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33Y1 -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33Y1
KR200468933Y1 KR2020120003484U KR20120003484U KR200468933Y1 KR 200468933 Y1 KR200468933 Y1 KR 200468933Y1 KR 2020120003484 U KR2020120003484 U KR 2020120003484U KR 20120003484 U KR20120003484 U KR 20120003484U KR 200468933 Y1 KR200468933 Y1 KR 200468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battery
external terminal
power suppl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택
송창석
Original Assignee
송창석
심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석, 심수택 filed Critical 송창석
Priority to KR2020120003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하는 센싱부, 배터리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외부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전원 공급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계량기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계량기를 법정수명 년한동안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배터리 수명이나 잔여량 등에 대해 일일이 체크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번거로움이 제거되게 된다.

Description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Measuring apparatus to measure discharge and rea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량기의 전원이 소진되어도 계측 및 검침이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런너를 회전시키면, 런너의 회전량이 카운팅되어 LCD와 같은 유량정보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량을 계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량 표시를 위해서는 LCD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회로가 내장되게 되며, 이 뿐만 아니라 원격 검침과 같은 계량기의 부수적인 목적을 위해서도 전자회로가 내장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전자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전원을 요하게 되는데, 구동전원은 통상적으로 계량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계량기들은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배터리 사용시간 또는 계량기 설치 연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어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계량기들을 일일이 점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내장된 계량기는 임의적인 개조 또는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봉인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소진되었음을 예측하였다고 하더라도 배터리 교환이 현실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계량기에 내장된 배터리 용량을 자가진단하고 잔여 배터리 용량에 따라 외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량기에 내장된 배터리 용량이 소진되거나 소진예정이라도 계량기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가능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는, 내부의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외부 단말 또는 상기 외부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포함된 외부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내부 전원 또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배터리 용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에 상기 외부 단말의 전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로 상기 외부 단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계량기 내에서 단독적으로 교체불가능하도록 봉인되어 마련되고, 상기 외부 단말은 검침기이며, 상기 검침기에 마련된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검침기 내에서 단독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시스템은,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로서, 봉인되어 단독 교체 불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계량기 내부 전원 또는 외부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내부 전원의 용량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서 계측된 유량을 전송받기 위한 검침기로서, 단독 교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검침기 내부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계량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계량기 내부 전원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침기 내부 전원을 상기 계량기로 전달하는 검침기; 및 상기 계량기의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검침기의 배터리를 연결시켜, 상기 검침기의 배터리에서 상기 계량기의 외부 전원 공급부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침기는, 상기 계량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감지부; 상기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LED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상기 검침기와 상기 계량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과전류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량기에 내장된 배터리 용량이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법정수명 이전에 조기 소진되거나 소진될 예정이라도 계량기를 교체하지 않고 법정수명 년한까지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계량기에 내장된 배터리 수명이나 잔여량 등에 대해 일일이 체크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번거로움이 제거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검침 시스템은, 계량기(100), 검침기(200)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0)로 구성된다.
계량기(100)는 수도, 온수, 적산열량, 가스, 전기 등에 대한 사용량을 헤아리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5~10년 동안 사용가능한 정도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계량기(100)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만 단독적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상태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100)는 배터리에 대한 사용이 완료되거나 사용 완료가 예정되기 전에 계량기(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검침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소진되어도 전체적인 교체 작업 없이 계량기(10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검침기(200)는 계량기(100)에서 계측된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계량기(100)와 마찬가지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검침기(200)에 마련된 배터리는 계량기(100)에 마련된 배터리와 달리 자유롭게 분리, 교체 및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제조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검침기(200)는 검침기(200) 내부의 전원이 계량기(1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계량기(100)의 배터리가 소진되거나 소진예정인 경우라도 계량기(100)에 대한 교체 작업 없이 사용가능한 상태를 만들게 된다.
케이블(10)은 계량기(100)와 검침기(200)를 연결하여 검침기(200)의 전원을 계량기(100)로 전달하거나 계량기(100)와 검침기(200) 간의 정보 교환 역할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10)은 계량기(100)와 검침기(200) 간에 상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량기(100)와 검침기(200)는 계량기(100)의 배터리 용량 정보를 교환함으로서, 검침기(200)의 전원이 계량기(1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계량기(100)가 검침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계량기(100) 주도적인 방법과 검침기(200) 주도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은, 계량기(100) 측에서 계량기(100)의 배터리 용량을 체크하여 검침기(200)로 전원을 요청하는 방법이며,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은, 검침기(200) 측에서 계량기(100)의 배터리 용량을 체크하여 계량기(100)로 전원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과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의 각각의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각각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1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량기(100)는 배터리(110), 외부 전원 공급부(120), 센싱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로 구성된다.
배터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된 상태로 계량기(100) 내에 봉인되어, 단독으로 교체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형태로 마련되며, 후술할 외부 전원 공급부(120), 센싱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와 같은 전자회로 유닛들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외부 전원 공급부(120)는 계량기(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검침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케이블(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게 된다.
센싱부(130)는 배터리(110)의 잔여량을 체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센싱부(130)는,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배터리(110)의 잔여량을 체크한다. 또한, 센싱부(130)는,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 검침기(200)로부터 배터리(110)의 잔여량 체크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배터리(110)의 잔여량을 체크하게 된다.
통신부(150)는 검침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1)검침기(200)에게 전원 공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2)배터리(110) 용량 정보를 검침기(200)로 전달하거나 (3)검침기(200)로부터 배터리(110) 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1)의 경우는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3)의 경우는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2)의 경우는 주로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40)는 전술한 외부 전원 공급부(120), 센싱부(130),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필요한 상황에서 검침기(200)의 전원이 계량기(100) 전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검침기(200)는, 계량기(100)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감지부,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LED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검침기(200)와 계량기(100)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과전류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계량기(1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 검침기(200) 전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계량기(100)와 검침기(200)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S310), 계량기(100)는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을 체크하게 된다(S320).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S330-Y), 계량기(100)는 검침기(200)로 외부 전원을 공급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S340), 검침기(200)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검침기(200)의 전원을 계량기(100)로 공급하게 된다(S350).
이후, 계량기(100)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60), 연결된 경우(S360-Y), 내부의 배터리(110) 대신 외부의 검침기(200) 전원으로 대체하여 계량기(100) 전반의 전자회로 유닛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S370).
이에 의해, 계량기(100)에 내장된 배터리(110) 용량이 소진되거나 소진될 예정이라도 계량기(100)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처음부터 계량기(100)와 검침기(200)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이와 같은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계량기(100)와 검침기(200)가 처음부터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계량기(100)에서 외부 전원 공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에 경보음 또는 LCD 표시창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는 주의를 주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상에서는 계량기(100) 자체적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60)이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4는 검침기(200) 주도의 전원 공급 방법 하에 검침기(200) 전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계량기(100)와 검침기(200)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S410), 검침기(200)는 계량기(100)로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420).
계량기(100)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을 체크하고(S430), 배터리(110)의 용량 정보를 검침기(200)로 전달하게 된다(S440).
검침기(200)는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S450-Y), 검침기(200) 자체의 전원인 외부 전원을 계량기(100)로 공급한다(S460).
이후, 계량기(100)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70), 연결된 경우(S470-Y), 내부의 배터리(110) 대신 외부의 검침기(200) 전원으로 대체하여 계량기(100) 전반의 전자회로 유닛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S480)
이에 의해서도 계량기(100)에 내장된 배터리(110) 용량이 소진되거나 소진될 예정이라도 계량기(100)를 분해하거나 교체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상에서도 계량기(100)와 검침기(200)가 처음부터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계량기(100) 자체적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470)도 생략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블 100 : 계량기
110 : 배터리 120 : 외부 전원 공급부
130 : 센싱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200 : 검침기

Claims (7)

  1.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에 있어서,
    내부의 전자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외부 단말 또는 상기 외부 단말과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포함된 외부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내부 전원 또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기초로 상기 센싱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배터리 용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에 상기 외부 단말의 전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통신부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은,
    상기 수신된 배터리 용량 정보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로 상기 외부 단말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계량기 내에서 단독적으로 교체불가능하도록 봉인되어 마련되고,
    상기 외부 단말은 검침기이며, 상기 검침기에 마련된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검침기 내에서 단독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6.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계량기로서, 봉인되어 단독 교체 불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계량기 내부 전원 또는 외부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내부 전원의 용량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서 계측된 유량을 전송받기 위한 검침기로서, 단독 교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검침기 내부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계량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계량기 내부 전원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침기 내부 전원을 상기 계량기로 전달하는 검침기; 및
    상기 계량기의 상기 외부 전원 공급부와 상기 검침기의 배터리를 연결시켜, 상기 검침기의 배터리에서 상기 계량기의 외부 전원 공급부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검침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기는,
    상기 계량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전류 감지부;
    상기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LED 램프를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상기 검침기와 상기 계량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과전류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침 시스템.
KR2020120003484U 2012-04-27 2012-04-27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KR200468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4U KR200468933Y1 (ko) 2012-04-27 2012-04-27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4U KR200468933Y1 (ko) 2012-04-27 2012-04-27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33Y1 true KR200468933Y1 (ko) 2013-09-10

Family

ID=5139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484U KR200468933Y1 (ko) 2012-04-27 2012-04-27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94B1 (ko) * 2015-04-16 2015-11-20 주식회사 그린플로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는 디지털 수도미터기
KR101632931B1 (ko) * 2015-12-11 2016-06-23 주식회사 디엠파워 2선식 저전압 전력선 통신 기반의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2752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우원테크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가스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전력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102272643B1 (ko) * 2020-04-14 2021-07-05 주식회사 라디언트 계량 값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계량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607A (ja) * 1993-04-15 1994-10-28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の電子回路
KR20110133247A (ko) * 2010-06-04 2011-12-12 김진택 유량검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607A (ja) * 1993-04-15 1994-10-28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器の電子回路
KR20110133247A (ko) * 2010-06-04 2011-12-12 김진택 유량검출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52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우원테크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가스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전력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101649897B1 (ko) 2015-01-28 2016-08-22 주식회사 우원테크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가스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전력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101567394B1 (ko) * 2015-04-16 2015-11-20 주식회사 그린플로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는 디지털 수도미터기
KR101632931B1 (ko) * 2015-12-11 2016-06-23 주식회사 디엠파워 2선식 저전압 전력선 통신 기반의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272643B1 (ko) * 2020-04-14 2021-07-05 주식회사 라디언트 계량 값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계량기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933Y1 (ko) 유량 계측을 위한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검침 시스템
JP5842120B2 (ja) 電力使用監視装置、電力使用監視システム
EP2150824A1 (en) Energy meter with power source
US20110298635A1 (en) Self dynamo smart flow utility meter and system for flow utility real-time flow usage monitoring and control, self error and leakages monitoring
JP2014501960A5 (ko)
CN108780929A (zh) 用于液态电解质电池的智能监测系统
CA293285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utility metering and meter monitoring
KR101126915B1 (ko) 에너지 계량 시스템, 에너지 계량 장치, 에너지 계량 방법
JP2010198817A (ja) 省電力電源アダプタ
JP2006153836A (ja) ガス計量システム
KR20110030999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가스 검침 방법 및 장치
JP6106904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
KR101616257B1 (ko) 무전원 수도검침장치 및 이를 탑재한 수도검침시스템
CN101839521B (zh) 一种实时热量分摊装置
KR101225456B1 (ko)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시스템
CN102313830A (zh) 家用感应式电表
JP2007165040A (ja) 二次電池の保守管理方法
US20150312656A1 (en) Extended fluid meter battery life apparatus and methods
JP2004245541A (ja) ガス保安システム
KR100541357B1 (ko) 원격검침 일체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090010929U (ko) 온도 구간별 사용량 저장이 가능한 수도미터기
KR101149718B1 (ko) 블록 시스템용 수도 미터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관리 시스템
CN209102163U (zh) 一种双控单元燃气表计量电路
JP2006177710A (ja) 器具別消費電力量管理システム
JP2007298394A (ja) メータ用アダプタ及び自動検針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