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768A -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768A
KR20110108768A KR1020100028157A KR20100028157A KR20110108768A KR 20110108768 A KR20110108768 A KR 20110108768A KR 1020100028157 A KR1020100028157 A KR 1020100028157A KR 20100028157 A KR20100028157 A KR 20100028157A KR 20110108768 A KR20110108768 A KR 2011010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cao
high temperature
magnesium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650B1 (ko
Inventor
김세광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50B1/ko
Priority to US13/051,630 priority patent/US8808423B2/en
Priority to AU2011233969A priority patent/AU2011233969B2/en
Priority to RU2012140397/02A priority patent/RU2549040C2/ru
Priority to CA2794968A priority patent/CA2794968A1/en
Priority to PCT/KR2011/001998 priority patent/WO2011122785A2/en
Priority to EP11159526.0A priority patent/EP2374905B1/en
Priority to TW100110095A priority patent/TWI456071B/zh
Priority to PL11159526T priority patent/PL2374905T3/pl
Priority to ES11159526T priority patent/ES2716236T3/es
Priority to CN 201110072411 priority patent/CN102206781B/zh
Priority to JP2011067394A priority patent/JP5427815B2/ja
Publication of KR2011010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36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36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melt
    • C22C1/1047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melt by mixing and casting liquid metal matrix composites
    • C22C1/1052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melt by mixing and casting liquid metal matrix composites by mixing and casting metal matrix composites with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22C23/02Alloys based on magnesium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이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MAGNESIUM ALLOY FOR HIGH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은 비중이 1.7로서 상용 금속재료 중에서 가장 가벼울 뿐만 아니라 비강도와 비강성이 철, 알루미늄보다 우수하다. 또한 다이캐스팅 주조공법으로 제조할 경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어 현재 자동차 부품 분야를 중심으로 휴대용 전자부품, 항공기 및 스포츠 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마그네슘 합금을 자동차 부품에시 적용하여 30%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된 다이캐스팅용 마그네슘 합금 중 대표적인 것은 AZ91D, AM50, AM60 등의 Mg-Al계 합금이다. 이들은 다른 다이캐스팅용 합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주조성이 좋으며 특히 상온에서 응고 시 β-Mg17Al12 상을 생성하여 높은 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의 경우 150-200℃의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되어 지는데 β상의 열악한 열안정성은 합금의 크립 저항성을 저하시킨다. 그 결과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이들 제품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90년대 이후부터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을 개발하고 최적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은 크게 다이캐스팅용 마그네슘 합금과 사형주조용 마그네슘 합금으로 구별되어지는데 이는 대상 부품의 사용 온도 차이에 의한 합금의 조성과 제조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으로 적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특성은 다이캐스팅에 적합한 주조성이며 내부식성과 내산화성 역시 요구된다. 또한 스틸 및 알루미늄과의 경쟁력을 고려할 때 비용적인 측면에서 고비용의 첨가원소를 배제하는 합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 요구 조건을 근거로 기존 개발되어진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을 검토하면, 희토류원소(RE)의 첨가 비율이 높은 합금의 경우 비용 면에서 단점이 있고 알칼리토금속(Ca, Sr)을 첨가하는 경우 용탕 유동성의 저하, 열간균열, 금형점착 등의 주조성이 현저히 나빠지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원소로 널리 알려진 Ca의 산화물 형태, 즉 CaO를 마그네슘 용탕에 첨가하여 CaO를 환원시키고, CaO에서 환원된 Ca가 Mg 또는 Al과 반응을 하여 상을 형성하게 되며, 열적으로 불안정한 β-Mg17Al12 상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어 고온에서의 강도 향상 및 변형 저항성이 향상된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에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즉, CaO를 첨가하여 산화물, 개재물 및 기공 감소 등의 주물의 내부 건전성을 향상시켜 연성 및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제품이 사용되는 환경 온도에 따라 각 합금의 용도가 정해진다. 흔히 90℃, 120℃, 150℃ 등으로 사용환경 온도를 구분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은 90℃이상의 온도를 포함하여 120℃ 및 150℃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금속간화합물)이 상온에 존재시킴으로, 고온 기계적 물성 중 강도와 연신율이 동시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시킴으로, 고온 항복강도가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항복강도 보다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시킴으로, 고온 인장강도가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인장강도 보다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가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가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시킴으로, 고온 연신율이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연신율보다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이 Mg-Al계 합금이고, 형성되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Mg2Ca나 Al2Ca나 (Mg, Al)2Ca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첨가되는 CaO는 1.0 ~ 2.5 wt%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제조 방법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액상으로 용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용해된 용탕에 CaO를 0.5 ~ 4.0 wt%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탕과 상기 첨가된 CaO의 반응을 통해,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속에 CaO를 적어도 일부 소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소 성분이 제거된 Ca를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속에서 적어도 일부 소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제조 방법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액상으로 용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용해된 용탕에 CaO를 0.5 ~ 4.0 wt%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탕과 상기 첨가된 CaO의 충분한 반응을 통해,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속에 CaO를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소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소 성분이 제거된 Ca를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속에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소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용 마그네슘 합금에 CaO를 첨가하게 되면 마그네슘 합금의 조직이 미세화되고, Al2Ca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열적으로 불안정한 β-Mg17Al12 상의 형성이 억제되며, 주조결함이 크게 감소한다. 그 결과 마그네슘 합금의 고온에서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증가하며, 연신율의 경우 기존 마그네슘 합금에서와는 달리 고온에서의 급격하게 연신율이 증가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 용탕에 첨가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해리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 용탕 상부층의 교반을 통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해리의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조직을 광학현미경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T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항복강도를 150℃에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인장강도를 150℃에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연신율을 150℃에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과 일반의 고온 마그네슘합금의 상온 기계적 특성 비교의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과 일반의 고온 마그네슘합금의 고온 150℃의 기계적 특성 비교의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CaO 함량을 달리하면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과 일반의 고온 마그네슘합금의 상온과 고온 150℃에서의 연신율 특성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제조한 자동차용 부품인 오일팬 및 시험용 시편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마그네슘 용탕에 첨가하여 새로운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합금으로, 상기 알칼리토금속을 마그네슘에 첨가할 때의 문제점을 해결 및 물성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은 마그네슘계 용탕 형성 단계(S1)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첨가 단계(S2), 교반 단계(S3),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소진 단계(S4), 알칼리토금속 반응 단계(S5), 주조 단계(S6), 및 응고 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소진 단계(S4)와 상기 알칼리토금속 반응 단계(S5)는 설명의 편의상 별개의 단계로 분리하였지만, 두 공정(S4, S5)은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상기 마그네슘계 용탕 형성 단계(S1)에서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마그네슘 합금'으로 통칭함)을 도가니에 넣고 보호 가스 분위기에서 400 내지 800℃의 온도를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도가니 내의 마그네슘 합금은 용해되어 마그네슘계 용탕을 형성한다.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 합금의 용해온도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합금의 용해를 위한 온도는 순수 마그네슘금속이 녹는 온도와 마그네슘합금이 녹는 온도를 의미한다. 합금의 종류에 따라 녹는 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충분한 반응을 위하여는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합금이 완전히 용해된 상태에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투입된다.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합금의 용해 온도는 고상이 충분히 녹아서 완전한 액상으로 존재하는 온도이면 충분하다. 단, 본 발명에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첨가로 인하여 용탕의 온도가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충분히 여유를 갖는 온도범위에서 용탕을 유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여기서, 온도가 400℃ 미만이면 마그네슘 합금 용탕이 형성되기 어렵고, 온도가 800℃를 초과하면 마그네슘계 용탕이 발화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슘의 경우 대체적으로 600℃ 이상에서 용탕을 형성하지만, 마그네슘 합금의 경우에는 600℃이하 400℃ 이상에서도 용탕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학에서 합금화가 됨에 따라 용융점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용해온도를 너무 높이 올릴 경우에는 액체금속의 승화가 발생하고 또한 마그네슘의 특성상 쉽게 발화하여 용탕양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고 최종물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계 용탕 형성 단계에서 이용된 마그네슘은 순수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AZ91D, AM20, AM30, AM50, AM60, AZ31, AS41, AS31, AS21X, AE42, AE44, AX51, AX52, AJ50X, AJ52X, AJ62X, MRI153, MRI230, AM-HP2, 마그네슘-Al, 마그네슘-Al-Re, 마그네슘-Al-Sn, 마그네슘-Zn-Sn, 마그네슘-Si, 마그네슘-Zn-Y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마그네슘합금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첨가 단계(S2)에서는 상기 마그네슘 용탕에 분말 형태의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첨가한다. 여기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은 마그네슘 합금과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분말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분말 상태
반응을 위하여 투입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은 어떠한 형태로 투입되어도 상관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효율적인 반응을 위하여 반응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분말상태의 투입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1㎛미만으로 너무 미세한 경우는 승화되는 마그네슘이나 열풍에 의하여 비산되어 노에 투입되기가 어려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서로 응집되어서 액상의 용융금속과 쉽게 섞이지 않고 덩어리지게 된다. 너무 굵은 경우에는 언급하였듯이 표면적을 증대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적인 파우더의 입도는 500㎛ 이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이하인 것이 좋다.
분말상들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말형태를 응집시킨 팰랫형태의 알칼리토금속산화물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입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용탕에 첨가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로는 대표적으로 CaO가 사용될 수 있다. 그밖에도 SrO, BeO 또는 MgO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첨가 단계에서 이용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은 0.001 내지 30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에 의한 효과가 작다.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투입양은 목적으로 하는 최종타겟 합금조성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마그네슘합금 속에 Ca를 합금화하길 희망하는 양에 따라서 역계산하여 CaO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 속에 CaO로부터 간접적으로 합금화하는 Ca양이 21.4wt%(CaO의 경우 30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그네슘합금의 물성이 원래의 물성으로부터 벗어나기에 상기의 투입되는 양이 30.0wt% 이하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wt%의 Ca를 최종 타겟 합금조성으로 하고 CaO를 15.0wt%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을 위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투입양을 0.5에서 4.0wt%이다.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투입양은 4.0wt% 이하에서 고온 기계적인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0.5wt% 미만에서는 상기 물성치의 개선효과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상기 조성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5wt%이다.
상기 교반 단계(S3)에서는 상기 마그네슘 용탕을 첨가되는 알칼리토금속산화물의 0.1wt% 당 1초~60분 동안 교반한다.
여기서 교반 시간이 0.1wt% 당 1초 미만이면 마그네슘 용탕에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충분히 섞이지 않고, 교반 시간이 0.1wt% 당 60분을 초과하면 마그네슘 용탕의 교반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반의 시간은 용탕의 크기와 투입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양에 의존하다.
산화물 분말의 투입은 필요양을 일시에 투입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반응을 촉진시키고 분말의 응집 가능성을 낮추는 측면에서는 일차 투입 후에 시간차를 가지고 재차 또는 적정량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교반 방법 및 조건
본원의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과 알칼리토금속 산화물과의 효율적인 반응을 위하여 교반이 바람직하다. 교반의 형태는 용탕을 담고 있는 노주위에 전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함으로 전자기장 필드를 발생시켜 용탕의 컨벡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용탕에 인위적인 교반(기계적인 교반)을 할 수 있다. 기계적인 교반의 경우 투입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분말이 뭉치지 않도록 적절하게 교반할 수도 있다. 교반의 궁극적인 목적은 용탕과 투입되는 분말과의 반응을 적절하게 유도하는데 있다.
교반을 위한 시간은 용탕의 온도와 투입되는 분말의 상태(예열상태 등)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탕표면에서 분말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여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이유는 분말은 비중이 용탕보다 낮기에 정상상태에서는 용탕위에 유동하게 되고 용탕위에서 분말이 보이지 않을 때는 충분한 반응이 되었다고 간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충분한 반응이라고 함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용탕과 실질적으로 모두 반응하여 소진된 상태를 의미한다.
비록 분말이 용탕위에서 확인되지 않더라도 용탕속에서 존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에 교반시간 이후 유지시간을 갖으면서 미쳐 부상하지 않은 분말의 존재를 확인하고 미쳐 반응하지 않은 분말의 반응을 마치는 시간을 부여한 유지시간이 필요하다.
교반의 시기
교반의 시기는 산화물 분말의 투입과 동시에 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산화물이 용탕으로부터 열을 공급 받아 일정 온도 이상으로 도달한 후 교반을 시작하여 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용탕의 표면에서 투입된 산화물의 분말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여 준다.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반응으로 모두 소진된 후 교반을 완료한다.
표면 반응
일반적으로 용탕에 알칼리토금속 중 Ca와 Sr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비중차에 의하여 비중이 낮은 마그네슘의 용탕속으로 가라앉으면서 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Ca의 용해를 돕기 위해서 단순히 용탕을 저어주는 것으로 합금화가 이루어진다.
반면에 용탕에 알카리토금속 산화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비중차에 의하여 용탕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용탕의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
통상의 금속의 합금화의 경우에는 용탕과 합금원소 금속을 대류(convection)나 교반(stirring)시켜서 적극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용탕내부에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원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반응을 유도한 경우에는 용탕 속으로 투입되는 산화물이 미쳐 반응하지 못하고 최종 재료에 잔류하여 물성치를 떨어뜨리거나 결함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용탕의 표면이 아니 용탕속의 반응을 유도하는 경우, 용탕의 표면에서의 반응보다 알칼리토금속의 산화물이 최종 용탕속에 잔류하는 경우가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산화물이 용탕 속에서 반응하기 보다는 용탕의 표면에서 반응하도록 반응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용탕 표면에 부유하는 산화물을 강제적으로 용탕 안으로 저어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표면에 펴져 있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노출되는 용탕의 표면쪽으로 고루 퍼지도록 펼쳐주는 것이 중요하다.
교반을 안하는 것보다는 하는 것이 반응이 잘 일어나고, 용탕의 내부보다는 외부표면(상층부 표면)에서 교반을 하는 것이 더 잘 일어났다. 즉 외부표면(상층부 표면)은 대기와 노출된 분말과 더 반응을 잘 일으켰다. CaO의 한쪽은 대기중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효과가 더 좋았다. 진공이나 분위기 가스하에서는 결과가 좋지는 않았다. 충분한 반응을 위해서는 상층부 교반을 행하여 표면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래의 표 1은 AM60B 마그네슘합금의 용탕에 70㎛의 입자크기를 갖는 5, 10, 15wt%의 산화칼슘을 각각 첨가한 후 교반의 방법에 따른 마그네슘합금내의 산화칼슘의 잔량을 측정하였다. 교반의 방법으로는 용탕의 상층부 교반, 용탕의 내부 교반,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교반을 하지 않았다. 교반 조건을 달리함에 따라서 교반의 상층부만을 교반하는 경우가 교반하지 않는 경우와 내부 교반을 한 경우와 비교할 때 산화칼슘의 잔량이 5, 10, 15wt% 산화칼슘을 첨가함에 따라서 최종 잔류량은 0.001, 0.002, 0.005wt%로 가장 작게 잔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CaO를 Mg용탕의 표면에서 반응시키기 위해 용탕상층부를 교반한 경우 첨가된 CaO 거의 대부분 Ca로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wt%CaO 첨가 10wt%CaO 첨가 15wt%CaO 첨가
합금 내
CaO 잔량
교반하지 않음 4.5wt%CaO 8.7wt%CaO 13.5wt%CaO
용탕 내부 교반 1.2wt%CaO 3.1wt%CaO 5.8wt%CaO
용탕 상층부
교반(본 발명)
0.001wt%CaO 0.002wt%CaO 0.005wt%CaO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산소성분은 상기 용탕 상부층의 교반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용탕 표면 위로 제거된다. 상기 교반은 상기 용탕 표면으로부터 용탕 전체 깊이의 20% 내외의 상층부에서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20% 이상의 깊이에서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한 표면반응이 일어나기가 어렵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탕 표면으로부터 용탕 전체 깊이의 10% 내외의 상층부에서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실질적으로 부유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실제로 용탕깊이에 10% 상위층에서 위치하도록 유도함으로 용탕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소진 단계(S4)에서는 상기 용탕과 상기 첨가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반응을 통해,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마그네슘 합금 속에 적어도 일부 또는 실질적(substantially)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소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투입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은 충분한 반응에 의하여 전부 소진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부 반응되지 않고 합금내에 남아 있는 경우라도 물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여기에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소진시킨다는 것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에서 산소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산소 성분은 산소(O2) 가스의 형태로 제거되거나, 또는 용탕속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성분과의 결합을 통해서 드로스(dross)나 슬러지형태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소 성분은 용탕 상부층의 교반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용탕 표면 위로 제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 용탕 상부층의 교반을 통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해리의 예시도이다.
상기 알칼리토금속 반응 단계(S5)에서는, 상기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소진 결과로 생성된 알칼리토금속을 마그네슘 합금 속에 적어도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반응시키게 된다. 여기서, 소진 결과 생성된 알칼리토금속은 상기 마그네슘 합금 속의 마그네슘, 알루미늄, 그리고 상기 용탕속의 그 외 합금원소(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화합물화되어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화합물이라 함은 금속과 금속의 결합하여 이루어진 금속간화합물을 지칭한다.
결국, 첨가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은 용탕인 마그네슘 합금과의 반응을 통해 산소성분이 제거되어 적어도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없어지며, 산소 성분이 제거된 알칼리토금속은 마그네슘 합금 속의 마그네슘, 알루미늄, 그리고 상기 용탕속의 그 외 합금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화합물화되어 마그네슘 합금 속에 적어도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마그네슘 용탕에 첨가하여 사용되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의 해리 순서도이다.
한편, 주조 단계(S6)에서는 상기 마그네슘 용탕을 상온이나 예열상태의 주형에 넣어 주조한다. 여기서, 상기 주형은 금형, 세라믹형, 그라파이트형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조 방식은 중력 주조, 연속 주조 및 그 등가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슘계 용탕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마그네슘, 알루미늄, 그리고 상기 용탕속의 그 외 합금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화합물을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응고 단계(S7)에서는 상기 주형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주형에서 마그네슘 합금(eg. 마그네슘 합금 잉곳)을 꺼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마그네슘, 알루미늄, 그리고 상기 용탕속의 그 외 합금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금속간화합물은 상기 마그네슘 결정립들의 외부인 경계면에 대부분 존재하게 되지만, 마그네슘 결정립의 내부에도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슘 결정립은 순수 마그네슘 결정립, 마그네슘 합금 결정립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간화합물은 마그네슘과 알칼리토금속의 화합물과, 마그네슘 합금 중 마그네슘 이외의 물질과 알칼리토금속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이들의 복합 화합물일 수도 있다. 주로 금속간화합물은 마그네슘계 금속간화합물과 Al계 금속간화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형성된 마그네슘계 합금은 경도(HRF)가 40 내지 80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도값은 가공 방법 및 열처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도 값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순수한 마그네슘 용탕의 경우에는 용탕속의 마그네슘성분은 알칼리토금속과 반응하여 마그네슘(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을 형성한다. 일예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CaO인 경우는 Mg2Ca가 형성된다. 그리고 CaO를 구성하고 있던 산소는 O2가 되어 용탕 밖으로 배출되거나, Mg와 결합하여 MgO가 되고 dross형태로 배출된다.(아래 반응식 1을 참조)
반응식 1
Pure Mg + CaO -> Mg (Matrix) + Mg2Ca
... [O2 발생 + MgO dross발생]
마그네슘 합금 용탕의 경우에는 용탕속의 마그네슘성분은 알칼리토금속과 반응하여 마그네슘(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이나 알루미늄(알칼리토금속) 화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과 함께 마그네슘의 합금원소가 알칼리토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한다. 일예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이 CaO인 경우는 Mg2Ca, Al2Ca, 또는 (Mg, Al, 기타 합금원소)2Ca가 형성된다. 그리고 CaO를 구성하고 있던 산소는 순수 마그네슘의 경우와 같이 O2가 되어 용탕 밖으로 배출되거나, Mg와 결합하여 MgO가 되고 dross형태로 배출된다.(아래 반응식 2를 참조)
반응식 2
Mg Alloy + CaO -> Mg Alloy (Matrix) +
(Mg2Ca + Al2Ca + (Mg, Al, 기타 합금원소)2Ca}
... [O2 발생 + MgO dross발생]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마그네슘 합금의 생산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마그네슘 합금을 제조공법이다. 알칼리토금속(예: Ca)은 상대적으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예: CaO)에 비하여 고가의 합금원소로서 마그네슘합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알칼리토금속을 대신하여 마그네슘나 마그네슘합금에 첨가함으로 상대적으로 합금화하기가 용이하다. 반면에, 알칼리토금속(예: Ca)을 직접 첨가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예: CaO)을 첨가함으로써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합금화 효과가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알칼리토금속을 마그네슘나 마그네슘합금에 직접 투입하는 경우 마그네슘합금에서 알칼리토금속의 고용화가 일정한 양 발생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기술을 활용한 경우에는 알칼리토금속 산화물(CaO)를 첨가시에는 고용되는 정도가 알칼리토금속을(Ca) 직접 첨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용이 없거나 극히 적다. 따라서 마그네슘합금의 물성을 올리기 위해서는 일정 분률이상의 알칼리토금속의 첨가가 필요한 반면에,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을 첨가하여 마그네슘합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알칼리토금속의 상당한 양이 직접 마그네슘이나 Al의 금속간화합물(예: Mg2Ca나 Al2Ca)을 형성함으로 인해 물성이 Ca를 직접 투입했을 때 보다 향상됨을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각종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서 CaO 첨가비율에 따른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CaO의 첨가 비율(도 4a는 0wt%CaO 첨가, 도 4b는 1.2wt%CaO 첨가, 도 4c는 2.2wt%CaO 첨가,도 4d는 3.2wt%CaO 첨가)이 높아짐에 따라 마그네슘합금의 조직이 미세화됨을 알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에 의해 AZ61 마그네슘 합금에 1.8wt%CaO를 첨가하여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의 TEM 사진의 성분분석을 나타낸다. 도 5a는 마그네슘, 도 5b는 알루미늄, 도 5c는 칼슘의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알루미늄과 칼슘이 동일한 상에서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마그네슘 용탕에 첨가된 CaO에서 Ca가 분리되어 용탕 내의 알루미늄과 결합하여 화합물을 이루었음을 의미한다.
아래 표 2는 상기 상의 조성에 대한 정량적인 량이다. Al과 Ca에 의해 화합물이 형성되었으며 그 상의 정량적인 성분분석으로 Al2Ca 상이 형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Al2Ca 상의 형성으로 인한 입계 강화와 열적으로 불안정한 β-Mg17Al12 상의 형성이 억제로 인하여 마그네슘합금의 고온 특성이 향상된다.
wt% at%
Al 68.73 76.55
Ca 31.27 23.45
Total 100 100
도 6은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첨가하였을 때 항복강도(TY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에서는 AM60B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0.5중량% 내지 3.8중량%를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도 6에서 보듯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0.9중량%를 첨가할 경우 항복강도가 대략 140 내지 145[MPa]로 나타났고,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4중량%를 첨가할 경우 항복강도가 대략 150[MPa] 정도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3.5중량%를 첨가할 경우 항복강도가 대략 150[MPa] 정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산화칼슘의 중량%에 따른 항복강도는 아래 표 3과 같다.
합금 산화칼슘 첨가량 항복강도[MPa]
마그네슘 합금
(AM60B)
0.5 ~ 0.9 중량% 141 ~ 143
1.0 ~ 1.4 중량% 146 ~ 151
1.5 ~ 1.9 중량% 147 ~ 152
2.0 ~ 2.5 중량% 150 ~ 155
2.6 ~ 3.2 중량% 150
3.3 ~ 3.8 중량% 150 ~ 152
따라서,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2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항복강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0.5 ~ 0.9 중량%는 90℃ 고온에서의 사용될 정도의 항복강도를 보이며 이 이상의 함량에서 150℃ 이상에서의 적합한 고온특성을 보인다.
도 7은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UT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에서는 AM60B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0.5중량% 내지 3.8중량%를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도 7에서 보듯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0.9중량%를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가 대략 225[MPa] 정도로 나타났고,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4중량%를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가 대략 239[MPa] 정도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3.5중량%를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가 대략 232[MPa] 정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산화칼슘의 중량%에 따른 인장강도는 아래 표 4와 같다.
합금 산화칼슘 첨가량 인장강도[MPa]
마그네슘 합금
(AM60B)
0.5 ~ 0.9 중량% 222 ~ 224
1.0 ~ 1.4 중량% 225 ~ 230
1.5 ~ 1.9 중량% 232 ~ 238
2.0 ~ 2.5 중량% 234 ~ 239
2.6 ~ 3.2 중량% 232
3.3 ~ 3.8 중량% 230 ~ 232
따라서,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1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0.5 ~ 0.9 중량%는 90℃ 고온에서의 사용될 정도의 인장강도를 보이며 이 이상의 함량에서 150℃ 이상에서의 적합한 고온특성을 보인다.
도 8은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첨가하였을 때 연신율(elongation)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에서는 AM60B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을 0.5중량% 내지 3.8중량%를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도 8에서 보듯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0.9중량%를 첨가할 경우 연신율이 대략 13 내지 14[%] 정도로 나타났고,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4중량%를 첨가할 경우 연신율이 대략 14 내지 15[%]로 나타났으며,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3.5중량%를 첨가할 경우 연신율이 대략 14[%] 정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산화칼슘의 중량%에 따른 연신율을 아래 표 5와 같다.
합금 산화칼슘 첨가량 연신율[%]
마그네슘 합금
(AM60B)
0.5 ~ 0.9 중량% 13 ~ 14
1.0 ~ 1.4 중량% 14 ~ 15
1.5 ~ 1.9 중량% 15
2.0 ~ 2.5 중량% 14 ~ 15
2.6 ~ 3.2 중량% 15
3.3 ~ 3.8 중량% 14 ~ 15
따라서,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에 산화칼슘 1.2 내지 2.5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 연신율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연신율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와 다소 다르게 모든 범위(0.5중량% 내지 3.0중량%)에서 모두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도 9a 및 도 9b는 상온과 고온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마그네슘계 합금과 기존의 합금과의 기계적 특성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온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이 MRI153과 AE44, MRI230 및 AM60B 합금 보다 인장강도(UTS) 및 연신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본 발명의 마그네슘합금을 "Eco-Mg"이라고 칭함)은 상온에서 항복강도가 160MPa 정도이고, 인장강도가 260MPa이며, 연신율은 대략 12.3% 정도로 나타났다. 예컨대, MRI153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 항복강도가 165MPa 정도이고, 인장강도가 248MPa이며, 연신율은 대략 5% 정도로 나타났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은 고온에서도 상온과 유사한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은 고온에서 항복강도가 150MPa 정도이고, 인장강도가 225MPa이며, 연신율은 대략 12.5%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이 상온과 고온에서 모두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MRI153 합금의 경우 고온에서 항복강도가 125MPa 정도이고, 인장강도가 180MPa이며, 연신율은 대략 17.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MRI153 합금의 경우 상온과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많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은 상온과 고온에서 모두 기계적 강도의 변화량이 적어 온도에 따른 안정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aO의 조성이 0.5~0.9wt%에서는 150℃에서의 기계적 특성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90℃ 정도의 환경에 사용되어지는 제품에는 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고온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경우 각 합금별 상온과 고온(150℃)에서의 연신율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은 상온과 고온에서 각각 12 내지 13% 정도의 연신율을 보여 상온과 고온에서 모두 유사한 연신율을 보인다.
하지만, MRI153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는 5% 정도의 연신율을 보이나, 고온에서 17% 정도의 연신율을 보여 온도에 따른 기계적 특성이 많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합금(AE44, MRI230 및 AM60B)들도 온도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가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계 합금(Eco-Mg)은 온도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변화가 적어서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슘합금을 실제 다이캐스팅(콜드챔버방식)으로 제조한 자동차 부품용 오일팬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제품의 끝부분에 마그네슘합금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인장시편이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이캐스팅의 특성 상 제품의 끝부분은 일반적으로 품질이 안 좋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본발명의 마그네슘합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의 기계적 특성 및 주조결함 등의 주조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2b는 다양한 CaO 함량(0.5~3.8wt%)의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한 제조된 오일팬에서 분리한 시험용 시편들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이 존재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이 Mg-Al계 합금인 경우, 형성되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Mg2Ca나 Al2Ca나 (Mg, Al)2Ca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CaO는 1.0 ~ 2.5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4.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액상으로 용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용해된 용탕에 CaO을 0.5 ~ 4.0 wt%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탕과 상기 첨가된 CaO의 반응을 통해,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속에 CaO을 적어도 일부 소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소 성분이 제거된 Ca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속에서 적어도 일부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제조 방법.
  5.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을 액상으로 용해하는 단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이 용해된 용탕에 CaO을 0.5 ~ 4.0 wt%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탕과 상기 첨가된 CaO의 충분한 반응을 통해,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속에 CaO를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소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소 성분이 제거된 Ca을 상기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속에 실질적으로 잔류되지 않도록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CaO는 1.0 ~ 2.5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의 제조 방법.
  7.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이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에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금속간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 고온 기계적 물성 중 강도와 연신율이 동시에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8. 제 7 항에 있어서,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그네슘 합금이 Mg-Al계 합금인 경우, 형성되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Mg2Ca나 Al2Ca나 (Mg, Al)2Ca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CaO는 1.0 ~ 2.5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10.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가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 고온 항복강도가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항복강도 보다 증가된 것을 특징을 가지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11.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이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 고온 인장강도가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인장강도 보다 증가된 것을 특징을 가지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12. 고온용 제품을 위한 마그네슘계 합금에 있어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의 용탕에 CaO이 0.5 ~ 4.0 wt% 첨가된 후, 상기 용탕과 첨가된 상기 CaO의 반응에 의하여 상기 CaO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진된 결과로, 상기 마그네슘계 합금 속의 Mg나 합금을 구성하는 다른 원소와 Ca이 결합하여 형성된 화합물을 존재시킴으로, 고온 연신율이 CaO 첨가전의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의 합금의 연신율보다 감소된 것을 특징을 가지는 고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KR1020100028157A 2010-03-29 2010-03-29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57A KR101147650B1 (ko) 2010-03-29 2010-03-29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US13/051,630 US8808423B2 (en) 2010-03-29 2011-03-18 Magnesium-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012140397/02A RU2549040C2 (ru) 2010-03-29 2011-03-23 Сплав на магниевой основе, подходящий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высокой температур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A2794968A CA2794968A1 (en) 2010-03-29 2011-03-23 Magnesium-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1/001998 WO2011122785A2 (en) 2010-03-29 2011-03-23 Magnesium-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11233969A AU2011233969B2 (en) 2010-03-29 2011-03-23 Magnesium-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1159526.0A EP2374905B1 (en) 2010-03-29 2011-03-24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sium 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TW100110095A TWI456071B (zh) 2010-03-29 2011-03-24 高溫用鎂合金及其製造方法
PL11159526T PL2374905T3 (pl) 2010-03-29 2011-03-24 Metoda wytwarzania stopu magnezowego do zastosowań wysokotemperaturowych
ES11159526T ES2716236T3 (es) 2010-03-29 2011-03-24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a aleación a base de magnesio para alta temperatura
CN 201110072411 CN102206781B (zh) 2010-03-29 2011-03-24 高温用镁合金及其制造方法
JP2011067394A JP5427815B2 (ja) 2010-03-29 2011-03-25 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57A KR101147650B1 (ko) 2010-03-29 2010-03-29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768A true KR20110108768A (ko) 2011-10-06
KR101147650B1 KR101147650B1 (ko) 2012-05-23

Family

ID=4532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157A KR101147650B1 (ko) 2010-03-29 2010-03-29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9738A (zh) * 2022-01-18 2022-04-19 重庆理工大学 一种具有低成本和高铸造性能的镁合金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92B1 (ko) 2010-12-27 2014-0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39B1 (ko) * 2005-02-25 2007-0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화칼슘이 첨가된 마그네슘 합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9738A (zh) * 2022-01-18 2022-04-19 重庆理工大学 一种具有低成本和高铸造性能的镁合金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650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892B1 (ko)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JP5345647B2 (ja) 溶湯流動性及び耐熱間亀裂性に優れたマグネシウム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7816B2 (ja) 常温用マグネシ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9130B2 (ja) 鋳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れを用いた鋳物
KR101335010B1 (ko) 실리콘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2896B1 (ko) 알루미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650B1 (ko) 고온용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EP237490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sium based alloy for high temperature
KR101147655B1 (ko) 상온용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7671B1 (ko) 마그네슘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EP237490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magnesium alloy for room temperature applications
KR101147648B1 (ko) 마그네슘계 합금
KR20120072094A (ko) 용탕 유동성과 내열간 균열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