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31A -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31A
KR20160139931A KR1020150075871A KR20150075871A KR20160139931A KR 20160139931 A KR20160139931 A KR 20160139931A KR 1020150075871 A KR1020150075871 A KR 1020150075871A KR 20150075871 A KR20150075871 A KR 20150075871A KR 20160139931 A KR20160139931 A KR 2016013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mode
electronic pric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931A/ko
Publication of KR2016013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AC 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의 구동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선반 장치와, 선반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ELECTRONIC SHELF LABEL TAG WIRELESS CHARGING SYSTEM}
본 출원은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가격 표시(Electronic Shelf Label; ESL) 시스템은,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와, 이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와 무선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예를 들어, 전자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가격 표시기는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와의 통신 수행 등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전류 소모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전자 가격 표시기는 코인 배터리 등과 같은 배터리를 내부에 장착하여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장착된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전자 가격 표시기 자체를 교체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자 가격 표시기의 크기를 고려하면, 저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전자 가격 표시기의 기능에도 제한이 따른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전자 선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6404호 (공개일: 2014.07.08.)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배터리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AC 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의 구동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선반 장치와, 선반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가격 표시기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 가격 표시기 또는 전자 가격 표시기의 배터리 교체없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므로 유선 전원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을 보다 편리하게 매장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가격 표시기의 전원의 제약 없이, 전자 가격 표시기가 단순 정보 표시를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가격 표시기에 구비되는 충전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모드를 스위칭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긴급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일반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의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은, 전자 가격 표시 서버(100)(예를 들어, ESL 서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및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예를 들어,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전원 공급 장치(400) 및 선반 장치(500)를 추가로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 가격 표시 서버(100)는 유선 통신망(예를 들어, 이더넷)을 통해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가격 표시 서버(10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중에서 상품 정보 업데이트가 필요한 전자 가격 표시기(300)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 각각은 전자 가격 표시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해당 전자 가격 표시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각각은 슬립(Sleep) 모드에 있다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각각은 상품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업데이트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후술하는 전원 공급 장치(400)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 각각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후술하는 충전 모듈(도 2의 3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0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400)는 AC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전자 가격 표시기(300)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형태로 변환한 후 후술하는 선반 장치(500)를 통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선반 장치(50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가 설치되는 선반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 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무선으로 공급하기 위해 충전 코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이의 무선 충전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400)와, 충전 모듈(310)을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도 1의 300)와, 복수의 충전 라인(510) 및 리턴 라인(520)을 포함하는 선반 장치(도 1의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0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AC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전자 가격 표시기(300)의 구동을 위해 적절한 형태로 변환한 후 선반 장치(500)를 통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400)의 상세 구성 및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충전 모듈(310)은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각각 구비되며, 선반 장치(500)에 포함된 복수의 충전 라인(510)과의 상호유도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충전 모듈(310)의 상세 구성 및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반 장치(500)는 전원 공급 장치(4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무선으로 공급하기 위해 충전 코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1차 코일(Primary Coil)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충전 라인(510) 및 복수의 충전 라인(510)의 일 단과 전원 공급 장치(400)를 연결하는 리턴 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반 장치(500)의 상세 구성 및 기능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400)는 AC-DC 컨버터부(410), 모드 스위치부(420), DC-AC 컨버터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AC-DC 컨버터부(410)는 AC 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DC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AC 전원을 입력 받아 역률 보정(Power Factor Correction; PFC) 등을 수행하는 입력단(411)과, 변환된 DC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은 후술하는 충전 모드를 위한 DC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412)과 대기 모드를 위한 DC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출력단(413)을 포함할 수도 있다.
AC-DC 컨버터부(410)는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A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드 스위치부(420)는 전원 공급 장치(400)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40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모드와,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로부터의 충전 요청 신호를 대기하는 대기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스위치부(42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모드인 경우 AC-DC 컨버터부(410)에 포함된 제1 출력단(412)과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대기 모드인 경우 AC-DC 컨버터부(410)에 포함된 제2 출력단(413)과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모드 스위치부(4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스위치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DC-AC 컨버터부(430)는 모드 스위치부(420)를 통해 전달받은 DC 전원을 전자 가격 표시기를 충전하기 적절한 레벨의 AC 전원, 예를 들어 충전전압 또는 대기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충전전압 및 대기전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DC-AC 컨버터부(430)는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DC-A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전원 공급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4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충전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되도록 모드 스위치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로부터의 충전 요청 신호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충전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되도록 모드 스위치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40)는 선반 장치(500)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라인(510)의 전압 레벨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전압 변화, 즉, 충전 요청 신호의 발생을 인식하여 충전 요청 신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가격 표시기에 구비되는 충전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모듈(310)은 충전기부(311), 제어부(312) 및 배터리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부(311)는 선반 장치(500)에 포함된 복수의 충전 라인(510)과 상호유도작용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312)는 충전 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2)는 충전기부(311)를 통해 충전 라인(510)에 유기된 전압 레벨을 확인하여 충전모드인지 대기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2)는 충전모드인 경우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충전기부(3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2)는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한 지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기부(311)를 통해 복수의 충전 라인(510)의 대기전압에 충전 요청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12)는 배터리부(313)에 충전된 전원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부(313)는 충전기부(311)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전자 가격 표시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반 장치(500)는 1차 코일(Primary Coil)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충전 라인(510) 및 복수의 충전 라인(510)의 일 단과 전원 공급 장치(400)를 연결하는 리턴 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충전 라인(510)은 예를 들어, PCB 패턴 또는 코일용 구리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충전 라인(510) 중 일부 라인은 운용되는 모드(즉, 충전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서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시에는 복수의 충전 라인(510) 중에 일부에만 대기전압이 유지되도록 하고, 나머지 라인들은 모두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선반 장치(500)에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장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충전 라인(51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에 각각 구비된 충전 모듈(310)과의 상호유도작용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모드를 스위칭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운용 모드, 즉 충전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서 선반장치(500)의 복수의 충전 라인(510)에 유기되는 전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드의 경우에는 충전전압(V_Charge)(61)을 유기하고, 대기 모드의 경우에는 대기전압(V_Comm)(62)을 유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전전압(61)을 대기전압(62)보다 높게 설정하거나, 이와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각 모드에서 유기하는 전압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대기 모드시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310)의 제어부(312)는 충전기부(311)를 통해 충전 라인(510)의 전압을 확인하여 충전모드(71)인지 대기모드(72)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2)는 대기모드(72)인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한 지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기부(311)를 통해 복수의 충전 라인(510)의 대기전압에 기 정해진 형태의 충전 요청 신호(73)를 유도함으로써, 시리얼 통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400)는 복수의 충전 라인(510)에서 발생된 충전 요청 신호(73)를 감지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자 가격 표시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400)는 충전 요청 신호(73)가 감지되면 충전모드로 스위치하여 전자 가격 표시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긴급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310)의 배터리부(313)의 충전 레벨이 기 설정된 제2 임계치 이하로 떨어져서 긴급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 모듈(310)은 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충전 요청 신호(83)를 발생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00)에서는 지속적인 충전 요청 신호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발생된 것을 감지하면 긴급 충전 요청으로 판단하고, 대기모드에서 충전모드로 스위칭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모드로 스위칭하는 시점(84)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른 충전모드 스위칭 시점(82)보다 앞서도록 하여, 긴급 충전이 필요한 전자 가격 표시기에 조속히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일반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듈(310)의 배터리부(313)의 충전 레벨이 기 설정된 제1 임계치 이하로 떨어져서 일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 모듈(310)은 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임의의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형식에 따라 충전 요청 신호(90)를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선반 장치(500)에는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충전 라인(510)을 통해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에 각각 구비된 충전 모듈(310)이 동시에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시리얼 통신의 경우, 복수의 충전 모듈(310)이 동시에 충전 요청 신호를 보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중재(Arbitration) 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재 과정에서, 가장 우선하여 시작 비트(91)를 발생한 충전 모듈(310)이 충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나머지 충전 모듈(310)들은 신호를 확인하고 있다가 종료 비트(93)를 확인한 후 중재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요청 신호는 각 충전 모듈(310)에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자(ID)(9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각 충전 모듈(310)의 제조시 부여된 식별자일 수도 있고, 설치후 임의로 할당된 식별자(예를 들어, 번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로 할당하는 방식의 경우, 가장 먼저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충전 모듈(310)은 사용 가능한 식별자 범위 내에서 임의의 번호를 식별자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충전라인(510)상에 장착된 타 충전 모듈(310)들은 충전 라인(510)을 통해 전송되는 식별자를 확인 및 저장한 후, 비어있는 번호 중에서 임의의 번호를 자신의 식별자로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식별자(92)는 4개의 비트로 구성되므로, 16개의 전자 가격 표시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식별자(92)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400)에 연결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300)의 개수에 따라서 사용되는 식별자(9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가격 표시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충전 모듈(310)은 무선 통신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충전 요청 신호를 중계기(600)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계기(60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20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충전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 병행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의한 충전 방법의 흐름도로서, 좌측은 전원 공급 장치(400)측에서의 동작 과정을, 우측은 전자 가격 표시기(300)측에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400)는 기 정해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충전 모드(1100)와 대기 모드(1200)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40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1100), 충전 대기 중인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110).
확인 결과, 충전 대기 중인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는 경우 충전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 전원을 공급하고(1120), 충전 시간이 종료되면(1130) 대기 모드(1200)로 스위칭한다.
반면, 충전 대기 중인 전자 가격 표시기가 없는 경우 바로 대기 모드(120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400)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4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1200), 긴급 충전 요청을 발생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210).
확인 결과, 긴급 충전 요청을 발생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으면 즉시 충전 모드(1100)로 스위칭하고, 없으면 일반 충전 요청을 발생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220, 1230).
일반 충전 요청을 발생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없으면 계속하여 대기 모드를 유지하고, 일반 충전 요청을 발생한 전자 가격 표시기가 있으면 충전 모드(1100)로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구비된 충전 모듈이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1300),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1310).
확인 결과, 충전이 필요하면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을 한다(1320, 1330).
반면, 충전이 필요하지 않거나, 충전 시작 후 충전이 완료되면 대기 모드(1400)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구비된 충전 모듈이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1400),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1410).
확인 결과, 충전이 필요하면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한 후(1420), 충전 모드(130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된 정도에 따라 일반 충전 요청 신호 또는 긴급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충전 모드(1300)로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가격 표시기(300)에 구비된 충전 모듈에서 일반 충전 요청 신호 밀 긴급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할 수 없을 정도로 극단적으로 방전되어 긴급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 모드(1300)에서 최소한의 충전을 실시한 후, 대기 모드(1400)로 스위칭한 후 상술한 과정에 따라 충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전원 공급 장치와 전자 가격 표시기의 충전 모듈 측에서의 모드 스위칭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100: 전자 가격 표시 서버
200: 전자 가격 표시 중계기
300: 전자 가격 표시기
310: 충전 모듈
311: 충전기부
312: 제어부
313: 배터리부
400: 전원 공급 장치
410: AC-DC 컨버터부
420: 모드 스위치부
430: DC-AC 컨버터부
440: 제어부
500: 선반 장치
510: 충전 라인
520: 리턴 라인
600: 중계기

Claims (15)

  1. AC 전원을 입력받아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의 구동을 위한 형태로 변환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선반 장치; 및
    상기 선반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모듈을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충전모드와 대기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모드 스위치부;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통해 전달받은 DC 전원을 충전전압 또는 대기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부는,
    상기 AC 전원을 입력받아 역률 보정을 수행하는 입력단;
    상기 충전모드를 위한 DC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출력단; 및
    상기 대기모드를 위한 DC 전원을 출력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부는, 상기 충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출력단과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충전모드와 상기 대기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 가격 표시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요청 신호에 따라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모드와 상기 대기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상기 모드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장치는,
    1차 코일(Primary Coil)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충전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의 일 단과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하는 리턴 라인을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로 동작 시,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만 대기전압이 유지되고, 나머지 라인은 오픈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선반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충전 라인과 상호유도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부;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에 유기된 전압 레벨을 확인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고,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충전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충전기부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전자 가격 표시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충전 모듈의 충전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에 기 정해진 형태의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레벨이 기 설정된 제 1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에 기 정해진 형태의 제 1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요청 신호는 각 충전 모듈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기 전에 시작 비트를 발생하여 타 충전 모듈과의 중재 과정을 진행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레벨이 기 설정된 제 2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라인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인 제 2 충전 요청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충전 모듈의 충전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 기 정해진 형태의 충전 요청 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기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0150075871A 2015-05-29 2015-05-29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13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1A KR20160139931A (ko) 2015-05-29 2015-05-29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1A KR20160139931A (ko) 2015-05-29 2015-05-29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31A true KR20160139931A (ko) 2016-12-07

Family

ID=5757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71A KR20160139931A (ko) 2015-05-29 2015-05-29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9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611A (ko) 2019-11-28 2021-06-07 이동욱 렉테나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가격표시기
KR102303197B1 (ko) * 2021-04-16 2021-09-16 주식회사 라인어스 배터리 충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404A (ko)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선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404A (ko)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선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611A (ko) 2019-11-28 2021-06-07 이동욱 렉테나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가격표시기
KR102303197B1 (ko) * 2021-04-16 2021-09-16 주식회사 라인어스 배터리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3939A (zh) 用于电力导体到用电设备的配电的安全断电
CN100452610C (zh) 用于控制和监控负载点调节器的阵列的方法和系统
EP2884621B1 (en) System for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tag
US20120280650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s
CN103843287A (zh) 电照明系统功率控制
CN105191040A (zh) 用于控制无线电力接收器中的异常状况的方法和装置
CN101964551A (zh) 电力接收设备、电力传输系统、充电设备和电力传输方法
CN102844965A (zh) 输电控制装置、受电控制装置、电力传输系统以及电力传输系统的数据通信方法
US10319546B2 (en) Wireless switch
JP2008253002A (ja) 電力中継装置、電力機器、及び、電力中継方法
KR101926196B1 (ko) 병렬 팩 배터리 시스템의 장애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2676A (ko) 설치형 충전 시스템
CN115158078A (zh) 电力控制系统和车辆
KR20160139931A (ko) 전자 가격 표시기 무선 충전 시스템
CN100544263C (zh) 一种远程供电系统和其上电控制方法
CN110138404B (zh) 用于向保护和控制设备提供无线连接的收发器设备
WO2011043599A2 (ko)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US20120299385A1 (en) Power supply system with variable supply voltage
JP2009170254A (ja) 照明システム
US8890487B2 (en)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KR100911261B1 (ko) 가로등/보안등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10046B1 (ko) 전력 모니터링과 관리를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서 신호 처리 방법
CN217692725U (zh) 一种充电装置以及相应车辆
CN104521098B (zh) 具有省电功能性的dc配电系统
US9577470B2 (en) Electrical and/or electronic supply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pply vol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