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681B1 - 평량장치 - Google Patents
평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9681B1 KR101099681B1 KR1020090046180A KR20090046180A KR101099681B1 KR 101099681 B1 KR101099681 B1 KR 101099681B1 KR 1020090046180 A KR1020090046180 A KR 1020090046180A KR 20090046180 A KR20090046180 A KR 20090046180A KR 101099681 B1 KR101099681 B1 KR 101099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blocking member
- guide passage
- small
- co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27D2003/0009—Separation of different types of fines, e.g. by a b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가 저장되는 저장호퍼와, 저장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입자크기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망을 구비하는 스크린장치와, 내부에 안내통로를 구비하고, 스크린망을 통과한 소립원료를 수용하는 소립슈트와,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대립원료를 수용하는 대립슈트와, 안내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코크스 이송벨트의 파손 등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조업 수행을 이룰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크린, 평량, 슈트, 코크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조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평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공정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에 사용되는 코크스를 일정한 크기 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저장호퍼(120)의 하부에 스크린장치(121)가 설치된다.
스크린장치(121)에 의하여 선별된 입도가 큰 괴코크스는 괴코크스 이송벨트(122)에 의하여 중계조(124)로 이송되고, 중계조(124)에서 일정량 평량된 후 장입호퍼(125)를 통해 용광로에 장입된다.
또한, 스크린장치(121)에 의하여 선별된 입도가 작은 분코크스는 분코크스 이송벨트(123)에 의하여 제2저장호퍼(130)로 이송된 후 다시 스크린 평량이 이루어진다. 스크린 평량을 통해 선별된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코크스는 광석과 혼합되어 용광로에 장입되고, 크기가 작은 코크스는 소결공장으로 이송되어 철광석의 소결 시 열원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스크린장치에 의해 선별된 분코크스를 이송하는 이송벨트가 파손되는 등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분코크스의 이송 중단에 따라 선별된 괴코크스 또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지 못하여 이후의 모든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조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평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평량장치는; 원료가 저장되는 저장호퍼;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입자크기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망을 구비하는 스크린장치; 내부에 안내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소립원료를 수용하는 소립슈트;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대립원료를 수용하는 대립슈트; 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연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소립슈트와 상기 대립슈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슈트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슈트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안내통로 폐쇄 시 상기 차단부재의 상측에 위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소립슈트에 형성되는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소립슈트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립슈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안내통로 폐쇄 시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평량장치에 따르면, 분코크스 이송벨트의 파손 등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조업 수행을 이룰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A)는 저장호퍼(10), 스크린장치(20), 소립슈트(30), 대립슈트(40), 차단부재(50), 연결슈트(60), 도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호퍼(10)는 제철소의 용광로에 사용되는 원료인 코크스가 스크린장치(20)에 의해 선별되기에 앞서 저장되는 곳으로, 상부가 하부에 비해 더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저장호퍼(10)의 하부에는 스크린장치(20)로의 원료의 배출 및 배출 중단을 조절하고, 원료의 배출 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게이트(11)가 구비된다. 게이트(11)가 개방되면 저장호퍼(10)에 저장되어 있는 원료는 스크린장치(20)로 낙하된다.
스크린장치(20)는 공급되는 원료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복수의 사목부를 갖는 스크린망(21)과, 스크린망(21)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스크린몸체(22)와, 스크린몸체(22)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스크린몸체(22)의 외벽에 설치되는 진동장치(23)와, 스크린몸체(22)에 설치되어 스크린몸체(22)의 상하 진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24)를 구비한다.
스크린장치(20)로 원료가 낙하된 경우 진동장치(23)가 작동되면 스크린몸체(22) 전체가 상하로 진동되므로, 스크린망(21) 위에 놓인 원료는 입자 크기 별로 선별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소정 크기 미만의 원료 즉, 분코크스는 스크린망(21)의 사목부를 통과하여 소립슈트(30)로 낙하된다. 낙하된 분코크스는 소립슈트(30)에 의해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안내되고, 제2저장호퍼로 이송된 후 다시 스크린 평량이 이루어진다.
소정 크기 이상의 원료 즉, 괴코크스는 스크린망(21)의 사목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망(2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진동에 의해 대립슈트(40)측으로 점점 이동된다.
즉, 스크린몸체(22)는 저장호퍼(10)측은 높고, 대립슈트(4)측은 낮게 설치되어 저장호퍼(10)와 대립슈트(40) 사이의 수평한 가상선에 대하여 10°의 경사도로 설치되므로, 진동장치(23)가 스크린몸체(22)를 상하로 진동시켜주면, 스크린망(21)의 사목부보다 크기가 작은 분코크스는 스크린망(21)을 통과하여 소립슈트(30)에 공급되고, 사목부보다 크기가 큰 괴코크스는 스크린몸체(22)의 단부로 점점 이동되 어 대립슈트(40)에 공급된다.
소립슈트(30)는 스크린몸체(22)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크린망(21)을 통과한 소립원료인 분코크스를 수용하고, 수용된 분코크스를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안내한다.
소립슈트(30)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더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안내통로(31)가 구비된다. 스크린망(21)을 통과한 분코크스는 안내통로(31)를 통해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안내된다. 이러한 안내통로(31)는 분코크스 이송벨트(80)의 파손 등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차단부재(5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대립슈트(40)는 스크린몸체(22)의 수평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여 스크린망(21)을 통과하지 못한 대립원료인 괴코크스를 수용한다. 이렇게 수용된 괴코크스는 대립슈트(40)를 통해 괴코크스 이송벨트(81)로 안내되며, 괴코크스 이송벨트(81)에 의해 일정량 평량 작업을 수행하는 중계조로 이송된다.
대립슈트(40) 역시 소립슈트(3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괴코크스를 쾨코크스 이송벨트(81)로 안내하는 안내통로가 구비된다.
차단부재(50)는 소립슈트(30)의 안내통로(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차단부재(50)는 평상시에는 안내통로(31)를 통해 분코크스가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안내되도록 안내통로(31)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나,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분코크스 이송벨트(80)에 더 이상의 분코크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안내통로(31)를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차단부재(50)는 안내통로(31)를 통해 분코크스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안내통로(31)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차단부재(50)는 소립슈트(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이동홀부(32)를 관통한 상태로 소립슈트(30)에 장착된다.
안내통로(31)의 개방 시에는 차단부재(50)의 단부만이 이동홀부(32)를 관통하여 소립슈트(30) 내부에 삽입되나, 안내통로(31)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안내통로(3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차단부재(50) 전체가 소립슈트(30) 내부로 삽입된다.
즉, 안내통로(31)의 개폐는 차단부재(50)의 좌우 슬라이드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차단부재(50)의 슬라이드는 소립슈트(30)의 외측면이나 기타 다른 구성에 설치될 수 있는 구동부(55)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부(55)는 차단부재(50)의 슬라이드를 이루기 위해 차단부재(5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어부(90)의 작동명령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동부(55)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소립슈트(30)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이동홀부(32)가 형성되는 면의 맞은편 면에는 차단부재(50)를 지지하는 지지턱(35)이 구비된다. 지지턱(35)은 차단부재(50)가 안내통로(31)를 폐쇄하는 동안 차단부재(50)의 단부를 지지하여 차단부재(50)가 분코크스의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억제한다.
연결슈트(60)는 소립슈트(30)와 대립슈트(40)를 서로 연통시킨다. 연결슈트(60)는 차단부재(50)에 의해 안내통로(31)가 폐쇄된 경우 소립슈트(30)로 낙하되 는 분코크스를 대립슈트(40)로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연결슈트(60)는 안내통로(31)가 차단부재(50)에 의해 폐쇄된 경우 소립슈트(30)에 공급되는 분코크스가 차단부재(50) 상부에 소정 높이 이상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코크스의 배출 경로를 소립슈트(30)에서 대립슈트(40)로 변경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슈트(60)는 차단부재(50)가 안내통로(31)를 폐쇄하고 있을 때 차단부재(50)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차단부재(50)에 의해 분코크스가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연결슈트(60)에 의해 분코크스를 이송설비에 이상이 없는 대립슈트(40)의 이송라인으로 안내하므로, 분코크스 이송벨트(80)의 파손 등에 의해 전체 공정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연결슈트(60)는 차단부재(50)가 안내통로(31)를 폐쇄하는 경우, 바꿔 말해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요구되므로, 평상의 작동 시에는 소립슈트(30)로 공급되는 선별된 분코크스가 대립슈트(40)측으로 안내되지 않도록 연결슈트(60) 내부의 연결통로(6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70)가 구비된다.
도어(70)는 연결통로(61)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연결통로(61)의 개폐는 도어(70)가 상하 슬라이드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70)의 상하 슬라이드는 소립슈트(30)의 내측면이나 기타 다른 구성에 설치될 수 있는 구동부(75)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부(75)는 도어(70)의 슬라이드를 이루기 위해 도어(7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어부(90)의 작동명령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동부(75)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어(70)의 연결통로(61)의 개폐는 상하 슬라이드가 아닌, 도어(70)가 소립슈트(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를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A)는 저장호퍼(10), 스크린장치(20), 소립슈트(30), 대립슈트(40), 차단부재(50), 연결슈트(60), 도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부재(50)는 안내통로(31)를 통해 분코크스가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안내통로(31)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단부재(50)는 소립슈트(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33)에 힌지축(34)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안내통로(31)의 개방 시에는 차단부재(50)는 소립슈트(3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안내통로(31)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부(33)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는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안내통로(31)를 폐쇄한다.
즉, 안내통로(31)의 개폐는 결합부(33)에 대한 차단부재(5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차단부재(50)의 회전은 소립슈트(30)의 내측면이나 기타 다른 구성에 설치될 수 있는 구동부(55)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부(55)는 차단부재(50)의 회전을 이루기 위해 차단부재(5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어부(90)의 작동명령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분코크스 이송벨트(80)의 파손 등과 같이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작업자는 이를 인지하여 평량장치(A)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제어부(90)에 이상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90)는 이상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차단부재(50)의 구동부(55) 및 도어(70)의 구동부(75)에 작동명령을 내린다. 제어부(90)의 명령에 의해 차단부재(50)의 구동부(55)는 차단부재(50)를 이동홀부(32)를 통하여 소립슈트(30) 내측으로 슬라이드시키거나, 결합부(33)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립슈트(30) 내의 안내통로(31)를 폐쇄하여 스크린장치(20)에 의해 선별된 분코크스가 분코크스 이송벨트(80)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도어(70)의 구동부(75)는 제어부(90)의 명령에 의해 도어(70)를 하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연결슈트(60) 내의 연결통로(61)를 개방함으로써, 차단부재(50)의 안내통로(31) 폐쇄에 의해 소립슈트(30) 내에 축적되는 분코크스를 대립슈트(40) 측으로 안내한다.
이로써, 분코크스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분코크스를 이송설비에 이상이 없는 괴코크스 이송라인으로 안내하므로, 전체 공정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평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평량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 공정의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량장치에서 소립슈트의 안내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호퍼 20 : 스크린장치
30 : 소립슈트 40 : 대립슈트
50 : 차단부재 60 : 연결슈트
70 : 도어
Claims (7)
- 원료가 저장되는 저장호퍼;상기 저장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입자크기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망을 구비하는 스크린장치;내부에 안내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소립원료를 수용하는 소립슈트;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대립원료를 수용하는 대립슈트;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1항에 있어서,내부에 연결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소립슈트와 상기 대립슈트를 연통시키는 연결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슈트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안내통로 폐쇄 시 상기 차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소립슈트에 형성되는 이동홀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소립슈트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통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소립슈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안내통로 폐쇄 시 상기 차단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180A KR101099681B1 (ko) | 2009-05-26 | 2009-05-26 | 평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180A KR101099681B1 (ko) | 2009-05-26 | 2009-05-26 | 평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650A KR20100127650A (ko) | 2010-12-06 |
KR101099681B1 true KR101099681B1 (ko) | 2011-12-28 |
Family
ID=4350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6180A KR101099681B1 (ko) | 2009-05-26 | 2009-05-26 | 평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968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46A (ko) * | 2019-07-17 | 2021-01-2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원료 이송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643B1 (ko) * | 2011-11-17 | 2013-09-17 | 주식회사 포스코 | 원료 장입 장치 |
JP7240300B2 (ja) * | 2019-10-25 | 2023-03-15 | Towa株式会社 | 粉粒体供給装置、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46177A (ja) | 1999-02-26 | 2000-09-12 | Nippon Steel Corp | 原料の篩い分け方法および篩分け装置 |
-
2009
- 2009-05-26 KR KR1020090046180A patent/KR1010996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46177A (ja) | 1999-02-26 | 2000-09-12 | Nippon Steel Corp | 原料の篩い分け方法および篩分け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9546A (ko) * | 2019-07-17 | 2021-01-2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원료 이송 장치 |
KR102213967B1 (ko) * | 2019-07-17 | 2021-02-08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원료 이송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7650A (ko) | 2010-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539955B (zh) | 自动说明书包装系统 | |
KR101099681B1 (ko) | 평량장치 | |
CN105501474A (zh) | 一种渐变控料式称量包装装置 | |
CN104909178A (zh) | 铅渣自动定量输送机 | |
US7325672B2 (en) | Device for stopping a continuous product stream of a rotary press | |
CN207120943U (zh) | 一种灌装机 | |
CN205771118U (zh) | 一种压砖机的定量下料装置 | |
KR100930726B1 (ko) | 고로 너트 코크스의 평량장치 | |
CN206126206U (zh) | 一种连续自动配重称量设备的供料机构 | |
KR100605692B1 (ko) | 소결광 스크린의 입량조절 및 막힘 방지장치 | |
KR20130046567A (ko) | 트리퍼용 집진장치 | |
KR101857749B1 (ko) | 성형탄의 회전강도 측정 장치 | |
KR101167386B1 (ko) | 코크스 스크린 아웃렛 슈트의 비상 배출 장치 | |
CN214107772U (zh) | 一种混凝土筛选装置 | |
KR20150137934A (ko) |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시스템 | |
CN203474407U (zh) | 环保上料装置 | |
CN106516255A (zh) | 机电一体化输送装置 | |
CN208054337U (zh) | 一种自动整砖机 | |
CN207923620U (zh) | 烧结落下强度检测装置 | |
CN104016082B (zh) | 泡花碱热料供料系统 | |
CN104960889A (zh) | 铅渣自动定量输送机的铅渣处理装置 | |
CN212333893U (zh) | 一种自动加料装置 | |
CN104843505A (zh) | 一种电子管座的上料机 | |
CN220549555U (zh) | 碎玻璃排料装置 | |
CN109941706A (zh) | 一种防漏料水平输送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