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641A -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641A
KR20110105641A KR1020100024889A KR20100024889A KR20110105641A KR 20110105641 A KR20110105641 A KR 20110105641A KR 1020100024889 A KR1020100024889 A KR 1020100024889A KR 20100024889 A KR20100024889 A KR 20100024889A KR 20110105641 A KR20110105641 A KR 2011010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ayer
layer
emitting di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493B1 (ko
Inventor
조주영
박성주
이상준
한상헌
박성은
박용조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2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희생층 상의 나노 와이어를 이용하여 반도체층을 성장시킨 후 희생층 식각을 통하여 기판을 제거한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층 상에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나노 와이어 상에 제 1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기판을 발광 구조체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 구조체의 손상 없이 상기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적 기판 제거법을 이용하여 기판을 제거한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 기기를 비롯한 전자 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LED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LED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에 따른다. 이는 방출된 광의 파장이 가전자대(valence band) 전자들과 전도대(conduction band) 전자들 사이의 에너지 차를 나타내는 반도체 재료의 밴드갭(band-gap)에 따르기 때문이다.
질화 갈륨 화합물 반도체(Gallium Nitride: GaN)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폭넓은 밴드갭(0.8~6.2eV)에 의해 고출력 전자 소자 개발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GaN이 타 원소들(인듐(In), 알루미늄(Al)등)과 조합되어 녹색, 청색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반도체 층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질화 갈륨 화합물 반도체는 방출 파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치 특성에 맞추어 재료의 특징들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GaN를 이용하여 광기록에 유익한 청색 LED와 백열등을 대치할 수 있는 백색 LED를 만들 수 있다.
최근 고출력 발광다이오드를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수평형 발광다이오드를 대체하는 수직형 발광다이오드가 제안되고 있다. 수직형 발광다이오드는 기판과 발광다이오드의 분리를 통해 효율적인 열 방출 및 발광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기판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며, 공유결합으로 인한 우수한 경도 특성을 가지므로 기계적, 화학적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판에 전도성 박막을 형성하여 이종기판을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박막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기판과 발광다이오드를 분리시켰다. 그러나, 기판 분리 시에 사용하는 고출력 레이저로 인하여 발광다이오드가 손상되며,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광 구조체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기판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기 제 2 반도체층과 대향(對向)하는 면 상의 나노 와이어; 상기 나노 와이어를 커버하는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의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나노 와이어는 광결정 구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와이어는 GaN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상에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나노 와이어 상에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적층하여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기판을 발광 구조체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희생층은 SiO2, SiNx, CrN 및 Zn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와이어는 MOCVD, VLS, MBE 및 수용액 성장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희생층 상에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반도체층은 상기 나노 와이어를 씨드로 하는 ELO(epitaxiial lateral over-growth) 방법을 통하여 성장될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의 제거는 레이저 기판 제거법 또는 화학적 기판 제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희생층 상의 나노 와이어를 이용하여 반도체층을 성장시킨 후 희생층 식각을 통하여 기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화학적 기판 제거 방법을 이용하므로, 레이저 기판 제거법과는 달리 열에 의한 발광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희생층을 제거한 후, 반도체층 상에 잔류하는 나노 와이어는 광 결정 구조로 작용하여 광 추출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한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는 제 1 반도체층(21), 활성층(22) 및 제 2 반도체층(23)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구조체(20)와,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의 외부면 상의 나노 와이어(12)와, 상기 나노 와이어(12)를 커버하며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25)과, 상기 제 2 반도체층(23)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24)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은 n형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은 SiC층, ZnO층, Si층, GaAs층, NCO층, BN층, AlN층, GaN층, MgxZnyCdZO층 (0≤x, y, z≤1) 또는 AlxGa(1-x)N(0≤x≤1)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은 GaN층 또는 AlxGa(1-x)N(0≤x≤1)층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반도체층(23)은 p형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반도체층(23)은 SiC층, ZnO층, Si층, GaAs층, NCO층, BN층, AlN층, GaN층, MgxZnyCdZO층 (0≤x, y, z≤1) 또는 AlxGa(1-x)N(0≤x≤1)층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22)은 상기 제 1 반도체층(21) 및 제 2 반도체층(23) 사이에서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을 방출시키는 층으로, 양자점 구조 또는 다중양자우물 구조(Multiple Quantum Wells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활성층(22)은 상기 전자 및 정공이 서로 재결합될 때 에너지 갭에 해당하는 파장광이 방출된다. 예를 들면, 에너지 갭이 큰 경우, 단파장 광(자외선광)이 방출될 수 있으며, 에너지 갭이 작은 경우, 장파장광(적외선광)이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층(22)은 생략도 가능하며, 상기 활성층(22)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1) 및 제 2 반도체층(23)이 p-n 접합 다이오드를 이루게 되며, 접합면에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나노 와이어(12)는 GaN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 와이어(12)는 상기 발광 구조체(20)에서 방출되는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광 결정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5) 및 제 2 전극(24)은 Al 또는 Au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i/Al 또는 NiO/A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나노 와이어(12)가 광 결정 구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발광 구조체(20)에서 방출되는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기판(10) 상에 희생층(11)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10)은 Al2O3(사파이어), SiC, ZnO, Si, GaAs, LiAl2O3, InP, BN, AIN, GaN 및 이의 등가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l2O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 상에는 버퍼층이 미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희생층(11)은 SiO2, SiNx, CrN 및 Zn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같이 GaN을 포함하지 않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희생층(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희생층(11)은 선택적으로 식각 또는 제거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면 만족할 것이다. 이는 이후에 수행되는 기판(10) 제거 단계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주재료인 GaN에 손상이 없이 기판(10)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희생층(11)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희생층 상에 기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노 와이어(12)를 성장시킨다.
이때, 상기 나노 와이어(12)는 GaN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희생층(11)과의 접합력을 고려하여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VLS(vapor-liquid-solid method), MBE(Molecular beam epitaxy) 및 수용액 성장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희생층(11) 상에 나노 와이어(12)를 형성한 후, 상기 나노 와이어(12) 상에 발광 구조체(20)를 형성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나노 와이어(12)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서로 상반된 극성을 가지도록 도핑된 제 1 반도체층(21) 및 제 2 반도체층(23)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n형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제 1 반도체층(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나노 와이어(12)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1) 형성을 위한 씨드(seed)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나노 와이어(12)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을 형성하는 방법은 ELO(epitaxial lateral overgrowth) 방법이다. 이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의 성장시, 기판(10)과 제 1 반도체층(21) 간의 열팽창 및 격자 상수 차이에서 발생되는 결함들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우수한 막질을 갖는 제 1 반도체층(21)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결함은 수평방향보다는 수직방향으로 더 쉽게 전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ELO법을 통하여 수평성장된 단결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반도체층(21)은 디스로케이션(dislocation)과 같은 결함밀도가 매우 낮을 수 있다.
상기 ELO법은 MOCVD, MOVPE(Metalorganic vapour phase epitaxy), LPE(Liquid phase epitaxy), MBE(Molecular beam epitaxy) 또는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의 형성은 열처리 공정을 함께 수행하여,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500℃ 내지 1000℃ 이다.
상기 제 1 반도체층(21)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층(21) 상에 활성층(22) 및 제 2 반도체층(23)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발광 구조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반도체층(23)은 p형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체(20)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제 2 반도체층(23)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23)과 오믹 콘택(ohmic contact)하는 제 2 전극(24)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극(24)을 형성한 후, 상기 희생층(11)을 제거하여 상기 발광 구조체(20)에서 기판(10)을 분리한다.
이때, 희생층(11)의 제거는 레이저 기판 제거법(laser lift-off) 또는 화학적 기판 제거법(chemical lift-off)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레이저 기판 제거법은 상기 희생층에 흡수되는 에너지를 가지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11)에 조사하여 상기 희생층(11)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화학적 기판 제거법은 식각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희생층(11)을 제거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식각 용액에 기판(10) 전체를 넣어 상기 희생층(11)을 식각하여 기판(10)이 발광 구조체(2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각 용액은 상기 희생층(11)을 이루는 SiO2, SiNx, CrN 및 Zn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을 식각하며, 발광 구조체(20)의 주성분인 Ga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발광 구조체(20)의 전기적 특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희생층(11)이 SiO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BOE(Buffered oxide etchant)를 식각 용액으로 하여 희생층(11)의 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을 발광 구조체(20)로부터 분리한 후, 제 1 반도체층(21)의 상기 나노 와이어(12)가 부착된 면에 제 1 전극(25)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25)은 Al 또는 Au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i/Al 또는 NiO/A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구조체(20)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용이하게 기판(1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기판 11; 희생층
12; 나노 와이어 20; 발광 구조체
21; 제 1 반도체층 22; 활성층
23; 제 2 반도체층 24; 제 2 전극
25; 제 1 전극

Claims (10)

  1.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상기 제 2 반도체층과 대향(對向)하는 면 상의 나노 와이어;
    상기 나노 와이어를 커버하는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의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광결정 구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GaN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4. 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상에 나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나노 와이어 상에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적층하여 발광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기판을 발광 구조체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SiO2, SiNx, CrN 및 Zn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GaN 및 ZnO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MOCVD, VLS, MBE 및 수용액 성장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도체층은 상기 나노 와이어를 씨드로 하는 ELO(epitaxiial lateral over-growth) 방법을 통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의 제거는 레이저 기판 제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의 제거는 화학적 기판 제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KR1020100024889A 2010-03-19 2010-03-19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89A KR101134493B1 (ko) 2010-03-19 2010-03-19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89A KR101134493B1 (ko) 2010-03-19 2010-03-19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41A true KR20110105641A (ko) 2011-09-27
KR101134493B1 KR101134493B1 (ko) 2012-04-13

Family

ID=4542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89A KR101134493B1 (ko) 2010-03-19 2010-03-19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6357A1 (en) * 2012-10-26 2014-05-01 Glo Ab Nanowire 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66106B2 (en) 2012-10-26 2015-10-20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US9178106B2 (en) 2012-10-26 2015-11-03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KR20170000231A (ko) * 2015-06-23 2017-01-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580859B2 (en) 2016-02-29 2020-03-03 Samsung Display Co., Ltd. Nanorod production method and nanorod produc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9484B2 (ja) * 1998-12-24 2003-11-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1073B1 (ko) * 2004-12-08 2005-11-29 럭스피아 주식회사 나노 바늘을 가지는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6357A1 (en) * 2012-10-26 2014-05-01 Glo Ab Nanowire 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076945B2 (en) 2012-10-26 2015-07-07 Glo Ab Nanowire 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66106B2 (en) 2012-10-26 2015-10-20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US9178106B2 (en) 2012-10-26 2015-11-03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US9231161B2 (en) 2012-10-26 2016-01-05 Glo Ab Nanowire L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22135B2 (en) 2012-10-26 2017-08-01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US9799796B2 (en) 2012-10-26 2017-10-24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US10038115B2 (en) 2012-10-26 2018-07-31 Glo Ab Nanowire sized opto-electronic structure and method for modifying selected portions of same
KR20170000231A (ko) * 2015-06-23 2017-01-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580859B2 (en) 2016-02-29 2020-03-03 Samsung Display Co., Ltd. Nanorod production method and nanorod produced thereby
US11450737B2 (en) 2016-02-29 2022-09-20 Samsung Display Co., Ltd. Nanorod production method and nanorod produc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93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593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JP5130433B2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341887B (zh) 包含硼的iii族氮化物发光器件
US7547910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WO2010100844A1 (ja) 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1374A (ja) 歪みを制御したiii族窒化物発光装置
JP5363973B2 (ja) ツェナーダイオードを備える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0720B1 (ko) 나노로드 기반의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4493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1505B1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78124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JP5314257B2 (ja) 低欠陥の半導体基板、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848334B2 (ja) 半導体デバイスを成長させるための複合成長用基板
JP2009123836A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KR101923673B1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CN109427932B (zh) 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造方法
KR100765722B1 (ko) 나노 로드를 갖는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20211784A1 (en) Nitride semiconductor stack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KR101862406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638B1 (ko) 수직형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20200194619A1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superlattice layers
CN105633241B (zh) 一种氮化物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KR100857796B1 (ko) 질화물계 발광 소자
KR101319218B1 (ko) 기판의 분리 방법
KR20090076164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