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970A -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 Google Patents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970A
KR20110108970A KR1020100028494A KR20100028494A KR20110108970A KR 20110108970 A KR20110108970 A KR 20110108970A KR 1020100028494 A KR1020100028494 A KR 1020100028494A KR 20100028494 A KR20100028494 A KR 20100028494A KR 20110108970 A KR20110108970 A KR 2011010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nozzle
filler
ladle filler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953B1 (ko
Inventor
김해곤
이재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9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래들 필러의 투입방법은 래들(10)의 노즐(15)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한 후,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를 노즐 내의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 순서로 적층하는 것이며,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는 래들의 노즐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를 상기 노즐(15) 내에 투입하는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래들의 필러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에 의하면, 정량의 래들 필러를 정확히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래들의 노즐에 자연 개공율을 높여 용강의 품질을 높이고 조업 지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hrowing Filler into the Nozzle of Laddle}
본 발명은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개공률 향상을 위한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강 공장에서 래들(laddle)은 노에서 얻어진 쇳물을 받아 일정한 온도로 승온하여 이송 또는 연속주조공정 등을 수행하는 설비이며, 제강공정에서는 래들에서 정련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래들은 래들 본체의 하단부에 노즐이 설치되고, 노즐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는 슬라이딩 게이트가 설치되어, 용강을 턴디쉬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연속주조공정에서는 용강을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출강시키면서 주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초기에 래들 본체 내로 용강이 투입될 때, 용강이 래들의 노즐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의 내부에 모래 등의 내열성의 분말로 된 래들 필러를 채워넣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들 필러를 래들의 노즐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입도를 상하 위치에 따라 조정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 개공율을 향상시키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래들의 노즐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를 상기 노즐 내에 투입하는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류수단은 상기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체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상하 복수로 배치되는 입도선별기와, 상기 입도선별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의 체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이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도선별기에 형성된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의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출납되면 상기 스크린 일측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힌지수단을 구비한다.
래들 필러 투입수단은 내부에 래들 필러가 충진되고 하부에 상기 래들 필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 본체와,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 본체가 래들의 노즐과 근접 부위에 안착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게이트부재를 갖는 게이트 개폐수단과, 상기 호퍼 본체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단부에 상기 래들의 노즐에 수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호퍼 본체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통되도록 중공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래들의 노즐에 수용되도록 래들의 노즐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걸림부가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은 상기 호퍼 본체의 외주면 양측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레일과, 상기 지지 레일 내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래들의 바닥면과 접촉시 상승되는 승강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게이트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동작시 상기 게이트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호퍼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부재를 구비한다.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입도 분류 단계와, 상기 입도 분류 단계를 통해 분류한 래들 필러를 노즐 상부로 갈수록 입도가 작아지게 노즐 내부를 채우는 래들 필러 충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래들 필러는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분류하고, 상기 노즐의 상부에 상기 노즐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 호퍼 본체를 통해 상기 노즐 내의 구멍에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적층한다.
본 발명은 래들 필러의 투입 과정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정량의 래들 필러를 정확히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래들의 노즐에 자연 개공율을 높여 용강의 품질을 높이고 조업 지연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노즐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근접된 위치에서 래들 필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래들 필러의 투입방법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로 분류수단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로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방법에 따라 이송된 래들 필러가 노즐 내에 적층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래들 필러의 투입방법은 래들(10)의 노즐(15)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한 후,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를 노즐 내의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 순서로 적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입도 분류 단계와, 입도 분류 단계를 통해 분류한 래들 필러(F)를 노즐(15) 상부로 갈수록 입도가 작아지게 노즐 내부를 채우는 래들 필러 충진 단계를 포함한다.
입도 분류 단계에서는 래들 필러(F)를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분류하고, 래들 필러 충진 단계에서는 노즐(15)의 상부에 상기 노즐(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 호퍼 본체(70)를 통해 상기 노즐(15) 내의 구멍에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래들 필러(F)를 적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는 래들(10)의 노즐(15)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를 상기 래들의 노즐(15) 내에 투입하는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포함한다.
래들 필러(F)는 래들(10)의 노즐(15)을 채우는 내열성 분말로서, 용강과 슬라이딩 게이트(20) 간의 직접 접촉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딩 게이트(20)는 래들(10)의 노즐(15) 하측에 설치되어 노즐(15)을 개공시키는 역할을 한다.
노즐(15)에 충진된 래들 필러(F)는 용강과 접촉하는 상부가 고온의 용강에 의해 소결되었다가 연주기에서 용강 주입시 슬라이딩 게이트(20)가 열릴 때 래들(10)의 철정압에 의해 소결층이 파괴되면서 제거된다. 이러한 조업이 막힘 없이 진행되었을 때 이를 자연 개공이라 한다.
래들(10)의 노즐(15) 개공시 충진된 래들 필러(F)가 파괴되지 않아 용강이 유입하지 않을 경우, 산소 토치를 사용하여 막힌 곳을 뚫어 개공시킨다. 이를 강제 개공이라고 한다.
강제 개공은, 래들 필러(F)가 충진되기 전에 노즐(15)에 지금이나 잔류 슬래그가 유입되었을 경우, 충진된 래들 필러(F)가 불량하여 과도하게 소결되었을 경우, 래들 필러(F)로 용강이 침입하였을 경우 발생한다.
자연 개공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래들 필러(F)에 용강이나 지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래들 필러(F)가 노즐에 정확하게 투입되어야 하고, 충진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이를 위해 분류수단과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갖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가 제공된다. 분류수단은 입도선별기(30)와, 입도선별기(3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입도선별기(3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50)를 포함한다.
분류수단은 래들 필러(F)를 노즐(15)에 투입하기 전 입도별로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류수단은 래들(10)의 노즐(15) 내의 하측에서부터 대입자에서 소입자의 순서로 적층하기 위해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한다. 분류수단은 정량의 래들 필러(F)를 노즐(15)에 정확히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노즐(15) 내의 하측에서부터 대입자에서 소입자의 순서로 적층하는 것은 자연 개공율을 높여 용강의 품질을 높이고 조업 지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대입자를 먼저 투입하여 노즐(15) 하부에 위치시키고 소입자를 마지막에 투입하면 소입자가 용강과 만나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용강 주입시 소결된다.
소입자는 대입자 보다 소결시 더 빨리 소결되고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므로 용강의 침투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대입자를 노즐(15)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은 과도한 소결을 방지하여 자연 개공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용강과 반응하는 소결층이 치밀하지 못할 경우에는 용강이 침투할 우려가 있고 과도하게 소결된 경우 슬라이딩 게이트(20)가 열렸을 때 래들 필러(F)의 배출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입도선별기(30)는 래들 필러(F)를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체공(31a,33a,35a)이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31,33,35,37)이 다단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스크린(31,33,35,37)은 래들 필러(F)를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4층으로 분류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체공이 작아지는 제1스크린(31), 제2스크린(33), 제3스크린(35), 제4스크린(37)으로 이루어진다. 제4스크린은 제일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으로 체공이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스크린(31,33,35,37) 내지 제4스크린(31,33,35,37)은 180 mesh 이하, 180~300 mesh, 300~500 mesh, 500 mesh 이상 입도 순서로 래들 필러가 선별되게 체공(31a,33a,35a)이 형성된다. 여기서, mesh는 스크린의 눈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1인치 안에 있는 눈금의 갯수를 의미한다.
mesh를 래들 필러(F)의 입도로 환산하면, 180 mesh 이하는 84㎛ 이상, 180~300 mesh는 46~84㎛, 300~500 mesh는 28~46㎛, 500 mesh 이상은 28㎛ 이하를 의미한다. 래들 필러(F)의 입도를 나누는 기준은 실시예일 뿐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제1스크린(31) 내지 제4스크린(37)은 입도선별기(30)에 서랍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스크린(31) 내지 제4스크린(37)의 이면 양측에는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1)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41)은 입도선별기(30) 내부에 구비된 고정레일(43)을 따라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서랍식 구조는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스크린(31) 내지 제4스크린(37)은 입도선별기로(30)부터 출납되면 힌지수단(45)에 의해 가이드레일(41) 일측이 고정레일(43)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회동가능하다. 상하 회동은 각 스크린(31,33,35,37)에 분류된 래들 필러(F)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자(50)는 제1스크린(31) 내지 제4스크린(37)에 미세한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자(50)는 제1스크린(31)에 투입된 래들 필러(F)가 제1스크린(31) 내지 제3스크린(35)의 체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단시간내에 입도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입도선별기(30)의 제일 하단에 위치되는 제4스크린(37)의 바닥면(37a)에는 체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47은 각 스크린의 회동시 작업자가 잡는 손잡이이다.
분류수단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F)는 컨베이어 벨트(60)를 통해 래들 필러 투입수단으로 공급된다.
래들 필러 투입수단은 래들(10)의 노즐(15)에 래들 필러(F)의 투입 과정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래들 필러 투입수단은 호퍼 본체(70)와, 개폐수단(80)과, 가이드부재(90)를 포함한다.
호퍼 본체(7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래들 필러(F)가 공급되며 하부에 래들 필러(F)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71)가 형성된다. 호퍼 본체(70)는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호퍼 본체(70)는 중앙에 수직으로 끼움부(73)를 가지며, 배출구(71)는 끼움부(73)를 기준으로 양측에 복수개 형성된다. 이는 배출구(71)의 개방시 래들 필러(F)의 신속한 배출을 위한 것이다.
끼움부(73)에는 가이드부재(90)가 끼움 결합된다. 끼움부(73)는 중공을 갖는 원형관 형태로 구성된다.
개폐수단(80)은 배출구(71)의 하측에 배치되어 호퍼 본체(70)가 래들(10)의 노즐(15)과 근접 부위에 안착될 때 배출구(71)를 개방시키는 게이트부재(88)를 포함한다.
개폐수단(80)은 호퍼 본체(70)의 외주면 양측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레일(81)과, 지지 레일(81) 내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래들(10)의 바닥면과 접촉시 상승되는 승강부재(83)와, 일단부가 승강부재(83)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게이트부재(88)에 고정되어 승강부재(83)의 상승 동작시 게이트부재(88)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85)와, 호퍼 본체(70)의 하부에 일체로 배치되어 게이트부재(88)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의 브라켓부재(87)를 구비한다.
승강부재(83)는 지지 레일(81)과의 하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지지 레일(81)의 하부에 단턱부와 간섭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85)는 와이어를 채택할 수 있다.
개폐수단은 승강부재(83)와 브라켓부재(87)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재(85)의 이동시 방향 및 각도 전환 등의 연결부재(8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89)을 더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재(85)는,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지만, 승강부재(83)의 상승동작시 연동되어 승강력을 게이트부재(88)측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링크를 채택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90)는 호퍼 본체(70)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단부에 래들(10)의 노즐(15)에 수용되도록 래들(10)의 노즐(15)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걸림부(91)가 배치되어 호퍼 본체(70)의 배출구(71)가 래들 노즐(15) 부위와 수직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부재(90)는 호퍼 본체(70)가 래들(10)의 노즐(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하여 래들 필러(F)가 노즐(15) 내부에 정확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래들 필러(F)를 입도선별기(30)에서 입도별로 분류한다. 분류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1스크린(31)에 래들 필러(F)를 투입하고 진동자(50)를 작동시키면, 미세한 진동에 의해 입도가 작은 래들 필러(F)가 체공(31a,33a,35a)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입도별로 분류가 완료되면, 제1스크린(31)에는 대입자, 제2스크린(33)에는 중입자, 제3스크린(35)에는 소입자, 제4스크린(37)에는 미세분말이 분류된다. 분류된 래들 필러(F)는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 순서로 배출하고 컨베이어 벨트(60)를 통해 호퍼 본체(70)에 장입된다.
호퍼 본체(70)에 장입된 래들 필러(F)는 호퍼 본체(70)의 안내를 받아 노즐(15) 내의 구멍에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적층된다. 래들 필러(F)가 적층된 상태는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정량의 래들 필러(F)를 노즐(15) 내의 구멍에 정확히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래들(10)의 노즐(15)에 자연 개공율을 높일 수 있다.
참고로, 래들 필러(F)는 호퍼 본체(70)에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충진된 후, 노즐(15) 내의 구멍에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때, 호퍼 본체(70)는 가이드부재(90)에 의해 래들(10)의 노즐(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래들 필러(F)의 노즐 내 정확한 투입을 가능하게 하고 래들 필러(F)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문제도 해결한다.
호퍼 본체(70)를 래들(10)의 노즐(15)에 안착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가이드부재(90)의 일 부위가 호퍼 본체(70)의 끼움부(73)에 끼워진 상태로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호퍼 본체가 래들(10)의 노즐(15) 부위와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부재(90)의 걸림부(91)를 래들(10)의 노즐(15) 내부로 집어 넣어서 호퍼 본체(70)와 래들(10)의 노즐(15) 부위를 수직선상에 일치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가이드부재(90)의 걸림부(91)가 래들(10)의 노즐(15) 내부로 수용되면, 호퍼 본체(70)와 가이드부재(90)를 래들(10)의 노즐(15) 상부에서 하강시킨다.
이어서, 승강부재(83)의 하부가 래들(10)의 노즐(15) 부위와 근접된 래들(10)의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래들(10) 바닥면과 접촉되어 승강부재(83)가 지지 레일(81)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어 상승된다.
승강부재(83)가 지지 레일(8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승강부재(83)의 일측에 고정된 연결부재(85)가 같이 연동되어 상승된다.
이후에, 지지 레일(81)의 하부가 래들(10) 바닥면에 안착되어 호퍼 본체(70)를 래들(10) 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한다.
연결부재(85)가 승강부재(83)와 같이 연동됨에 따라 게이트부재(88)를 외측으로 당기는 기능을 수행하고, 게이트부재(88)가 연결부재(85)의 당김 동작에 의해 승강부재(83)측으로 이동된다.
연결부재(85)는 승강부재(83)의 상승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핀(89)을 매개로 방향이 전환되고, 이로 인해 게이트부재(88)에 수평 이동력을 부여한다.
이때, 게이트부재(88)는 레일 형태의 브라켓부재(87)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후에, 게이트부재(88)의 이동에 의해 호퍼 본체(70)의 배출구(71)가 개방되고, 개방된 배출구(71)를 통해 래들 필러(F)가 낙하됨에 따라 노즐(15) 부위에 충진된다.
가이드부재(90)를 매개로 호퍼 본체(70)가 래들 노즐(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래들(10) 바닥면에 안착됨에 따라 게이트부재(88)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래들 필러(F)를 래들 노즐(15) 내부에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래들(10)의 노즐(15)과 근접된 위치에서 래들 필러(F)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래들 필러(F)가 노즐(15) 내부에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성의 변화없이 빠르게 투입할 수 있다.
이후에, 노즐(15)에 래들 필러(F)의 충진이 완료되면,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90)와 호퍼 본체(70)를 같이 인양하거나, 가이드부재(90)만을 들어 올릴 경우 가이드부재(90)의 걸림부(91)가 호퍼 본체(70)의 하부면에 걸리게 되어 호퍼 본체(70)와 가이드부재(90)를 같이 인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래들 15:노즐
F:래들 필러 20:슬라이딩 게이트
30:입도선별기
31,33,35,37:제1스크린,제2스크린,제3스크린,제4스크린
31a,33a,35a:체공 41:가이드레일
43:고정레일 45:힌지수단
47:손잡이 50:진동자
60:컨베이어벨트 70:호퍼 본체
71:배출구 73:끼움부
80:개폐수단 81:지지레일
83:승강부재 85:연결부재
87:브라켓부재 88:게이트부재
89:가이드핀 90:가이드부재
91:걸림부

Claims (10)

  1. 래들의 노즐 내에 투입되는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된 래들 필러를 상기 노즐 내에 투입하는 래들 필러 투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은,
    상기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체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상하 복수로 배치되는 입도선별기와,
    상기 입도선별기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체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이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입도선별기에 형성된 고정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의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이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출납되면 상기 스크린 일측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힌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래들 필러 투입수단은,
    내부에 상기 래들 필러가 충진되고 하부에 상기 래들 필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 본체와,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 본체가 래들의 노즐과 근접 부위에 안착될 때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게이트부재를 갖는 게이트 개폐수단과,
    상기 호퍼 본체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단부에 상기 래들의 노즐에 수용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퍼 본체는 중앙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통되도록 중공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단부에 상기 래들의 노즐에 수용되도록 래들의 노즐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걸림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은 상기 호퍼 본체의 외주면 양측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레일과,
    상기 지지 레일 내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래들의 바닥면과 접촉시 상승되는 승강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게이트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 동작시 상기 게이트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호퍼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브라켓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9. 래들 필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입도 분류 단계와;
    상기 입도 분류 단계를 통해 분류한 래들 필러를 노즐 상부로 갈수록 입도가 작아지게 노즐 내부를 채우는 래들 필러 충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 투입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래들 필러는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분류하고,
    상기 노즐의 상부에 상기 노즐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 호퍼 본체를 통해 상기 노즐 내의 구멍에 하측에서부터 대입자, 중입자, 소입자, 미세분말의 순서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필러 투입방법.
KR1020100028494A 2010-03-30 2010-03-30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KR10115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494A KR101159953B1 (ko) 2010-03-30 2010-03-30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494A KR101159953B1 (ko) 2010-03-30 2010-03-30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970A true KR20110108970A (ko) 2011-10-06
KR101159953B1 KR101159953B1 (ko) 2012-06-25

Family

ID=4502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94A KR101159953B1 (ko) 2010-03-30 2010-03-30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9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29A1 (ko) * 2014-07-21 2016-01-28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 섬유의 제품화 시스템
WO2022113543A1 (ja) * 2020-11-26 2022-06-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摺動開閉装置の充填材の充填構造及び鋳片の製造方法
CN115007845A (zh) * 2022-06-15 2022-09-06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洁净钢生产过程引流砂填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568B1 (ko) * 2015-03-09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408U (ko) * 1998-12-17 2000-07-05 이구택 래들 필라 투입장치
KR100426142B1 (ko) * 2002-01-03 2004-04-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포장재 스크리닝 장치
KR101149293B1 (ko) * 2009-02-25 2012-05-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의 필러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KR101185339B1 (ko) * 2010-01-28 2012-09-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29A1 (ko) * 2014-07-21 2016-01-28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 섬유의 제품화 시스템
CN106536086A (zh) * 2014-07-21 2017-03-22 株式会社Posco 金属纤维的产品化系统
US10076782B2 (en) 2014-07-21 2018-09-18 Posco Metal fiber manufacturing system
WO2022113543A1 (ja) * 2020-11-26 2022-06-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摺動開閉装置の充填材の充填構造及び鋳片の製造方法
CN115007845A (zh) * 2022-06-15 2022-09-06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洁净钢生产过程引流砂填充方法
CN115007845B (zh) * 2022-06-15 2024-03-15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洁净钢生产过程引流砂填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953B1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953B1 (ko)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KR101340066B1 (ko) 용탕 이송 및 틸팅 시스템
KR101149293B1 (ko) 래들의 필러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CN210638514U (zh) 一种精炼炉冷料仓自动卸料料钟
KR101930749B1 (ko) 노즐 및 주조방법
WO2015185646A1 (de) Station und verfahren zur überführung einer metallschmelze aus einem schmelzofen in einen transporttiegel sowie eine anordnung und ein system mit einer solchen station
CN205687185U (zh) 一种球团联合装料器
CN112960379A (zh) 一种椰子取水生产线中的自动装卸料装置
KR102135760B1 (ko) 용융물 교반 장치 및 방법
KR101185339B1 (ko) 래들 필러의 투입장치
KR101722950B1 (ko) 필러 투입 장치
KR101099681B1 (ko) 평량장치
KR101175588B1 (ko) 저장빈용 수송물 유도장치
SE441212C (sv) Anordning for injicering av pulver i en metallsmelta
TWI450776B (zh) 餵槽衝擊墊、衝擊墊組件以及餵槽總成
CN106440767A (zh) 钛渣电弧炉冶炼给料装置
CN206160703U (zh) 钛渣电弧炉冶炼给料装置
KR101349917B1 (ko) 침적 개공용 쉬라우드 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1663190B1 (ko) 투입장치
KR102092750B1 (ko) 이송 장치 및 이송 방법
KR20120033028A (ko) 필러 충진장치
KR102219039B1 (ko) 광석 입도 선별장치
KR101700877B1 (ko) 연속 주조용 스토퍼
KR101708688B1 (ko) 원료투입장치
CN113428669B (zh) 一种用于汽车刹车片生产中液压成型机的粉料下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