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740A - 절전형 센서 노드 - Google Patents

절전형 센서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740A
KR20110108740A KR1020100028105A KR20100028105A KR20110108740A KR 20110108740 A KR20110108740 A KR 20110108740A KR 1020100028105 A KR1020100028105 A KR 1020100028105A KR 20100028105 A KR20100028105 A KR 20100028105A KR 20110108740 A KR20110108740 A KR 2011010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ower
unit
time
power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032B1 (ko
Inventor
전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0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작동하고 있지 않다가 특정 시각이 도래하면 그 특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데이터를 무선통신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하는 통신부와; 상기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절전 모드 진입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절전 모드 해제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현재 시각을 확인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절전 모드를 해제 시키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전형 센서 노드{Power Saving Sensor Node}
본 발명은 절전형 센서 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소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작동하고 있지 않다가 특정 시각이 도래하면 그 특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N 등의 센서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센서 노드와 각 센서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수신하여 취합하는 상위 노드로 구성된다.
각 센서 노드는 특정 정보를 센싱하여 출력하는 센서를 내장하여 구성되며, 내장된 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위 노드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각 센서 노드는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서 배터리를 탑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센서 노드는 특정 정보를 센싱하고 그 센싱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작동 상태를 항상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잦은 배터리 교체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소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작동하고 있지 않다가 특정 시각이 도래하면 그 특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데이터를 무선통신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하는 통신부와; 상기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절전 모드 진입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절전 모드 해제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현재 시각을 확인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절전 모드를 해제 시키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모듈과; 상기 리얼 타임 클럭 모듈에서 생성된 현재 시각 정보에 의해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각 판단 모듈과;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면, 절전 모드 해제 신호 생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은,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절전 모드 진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얼 타임 클럭 모듈은, 별도 전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절전 모드 진입 시 상기 모드 제공부로만 소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에 의하면, 평소에는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작동하고 있지 않다가 특정 시각이 도래하면 그 특정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에만 작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모드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의 구성은 각기 다른 정보를 센싱하고 그 센싱한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10)와, 데이터를 무선통신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하는 통신부(20)와,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여 통신부(20)로 전달하는 제어부(30)와, 절전 모드 진입 시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절전 모드 해제 시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0)와, 현재 시각을 확인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전원 공급부(40)의 절전 모드를 해제 시키는 모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전원 공급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레벨을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에서 요구하는 전원 레벨로 변환시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원 분배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부(10)는 각각 485 규격, RS232 규격 또는 RS232C 규격 등 고유의 데이터 출력 규격을 보유하며, 보유한 데이터 출력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 또는 BCD(Binary Coded Decimal) 등의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는 써미스터 등과 같이 저항값을 출력하는 저항 출력 센서나, 4 mA 내지 20 mA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출력하는 전류 출력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신부(20)는 데이터 수집 서버나,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상위 노드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 모듈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각 센서의 데이터 출력 규격을 지원하는, 즉 데이터 출력 규격에 대응하는 다중 통신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비된 다중 통신 포트를 통해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데이터를 통신부(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MCU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통신부(20)로 전달하는 A/D 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예컨대, 센서부(10)에 구비된 특정 센서, 즉 저항 출력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저항값을 전류값으로 변환시켜 A/D 컨버터로 입력하는 저항 전류 변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의 데이터 출력 규격이 각기 다르더라도, 제어부(30)에서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다중 통신 포트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그 입력된 데이터들을 통신부(20)를 통해 일정한 통신 규격, 예를 들어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전원 공급부(40)는 모드 제어부(50)로부터 절전 모드 진입 신호를 전달받으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모드 제어부(50)로부터 절전 모드 해제 신호를 전달받으면, 절전 모드를 해제하여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40)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0)는 절전 모드 진입 시 모드 제공부(50)로만 소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제공부(50)는 예컨대 센서부(10)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제어부(30)의 전력 소비량에 비해 극소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IC 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제어부(50)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모듈(52)과, 리얼 타임 클럭 모듈(52)에서 생성된 현재 시각 정보에 의해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각 판단 모듈(54)과, 시각 판단 모듈(54)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면, 절전 모드 해제 신호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40)로 전달하는 신호 생성 모듈(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얼 타임 클럭 모듈(52)은 소형 배터리 등과 같은 별도 전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판단 모듈(54)은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신호 생성 모듈(56)은 시각 판단 모듈(54)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절전 모드 진입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40)로 전달한다.
한편, 전원 분배부(60)는 예컨대, 전원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레벨의 전원을 DC +5V, DC -5V, DC +12V, DC +24V 등, 각 센서 및 제어부(30)에서 요구하는 전원 레벨로 변환시켜 각 센서 및 제어부(30)로 각 전원 레벨에 해당하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센서 노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센서부 20: 통신부
30: 제어부 40: 전원 공급부
50: 모드 제어부 60: 전원 분배부

Claims (6)

  1. 복수 개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와;
    데이터를 무선통신 신호 처리하여 상위 노드로 송출하는 통신부와;
    상기 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절전 모드 진입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절전 모드 해제 시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각 센서 및 상기 제어부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현재 시각을 확인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절전 모드를 해제 시키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리얼 타임 클럭(Real Time Clock) 모듈과;
    상기 리얼 타임 클럭 모듈에서 생성된 현재 시각 정보에 의해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각 판단 모듈과;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하면, 절전 모드 해제 신호 생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는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은,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시각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을 경과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절전 모드 진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 타임 클럭 모듈은, 별도 전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절전 모드 진입 시 상기 모드 제공부로만 소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센서 노드.
KR1020100028105A 2010-03-29 2010-03-29 절전형 센서 노드 KR10111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05A KR101112032B1 (ko) 2010-03-29 2010-03-29 절전형 센서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05A KR101112032B1 (ko) 2010-03-29 2010-03-29 절전형 센서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740A true KR20110108740A (ko) 2011-10-06
KR101112032B1 KR101112032B1 (ko) 2012-02-24

Family

ID=4502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105A KR101112032B1 (ko) 2010-03-29 2010-03-29 절전형 센서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36B1 (ko) * 2013-08-05 2014-11-05 주식회사 맥스포 저전력 센서 노드
KR101684493B1 (ko) * 2015-10-19 2016-12-08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8028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시스템의 무선 센서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센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656B1 (ko) * 2004-12-17 2006-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제로복귀 방식의 웨이크업 장치
KR100658581B1 (ko) * 2005-10-21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지그비 호핑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20090046426A (ko) * 2007-11-06 2009-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지그비 네트워크 통신 방법
KR100970386B1 (ko) * 2008-01-14 2010-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센서 노드 간의 타이밍 스케줄링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36B1 (ko) * 2013-08-05 2014-11-05 주식회사 맥스포 저전력 센서 노드
KR101684493B1 (ko) * 2015-10-19 2016-12-08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8028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에스원 보안 시스템의 무선 센서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032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86119A (en) System for measuring, indicating and managing electricity consumption
KR101112032B1 (ko) 절전형 센서 노드
DE602008004547D1 (de) 12c-bus-schnittstelle mit parallelbetriebsmodus
CN104081312A (zh) 电压调节控制系统
CN105339861A (zh) 设备注册装置和设备注册方法
CN102713962B (zh) 节能诊断系统
KR20100008646A (ko) 디지털 직렬 통신 버스 방식의 센서를 결합한수질다항목측정장치
KR20120024078A (ko) 에너지 계량 시스템, 에너지 계량 장치, 에너지 계량 방법
CN202826057U (zh) 混凝土搅拌站控制系统和混凝土搅拌站
KR200468933Y1 (ko)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KR20040000031A (ko) 원격검침시스템
KR101684707B1 (ko) 내부 전원을 구비한 센서 모듈
JP2010026838A (ja) ワイヤレスセンサ
CN104483955B (zh) 一种能耗远程监测预警系统
JP2015023456A5 (ko)
Ya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ew generation distribution automation and management system.
KR20220118800A (ko) 전원관리 콘센트 및 시스템
JP5873966B2 (ja) 空気調和機
CN106605186A (zh) 图像处理装置以及用于控制图像处理装置的方法
JP20150268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親無線装置、及び子無線装置
KR20160139931A (ko)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30125034A (ko) 태양광 자가발전 절전형 무선 입력장치
KR101619885B1 (ko) 복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 측정장치
KR101080285B1 (ko) 다양한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노드
JP2010199896A (ja) 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