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436B1 - 저전력 센서 노드 - Google Patents

저전력 센서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436B1
KR101457436B1 KR1020130092610A KR20130092610A KR101457436B1 KR 101457436 B1 KR101457436 B1 KR 101457436B1 KR 1020130092610 A KR1020130092610 A KR 1020130092610A KR 20130092610 A KR20130092610 A KR 20130092610A KR 101457436 B1 KR101457436 B1 KR 10145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sensor node
pow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김용배
최중덕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3009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에 이용되는 센서 노드로서, 상기 센서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일정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타이머부; 상기 센서 노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검출부; 감지 대상 또는 감지 영역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인접한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원검출부와 감지부 및 통신부는 평상 시 휴지(Idle)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타이머부의 제어부 활성화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휴지 상태와 활성화 상태가 각각 상이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에너지 하비스트를 통해 생산되는 소량의 에너지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원활한 구동 및 구축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센서 노드{LOW POWER SENSOR NODE}
본 발명은 저전력 센서 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하비스트(Energy Harvest) 자원을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저전력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지점을 탐지하여 정보를 수집하며 가공하는 기능을 하는 센서(sensor)기술의 발전과,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s)의 발전에 의해서 이들이 접목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관련 기술들이 많이 나왔다.
또한, 1988년 마크 와이저(Mark Weiser)에 의하여 신개념의 IT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이 제안되어졌다.
전술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접목되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 USN) 기술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USN은 필요한 모든 사물에 전자식별 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통하여 사물의 인식정보를 기본으로 주변의 정보를 탐지하여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수집된 관련 정보가 원격의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USN은 IEEE 802.15.4 표준 및 지그비(ZigBee) 표준에 의거하여 제작된 센서노드들의 집합체로써, 근접한 지역에 조밀하게 배치된 복수의 센서(센서 노드)들이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능력을 갖춰 인간이 직접 탐지하기 어려운 악조건 속에서도 부여받은 자율적인 동작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센서 노드 간의 협동, 자율적 구성능력 및 센서 노드의 데이터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한편, 최근들어 전술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에너지 하비스트(Energy Harvest) 기술이 접목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또는 USN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에너지 하비스트는 주변 환경에서 버려지는 빛, 진동, 열 등의 에너지를 수집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에너지 하비스트 개념은 수년 전에 등장한 것이지만 실제 환경에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까다롭고, 복잡하고, 많은 비용을 소요하였다. 그렇기는 하지만 교통수송 인프라, 무선 의료 장비, 타이어 압력 센싱, 그리고 지금까지 가장 큰 시장으로서 건물 자동화 등의 시장에서 에너지 하비스트 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건물 자동화의 경우에는 사용자 센서, 서모스탯, 광 스위치 등과 같은 시스템들이 통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전력 또는 제어 배선을 제거하고 대신에 기계적 또는 에너지 하비스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에너지 하비스트 기법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는 건물 내의 어떠한 수의 센서라도 연계시켜서 건물에 사용자가 없을 때는 불필요한 구역으로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및 조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하비스트 장치의 가격은 공급 배선을 설치하는 것보다 대개 낮으며 그러므로 전력 하비스트 기법을 도입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확실한 이득이다.
여기서, 에너지 하비스트 기법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접목시키는 것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동 자원의 고효율이 가장 이슈화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센서 노드, 싱크 노드 등)의 저전력 구동 구현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만 한다.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65086호(2009. 6. 22. 공개, 저전력을 위한 이벤트 기반 센서 노드 및 그 동작 방법)가 있었다.
종래 기술은, 저전력 감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에 따라 요청/응답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이벤트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기위한 이벤트 센싱 수단; 상기 저전력 감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외부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요청/응답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처리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이벤트 송/수신 수단; 및 상기 전달받은 센싱 및 전송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벤트 처리 결과를 요청/응답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송/수신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이벤트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저전력을 위한 이벤트 기반 센서 노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저전력 감지 상태라고 하더라도 항상 감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소형 배터리 적용에 의한 저전력은 구현될 수 있으나, 에너지 하비스트 기법과 같은 소량의 에너지를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하비스트를 통해 생산되는 소량의 에너지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원활한 구동 및 구축이 구현될 수 있는 저전력 센서 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에 이용되는 센서 노드로서, 상기 센서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일정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타이머부; 상기 센서 노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검출부; 감지 대상 또는 감지 영역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인접한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원검출부와 감지부 및 통신부는 평상 시 휴지(Idle)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타이머부의 제어부 활성화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휴지 상태와 활성화 상태가 각각 상이하게 적용되는 저전력 센서 노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전력 센서 노드는 상기 감지부의 기존 감지 내역을 저장하고, 감지부의 현재 감지값과 기존의 감지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의 전원 공급량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원검출부와 감지부와 비교부와 통신부 각각의 휴지 상태 및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전환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제어부의 활성화 신호가 전송될 경우, 상기 전원검출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전원 공급량을 확인하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상기 전원검출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감지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상기 전원검출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감지부가 활성화되어 센싱 수행을 완료할 경우, 상기 비교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감지부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기존 값과 동일하거나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부 및 비교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며, 감지부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허용 오차 범위를 넘어서는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부 및 비교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값을 인접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에너지 하비스트를 통해 생산되는 소량의 에너지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원활한 구동 및 구축이 구현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의 구동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저전력 센서 노드의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100, 이하 '센서 노드'라 함)는, 제어부(10), 타이머부(20), 전원검출부(30), 감지부(40), 비교부(50), 통신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센서 노드(100)의 전반적 제어 및 센서 노드(100)를 이루는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로 마련될 수 있다.
타이머부(20)는 제어부(10)에 활성화 신호를 일정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각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슬립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검출부(3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 유무가 결정되며, 활성화될 경우, 센서 노드(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여기서 감지된 전원 공급량은 제어부(10)로 전달되어 전원 공급량에 따라 센서 노드(100)의 세부 구성의 활성화 유무가 결정된다.
감지부(40)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구축된 환경에서 감지 대상 또는 감지 영역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감지를 수행하는 각종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비교부(50)는 감지부(40)에서 감지된 기존의 센싱 정보에 대한 내역을 저장하고, 감지부(40)의 감지 활동에 따라 획득된 센싱 정보와 기존의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비교부(50)는 일정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분을 포함하며, 설정에 따라 가장 최근의 센싱 정보와 현재 감지된 센싱 정보를 1:1로 비교하거나, 최근 몇 건의 센싱 정보의 평균값과 현재 감지된 센싱 정보를 비교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센싱 정보 범위와 현재 감지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이를 제어부(1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교부(50)의 저장부분은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구현되어 비교 연산의 간소화 및 소비전력의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해당 센서 노드(100)와 인접한 센서 노드 또는 후단의 센서 노드 및 싱크 노드로 감지부(40)의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센서 노드 간,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 간 및 센서 노드와 게이트 웨이 간 통신을 구현한다.
한편, 제어부(10)는 전원검출부(30)의 전원 공급량을 확인하여 제어부(10)와 전원검출부(30)와 감지부(40)와 비교부(50)와 통신부(60) 각각의 휴지 상태 및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전환부(12)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각 구성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100)는 에너지 하비스트 자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저전력 회로가 포함되며, 저전력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설명은 하기에 기술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100)는 평상 시(센서 미 작동) 휴지 상태로 유지되어 소모 전원을 최소화하며, 구체적으로, 제어부(10)와 전원검출부(30)와 감지부(40), 비교부(50) 및 통신부(60)는 평상 시 휴지(Idle) 상태(딥 슬립)로 유지되되, 타이머부(20)의 제어부(10) 활성화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휴지 상태와 활성화 상태가 각각 상이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 센서 노드(100)에서는 타이머부(20) 만 동작되는 상태이다.
다음, 타이머부(20)의 설정에 따라 계획된 시각에 타이머부(20)는 상태 전환부(12)로 활성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한 상태 전환부(12)는 전원검출부(30)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즉, 상태전환부(12)는 타이머부(20)로부터 제어부(10)의 활성화 신호가 전송될 경우, 전원검출부(3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센서 노드(10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확인한다.
이 경우, 센서 노드(100)에서는 제어부(10)와 전원검출부(30) 만이 동작되는 상태이다.
이어,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전원검출부(3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감지부(4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전원검출부(30) 및 제어부(1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량은 해당 센서 노드(100)에서 한 번의 감지를 수행하고 감지된 정보를 일회 전송할 수 있는 정도의 수치에서 인근 센서 노드(100)로부터의 감지 정보 전송을 중계할 수 있는 수치를 더한 정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어, 상태전환부(12)는 감지부(40)가 활성화되어 센싱 수행을 완료할 경우, 비교부(5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감지부(40)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기존 값과 동일하거나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으로 판단되면 감지부(40) 및 비교부(50) 및 제어부(1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며, 감지부(40)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허용 오차 범위를 넘어서는 값으로 판단되면 감지부(40) 및 비교부(5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통신부(6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감지부(40)에서 측정된 감지 정보가 신호 전송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일 경우, 센서 노드(100)가 전체적으로 다시 휴지 상태로 전환되고, 신호 전송이 필요한 상황일 경우, 감지부(40)와 비교부(5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켜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통신부(60)를 활성화시켜 신호 전송에 필요한 구성만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신호 전송이 필요한 경우 센서 노드(100)에서 동작하는 구성은 제어부(10)와 통신부(60)이다.
이어, 상태전환부(12)는 통신부(60)가 활성화되어 감지부(40)에서 감지된 값을 인접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 또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한 후, 통신부(60) 및 제어부(10)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통신부(60)에 의해 감지 정보가 전송된 후, 센서 노드(100)는 전체적으로 다시 휴지 상태로 유지되어 전원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는 단일의 센서 노드(100)에서의 저전력 동작 구현을 위한 각 세부 구성의 동작 및 활성화, 휴지 여부 만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실제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각 센서 노드 간의 통신, 센서 노드와 싱크 노드 또는 센서 노드와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정보 전달)이 필요하다.
실제로 인접 노드에서 해당 노드로 감지 정보를 전송한 상황에서 해당 노드의 통신부가 휴지 상태로 유지될 경우, 해당 통신부는 감지 정보 수신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정보 전달에 있어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법으로는 통신부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기법과 통신부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해당 센서 노드의 동작과 무관하게)시켜 인접 노드에서 전달될 수 있는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전달 감지 정보를 후단의 노드(중계 노드) 또는 최족 목적 노드(싱크 노드 또는 게이트 웨이)로 전달하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부(10) 내부에 노드 간 통신을 위한 개별 설정 및 통신부(60)의 활성화/휴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독립적인 판단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차원에서의 해당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센서 노드, 싱크 노드, 게이트 웨이 등에 대한 제어 구성(관리 서버)의 부가 및 네트워크 시스템이 일괄적으로 일정 시간 단위로 구동되는 설정(감지 사이클의 동기화)을 부가하여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2. 저전력 센서 노드의 동작에 대한 설명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의 구동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타이머부에 의해 제어부가 활성화된다.(S10)
여기서, 제어부가 활성화되면, 제어부 내부의 상태 전환부가 활성화된다.
다음, 상태 전환부에서 전원 검출부를 활성화시켜 센서 노드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측정한다.(S20)
다음, 전원 검출부에서 측정된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다음 단계(S40)로 넘어가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센서 노드를 휴지 상태로 전환(S80)시킨 후 종료한다.
다음,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상태 전환부는 전원 검출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감지부를 활성화시켜 해당 대상 또는 영역에 대해 센싱 정보를 획득한다.(S40)
다음, 감지부에 의한 정보 획득이 완료되면 상태 전환부는 비교부를 활성화시키고 감지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감지부는 획득된 정보를 비교부로 전달한 후 휴지 상태로 전환되며, 비교부는 센싱 정보의 변동 여부를 비교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S50)
다음, 센싱 정보의 변동이 있을 경우, 상태 전환부는 비교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통신부를 활성화(S60) 시키고, 센싱 정보의 변동이 없을 경우, 센서 노드를 휴지 상태로 전환(S80)시킨 후 종료한다.
다음, 통신부의 활성화에 따라 감지된 센싱 정보를 목적 노드 또는 중계 노드 또는 최종 목적 노드로 전송(S70)하고, 상태 전환부는 제어부 및 통신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S80)시킨 후 종료한다.
이 후,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며, 이러한 과정(목적 동작에 연관되어 있는 구성만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고 나머지 구성은 휴지 상태로 유지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에너지 하비스트 자원을 이용하는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센서 노드는, 에너지 하비스트를 통해 생산되는 소량의 에너지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원활한 구동 및 구축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서 노드
10 : 제어부
12 : 상태전환부
20 : 타이머부 30 : 전원검출부
40 : 감지부 50 : 비교부
60 : 통신부

Claims (6)

  1.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에 이용되는 센서 노드로서,
    상기 센서 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일정 주기 또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타이머부;
    상기 센서 노드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전원검출부;
    감지 대상 또는 감지 영역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인접한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원검출부와 감지부 및 통신부는 평상 시 휴지(Idle)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타이머부의 제어부 활성화에 의한 제어에 따라 휴지 상태와 활성화 상태가 각각 상이하게 적용되며,
    상기 감지부의 기존 감지 내역을 저장하고, 감지부의 현재 감지값과 기존의 감지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의 전원 공급량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원검출부와 감지부와 비교부와 통신부 각각의 휴지 상태 및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상태전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제어부의 활성화 신호가 전송될 경우, 상기 전원검출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전원 공급량을 확인하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상기 전원검출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감지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전원 공급량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상기 전원검출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센서 노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감지부가 활성화되어 센싱 수행을 완료할 경우, 상기 비교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감지부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기존 값과 동일하거나 허용 오차 범위 내의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부 및 비교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며, 감지부에서 센싱된 현재 값이 허용 오차 범위를 넘어서는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부 및 비교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센서 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전환부는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값을 인접 센서 노드 또는 싱크 노드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부 및 제어부를 휴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센서 노드.
KR1020130092610A 2013-08-05 2013-08-05 저전력 센서 노드 KR10145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10A KR101457436B1 (ko) 2013-08-05 2013-08-05 저전력 센서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10A KR101457436B1 (ko) 2013-08-05 2013-08-05 저전력 센서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436B1 true KR101457436B1 (ko) 2014-11-05

Family

ID=5228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10A KR101457436B1 (ko) 2013-08-05 2013-08-05 저전력 센서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4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8662A (zh) * 2016-12-30 2017-05-10 国网能源研究院 一种无线供电通信方法及系统
US10340700B2 (en) 2016-07-29 2019-07-02 Analog Devices Global Power regulation system for energy harvesters
KR101999142B1 (ko) * 2018-02-28 2019-07-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20190122409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와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KR20220111368A (ko) * 2021-02-02 2022-08-09 안종영 지능형 스마트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164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그 운용 방법
KR20110108740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절전형 센서 노드
KR20120042377A (ko)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용 센서 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164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그 운용 방법
KR20110108740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절전형 센서 노드
KR20120042377A (ko)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용 센서 노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700B2 (en) 2016-07-29 2019-07-02 Analog Devices Global Power regulation system for energy harvesters
CN106658662A (zh) * 2016-12-30 2017-05-10 国网能源研究院 一种无线供电通信方法及系统
CN106658662B (zh) * 2016-12-30 2020-06-26 国网能源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线供电通信方法及系统
KR101999142B1 (ko) * 2018-02-28 2019-07-11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중앙서버, 그리고 그 동작 방법
KR20190122409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와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KR102045952B1 (ko) * 2018-04-20 2019-11-18 주식회사 와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KR20220111368A (ko) * 2021-02-02 2022-08-09 안종영 지능형 스마트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2630770B1 (ko) * 2021-02-02 2024-01-29 안종영 지능형 스마트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5047B2 (ja) 計測端末装置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457436B1 (ko) 저전력 센서 노드
US10091748B2 (en) Communications node, system, and synchronizing method
KR101662507B1 (ko)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JP5584308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を操作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099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group control mode by using user intervention information
US99243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s presence
US106494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device's user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 power usage
JP2007034737A (ja) センサデバイス、サーバ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センサデバイス制御方法
US108599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device's user location to monitor and control the device power usage
JP3873730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中継装置
KR20160149992A (ko)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JP2009218776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5025556B (zh) 风载荷传感节点装置及其工作状态管控方法
CN105338008A (zh) 一种用于物联网的设备调度方法、设备与系统
US9599975B2 (en) Sensor synchronized networks using overlapping sensor fields
KR100831840B1 (ko) 지그비 태그 및 그 동작 방법
US9520055B2 (en)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node and a second node of a home automation installation
KR102251629B1 (ko) 다양한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초저전력 무선 센서 모듈
Devidas et al. A system for energy conservation through personalized learning mechanism
US20220060867A1 (en) Wireless sensor device, hos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power operation of wireless sensor device
US11343774B2 (en) Enhanced frame pending
KR100898336B1 (ko)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Al-Habal et al. Ultra-Low Power Layered IoT Platform for Museum Content Conservation
KR20120137584A (ko) 건물 내 효율적인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경정보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