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303A -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303A
KR20110105303A KR1020100024491A KR20100024491A KR20110105303A KR 20110105303 A KR20110105303 A KR 20110105303A KR 1020100024491 A KR1020100024491 A KR 1020100024491A KR 20100024491 A KR20100024491 A KR 20100024491A KR 20110105303 A KR20110105303 A KR 2011010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surface
powder
och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466B1 (ko
Inventor
이차연
Original Assignee
(주)케미우스코리아
이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우스코리아, 이차연 filed Critical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2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166Magnesium halide, e.g. magnesium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에 도포되는 바름재가 자연친화적인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분말 17-23wt%, 일라이트분말 3-4wt%, 아크릴분말 2-4wt%, 산화마그네슘분말 27-28wt%, 염화마그네슘분말 13-14wt%, 물 32-33w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황토바름재를 제공하고, 콘크리트세척과정과 콘크리트전처리과정 및 바름재도포과정과 마감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 및 콘크리트 표면(10)에 프라이머도포층(11)과 황토바름재층(12) 및 표면층(13)을 갖는 콘크리트표면처리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concrete surface ongbyeokyong loess coatings and how to deal with it and the surfac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표면에 도포되는 바름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옹벽에서 백화현상이 없도록 방지하고 자연 친화적인 바름재를 제공함으로써 환경 개선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 바름재 및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옹벽에서는 수분과 함께 콘크리트 성분이 용출되어 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유해물질이 발생 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오염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매우 지저분하게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바름재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수명이 짧거나 또는 그 조성물이 석회나 시멘트등과 같은 자연 친화적이지 못한 조성물들이 함유한 바름재들이기 때문에 옥외 바름재로는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732435호의 건축마감재용 바름재가 개시되었으나 이는 파아야유 및 농축야자수액이 첨가된 것이기 때문에 비바람에 의해 풍화현상이 초래되는 옥외용 옹벽 등에서는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455622호의 바름재 조성물로 개시된 바름재는 환경오염을 가져올 수 있는 석회나 시멘트등과 같은 자연 친화적이지 못한 조성물들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황토바름재라고 하는 것은 바름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름재가 황토성분을 포함하여 황토색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다른 바름재와의 구별을 위해서 황토바름재라고 명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문헌1) KR 10-0732435 B1 2007.06.20 (문헌2) KR 10-0455622 B1 2004.04.26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에 도포되는 바름재가 자연친화적인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바름재를 이용하는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것으로서; 황토분말 17-23wt%, 일라이트분말 3-4wt%, 아크릴분말 2-4wt%, 산화마그네슘분말 27-28wt%, 염화마그네슘분말 13-14wt%, 물 32-33w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된 후 상온에서 건조되어 증발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토바름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물과 모래를 콤프레샤의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콘트리트표면 세척과정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황토바름재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액상 아크릴라텍스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프라이머 도포되도록 하는 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과;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이 건조되기 전에 액상의 황토바름재를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상온 건조되게 하는 바름재도포과정과; 상기 황토바름재 표면에 액상 비닐코폴리머를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상온 건조되게 하는 마감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를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토바름재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프라이머도포층과;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이 건조되기 전에 도포되고 건조되는 황토바름재층과; 상기 황토바름재층이 건조된 후 도포되고 건조되는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표면처리구조를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은 아크릴라텍스이고 표면층은 비닐코폴리머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공기정화 및 탈취작용과 공기 중의 중금속흡착 및 유독가스 흡착작용 및 이산화탄소도 흡수하게 되는 자연 친화적인 황토바름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백화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콘크리트 옥벽 표면이 항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환경 개선이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표면 단면구조도.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공정도이고, 도 2는 표면처리가 완료돤 상태의 콘크리트표면처리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바탕면을 표면 처리하는 것이므로 제1과정으로 콘크리트표면세척과정(S1)이 실시된다.
상기 콘크리트표면세척과정(S1)은 물과 샌딩사라고도 명칭되고 있는 모래를 콘크리트 표면(10)에 콤프레샤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분사시켜서 청소하게 된다.
상기 모래는 석영질 함량이 전체 부피에서 90부피% 이상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표면에 있는 이물질 제거에 필요로 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0.85-1.8mm 크기의 입자가 작은 모래가 분사된다.
또한, 모래와 물이 분사되는 토출압력을 약 7㎏f/㎠의 고압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강력하게 분사되는 모래는 콘크리트 표면(1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은 깨끗하게 세척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은 제2과정으로 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S2)이 실시된다.
상기 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S2)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바름재가 도포될 때 부착력을 높여 주기 위한 프라이머 도포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S2)에서는 액상 아크릴라텍스(Acrylic Latex)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콘크리트 표면(10)에 도포함으로써 프라이머도포층(11)을 갖도록 한다.
다음, 제3과정으로 바름재도포과정(S3)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제2과정에 의해 먼저 도포 된 프라이머도포층(11)이 건조되기 전에 액상의 황토바름재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상기 액상의 황토바름재는 황토분말 17-23wt%, 일라이트분말 3-4wt%, 아크릴분말 2-4wt%, 산화마그네슘분말 27-28wt%, 염화마그네슘분말 13-14wt%, 물 32-33wt%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액상의 황토바름재는 프라이머도포층(11)이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스프레이로 분사시켜서 도포 되게 하여 황토바름재층(12)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온에서 건조되게 하면 프라이머도포층(11)과 황토바름재층(12)의 수분(물)이 건조되면서 고체화되어 콘크리트 표면(10)에 완전히 부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황토바름재층(12)의 조성물 중에 황토 성분은 입자고 곱고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화능력이 탁월하고 탈취 및 탈지의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 1g 속에는 약 2억-2억5천 마리의 미생물이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복합적으로 순환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옹벽 주변 공기의 정화작용과 탈취작용을 하게 되는 자연 친화적인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황토바름재층(12)에 함유하고 있는 일라이트(i1lite) 성분은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피부에 안전하며, 세포에 대한 생리효과 외에도 피부에 보습효과, 윤기효과 및 탄력효과와 청정효과 등이 있고, 환경호르몬 등 피부의 각종 노폐물을 흡착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하고 항균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라이트 성분은 수은과 카드늄, 납, 철, 구리 등과 같은 중금속 흡착기능이 있고, 암모니아나 이산화황, 황화수소가스 및 염소가스와 같은 유독가스흡착 기능이 있다.
그러므로 일라이트 성분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음이온 발생과 더불어서 옹벽 표면에 항균작용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중금속 흡착작용과 유독가스 흡착작용을 하게 되는 자연 친화적인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황토바름재층(12)에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폴리머(acrylic polymer) 성분은 황토바름재의 부착력을 증가시켜 주고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황토바름재층(12)의 내구성을 좋게 하고 한다.
그리고 산화마그네슘 성분은 마그네슘과 산소의 화합물로서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염화마그네슘 성분은 흡수성이 강하여 조직 강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바닷물 속에도 함유하고 있고 식염을 만들떼 부산물로서 간수 속에도 약간(2wt%) 함유되어 있는 것이므로 자연 친화적인 성분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황토바름재는 자연 친화적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제4과정으로 마감처리과정(S4)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황토바름재층(12)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상기 마감처리과정(S4)은 황토바름재층(12)이 완전히 건조된 후에 표면처리제로서 액상 비닐코폴리머(Poly Vinyl Copolymer)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표면층(13)을 갖도록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비닐코폴리머는 도막 내부의 물질은 용출되지 않으면서도 외부의 공기는 침투 가능하게 하여 주는 일종의 특수 코팅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황토바름재층(12) 내부의 물질이 수분과 함께 용출되면서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해 주게 되므로 콘크리트 옹벽이 지저분해 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환경 개선이 되는 것이다.
또한, 표면층(13)을 통해 외부 공기가 침투 가능하므로 황토바름재층(12)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들에 의해서 공기정화 및 탈취작용, 그리고 공기 중의 중금속흡착 및 유독가스 흡착작용이 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도 흡수하게 되는 자연 친화적인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되거나 치환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콘크리트 표면, 11:프라이머도포층, 12:황토바름재층, 13:표면층, S1:콘크리트표면 세척과정, S2: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 S3:바름재도포과정, S4:마감처리과정

Claims (5)

  1.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것으로서;
    황토분말 17-23wt%, 일라이트분말 3-4wt%, 아크릴분말 2-4wt%, 산화마그네슘분말 27-28wt%, 염화마그네슘분말 13-14wt%, 물 32-33w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된 후 상온에서 건조되어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3. 제1항의 황토바름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물과 모래를 콤프레샤의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콘트리트표면 세척과정;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황토바름재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액상 아크릴라텍스를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프라이머 도포되도록 하는 콘크리트표면 전처리과정;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이 건조되기 전에 액상의 황토바름재를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상온 건조되게 하는 바름재도포과정;
    상기 황토바름재 표면에 액상 비닐코폴리머를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상온 건조되게 하는 마감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
  4. 제1항의 황토바름재가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되는 프라이머도포층;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이 건조되기 전에 도포되고 건조되는 황토바름재층;
    상기 황토바름재층이 건조된 후 도포되고 건조되는 표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도포층은 아크릴라텍스이고 표면층은 비닐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구조.
KR1020100024491A 2010-03-18 2010-03-18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KR10114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91A KR101142466B1 (ko) 2010-03-18 2010-03-18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491A KR101142466B1 (ko) 2010-03-18 2010-03-18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03A true KR20110105303A (ko) 2011-09-26
KR101142466B1 KR101142466B1 (ko) 2012-05-08

Family

ID=4495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491A KR101142466B1 (ko) 2010-03-18 2010-03-18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77B1 (ko) * 2013-07-19 2014-02-18 (주)유니텍기술 친환경 단면 복구 모르타르 및 표면 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호 공법
CN115853014A (zh) * 2023-02-13 2023-03-28 四川蜀西地质工程勘测集团有限公司 一种泥石流防护挡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106B1 (ko) 1997-09-19 2000-02-01 김명곤 황토, 광물 또는 암석분말을 함유한 몰탈
KR100632253B1 (ko) * 2006-03-06 2006-10-11 석성기업주식회사 건축자재용 황토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0818039B1 (ko) 2007-06-23 2008-03-31 이재환 기능성 단열 패널의 조성물
KR100787801B1 (ko) 2007-06-26 2007-12-21 김봉기 건설자재용 적층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77B1 (ko) * 2013-07-19 2014-02-18 (주)유니텍기술 친환경 단면 복구 모르타르 및 표면 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호 공법
CN115853014A (zh) * 2023-02-13 2023-03-28 四川蜀西地质工程勘测集团有限公司 一种泥石流防护挡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466B1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05123614A1 (ja) 廃珪藻土の高機能新素材化方法、及び、廃珪藻土による高機能新素材、並びに珪藻土を利用した珪藻土の建材用組成物
CN105315727A (zh) 可释放负氧离子的生态型多功能无机干粉涂料
CN106075797A (zh) 一种无需光照的分解低分子醛组合物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142466B1 (ko) 콘크리트 옹벽용 황토바름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표면처리방법과 표면처리구조
JP5870437B2 (ja) 建築物の室内仕上げ材用親環境水性塗料組成物
JP2011506647A5 (ko)
CN105060812A (zh) 一种可擦洗功能型硅藻装饰材料
CN103482885A (zh) 一种具有光催化性能的自洁玻璃烧结成膜的加工方法
CN103619966B (zh) 具有高光催化性和清洁性作用的表面处理剂
KR101433528B1 (ko) 백토와 분말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분말 페인트를 이용한 도장방법
KR20160039912A (ko) ZnO광촉매를 이용한 실내공기정화 바이오바름재 조성물
JP2017047135A (ja) 環境浄化剤、環境浄化方法、および、環境浄化剤の製造方法
KR20100122735A (ko)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
JP2008264605A (ja) 珪藻土系室内塗装材による塗装方法及び当該塗装方法に用いられる珪藻土系室内塗装材
KR20220067010A (ko) 실내미세먼지를 저감 및 항 바이러스도 향상시키는 기능성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370023A (ja) 汚染物質の吸着剤および吸着方法
CN106076300B (zh) 一种光触媒吸附植绒载体的表面吸附力处理方法
KR100626176B1 (ko) 나노 은과 숯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도료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KR100838742B1 (ko) 바인더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마감재
MY139169A (en) Methods of spray-coating deodorant,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 and deodorized and antibacterially and antifungally treated articles
JPH0475883B2 (ko)
KR20050098707A (ko) 다기능성 맥반석 페인트
KR20090049170A (ko) 그림을 그려 넣은 암염램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