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095A -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095A
KR20110107095A KR1020100026268A KR20100026268A KR20110107095A KR 20110107095 A KR20110107095 A KR 20110107095A KR 1020100026268 A KR1020100026268 A KR 1020100026268A KR 20100026268 A KR20100026268 A KR 20100026268A KR 20110107095 A KR20110107095 A KR 2011010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ly
rotating body
silic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평우
이영미
Original Assignee
남평우
이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평우, 이영미 filed Critical 남평우
Priority to KR102010002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095A/ko
Publication of KR2011010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의 배출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회전체를 하나의 모듈로 하여 각 회전체에 1:1 대응되도록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LED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리콘 용액을 수용하는 실린지; 왕복 운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내부에 회전체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체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측부로는 상기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을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받고, 상측으로는 회전체 장착공간과 외측을 연결하는 실린더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실리콘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실린더에 수용되어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왕복 운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 원판체로 되어 측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복수의 구멍이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공급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의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실리콘 용액을 어느 하나의 구멍을 통해 유입받아 공급경로에 수용한 다음 회전하여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다른 구멍을 통해 공급경로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을 노즐로 유출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 상기 회전체로부터 유출되는 실리콘 용액을 하우징의 외측으로 토출하는 노즐;로 구성되고,
회전체의 원판체는 복수개의 원판체가 나란히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동력부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원판체와 1:1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Silicon solution dispenser}
본 발명은 LED를 제조하기 위한 실리콘 용액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동시에 다수의 LED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인 LED를 제조하기 위하여 실리콘 용액을 금형에 투입하고, 단자를 형성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행하게 되는데, 금형에 실리콘 용액을 투입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서는 도1에 도시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를 설명하면, 실린지(100)에 실리콘 용액이 수용되고, 공기압에 의해 누르게 되면, 실린지(100) 내부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은 실리콘 공급관(110)을 통하여 이송관(130)으로 측방향으로 투입된다.
이송관(130)의 내측에는 스크류(140)가 장착되어 있고, 그 스크류(140)는 상부에 구비된 서보모터(12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실리콘 공급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실리콘 용액을 일정량 만큼씩 하나의 노즐(150)을 통해 실리콘 금형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는 이송관(130)의 내측벽에 스크류(140)의 외측이 맞닿아 있어서, 스크류(140)의 회전시 이송관(130)의 내측벽과 마찰을 일으키므로 스크류(140) 또는 이송관(130)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 실리콘 용액에 포함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가 하나의 노즐만 가지고 있으므로, 한번에 하나의 LED 금형에만 실리콘 용액을 토출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의 배출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회전체를 하나의 모듈로 하여 각 회전체에 1:1 대응되도록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LED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용액을 수용하는 실린지;
왕복 운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내부에 회전체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체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측부로는 상기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을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받고, 상측으로는 회전체 장착공간과 외측을 연결하는 실린더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실리콘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실린더에 수용되어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왕복 운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
원판체로 되어 측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복수의 구멍이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공급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의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실리콘 용액을 어느 하나의 구멍을 통해 유입받아 공급경로에 수용한 다음 회전하여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다른 구멍을 통해 공급경로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을 노즐로 유출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
상기 회전체로부터 유출되는 실리콘 용액을 하우징의 외측으로 토출하는 노즐;로 구성되고,
회전체의 원판체는 복수개의 원판체가 나란히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동력부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원판체와 1:1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의 배출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고, 또한 회전체를 하나의 모듈로 하여 각 회전체에 1:1 대응되도록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LED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의 정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4는 회전체의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회전구의 형태를 보인 도.
도6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의 정단면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300)의 외측에 실리콘 용액이 수용된 실린지(20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지(200)로부터 실리콘 공급관(210)을 통하여 하우징(200)의 내측에 구비된 공급부(350)로 실리콘 용액이 공급된다.
하우징(300)의 상측에는 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으로 된 동력발생부(31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동력발생부(310)는 상하방향으로 복동운동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300)의 내측에는 상기 동력발생부(310)의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왕복샤프트(3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왕복샤프트(320)의 상단은 동력발생부(310)와 연결되고, 하단은 클램프(340)에 의해 공급부(350)의 피스톤(352)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왕복샤프트(320)는 하우징(300)의 내측벽에 설치된 가이드(330)에 지지되어 상하 슬라이드 왕복운동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하우징(300) 내부의 하측에는 공급부(35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공급부(350)는 내측에 회전체(400)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체 장착공간(3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상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구멍형태의 실린더(351)가 형성되어, 이 실린더(351)에 피스톤(352)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왕복샤프트(320)에 의해 피스톤(352)이 실린더(351) 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측방향으로는 실리콘 공급관(210)과 연결되면서, 실리콘 공급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실리콘 용액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버퍼(3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버퍼(353)와 회전체 장착공간(354)은 공급구(355)로 연결됨으로써 버퍼(352)에 일시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공급구(355)를 통해 회전체 장착공간(354)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하측에는 실리콘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5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356)는 실리콘 용액을 금형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357)이 구비된다.
아울러 도3의 측단면도에서와 같이 공급부(350)에는 다수개의 실린더(351)가 형성되고, 또한 그 실린더(351)에 대응된 갯수로 다수개의 피스톤(352)이 클램프(340)에 의해 왕복샤프트(320)와 연결되며, 또한 다수개의 배출구(356)와 노즐(357)을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여러개의 금형에 실리콘 용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회전체(4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내측에서 회전축(41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체(421)의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회전구(420)가 나란히 설치되면서, 그 회전구(420)들은 연결구(440)들에 의해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구(440)의 외측둘레로는 O-링(430)이 끼워져 있다.
또한, 회전구(420)로는 버퍼(353)로부터 실리콘 용액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구(355)가 회전구(420)의 위치에서 1:1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회전구(420)의 회전에 의해 회전구(420)의 내부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노즐(357)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56)가 회전구(420)의 위치에서 1:1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4에서는 공급구(355)와 배출구(356)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마주보는 상태로 도시한 경우이고, 도2와 같이 공급구(355)와 배출구(356)의 위치가 90도 각도로 꺾어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올바르다.
따라서 회전체(400)는 회전축(410)의 회전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회전동력부(500)로부터 발생된다.
즉, 모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동력원(510)으로부터 발생된 상하 복동운동력은 랙(520)에 전달되고, 랙(520)과 연결된 피니언(530)의 중심축이 회전축(410)과 연결되어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력이 회전체(400)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회전구(420)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체(421)로 형성되어 있으며,
90도와 270도의 위치에 각각 구멍형태의 제3구멍(424)과 제2구멍(423)이 형성되어 서로 직통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제1공급경로(425-1)를 형성한다.
또한, 360도의 위치에 제1구멍(4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급경로(425-1)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공급경로(425-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6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로서, 실린지(200)에 수용된 LED를 제조하기 위한 실리콘 용액은 실리콘 공급관(210)을 통하여 공급부(350)의 버퍼(353)로 유입되고, 이러한 버퍼(353)에 의해 다수의 회전구(420)에 균일하게 실리콘 용액이 공급된다.
이때 회전구(420)는 도6(a)와 같이 원판체(421)에 형성된 제2구멍(423)이 공급구(355)와 맞닿도록 하고, 제1구멍(422)이 실린더(351)와 맞닿도록 회전동력부(500)가 회전체(400)를 회전시켜 놓는다.
동력발생부(310)에 의해 피스톤(352)이 상승하면, 제1구멍(422)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제2공급경로(425-2)와 제1공급경로(425-1)에 흡입력이 발생함으로써 버퍼(353)에 일시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공급구(355)를 통해 제1공급경로(425-1)상에 수용된다.
이후, 도6(b)와 같이 회전동력부(5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제2구멍(423)은 실린더(351)와 맞닿고, 제3구멍(424)은 배출구(356)와 맞닿게 되며, 제1구멍(422)은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내측벽에 의해 폐쇄된다.
도6(c)와 같이 피스톤(352)이 하강하면 제1공급경로(425)상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배출구(356)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357)에 의해 토출된다.
즉, 피스톤(352)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흡입력만큼의 실리콘 용액이 제1공급경로(425)상에 수용된 다음 배출구(356)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항상 일정량을 배출하는 것이다.
실리콘 용액의 배출 후 회전동력부(500)는 회전구(420)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초기 상태 즉, 원판체(421)에 형성된 제2구멍(423)이 공급구(355)와 맞닿도록 하고, 제1구멍(422)이 실린더(351)와 맞닿도록 하는 상태로 되돌리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도5(b)와 같이 원판체(426)에 형성된 구멍(427,42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데, 180도와 360도의 위치인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제1구멍(427)과 제2구멍(428)을 형성하고 이를 직통되도록 함으로써 공급경로(429)를 형성한다.
초기에는 제1구멍(427)이 공급부(355)와 맞닿도록 하고, 제2구멍(428)은 회전체 장착공간(354)의 내측벽에 의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실린지(200)에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실리콘 용액이 공급경로(429)에 일정량 유입된다.
이후, 회전동력부(500)가 회전구(42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제1구멍(427)이 실린더(351)와 맞닿도록 하고, 제2구멍(428)은 배출구(356)와 맞닿도록 한 다음 피스톤(352)이 하강시키면 그 압력에 의해 공급경로(429)상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노즐(357)을 통해 토출되며, 실리콘 용액의 토출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일정량의 실리콘 용액이 다수의 노즐(357)을 통해 일정량만큼씩 토출되어 생산성이 높아지며, 또한 회전구(420)의 공급경로(425,429)상에 실리콘 용액이 수용되므로 마찰에 의한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실린지(200)가 공급부(3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측방향으로부터 피스톤(352)이 왕복운동하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체(450)에는 360도와 90도의 위치에 각각 제1구멍(451)과 제2구멍(452)이 형성되고, 이 두 구멍(451,452)을 직각 형태로 연결하는 공급경로(4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초기에 도7(a)와 같이 제1구멍(451)이 공급구(355)와 맞닿도록 하고, 제2구멍(452)이 실린더(351)와 맞닿도록 회전동력부(500)가 회전체(400)를 회전시켜 놓는다.
동력발생부(310)에 의해 피스톤(352)이 상승하면, 제1구멍(451)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버퍼(353)에 일시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공급구(355)를 통해 공급경로(453)상에 수용된다.
이후, 도7(b)와 같이 회전동력부(50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제1구멍(451)은 실린더(351)와 맞닿고, 제2구멍(452)은 배출구(356)와 맞닿게 된다.
도7(c)와 같이 피스톤(352)이 하강하면 공급경로(453)상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이 배출구(356)를 통해 배출되어 노즐(357)에 의해 토출된다.
실리콘 용액의 배출 후 회전동력부(500)는 회전구(420)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초기 상태인 도7(a)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200 : 실린지 210 : 실리콘 공급관
300 : 하우징 310 : 동력발생부
320 : 왕복 샤프트 330 : 가이드
340 : 클램프 350 : 공급부
351 : 실린더 352 : 피스톤
353 : 버퍼 354 : 회전체 장착공간
355 : 공급부 356 : 배출구
357 : 노즐 400 : 회전체
410 : 회전축 420 : 회전구
421 : 원판체
425-1 : 제1공급경로 425-2 : 제2공급경로
430 : 0-링 440 : 연결구
500 : 회전동력부 510 : 동력원
520 : 랙 530 : 피니언

Claims (5)

  1. 실리콘 용액을 수용하는 실린지;
    왕복 운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내부에 회전체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체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측부로는 상기 실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용액을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받고, 상측으로는 회전체 장착공간과 외측을 연결하는 실린더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실리콘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실린더에 수용되어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왕복 운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피스톤;
    원판체로 되어 측부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복수의 구멍이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공급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부의 실리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실리콘 용액을 어느 하나의 구멍을 통해 유입받아 공급경로에 수용한 다음 회전하여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다른 구멍을 통해 공급경로에 수용된 실리콘 용액을 노즐로 유출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
    상기 회전체로부터 유출되는 실리콘 용액을 하우징의 외측으로 토출하는 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의 원판체는 복수개의 원판체가 나란히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동력부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원판체와 1:1 대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원판체의 90도, 270도, 360도의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90도 위치의 구멍과 270도 위치의 구멍이 서로 직통되도록 제1공급경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360도 위치의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공급경로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공급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판체의 180도와 360도의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180도 위치의 구멍과 360도 위치의 구멍이 서로 직통되도록 공급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판체의 90도와 360도의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90도 위치의 구멍과 360도 위치의 구멍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공급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KR1020100026268A 2010-03-24 2010-03-24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KR20110107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68A KR20110107095A (ko) 2010-03-24 2010-03-24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68A KR20110107095A (ko) 2010-03-24 2010-03-24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95A true KR20110107095A (ko) 2011-09-30

Family

ID=4495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68A KR20110107095A (ko) 2010-03-24 2010-03-24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0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712A (zh) * 2015-08-18 2015-11-11 珠海宏光照明器材有限公司 一种点胶针筒
CN107790841A (zh) * 2017-11-18 2018-03-13 陈潇曼 一种led灯制造用导电银胶防凝固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712A (zh) * 2015-08-18 2015-11-11 珠海宏光照明器材有限公司 一种点胶针筒
CN107790841A (zh) * 2017-11-18 2018-03-13 陈潇曼 一种led灯制造用导电银胶防凝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6284B (zh) 膏剂涂敷装置
JP2006351970A (ja) 樹脂封止型光チッ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2009104421A1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US9283588B2 (en) Application head and droplet applying apparatus
KR101736568B1 (ko) 다중재료 성형을 위한 3d 프린터용 헤드
CN105609436B (zh) 一种竖直倒装键合设备
KR20110107095A (ko) Led용 실리콘 용액 공급장치
CN114192349B (zh) 一种led灯生产用高效点胶装置
CN103945655A (zh) 全自动贴片机
KR20040016721A (ko) 반도체칩 제조용 디스펜서장치
CN106468363B (zh) 一次性隔膜阀
CN1706567A (zh) 清洗装置及包含该装置的阀门设备
CN203540837U (zh) 一种多头点胶阀
CN203699246U (zh) Smt贴片机插针送料系统
CN110505760A (zh) 一种选择性真空树脂塞孔机
US20130049239A1 (en) Lens fabrication apparatus and lens fabr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18044A (ko) 반도체 및 led 제조용 리니어 디스펜서 펌프 장치
CN107234769B (zh) 树脂成型装置、树脂成型方法及流动性材料的喷射装置
CN117038529A (zh) 一种发光二极管及发光二极管的封装装置
JP5877655B2 (ja) ダイ供給装置
CN103521401A (zh) 一种多头点胶阀
JP2015211121A (ja)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方法
CN109311043A (zh) 液体材料吐出装置、其涂布装置及涂布方法
CN103043423A (zh) 一种led分光机的分料装置
CN111620109B (zh) 吸嘴自动切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