감지신호가 주변 환경에 의해 순간 오프되더라도 토치커팅머신(8)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치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어부(2)는 슬라브(7)의 절단이 완료되고 클램프(6)가 상승하면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하고 토치커팅머신(8)을 레일(9)에 락킹한다. 즉, 슬라브(7)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래치된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시켜 다음 슬라브(7) 절단 작업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 구동부(3)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슬라브(7) 절단시 클램프(6)가 슬라브(7) 표면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키고, 슬라브 절단이 완료되면 클램프(6)를 상승시킨다.
락킹부(4)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토치커팅머신(8)을 레일(9)에 락킹하거나 락킹을 해제한다.
슬라브 절단부(5)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슬라브(7)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은, 먼저 슬라브 절단명령이 입력되면(S1) 클램프(6)를 하강시켜 슬라브(7) 표면에 안착시킨다(S2).
클램프(6)가 슬라브(7) 표면에 안착되면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을 해제한다(S3). 즉, 클램프(6)가 슬라브(7) 표면에 안착되면 활성화되는 클램프 감지신호를 클램프 감지부(1)로부터 입력받아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을 해제한다.
이때, 클램프 감지부(1)로부터 입력되는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한다(S4). 이는 슬라브(7) 절단 작업 중간에 테이블의 이동과 진동에 의해 클램프 감지신호가 오프되더라도 제어부(2)는 래치된 클램프 감지신호로 락킹부(4)를 제어하므로 절단 작업 중 토치커팅머신(8)이 락킹되는 것을 막는다.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 해제와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한 후에는 슬라브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S5).
그리고, 슬라브 절단 작업이 완료되고 클램프(6)가 상승하면 다음 슬라브(7)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시키고, 토치커팅머신(8)을 레일(9)에 락킹한다(S6).
정리하면, 본 발명은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8)의 락킹을 해제하고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한 상태에서 슬라브(7)의 절단을 수행함으로써 절단 작업 중에 테이블의 이동과 진동에 의해 클램프 감지신호가 오프되더라도 토치커팅머신(8)이 락킹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브(7)를 절단하는 작업중에 순간 클램프 감지신호가 오프되더라도 토치커팅머신(8)이 락킹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슬라브(7)만 진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슬라브(7)의 이상 절단 현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클램프 감지부 2 : 제어부
3 : 클램프 구동부 4 : 락킹부
5 : 슬라브 절단부 6 : 클램프
7 : 슬라브 8 : 토치커팅머신
9 : 레일

Claims (2)

  1. 클램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토치커팅머신의 락킹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래치하고, 슬라브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브의 절단이 완료되고 클램프가 상승하면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를 리셋하고 상기 토치커팅머신을 락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감지신호는
    상기 클램프가 상기 슬라브 표면에 안착되면 활성화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KR1020100028805A 2010-03-30 2010-03-30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KR2011010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05A KR20110109198A (ko) 2010-03-30 2010-03-30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05A KR20110109198A (ko) 2010-03-30 2010-03-30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198A true KR20110109198A (ko) 2011-10-06

Family

ID=4502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805A KR20110109198A (ko) 2010-03-30 2010-03-30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1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313B2 (ja) 射出成形機
JP2016083823A (ja) ロボットを備えた射出成形システム
KR20110109198A (ko) 연주설비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방법
KR101756457B1 (ko) 턴디쉬 스컬 제거 및 클램핑 장치
US1009941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110000113A (ko) 연주설비에서의 토치커팅머신 제어 장치
KR101148877B1 (ko) 연주설비에서의 토치커팅머신 감시 방법
US6841103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4919174B2 (ja) 金型鋳造装置における金型動作の検知システム
KR100964905B1 (ko) 연속주조용 슈라우드의 포크암
KR101148876B1 (ko) 연속주조공정의 시작 제어 방법
KR20190117925A (ko) 아르곤 주입 장치
KR101790142B1 (ko) 성형기의 안전 장치
KR101193843B1 (ko) 연주설비의 크롭 카 제어 방법
KR101224014B1 (ko) 턴디쉬의 주입노즐 급속 폐쇄 장치 및 방법
EP3715088B1 (en) Molding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JP2013141818A (ja)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10463A (ko) 연주설비에서의 스토퍼 제어 방법
KR101193844B1 (ko) 연주설비의 디버러 제어 방법
JP2017024330A (ja) 型締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型締装置
KR101320306B1 (ko) 쉬라우드노즐 체결용 자동제어 로봇장치
KR101485034B1 (ko) 유압장치의 배관 체결 장치
JP5371411B2 (ja) 射出成形機
KR101536088B1 (ko) 주편의 결함 예측 검지 방법, 주편의 제조 방법, 주편의 결함 발생 예측 검지 장치, 그 주편의 결함 발생 예측 검지 장치를 구비한 연속 주조 설비
JP2015030152A (ja) 竪型射出成形機の金型検出方法および竪型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