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461A -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461A
KR20110108461A KR1020100027662A KR20100027662A KR20110108461A KR 20110108461 A KR20110108461 A KR 20110108461A KR 1020100027662 A KR1020100027662 A KR 1020100027662A KR 20100027662 A KR20100027662 A KR 20100027662A KR 20110108461 A KR20110108461 A KR 2011010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id
sodium
decomposition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렐코리아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렐코리아, 신호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2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461A/ko
Publication of KR2011010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4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우유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복합 분해 수지 조성물의 사용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고가의 제품을 저가로 다운하여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Multi degradable plas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고가의 제품을 저가로 다운하여 생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약 100년 전에 발명된 합성수지는 내약품성, 내구성 및 여러 물성 등이 우수하여 천연소재의 대체물로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후 폐기시 자연으로 환원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속히 증가되는 일회용 포장재는 소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회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농업용 뿌리덮기에 사용되는 필름은 완전한 회수가 불가능하여 토양에 묻혀 농작물 성장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 상기 합성수지를 폐기시키는 방법으로는 폐기물을 연소시키거나, 토양에 매립하는 방법,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합성수지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방법은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2차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립방법 역시 분해되지 않고 토지에 그대로 남아 있어 2차 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 역시, 그 회수율이 약 20%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고, 회수하여 중복사용할지라도 무제한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최종폐기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폐기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해성 수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러한 분해성수지의 종류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생분해성수지와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하여 분해되는 광분해성수지로 대별된다.
상기 생분해성수지에는 미생물의 생체내에서 생합성되어 생분해성이 있는 폴리하이드록시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등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물질을 혼합한 수지 등이 있고, 광분해성수지에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를 공중합하여 주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에틸렌과 비닐케톤을 공중합하여 측쇄에 카르보닐기를 도입한 수지 및 전이금속 등 산화제를 첨가한 수지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해성수지중 미생물이 생합성한 수지, 합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은 분해성은 우수하나 제조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수지는 가격은 저렴하나 물성저하 및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분해성수지는 태양광에 노출시에는 분해성이 우수하나 토양에 매립시에는 분해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열가소성수지에 천연고분자를 첨가한 분해성 수지는 물성저하 등을 우려하여 분해물질인 전분 등 천연고분자를 10% 이상 첨가할 수 없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원료물질 등을 입자상태로 첨가하므로, 분해물질이 불연속상으로 분포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미국특허 4121025호는 0.05∼0.5%의 세륨 스테아레이트(cerium stearate)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을 광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세륨 스테아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생
산원가가 높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적 많은 량의 폐기물이 여전히 잔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른 선출원인 중국 특허 1115771A호는 옥시알킬렌과 강염촉매제를 사용하여 변성전분을 만들고, 상기 변성전분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분해비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선출원인 국내 특허등록 137385호는 석신산, 석신산무수화물, 석신산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화합물, 디올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 그리고, 3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에스테르화 반응 및 중축합 반응시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얻고, 무기충진제로 찰흙과 가는 모래를 조합하여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블랜딩(Blending)하여 분해속도를 저하하지 않으면서도 고강도, 미관의 색조, 형태안정성, 경제성을 만족시
켜 사출품으로 다양한 용도전개를 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상기한 방법 역시 완전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선출원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639106호를 제안하였는 바, 상기 선등록 제10-0639106호는 합성수지에 생물분해제, 생물분해촉진제, 분해촉진제, 광민제, 광민촉진제, 자양화제, 교련제, 분해공제제 및 비닐친수제로 이루어지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로써, 자양화분해, 광분해, 미생물분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자의 선등록특허는 원료의 고단가로 인해 수요가 적고, 사용분야는 광범위하나 사용량의 과다로 인해 수요자가 불편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가의 제품을 저가로 다운하여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에 복합 분해 촉진제를 소량만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종래와 달리 전분과 광민제의 첨가없이 생물첨가제와 광양화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가 단열하게 하고 분자량을 낮추어 전분과 광민재료의 첨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폐단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우유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양화제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합성수지 20~35중량%, 탄산칼슘 40~60중량%, 파라핀왁스 0.5~1.5중량%, 폴리에틸렌왁스 1.5~2.5중량%,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0.01~0.03중량%,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0.9~1.2중량%, 염화철 0.3~0.5중량%,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92~1.4중량%, 스테아린 산 0.1~1중량%,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0.09~0.17중량%, 폴리비닐알코올 4.8~13중량%, 글리세린 0.1~1중량%, 글리세롤 0.1~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15~0.55중량%, 소르비톨 0.05~0.25중량%, 붕사 0.09~0.17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0.17~0.3중량%,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0.09~0.17중량%, 과산화벤조일 0.01~0.02중량%, 알긴산나트륨 0.05~0.12중량%,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0.05~0.15중량% 및 우유가루 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20~35중량%는,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분해성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광범위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분해성 수지들과는 달리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분해가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 생물 2가지 분해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 사용되어 오던 전분과 광민제(photosensitizer)를 첨가하지 않고 생물첨가제와 광양화제(Slow release medicinal preparation)를 첨가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광범위한 플라스틱 재료에 모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 사용 폐기 후 분해 촉진제가 다종방식의 분해방식이 일어나게 하고 상호 촉진하게 함으로써, 근본적으로 분자연쇄가 단열하게 하고, 분자량을 낮추며 지속적으로 분해과정을 완성하여 완전분해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우유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합성수지를 반드시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의 사용량은 20~3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합성수지가 25중량% 미만이 되면 기타 합성수지와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와의 혼합시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3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복합 분해 촉진제의 사용량을 늘려야 함에 따라 사용자들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주 연쇄의 측면에 아주 많은 지 연쇄가 있어 밀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며,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짧은 지 연쇄를 가지고 있어 물성이 양호하며, 인장강도가 30Mpa에 달하고 800%이상에 달하며 충격강도, 저온충격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로서 LDPE와 LLDPE를 함께 사용할 경우 광분해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합성수지로서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양화제는 복합 분해 촉진제의 단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은 물론, 부수적으로 제품의 양과 경도 및 안정성을 개선하여 주고, 분해유도기를 조절하며, 분해과정 시 자체로 분해반응을 일으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의 단열을 촉진 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CaCO3)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양화제의 사용량은 40~60중량%가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40중량% 미만이 되면 단가절감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내충격성 및 성형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파라핀 왁스는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58-60도의 융점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이 0.5~1.5중량%인 바 0.5중량% 미만이 되면 분산제로서의 역할이 어렵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왁스(PE WAX)는 흐름성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바,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는 윤활제로서 화학성질이 안정하며 도전성능이 양호하여 강한 내부 윤활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 사용량은 1.5~2.5중량%이 바람직한 바, 1.5중량% 미만이되면 윤활작용이 어렵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는 촉매교련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교적 좋은 상용성과 우련 효과가 있으며, 불안정한 분자가 쉽게 물에 분해하는 첨가제로서, 사용기간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것이다. 상기 아세틸아세토네이트는 0.01~0.0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0.01중량% 미만이 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0.03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은 광양화제로서, 분해과정 시 다방면에서 충분히 광양화 작용을 발생하여 자유기를 산생시켜 폴리올레핀 분자연쇄의 단열을 촉진하기 위한 것은 물론 그 성능이 안정되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다.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은 0.9~1.2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이 0.9중량% 미만이 되면 광양화작용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1.2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염화철과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은 본 발명에서 양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염화철 0.3~0.5중량% 및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철이 0.3중량% 미만이거나 스테아린산철이 2.8중량% 미만이 되면 양화제로서 충분한 효과를 갖지 못하고, 0.5중량%나 3.3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제품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은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스테아린산칼슘은 0.92∼1.4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상기 스테아린산칼슘이 0.92중량%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1.4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테아린산은 고급지방산으로서, 상기 무기양화제인 탄산칼슘의 산염기 반응을 일으키고, 무기원료인 탄산칼슘 표면의 친수성을 친유성으로 바꾸는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각 첨가제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테아린산의 사용량은 0.1~1중량%가 바람직한 바, 상기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이 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게 되어 첨가제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고, 1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은 유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9~0.17중량%인 바, 사용량이 0.09중량% 미만이 되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0.17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그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은 생물분해제로 사용되는 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완전히 분해되어 COD를 많이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생분해 원리로 놓고 말하면 폴리비닐알코올은 물과 생물분해 2가지 종류의 분해성을 가지고 있으며, 먼저 물에 용해되어 교질형태로 되어 토양에 침투하고 토양의 점성, 투기성, 보습성, 특히 모래밭의 개량에 적합하다. 그리고 토양 중의 PVA는 토양 중의 세균에 의하여 분해되는 데, 적어도 2종류의 세균으로 조성된 공생체가 폴리비닐알코올을 분해할 수 있다. 그 일종은 폴리비닐알코올의 활성균이고 다른 일종은 폴리비닐알코올의 활성성균이 필요한 물질을 산생시키는 균으로, 2차 알코올의 양화반응으로 폴리비닐 알코올을 효소촉매화하고 다음에 물분해하여 양화한 폴리비닐알코올의 주 연쇄를 효소절단하며 진일보 분해하여 최종적으로는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비닐 알코올은 4.8~13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상기 폴리빈리 알코올이 4.8중량% 미만이면 소량이 되어 생물분해가 어렵고, 13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광양화제가 미미하게 되어 복합분해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글리세린 및 글리세롤 역시 생물분해제로서 사용되는 데, 비닐 중 미생물이 성장, 번식하는 원료로 되어 미생물에게 생존환경을 제공하여주며, 온도에 적응성이 좋아 토양과 쓰레기의 상태에서 쉽게 미생물에게 침식되고 곰팡이가 산생되어 붕괴됨으로써, 폴리올레핀 분자 연쇄단열의 조건을 마련해준다. 상기 글리세린과 글리세롤은 각각 0.1~1중량%만큼씩 사용하는 바, 그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이되면 생물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1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광양화제가 부족하게 되어 완전분해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톨은 촉련제와 교련제로서 사용되는 데, 사용기한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소르비톨은 각각 0.15~0.55중량% 및 0.05~0.25중량% 만큼 사용되는 바, 상기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톨의 사용량이 각각 0.15중량% 및 0.05중량% 보다 적으면 분해촉진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0.55중량% 및 0.25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분해촉진의 효과가 증진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붕사 및 카르복시메텔셀룰로오스는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붕사 0.09~0.17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한다. 상기 붕사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사용량이 각각 0.09중량% 미만이 되면 유화제로서의 역할이 어렵고, 0.17중량%를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제품 물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및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은 유화제 및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및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은 듀플리케이트 매치(duplicate matches)의 효능을 갖는다. 그 효능이란, 상기 로릴 황산 나트륨과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의 구조식은 R1O-P-(OR2)n 으로, 동일분자 중에 2 종류의 화학기단이 함유되어 있어 저분자재료 중의 극성부분은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고, 폴리에틸렌 중의 적당한 기단과 작용하거나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효능은 제품의 정산 사용기간 내에는 엄격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유도기가 엄격하게 조절되는 것이며, 사용기간이 지나면 신속히 분해하여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로릴 황산 나트륨과 롤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은 로릴 황산 나트륨 0.17~0.3중량%,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0.09~0.17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데, 각 사용량 보다 소량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한 효능이 미미하게 되고, 과량이 되더라도 더 이상의 효과가 증진되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산화벤조일은 촉매제와 교련제로서 사용되는 데, 상기 과산화벤조일은 비교적 좋은 상용성과 우련효과가 있으며, 쉽게 물에 분해하고, 사용기한 내에는 물성을 제고시켜주고 말기에는 원료의 극성을 파괴시켜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1~0.02중량%이 바람직하다. 과산화벤조일의 사용량이 0.01중량% 미만이 되면 그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0.02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분해촉매제로서의 역할이 증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알긴산나트륨은 유화제 및 안정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5~0.12중량%이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0.05중량% 미만이 되면 유화제 및 안정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게 되고, 0.12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과량이 되어 물성이 좋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은 생분해유도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0.05~0.15중량%이 바람직한 바, 그 사용량이 0.05중량% 미만이 되면 생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과량이 되면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우유가루는 생분해촉진제로서 사용되는 바, 상기 우유가루는 분해를 촉진함은 물론 인장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5~10중량%가 바람직한 데, 그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분해촉진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한 조성으로서 되는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각 조성물의 상호작용으로서 광양화 작용 및 생분해 작용의 협동작용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대폭 증강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복합 분해 촉진제는 분해 정도가 비교적 철저하고 , 유도기 조절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그 구조변화는 주요하게 카르보닐기(>C=0),히드록실기(-OH),하이드로 퍼옥사이드(Hydro peroxide)(-OOH)、카르복실기-COOH)와 이중결합(Duplet bond)(-C=C-)등의 성능 기단을 생성하는 것이며, 폐기시 초기에는 광양화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고분자 체인이 저분자 친수화합물로 되며, 내부구조 역시 느슨하게 되고 후기에는 외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폐기물의 표면이 팽창습윤상태가되어 미생물 활동을 최대로 할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해 촉진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조성비에 따라 그 조성물을 각각 준비한다.(원료준비단계)
먼저 고속 교반기의 온도를 70∼80℃까지 올린 다음 폴리비닐알코올을 고속교반기에 넣고 2-5분간 고속교반기를 고속운행한다. 이때 상기 고속운행이란 250~1000rpm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고루 혼합한다.(제1혼합단계)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상온하에서 탄산칼슘, 아세틸아세테이트, 과산화벤조일, 스테아르산을 고속 교반기에 3-8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제2혼합단계) 다음으로 상기에서 각각 준비한 혼합원료(제1혼합단계 및 제2혼합단계의 혼합물)를 저속교반기(100~350rpm)에 함께 투입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조성물을 투입하여 혼합(나머지 조성물의 순서는 무관)한다.(제3혼합단계)
상기와 같이 모든 원료의 혼합이 완료되면, 쌍스크류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원료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때 스크류의 장경비는 40:1, 회전속도는 100-350회/분, 각 가열구의 온도는 60-180℃ 사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하여 커팅하면 분해촉진제 입자가 생산되는 것이다.(압출 및 커팅단계)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분해촉진제를 요구에 따라 각종 플라스틱 원료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압출기로 압출하면 분해성 비닐 모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LDPE 10kg, LLDPE 14kg, 탄산칼슘 48kg, 파라핀왁스 1kg, PE왁스 2kg, 아세틸아세토네이트 20g,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 1kg, 염화철 430g, 스테아린산철 3kg, 스테아린산칼슘 1kg, 스테아린 산 500g, 옥타데카노익 산 100g, 폴리비닐알코올 10kg, 글리세린 400g, 글리세롤 400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g, 소르비톨 100g, 붕사 100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0g, 로릴 황산 나트륨 200g,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100g, 과산화벤조일 14g, 알긴산나트륨 60g, 메틸 살리실 산 100g 및 우유가루 7kg을 각각 준비하였다.
80℃의 고속교반기에 폴리비닐알코올을 넣고 2분간 고속교반기(500rpm)를 고속운행한 후,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고루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25℃의 온도에서 탄산칼슘, 아세틸아세테이트, 과산화벤조일, 스테아르산을 고속 교반기에 3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각각 혼합한 혼합물을 저속교반기(200rpm)에 함께 투입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조성물을 1분 간격으로 투입하여 혼합(나머지 조성물의 순서는 상기에서 원료준비 시 기재한 순으로 투입)하였다. 그리고 이를 쌍스크류압출기로 압출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분해촉진제를 PE 200과 혼합하여 PE봉투를 생산하였다.
그리고, 상기 생산한 PE봉투의 물성을 KPS M 1010:2004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물성측정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조건
겉모양 - 이상없음 온도:(20±2)℃
습도:(65±2)%












치수



두께

평균값 mm

0.029
최대 0.033
최소 0.026
높이 cm
70.0
나비 42.8
인장강도
가로 N/㎟(kgf/㎠)
35.7(364)
세로 40.6(414)
신장률
가로 %
458
세로 307
인열강도

가로 N/㎜(kgf/㎝)

138.2(141)
세로 146.0(149)
접은곳 127.4(130)
접합상태
1.96kPa 견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호한 물리적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쓰레기 봉투를 경작지에 방치하여 봉투의 분해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관찰결과 30일 경에는 선명한 변화는 없었으며, 50-70일 사이에 선명하게 분해하기 시작하였고 크고 작은 편형으로 파열되었으며, 90일 경에는 작은 편형으로 변화하였으며, 120일 경에는 완전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우유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촉진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기양화제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촉진제.
  3. 제 2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20~35중량%, 탄산칼슘 40~60중량%, 파라핀왁스 0.5~1.5중량%, 폴리에틸렌왁스 1.5~2.5중량%,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0.01~0.03중량%,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0.9~1.2중량%, 염화철 0.3~0.5중량%,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2.8~3.3중량%,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0.92~1.4중량%, 스테아린 산 0.1~1중량%,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0.09~0.17중량%, 폴리비닐알코올 4.8~13중량%, 글리세린 0.1~1중량%, 글리세롤 0.1~1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0.15~0.55중량%, 소르비톨 0.05~0.25중량%, 붕사 0.09~0.17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09~0.17중량%,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0.17~0.3중량%,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0.09~0.17중량%, 과산화벤조일 0.01~0.02중량%, 알긴산나트륨 0.05~0.12중량%,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0.05~0.15중량% 및 우유가루 5~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촉진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20~35중량%는, 저밀도폴리에틸렌 8~15중량%,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 12~20중량%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촉진제.
  5. 합성수지, 무기양화제,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왁스,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etylacetonate), 디메틸디티오카바믹 산(dimethyldithiocarbamic acid), 염화철, 스테아린산철(ferric stearat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 산, 옥타데카노익 산(octadecanoic acid), 폴리비닐알코올, 글리세린,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붕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로릴 황산 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laur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과산화벤조일, 알긴산나트륨, 메틸 살리실 산(methyl salicylic acid) 및 우유가루를 준비하는 원료준비단계와,
    고속 교반기에 폴리비닐알코올을 투입하여 고송운행한 후,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루오스, 로릴 벤젠 술폰산 나트륨, 붕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소르비톨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와,
    고속 교반기에 탄산칼슘, 아세틸아세테이트, 과산화벤조일, 스테아르산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와,
    상기 제1혼합다녜와 제2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저속교반기에 함께 투입하고, 순차적으로 나머지 원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3혼합단계와,
    상기 제3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커팅하는 압출 및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해 촉진제의 제조방법.
KR1020100027662A 2010-03-29 2010-03-29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8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662A KR20110108461A (ko) 2010-03-29 2010-03-29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662A KR20110108461A (ko) 2010-03-29 2010-03-29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461A true KR20110108461A (ko) 2011-10-06

Family

ID=4531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662A KR20110108461A (ko) 2010-03-29 2010-03-29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94A1 (ko) * 2017-04-25 2018-11-01 송경재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94A1 (ko) * 2017-04-25 2018-11-01 송경재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453B1 (ko)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5658B1 (ko) 식품부산물인 소맥피 또는 대두피를 활용한 바이오 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US8389614B2 (en) Biodegradable nanopolymer compositions and biodegradable articles made thereof
CN102277005B (zh) 一种高填充的全生物降解包装材料
CN104151626B (zh) 一种磷酸酯淀粉-聚乙烯复合塑料薄膜及其制备方法
CN102875853A (zh) 一种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CN101717537B (zh) 一种聚烯烃薄膜及其制造方法
CN104650506A (zh) 一种可降解的环保塑料
CN105504704B (zh) 乙醇胺活化钠基蒙脱土/聚合物复合生物降解吹膜树脂及制备方法
JP2003073539A (ja) 高強度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1443020B1 (ko) 바이오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KR101987086B1 (ko)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CN112940389A (zh) 一种厌氧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479132A (zh) 一种塑料薄膜降解母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698950A (zh) 一种具有降解功能的塑料及生产工艺
CN105153473A (zh) 一种生物质基海绵状发泡填充物及其制备方法
CN111647187B (zh) 一种可降解的塑料包装袋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79528B1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방법
KR101895794B1 (ko) 플러린 및 피톤치드를 함유한 기능성 고분자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8461A (ko)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66690B (zh) 一种淀粉基可降解生物塑料及其制备方法
KR101612429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CN102140185A (zh) 可生物降解的地膜和制备该地膜的方法
KR101365509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 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607203A (zh) 一种增强增韧的聚己二酸/对苯二甲酸丁二酯-聚乳酸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