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618A -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618A
KR20110104618A KR1020100023598A KR20100023598A KR20110104618A KR 20110104618 A KR20110104618 A KR 20110104618A KR 1020100023598 A KR1020100023598 A KR 1020100023598A KR 20100023598 A KR20100023598 A KR 20100023598A KR 20110104618 A KR20110104618 A KR 2011010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card
game
english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149B1 (ko
Inventor
손길연
김혜림
Original Assignee
손길연
김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길연, 김혜림 filed Critical 손길연
Priority to KR102010002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149B1/ko
Priority to PCT/KR2010/007061 priority patent/WO2011115345A1/ko
Publication of KR2011010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딱딱하고 수동적인 학습방식에서 탈피하여 유저의 수준에 따라 레벨별로, 단계별로, 분야별로 특수 목적으로 창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에 이용될 수 있는 기기(器機)의 장점을 접목한 자기주도 영어 단어학습 방법으로서 인지언어학에 바탕을 두고 다양한 색상, 그림, 도형, 부호 등을 활용하여 특별히 고안된 카드를 유저의 레벨에 따라 1-6단으로 구획하고, 카드에는 단어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유저(user)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기재하여 영어의 초급자에서부터 고급자에 이르기까지 단어 철자의 끝자리 이어가기 기능성 게임을 통해서 영어를 말하고 쓰는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인 영어 단어를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창안된 자기주도 영어 단어학습 방법 및 그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끝말 이어가기 게임 '쿵쿠따' 같은 오프라인상에서 사람들이 즐겨하는 '놀이 문화 게임'을 언어를 습득하는 하나의 좋은 학습방법으로서 좀 더 체계적이고 재미있게 즐기면서 어학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카드와 학습 기기의 장점을 접목시켜 오락성과 학습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창안된 것이다. 기존의 다른 학습방법보다 자연스럽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저 스스로가 학습동기를 갖고, 자기 스스로 학습목표를 세우고, 학습과정을 실행해가는 자기주도 학습방식에 바탕을 두고 유저의 상상력, 관찰력, 추리력, 연상력 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또한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영어의 학습내용을 단계별로, 레벨별로 기재된 특화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컴퓨터, 닌텐도,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의 특성을 접목하여 유저 자신과 컴퓨터, 또는 자기 자신과 다른 유저와 컴퓨터 대전(對戰)게임을 즐기는 동안에 집중력, 관찰력, 호기심, 시각화(visualization), 경쟁심 효과를 극대화시켜 유저의 지능개발과 오락성은 물론, 영어 단어 의미 및 철자를 익혀 영어의 전반적인 실력을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 단어학습 방법 및 그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A Self-directed Studying Method and the Device of It to Learn Foreign Language by the Game That Relays the End Spelling of the Word with Integrating the Merits of the Particularly Designed Cards into the Characters of Studying Machines}
산업사회가 정보사회로 바뀌면서 지식사회의 조류가 분화에서 융합으로 바뀌고 있다. 기술이나 산업분야에서 융합현상이 급속히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에서 교육 부분에서만 융합현상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대 디지털 기술은 시간적 순차성과 공간적 배타성을 뛰어넘고 있기 때문에 현대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의 욕구 및 욕구 충족의 방식도 동시적이고 복합적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들의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분화되고 전문화된 지식영역을 전체의 상(相) 아래서 조망하여 구체적으로 계획하여 실천 가능한 대안(代案)을 제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그 동안 교육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람들의 이런 복합적인 욕구를 외면하고 공부는 공부, 오락은 오락이라는 고종 관념의 틀에 갇혀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사회적인 분위기와 경제성장 그리고 교육 여건의 개선으로 대부분의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은 텍스트보다는 디지털화된 영상물을 더 선호하고, 컴퓨터, 닌텐도,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기계에 익숙해 있고, 이런 것들을 사용하여 여가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하고, 이용시간도 증가 추세에 있을 뿐만 아니라 공부보다는 오락을 더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방법에 있어 이들의 이런 욕구를 외면한체 종래의 글자 형태로 이루어진 책을 통해 영어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은 어렵고 딱딱한 형태의 학법이고, 또한 음성 또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기존의 어학용 교구(컴퓨터, 전자사전, 카세트 테이프, CD, 비디오, MP3, 깜박이 영어학습기)는 단어, 숙어, 영어문장 등의 예문을 제시하고, 이 예문 내용만을 반복하여 듣게 하거나 프로그램의 지시사항에 따라 단지 수동적으로만 반복학습하기 때문에 유저로 하여금 공부라는 느낌을 강하게 느끼게 하여 영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떨어뜨려 학습능률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카세트나 컴퓨터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최근에 출시하여 국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특허 받은 깜박이 학습기"나 "똑똑한 전자 영어 단어 학습기 메모리 1080", "하프스터디" 등은 영어에 관련된 자료를 USB를 통해 저장하여 이 학습기기로 학습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기구들 대부분은 학습자의 상상력이나 관찰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개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영어 단어나 문장을 듣고 기계적으로 따라하면서 반복적으로 학습시키는 도구들이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오락성" 보다는 "학습성"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하여 주입식·암기식 학습방법이기 때문에 학습자로 하여금 소극적·수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하여 영어의 관심과 학습 효율성을 떨어지게 한다. 또한 이런 학습도구를 이용하는 것 이에외도 많은 사림들이 '쿵쿠따' 같은 게임이나 '크로스 퍼즐' 형태로 낱말 이어가기 게임을 폭넓게 즐기고 있다. 하지만 학습기기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언어 습득을 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으로 발전하는 데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끝말 이어가기 게임을 어떤 도구를 활용하여 보다 즐겁고, 체계적이고 폭넓게 어학 학습에 이용하는 데는 부족한 면이 많고 개선되어야 할 점도 많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발병은 이런 점들을 보완하여 누구나 '재미있는 놀이'라는 문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을 통해 어려운 단어 의미 및 철자 익히기를 비롯해서 영어의 전반적인 학습을 즐기면서 쉽게 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아이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컴퓨터 사용을 일상화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영어학습도 텍스트가 아닌 학습기기를 이용한 쉽고 재미있는 학습교재와 학습도구 사용이 21세기 영어 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영어교육이 비효율적이었다는 것을 느꼈다면, 지금쯤은 훨씬 더 발전되고 효과적인 영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교재 및 도구나 학습방법도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래 동안 학생들을 현장에서 가르쳐오면서 "어떻게 하면 어려운 영어 단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을까?"라는 문제를 늘 고민해 왔다. 그 결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멀티미디어 영상 기능을 갖고 있는 기기를 이용한 입체적인 게임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어 학습 소프트웨어 개발을 생각했다. 이런 게임을 개발하려면, 우선 유저 자신과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자신과 다른 유저들 간에 게임을 즐기려면 오락적인 재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게임이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려면, 게임 규칙이 있어야 하고, 유저들이 게임에 지속성을 갖고 몰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들이 게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하는 동안 소속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하고, 게임 레벨이나 게임 종류, 게임 상대자를 자신이 직접 선택할 수 있어야만 하고, 승자가 되었을 때 보상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이런 '오락성'과 '참여성'이 강한 기능성 게임을 하면서 학습의 동기 유발을 통해 자기 자신이 주도력을 갖고 학습과정을 선택하고 실천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기주도 영어 학습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수많은 영어 단어의 의미와 철자를 외우는데 큰 부담감이나 거부감을 갖고 있는 유저들을 자연스럽게 영어를 접하게 해주는 하나의 방안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 도형, 부호, 그림 이미지를 활용한 카드를 이용하여 단어의 끝 철자 이어가기 대전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영어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로, 자신의 연상력, 상상력, 추리력, 논리력,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른 유저들과 게임을 하는 과정 속에서 흥미를 느끼며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고, 뿐만 아니라 유저들에게 오락성, 창의성, 유익성, 참여성. 인내성 등을 동시에 제공하여 어려운 영어를 즐기면서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닌텐도, 휴대폰, PMP, 전자사전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게임을 즐기면서 학습자가 단어, 숙어는 물론 유저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어문장을 습득하여 영어의 전반적인 내용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S100)와;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가 제공되는 단계(S110)와;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S120)와;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게임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는 단계(S130)와; 게임 내 선이 되는 유저가 다수의 게임항목(Ⅰ, Ⅱ, Ⅲ)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40)와; 참가한 유저들이 카드(110)를 조합하는 단계(S150)와; 게임 힌트를 볼 수 있는 단계(S160)와; 게임승리조건에 충족되도록 카드를 조합한 유저의 경우, 승리를 선언하는 단계(S170)와; 카드(110)의 조합이 게임승리조건에 일치하면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180)와; 승자 및 패자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 또는 점수가 가감되는 단계(S190)와; 각 유저가 자신의 게임 랭킹을 확인하는 단계(S200)와; 게임의 진행 여부 및 게임항목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0); 로 이루어지는 가지주도 학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50단계는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게임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게임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 내지 10 장의 카드(110)를 분배하는 단계(S151)와; 상기 단계(S151) 후, 상기 게임방을 만든 선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유저 각자가 소지 가능한 카드(110)의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사전 지정하여 선언하는 단계(S152)와; 상기 단계(S152) 후, 소지 가능한 카드(110)의 개수를 준수하면서 게임항목의 승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각 유저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110)를 한 장씩 가져온 후,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110)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110)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110)는 바닥에 내려놓는 단계(S15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항목은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서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며, 소정의 도형으로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국문으로 번역되어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로 시작되는 또 다른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단어를 포함한 영어문장과 국문문장이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되어 있는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의 구성요소 단어부(11) 첫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국문 단어가 기록되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며, 소정의 도형으로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영문으로 번역되어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와 연관되는 단어가 국문 또는 영문으로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사용된 영어문장이 국문번역과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에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국문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의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된 국문단어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의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된 국문단어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서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소정의 단어에 대한 설명이 영어 지문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의 단어에 대한 설명이 지문없이 음성으로 주어지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국문으로 번역되어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로 시작되는 또 다른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단어를 포함한 영어문장과 국문문장이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에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의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들은 카드 일면에 무작위로 배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에 따라 조합해야 하는 카드(110)의 개수 또는 카드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가 유저의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되어 표시됨으로써 게임 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장의 카드(110)에는 선이 지정한 영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에서 모든 철자와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임의로 카드를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보너스 카드가 섞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S153)에서, 원활한 게임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110)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러시아어, 국어 중 하나의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중 하나에 적용하여 자기주도 학습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유저의 수준에 따라 레벨별로, 단계별로, 분야별로 특수 목적으로 창안된 카드를 1~6단으로 구획하고, 카드에는 단어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유저(user)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기재하여 오락성'과 '참여성'을 높여 유저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게임을 즐기면서 학습하는 자기주도 영어 학습방법이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현저한 학습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유저들이 기능성 게임(Edutainment Game)을 하는 동안 재미는 물론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지언어학에 바탕에 두고 다양한 색상, 그림, 도형,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다양한 카드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가정이나 학교, 직장에 소지하고 있는 컴퓨터, 휴대폰, PMP, 닌테도, 전자사전 등을 통해 유저와 컴퓨터 프로그램, 유저와 유저가 대전(對戰) 게임을 즐기는 동안 자연스럽게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어려운 영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셋째, 게임 학습 항목에 따라 다양한 상황별, 주제별, 레벨별로 맞춤형 학습으로서 유저의 수준에 따라 유저가 직접 선택하여 게임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취약한 분야의 단어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도 있어 단어 및 철자 학습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넷째, 유저는 자신의 수준과 비슷한 유저들과 대전(對戰)을 하면서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락성과 참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저 레벨별로 이용할 수 있는 힌트가 학습카드나 기기에 주어지기 때문에 유저가 소구층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어의 왕초보자부터 고급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유저층이 이용하여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일상영어로 자주 쓰이는 단어나 구 및 문장을 유저의 연상력, 관찰력, 집중력, 인지력 등과 인지언어학에 기초하여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한 특화된 카드에 영어 단어학습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유저의 수준에 따라 단계별, 분야별로 기재한 내용을 자기 주도력에 의해 컴퓨터 대전(對戰)게임을 즐기는 동안에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익히기 때문에 단어 의미나 문장 내 그 단어의 쓰임 방법은 물론, 어떤 상황에서 그 단어와 문장이 사용되는지를 정확하게 익힐 수 있고, 내용들을 오래 기억할 수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새로운 기기를 제작하여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기기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적은 비용을 들여 저렴한 가격에 언제 어디서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 용이성, 간편성, 보편성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일곱째, 게임에 참여하는 유저의 학습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다양한 게임 선택과 유저의 인원수에 따라 다양한 카드 숫자 조정과 유저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아이템을 선택하여 게임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다양성 및 융통성을 갖고 있어 유저들이 지루함이나 싫증을 느끼는 것 없이 연속적으로 게임에 몰입할 수가 있다.
여덟째,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는 물론 다른 학문분야에서도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업성이 높다.
아홉째, 카드 게임은 오락성과 학습성뿐만 아니라 유저의 창의력, 판단력, 논리력, 집중력, 관찰력, 기억력 등을 향상시켜 이들의 잠재적인 지능개발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열째, 카드게임은 학습 효과 이외에도 전 국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에 기여할 수 있다. On Line 뿐만 아니라 Off Line 상에서 모든 연령층이 저렴한 비용으로 혼자 또는 친구나 가족과 함께 언제 어디서나 건전한 놀이문화로 만들어 화목한 가정과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열한 번째, 게임에 나온 단어의 의미 및 철자뿐만 아니라 발음이나 문장들에 대한 의미 파악을 통해 복습이 가능하다.
열두 번째, 요즘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의 취향에 딱 맞는 기기의 특성과 학습카드 장점을 접목한 이 게임은 다양한 기기를 이용해서 게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론 학교, 학원, 가정 등 장소나 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유쾌한 학습게임이다.
열세 번째,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이 게임을 통해 추구하려는 오락성과 부모들이 바라는 유익성(학습성) 추구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이기기 때문에 유저층 확보가 용이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학습게임으로서 자리메김하기에 좋다.
열네 번째, 주제별 어휘학습은 해당 카드에 있는 단어들을 한꺼번에 묶어서 학습할 수 있고,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력을 통해 학문에 대한 균형과 언어 구사 능력에 바탕이 된다.
열다섯 번째, 다른 유저와 대전을 통해서 승리함으로써 대리 만족과 심리적·정서적으로 고양(高揚)시켜 자기 효능감을 갖게 되어 게임에 몰입하게 된다.
열여섯 번째, 게임 전 후로 테스트를 통해 유저에게 도전 의식과 목표 설정을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첫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두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세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첫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첫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두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이 영어 단어 의미 및 철자 익히기에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이 사용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에서 유저가 게임방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을 나타낸 계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진행방법에 있어서 카드를 습득하는 경우에 대한 계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진행방법에 있어서 카드 배치와 버리기를 한 경우에 대한 계략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에 사용되는 카드(1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카드(110)의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며, 카드(110) 전면을 다수의 표시부(단어 메인 표시부(10),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표시부(40),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를 두어 내용 및 힌트를 개재한다.(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일면을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와 세로로 다수번 구획하여, 다수의 표시부를 기재할 수도 있음이다.)
즉, 학습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의 의미와 철자(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러시아어, 국어 등과 같은 언어가 적용되어, 해당 언어의 단어나 구 및 문장 학습에 사용될 수 있음이다.)와 관련하여, 해당 카드(110)에 영어 단어, 그 단어에 대한 영어 발음 기호, 그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 이미지, 그 단어에 대한 국어 의미, 그 단어가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힌트 단어, 그 단어가 들어가 있는 영어문장이 기록된다.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는 영어단어 및 그 단어에 대한 발음이 기재되며, 박스 형태를 이루는 도형 내부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는 직사각형 형태의 형상을 가지거나, 사각형 형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양측이 '>' 또는 '<'자 형태로 내부로 파여지는 내입부(15)를 형성하거나, 상기 내입부(15)와 대응되도록 '<' 또는 '>'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입부(15)의 파여지는 형상 및 돌출부(12)의 돌출되는 형상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파여질 수 있거나 돌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 내부에는 문장을 이루는 최소단위 구성요소 단어부(11)(ex: 'doctor' 또는 'rice' 등)가 표시되어 있으며,(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는 실시예에 따라 영어 단어, 또는 영어단어 밑에 그 단어에 대한 발음이 함께 기재될 수 있는데,
영어단어 의미 및 철자를 익히기 위한 카드(110)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A)와 같이 영어단어 밑에 그 단어에 대한 발음이 함께 표시되어 지고, 일단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자 형태의 돌출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는 해당 카드(110) 내에 소정의 의미를 가진 영어 단어 철자 및 발음이 표시되는 곳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유저에게 최초 임의로 주어지는 2장의 카드(①, ②)에는 'doctor'와 'food' 라는 단어가 발음과 함께 각각 기재되어 있다.
즉, 도 7의 첫 번째 카드(①)을 살펴보면,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doctor'라는 단어가 이 카드 게임에서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려면 'r'로 시작하는 영어단어와 결합해야만 된다는 것을 유저로 하여금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를 적색으로 기재한 것이고, 두 번째 카드(②)를 살펴보면, ' food'라는 단어가 이 카드 게임에서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려면 'd'로 시작하는 영어단어와 결합해야만 된다는 것을 유저로 하여금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를 적색으로 기재한 것이고, 이는 각각의 해당 카드의 단어는 단어 철자 끝자리가 적색으로 표시되는 철자를 가진 단어와 조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첫 번째 카드(①)에 기재된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doctor'는 'doctor'에 해당되는 단어 철자 끝자리 'r' 부분을 상기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철자들 'docto'와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유저로 하여금 쉽게 다른 철자와 마지막 철자를 구분 지을 수 있음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영어 단어 및 발음을 기재('doctor')를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표시하여 영어 단어의 의미와 철자를 익히는 것과 달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doctor'에 해당되는 단어의 의미를 영어로 설명한 문장(ex: 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 treats people who are ill.)을 기재되거나 또는 상기 문장을 원어민 발음으로 듣고, 그 문장이 설명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 단어의 철자를 유저가 직접 기재 또는 유추하게 하여 영어 듣기 및 받아쓰기 능력을 향상시켜 영어를 말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단어 메인 표시부(10")로 나타낼 수도 있다.(이는 하기에서 도 5를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는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단어, doctor, rice, elephant, train, nurse, earings 등을 영어 단어와 그 단어 밑에 영어 발음 기호로 기재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 소정의 국어 단어가 표시되는 메인 단어 표시부(10'), 영어 단어를 설명하는 영어문장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처리하는 메인 단어 표시부(10'')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표시된 단어 또는 문장 밑에는 이것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를 나타내고, 상기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밑에는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단어가 영어일 경우 국어 의미를 나타내는 구성요소 단어부(31)가 표시되는 의미 표시부(30)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단어가 국문일 경우 영어 의미를 나타내는 구성요소 단어부(31)가 표시되는 의미 표시부(30')를 나타내고, 상기 의미 표기부(30, 30') 밑에는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단어에 대한 힌트를 알려주는 힌트 단어 표시부(40)를 나타내고,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 밑에는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가 그 게임에서 어떤 단어와 철자 이어가기를 해야 되는지를 다양한 도형과 색상으로 도식화한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통해 나타내고 있는데, 도식화에 사용된 도형 숫자만큼 단어의 철자 이어가기를 하면 게임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그림 이미지 표시부(20)는 메인 단어 표시부(10)에 쓰여진 단어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를 그림 이미지로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기 의미 표시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카드에 영어 단어가 기재되는 메인 단어 표시부(10)가 사용되는 경우에 국어로 어떤 의미로 표현되는지를 국어로 표시되는 부분이되, 도 4에서와 같이, 국문 단어가 기재되는 메인 단어 표시부(1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영어로 어떤 의미로 표현되는지를 영어로 표시되는 의미 표시부(3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 될 참고 형상 표시부(52)와 동일한 도형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메인 단어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와 조합되는 단어가 직접 기재되도록 함으로써, 선이 선언한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다른 카드의 선택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 마지막 철자가 첫번째 철자로 사용된 영어단어 및 그 단어에 대한 발음이 기재되며, 박스 형태를 이루는 도형 내부를 가지는 것으로, 내부에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힌트 단어 표시부(40)는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돌출부(12)와 대응조합되는 '>' 형상의 내입부(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단어 메인 표시부(10)로 기재된 카드(도 1의 B)를 찾도록 힌트를 주는 것이다.
상기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는 다양한 도형과 색상으로 도식화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져, 단어 철자 이어가기 카드 조합을 완성하기 위한 다른 카드의 선택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 것으로,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단어가 그 게임에서 어떤 단어와 철자 이어가기를 해야되는지를 다양한 도형과 색상으로 도식화를 통해 유저에게 힌트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도 7에 도시된 첫번째 카드(①)를 가지고 설명하면, 상기 첫번째 카드(①)의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에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형상이 동일하게 표시되되, 내부에 'doctor'라는 단어 대신, doctor 단어의 철자 첫글자 'd'(알파벳)가 표시되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일단, 또는 타단 또는 양단부에 선택적으로 대응 조합되어 일체형을 이루되,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52)는 단일개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이다.
즉, 도 7의 첫번째 카드(①)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표시되어 있는 'doctor'라는 단어가 상기 메인 단어 표시부(10) 및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통해, 영어 단어 'doctor'카드라는 것 및 상기 'doctor'의 전단에 영어 철자를 'd'가 조합되어 문장을 이룰수 있되, 상기 단어 철자 'd'가 기재되어 있는 카드는 상기 참고 형상 표시부(52)와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이미지 표시부(20)를 통해 상기 'doctor'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유저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첫번째 카드(①)와 조합되는 'd'에 해당되는 영어 단어가 기재된 카드를 습득하면 되되, 문장 결합구조 표시부(50)에서 복제 표시부(51)(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12)가 형성된 형상의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가진 철자(d) 카드.)와 대응되어 조합되어 있는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단어 메인 표시부(10)로 사용하고 있는 카드를 습득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영어 예문 표시부(60)는 카드 일면에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에 기재된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포함된 국문 및 영문의 예문(61)이 표시되는 부분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의 카드 내 다수의 표시부, 즉,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30'), 힌트 단어 표시부(40)(40'),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는 카드의 전면에 기재되되, 상호간 어떠한 일정한 순서나 배치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고 자유롭게 나열되고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에 따라 증감과 삭제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의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30'), 힌트 단어 구조 표시부(40)(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 중, 영어 단어가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를 제외한 나머지 표시부들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드에 기재되어 연관된 다른 카드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표시부의 기재를 줄여, 초급자에서 고급자로 넘어가는 방식의 게임 레벨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물론, 카드에 표시되지 않는 표시부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30'), 힌트 단어 구조 표시부(40)(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 중에서 기재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카드에 표시되는 표시부의 수가 적을수록, 조합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선이 제시한 카드 개수가 증가할수록 레벨이 증가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누구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30'), 힌트 단어 구조 표시부(40)(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를 유저의 수준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 이미지 표시부(20), 힌트 단어 표시부(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가 생략되어 메인 표시부(10)와 의미 표시부(30)만이 표시된 카드의 예시를 도 2에 도시했으며,
일실시예로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가 생략되어 메인 표시부(10),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표시부(40), 영어 예문 표시부(60)를 표시된 카드의 예시를 도 3의 (A)에 도시했다.
상기의 카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방법은, 통상의 카드게임 방식(도 16 또는 도 17)과 비슷하되, 각 유저에게 임의의 카드를 사용자들이 사전에 지정한 임의의 장수로 동일하게 배분한 후, 선이 선택한 분야의 단어의 철자 이어가기 카드의 조합을 통해 완성시키는 것으로,(물론, 완성되어 조합되는 카드의 개수(장수) 또한 선이 지정할 수 있을 것이다.(ex: 3장으로 이루어지는 철자 이어가기 doctor→rice→elephant 형태의 단어 철자 이어가기 완성하기 등)) 자신이 가지고 카드로 조합이 불가능할 경우, 유저 모두가 한 장씩 가져올 수 있는 공통 카드부(70)에서 하나씩 카드를 가져오되, 카드 하나를 가지고 온 후에는, 소유하고 있는 카드 중 하나를 다른 유저들이 볼 수 있도록 바닥에 내려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카드게임 방식과 상이한 점은, 카드 내에 표시되어 있는 전술된 다수의 표시부, 즉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30'), 힌트 단어 표시부(40)(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를 통해 힌트를 얻어, 선이 지정한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카드 게임을 완성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다음 카드를 유저로 하여금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카드 내에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를 도형으로 형상화하되,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10')(10'')와 대응되며 일단 또는 타단, 또는 양단에 조합될 수 있는 도형 형상의 참고 형상 표시부(52)가 나타나 있는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표시하여, 필요로 하는 카드를 찾을 수 있도록 유저의 레벨별로 차등을 두어 다양한 힌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S100)와;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가 제공되는 단계(S110)와;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S120)와;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게임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는 단계(S130)와; 게임 내 선이 되는 유저가 다수의 게임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40)와; 참가한 유저들이 카드(110)를 조합하는 단계(S150)와; 게임 힌트를 볼 수 있는 단계(S160)와; 게임승리조건에 충족되도록 카드를 조합한 유저의 경우, 승리를 선언하는 단계(S170)와; 카드의 조합이 게임승리조건에 일치하면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180)와; 승자 및 패자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 또는 점수가 가감되는 단계(S190)와; 각 유저가 자신의 게임 랭킹을 확인하는 단계(S200)와; 게임의 진행 여부 및 게임항목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S110단계에서처럼, 최초 게임이 시작시, 각 참가자들에게 소정의 기본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되, 일정시간 내(사용자 또는 선이 지정한 소정의 시간으로 그 시간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이다.)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 조건(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단어 2개~10개 중 선이 지정한 단어 개수의 철자 이어가기를 완성하되, 카드의 개수를 선이 지정한 개수만큼 소지하여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성하는 방식.)에 맞춰 올바른 철자 이어가기를 완성했을 경우 S190단계에서처럼, 일정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를 가산하고, 일정시간 내 올바른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완성하지 못했을 경우 일정 수준의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cyber money)를 삭감하여,(상기 점수 및 사이버 머니의 증감 정도 또한 사전에 미리 지정할 수 있으며, 그 액수 또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최종 점수 또는 사이버 머니의 획득량에 따라 유저(참가자)들의 레벨 등급이 수시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50단계는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게임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게임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 내지 10 장의 카드(110)를 분배하는 단계(S151)와; 상기 단계(S151) 후, 상기 게임방을 만든 선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유저 각자가 소지 가능한 카드의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사전 지정하여 선언하는 단계(S152)와; 상기 단계(S152) 후, 소지 가능한 카드의 개수를 준수하면서 게임항목의 승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각 유저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를 한장씩 가져온 후,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는 바닥에 내려놓는 단계(S153);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S153단계에서는 원활한 게임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각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1, 2, 3은 게임시작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게임항목(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 중,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은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고, 후술 될 도 7 내지 도 13은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게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1의 (A), (B), (C), (D) 경우,(도 7에도 도시되어 있음)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단어의 의미 및 철자를 학습하는 경우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 2의 (A), (B), (C), (D) 경우, (도 9에도 도시되어 있음)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하는데 있어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힌트 단어 표시부(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를 삭제하고,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단지 의미 표시부(30)만 힌트로 제공되는 내용을 기재한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도 3의 (A), (B), (C), (D) 경우,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기재하는 것 이외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표시부(40), 영어 예문 표시부(6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삭제된 상태에서 기재한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는 게임시작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게임항목 중,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고, 후술 될 도 10은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게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4의 (A), (B), (C), (D) 경우, (도 10에도 도시되어 있음)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카드에 영어 단어를 직접 기재하지 않고,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 및 발음을 기재하는 것 대신에 국어 단어를 기재하여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표시하고,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영문으로 번역되어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를 표시하며, 또한 유저에게 힌트로 제시되던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에 영어 단어 대신 국어 단어가 기재되어 힌트 단어 표시부(40')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국어 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을 유저의 영어 단어실력은 물론 인지력, 상상력, 연상력 등을 통해 영어 단어 철자를 떠올리게 하여 영어 작문 및 회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 6은 게임시작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게임항목 중,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 관한 것으로, 도 5, 6은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 사용되는 카드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고, 후술 될 도 11, 12는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게임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5 (A), (B), (C), (D) 경우,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소정의 영문 단어를 발음과 함께 직접 기재하는 것 대신, 소정의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표시하여, 그 설명이 어떤 단어에 대한 설명인가를 유저의 영어 실력은 물론 인지력, 상상력, 연상력 등을 통해 영어 단어 철자를 떠올리게 하여 직독직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카드에는 영어 단어 설명에 대한 메인 표시부(10'') 이외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표시부(4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기재한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도 6은 도 5의 (A), (B), (C), (D)의 경우에 기재된 내용과는 달리,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힌트 단어 표시부(40)를 기재하는 것 이외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구조 표시부(50)를 삭제하고 기재한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며, 또한 도 6의 (A), (B), (C), (D) 카드는, 단어 설명을 나타내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내용을 보고 단어의 철자를 유추하는 도 5와는 달리, 단지 메인 표시부(10'')에 있는 단어 설명을 원어민 발음으로 듣고 단어의 철자를 유추하여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는 일실시예가(도 12에 도시되어 있음) 기재된 카드의 형상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것으로, 영어 작문 및 회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하기에서 도 13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는 방식을 통해,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게임을 하는 게임방법의 첫 번째 실시예로써, 각 유저에게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카드에 철자와 의미가 다른 단어가 기재된 2장의 카드를 제공하되, 최종적으로 3장까지의 카드 소지가 가능하도록 하며(카드 숫자는 제한 없이 선이 사전에 지정),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 하나를 가져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추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전히 조합할 수 있는 카드를 우선적으로 모으는 것, 즉 doctor(의사)→rice(밥, 쌀)→elephant(코끼리) 등의 카드처럼 단어의 끝자리 철자 이어가기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즉, 유저가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영어 단어 'doctor'와 'food'가 기재된 카드 2장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유저가 영어 단어 'doctor(의사)'와 'food(음식)'가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소지하고 게임을 하는 도중에 공통 카드부(7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영어 단어 'doctor' 카드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세번째 카드인 영어 단어 'rice'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오면서 단어 'food' 카드(②)를 다른 유저들이 카드 앞면을 볼 수 있도록 바닥에 내놓는 경우이다. (이 경우 카드의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보면, 3개의 도형이 도식화되어 있으므로 3개의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하여야만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유저는 "doctor→rice→알파벳 'e'로 시작하는 카드" 한 장을 공통 카드부(70)에서 더 가져와야만 게임을 종료할 수 있는 경우이다.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유저가 공통 카드부(70)에서 마침내 'rice'와 철자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elephant'가 기재된 카드(④)를 가져와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doctor→rice→elephant" 단어 철자로 이어가기를 하여 게임에서 승자가 되는 경우이다. (즉, 유저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하여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를 바닥에 내어 놓고, 게임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와 철자 끝자리와 이어가기가 되는 다른 카드를 가져오면서 선이 지정한 승리조건을 충족시키면 승자가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게임을 하는 게임방식의 두 번째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도 7에 사용된 카드와 같은 3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4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4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가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도 8에서는 유저가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기재된 다양한 영어 단어 중에서 'd'로 시작하면서 'r'로 철자가 끝나는 단어 'doctor', 'r'로 시작하면서 'e'로 철자가 끝나는 단어 'rice', 'f'로 시작하면서 'd'로 철자가 끝나는 단어 'food'가 기재된 카드 3장(①, ②, ③)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상기 공통 카드부(70)에서 유저가 영어 단어 'elephant' 카드 (④)를 가져와서 게임 종료를 선언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유저가 영어 단어 "doctor→ rice→ food" 카드 3장(①, ②, ③)을 받고 게임을 하는 도중, 공통 카드부(7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3장의 카드(①, ②, ③)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영어 단어 'elephant' 카드(④)를 가져오면서 유저가 소유하고 있던 카드들 중에서 가장 철자 이어가기와 연관성이 없는 영어 단어 'food' 카드(③)를 바닥에 내려놓음으로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완전히 조합된 경우, 즉 "doctor→ rice→ elephant"라는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조합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로써 유저는 곧바로 게임을 종료할 수 있으나 더 높은 보너스 점수를 얻기 위해 게임을 계속 진행시켜, 단어 'elephant'와 철자 이어가기를 추가적으로 할 수 있는 단어 'train'이 기재한 카드(⑤)를 카드 공통부(70)에서 가져와, "doctor→ rice→ elephant→train"라는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여 보너스 점수를 받고 게임에서 승자가 될 수 있는 경우이다.
상기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게임을 하는 게임방식의 세 번째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도 7과 도 8에 사용된 카드와 다른 형상을 가진 3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4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4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가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이나 도 8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도 9에서는 도 7이나 도 8과는 달리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영어단어에 대한 국어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 표시부(30)만 기재하고, 다른 유저에게 힌트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의미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그림 이이지 표시부(20),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단어에 대한 힌트를 제시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영어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영어 예문 표시부(60) 모두가 삭제된 카드를 가지고 도 7이나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영어 단어 의미 및 철자를 익히기 위한 또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방식은 도 8과 같다. 도 9는 단지 도 8에 사용된 카드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던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힌트 단어 표시부(40),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부분들이 삭제된 카드의 형상을 가지고 게임이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일실시예로써, 도 7이나 도 8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전술된 바를 통해, 상기 도 9는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를 위해 유저의 사용 일실시예에 따라 카드에 기재되는 힌트 부분은 삭제와 증감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조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 게임을 하는 게임방식의 일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가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 도 8, 도 9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게임에 사용되는 카드에 기재되는 내용에 있어, 도 7 내지 도 9에서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와 그 단어의 발음이 기재되었던 것과는 달리, 도 10에서는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국어 단어를 기재하여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표시하고,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와 발음기호가 기재되도록 의미 표시부(30')를 표시하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끝자리 철자로 시작되어 조합이 가능한 국어 또는 영어 단어가 기재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된 힌트 단어 표시부(40')가 기재되도록 하여, 유저로 하여금 국어 단어에 대한 올바른 영어 단어를 유저의 영어 실력, 인지력, 상상력, 연상력 등을 통해 떠올리게 하여, 그 영어 단어와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게 하여 영어 작문 및 회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카드의 형상을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 7 내지 9에서는 영어 단어가 직접 기재된 카드를 받았는데, 도 10에서는 영어 단어 대신 국어 단어가 최상단에 기재된 카드를 가지고, 그 단어에 올바른 영어 단어를 생각해 내어 그 단어와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영어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을 익히기 위한 일실시예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 내지 9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각 유저에게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카드에 의미가 다른 국어 단어가 기재된 2장의 카드를 제공하되, 최종적으로 3장까지의 카드 소지가 가능하도록 하며(카드 숫자는 제한 없이 선이 사전에 지정),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 하나를 가져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추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전히 조합할 수 있는 카드를 우선적으로 모으는 것, 즉 의사(doctor)→밥, 쌀(rice)→코끼리(elephant) 등의 카드처럼 단어의 끝 철자가 이어가기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10은 유저가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국어 단어 '의사'와 '음식'이 기재된 카드 2장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유저가' 국어 단어 '의사(doctor)'와 '음식(food)'가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소지하고 게임을 하는 도중에 공통 카드부(7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국어 단어 '의사(doctor)' 카드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국어 단어 '밥, 쌀(rice)'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오면서 단어 '음식(food)' 카드(②)를 바닥에 내놓는 경우이다. 이 경우 카드 밑에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보면, 3개의 도형이 도식화되어 있으므로 3개의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하여야만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유저는 "의사(doctor)→밥, 살(rice)→알파벳 'e'로 시작하는 영어 철자를 갖고 있는 영어 단어 의미에 적합한 국어 단어가 기재된 카드" 한 장을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와야만 게임을 종료할 수 있는 경우이다.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유저가 공통 카드부(70)에서 마침내 '밥, 쌀(rice)'과 철자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코끼리(elephant)'가 기재된 카드(④)를 가져와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doctor(의사)→rice(밥, 쌀)→elephant(코끼리)" 단어 철자로 이어가기를 하여 게임에서 승자가 되는 경우이다. (즉, 유저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하여 주어진 국어 단어에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를 내어 놓고, 게임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국어 단어에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와 이어가기가 되는 다른 카드를 가져오면 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 게임을 하는 게임방식의 첫 번째 실시예로써,
게임에 사용되는 카드에 기재되는 내용에 있어 상기 도 7 내지 9에서는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와 그 단어의 발음이 기재되어 단어 메인 표시부(10)가 사용되는 것과 달리, 도 11에서는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영어 문장을 기재하여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카드에 기재된 영어 문장이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인가를 파악하게 하여, 이 문장 설명에 올바른 영어 단어를 유저의 영어 독해 실력은 물론 인지력, 상상력, 연상력 등을 통해 떠올리게 하여, 그 영어 단어와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게 하여 영어 단어는 물론 유저의 직독직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예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 내지 10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상기 도 11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카드의 일단에 '>' 형태의 돌출부(12)가 형성된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는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어떤 영어 단어(doctor)에 대해 설명을 하는 문장(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을 표기했고,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철자 이어가기를 할 단어에 대한 힌트 단어를 표시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의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에는 영어 단어 'rice'와 이 단어 밑에 영어 발음을 표기하여 유저로 하여금,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된 영어 문장이 단어의 철자 끝자리가 'r'로 끝나는 어떤 단어임을 힌트로 알려주고 있다. 또한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기재하는 것 이외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삭제하고 단지 힌트 단어 표시부만 기재하여 유저에게 힌트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형을 이용하여 단어 메인 표시부(10'')에 '<'자 형태로 내부로 파여지는 내입부(11)가 형성되어 표시되 있으면, 상기 내입부(11)과 대응되도록 힌트 단어 표시부(40)의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 내부는 '>' 형상, 외부는 '<' 형상을 하게 하여, 유저로 하여금 쉽게 해당 카드의 단어가 어떤 단어와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해야 하는지를 도형의 형상을 통해서도 힌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 단어는 물론 직독직해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상기와 같이, 카드 내에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힌트 단어 표시부는 사용자에 따라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원형을 이룰 수 있는 다른 돌출부(12)나 내입부(15)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다수 표시부들을 바탕으로, 각 유저에게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카드의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의미가 다른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영어 문장이 기재된 2장의 카드를 제공하되, 최종적으로 3장까지의 카드 소지가 가능하도록 하며(카드 숫자는 제한 없이 선이 사전에 지정),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 1장을 가져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추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전히 조합할 수 있는 3장의 카드를 우선적으로 모으는 것, 즉 "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doctor)→ This is something consists of white or brown grains taken from a cereal plant.(rice)→ This is a very large animal with a long, flexible nose called a trunk, which it uses to pick up things.(elephant)" 등의 카드처럼 단어의 끝 철자가 이어가기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상기 도 11은 유저가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문장 '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doctor)'와 This is what people and animals eat.(food)이 기재된 카드 2장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 유저가' 영어 문장 'doctor 단어에 대한 영어로 설명'과 'food 단어에 대한 영어로 설명'이 기재된 카드 2장(①, ②)을 소지하고 게임을 하는 도중, 공통 카드부(7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영어 문장 'doctor' 단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영어 문장(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이 기재된 카드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영어 문장 'rice' 단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영어 문장(This is something consists of white or brown grains taken from a cereal plant.)이 기재된 카드(③)를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오면서 'food 단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영어 문장(This is what people and animals eat.)'이 기재된 카드(②)를 바닥에 내놓는 경우이다. 이 경우 카드 밑에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보면, 3개의 도형이 도식화되어 있으므로 3개의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하여야만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유저는 "doctor→rice→알파벳 'e'로 시작하는 영어 철자를 갖고 있는 영어 단어를 설명하는 적합한 영어 문장이 기재된 카드" 한 장을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와야만 게임을 종료할 수 있는 경우이다.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유저가 공통 카드부(70)에서 마침내 'rice'와 철자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영어 단어 'elephant'에 대한 적합한 설명을 하고 있는 영어문장( This is a very large animal with a long, flexible nose called a trunk, which it uses to pick up things)이 기재된 카드(④)를 가져와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doctor(의사)→rice(밥, 쌀)→elephant(코끼리)" 단어 철자로 이어가기를 하여 게임에서 승자가 되는 경우이다. (즉, 유저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를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하여 주어진 단어에 기재된 영어 문장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카드와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를 바닥에 내 놓고, 게임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영어로 단어 의미를 설명)에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와 이어가기가 되는 다른 카드를 가져오면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2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에 사용되는 카드를 가지고, 영어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통해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 게임을 하는 게임방식의 두 번째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 내지 11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게임에 사용되는 카드에 기재되는 내용에 있어, 도 7 내지 9에서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와 그 단어의 발음이 기재되었던 것과는 달리, 도 12에서는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단어 및 발음을 직접 기재하는 것 대신에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영어 문장을 텍스트로 보는 것이 아닌 듣고 유저로 하여금 카드에 기재된 영어 문장이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인가를 음성으로 듣고 파악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이 문장 설명에 올바른 영어 단어를 유저의 영어 듣기 실력, 인지력, 상상력, 연상력 등을 통해 떠올리게 하여, 그 영어 단어와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게 하여 영어 단어 및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의 형상을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 11에서는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었던 것과는 달리, 도 12의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는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이 텍스트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단어에 대한 설명을 카드를 1장씩 받을 때 듣기만 하고, 유저가 들었던 내용이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인가를 파악하게 어떤 단어를 유추하게 하고, 또한 카드에 단어 메인 표시부(10'')를 기재하는 것 이외에 유저에게 힌트로 제공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 의미 표시부(30), 힌트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를 삭제하고 단지 힌트 단어 표시부(40)의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에 영어 단어 'rice'만 기재한 카드의 형상을 가지고 유저로 하여금 카드에 기재된 영어 문장이 설명하고 있는 단어가 철자 끝자리가 'r'로 끝나는 어떤 단어임을 힌트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의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카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일실시예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2장의 카드를 받은 후, 선이 제시한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에 부합되도록, 공통 카드부(70)에서 다른 1장을 가져와, 3장의 카드로 단어 철자 끝자리가 이어가기를 조합하는 카드 게임으로써, 상기 도 7 내지 11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
각 유저에게 다양한 색상, 도형, 그림, 부호 등을 활용하여 만든 각각의 카드의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의미가 다른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영어 문장이 기재되지 않은 빈 공간(단지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보는 것이 아닌 듣고 판단)으로 구성된 2장의 카드를 제공하되, 최종적으로 3장까지의 카드 소지가 가능하도록 하며(카드 숫자는 제한 없이 선이 사전에 지정),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 하나를 가져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조합하여,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추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텍스트가 아닌 음성으로 듣고 완전히 조합할 수 있는 카드를 우선적으로 모으는 것, 즉 "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doctor)→ This is something consists of white or brown grains taken from a cereal plant.(rice)→ This is a very large animal with a long, flexible nose called a trunk, which it uses to pick up things.(elephant)" 등의 카드처럼 단어의 끝 철자가 이어가기가 일치하는 3장의 카드를 듣기만 하고 가장 우선적으로 조합하는 유저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상기 도 12는 유저가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영어 문장 '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doctor)'와 This is what people and animals eat.(food)이 기재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구성된 카드 2장을 받아서 소지한 경우로서(카드 1 장씩 받을 때마다 그 카드가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설명인가를 음성으로 한 번 들으면서 받음), 유저가 어떤 단어('doctor')에 대한 설명을 영어로 듣고 받은 카드 (①)와 어떤 단어('food')에 대한 설명을 영어로 듣고 받은 또 다른 카드 1장(②)을 소지하고 게임을 하는 도중, 공통 카드부(70)에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doctor' 단어에 대한 설명(This is a person who is qualified in medicine and treats people who are ill)'을 들었던 카드와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영어 문장 'rice' 단어에 대한 설명(This is something consists of white or brown grains taken from a cereal plant.)을 하고 있는 카드(③)를 단지 듣고 판단하여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오면서 'food' 단어에 대한 설명(This is what people and animals eat.)을 하고 있는 카드(②)를 바닥에 내놓는 경우이다.
도 12는 3개의 단어 철자 이어가기를 하여야만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유저는 "doctor→rice→알파벳 'e'로 시작하는 영어 철자를 갖고 있는 영어 단어를 설명하는 적합한 카드" 1장을 단지 듣기만 하고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와야만 게임을 종료할 수 있는 경우이다. 게임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유저가 공통 카드부(70)에서 듣고 판단하여 마침내 'rice'와 철자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영어 단어 'elephant'에 대한 적합한 설명( This is a very large animal with a long, flexible nose called a trunk, which it uses to pick up things)을 듣고 카드(④)를 공통 카드부(70)에서 가져와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이다.
즉, "음성으로 들은 영어 예문 ①(doctor)→ 음성으로 들은 영어 예문 ③(rice)→ 음성으로 들은 영어 예문 ④(elephant)" 단어로 이루어진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하여 게임에서 승자가 되는 경우이다. 즉, 유저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 내용을 텍스트가 아닌 음성을 듣고 가져와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와 비교하여 자신이 들었던 어떤 영어 단어에 대한 내용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카드와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카드를 바닥에 내 놓고, 게임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카드와 적합한 영어 단어의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가 되는 다른 카드를 듣고 판단하여 적합한 카드를 가져오면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실시예로써, 도 7 내지 11에 비해 레벨이 상승된 경우의 예이다.(전술된 바를 통해, 상기 도 7 내지 12는 영어 단어 의미 및 철자 익히기를 위해 유저의 사용 일실시예에 따라 카드에 기재되는 힌트 부분은 삭제와 증감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조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색상, 그림, 부호, 도형을 활용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영어 단어학습, 영어 직독직해, 듣기 및 말하기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은,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학습기기 및 전자기기 중 하나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오프라인에서 카드로 제작되어 사용될 시에는 선으로 지정된 유저(참가 유저들의 선택에 의해 선은 항시 바뀔수 있다.)에 의해 게임방법이 설명되고, 영어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기 위해 몇 장의 카드를 최초 분배할 것이며, 몇 장으로 이루어진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성해야 하는지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유저에게 배분되는 다수의 카드 중에는 선이 선언한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조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영어 단어의 철자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카드,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 부(70)에서 임의로 카드를 가져올 수 있는 카드,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카드 뭉치에서 카드를 연속하여 3장을 뜰 수 있는 카드, 다른 유저들의 카드를 모두 볼 수 있는 카드, 현재의 게임을 중단시키고 다음 판 게임에서 얻은 점수의 2배를 보상하는 카드 등과 같은 보너스 카드들(미도시)이 유저에게 흥미와 긴장감을 불어넣기 위해 섞여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상기에서 언급된 보너스 카드에 대한 예는 일실시예에 불가한 것이며, 사용자에 따라 흥미와 긴장감을 불어넣기 위해 다양한 보너스 카드들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변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카드들은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2명 이상의 사람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S100부터 S210 단계의 게임방법은 오프라인 상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되, 회원가입과 로그인 단계인 S100의 단계가 생략되고, S110단계에서 주어지는 사이버머니는 코인 또는 지폐를 별도로 제작하여 참가자 각자에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며, 스톱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승리를 선언하는 S170 단계에서는 단어의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를 완성한 참가자가 스스로 "스톱"을 외치면 될 것이다. 더불어, 게임의 결과 후에 적용되는 등급(레벨)의 경우에는 참가자들이 스스로 등급별로 해당되는 소정한도의 점수를 게임 전에 미리 지정하고, 각 등급에 해당되는 푯말 또는 카드 등 등급을 표시하는 별도의 소정제작물을 제작하여 등급이 변동될 때마다 참가자 스스로 교체해가며 사용하면 될 것이다.
레벨별로 학습하고, 자신의 노력 여부에 따라 보상이 주어지는 신개념 자기주도 학습방법으로서 영어학습에만 한정시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국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서반어, 러시아어 등 다른 언어에 대해서도 카드에 기재되는 내용 및 글자 모양만 다르게 표시될 뿐 카드 활용방법은 영어와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및 다양한 전자학습기기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이용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는 게임방법이 표시되는 게임방법 표시부(80)와, 게임을 승리하기 위해 내건 유저의 다양한 게임 조건이 제시되는 단계별 실행모드 표시부(90)와, 유저에게 주어지는 카드가 보여지는 제 1카드부(100)와, 상기 공통 카드부(70) 및 유저가 자신에게 필요없다 판단하여 버린 카드가 모아지는 포기 카드부(71)가 보여지는 제 2카드부(110) 등이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4는 게임에 참여하는 유저가 게임방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참가인원수 표시(가/나)에서 "나"는 한 게임방(120)에 참가할 수 있는 유저 숫자를 나타낸 것이고, "가"는 현재 그 게임방(120)에 참가를 기다리고 있는 대기자 숫자를 나타낸 것이다. 가령 게임방(120) D의 경우에는 "10/10"이므로 더 이상 다른 참가자들이 참여할 수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10', 10'': 단어 메인 표시부 11, 31, 41, : 구성요소 단어부
12: 돌출부 15: 내입부
20: 그림 이미지 표시부 30, 30': 의미 표시부
40, 40': 힌트 단어 표시부 50: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
51: 복제 표시부 52: 참고 형상 표시부
60: 영어 예문 표시부 70: 공통 카드부
71: 포기 카드부 80: 게임방법 표시부
90: 단계별 실행모드 표시부 100: 제 1카드부
110: 제 2카드부

Claims (16)

  1.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는 단계(S100)와;
    로그인한 유저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가 제공되는 단계(S110)와;
    자신의 영어 수준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S120)와;
    동일한 레벨 내에 자신이 원하는 게임방으로 개인 또는 다수명이 참가하는 단계(S130)와;
    게임 내 선이 되는 유저가 다수의 게임항목(Ⅰ, Ⅱ, Ⅲ)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40)와;
    참가한 유저들이 카드(110)를 조합하는 단계(S150)와;
    게임 힌트를 볼 수 있는 단계(S160)와;
    게임승리조건에 충족되도록 카드를 조합한 유저의 경우, 승리를 선언하는 단계(S170)와;
    카드(110)의 조합이 게임승리조건에 일치하면 효과음이 울리는 단계(S180)와;
    승자 및 패자에게 소정의 사이버 머니 또는 점수가 가감되는 단계(S190)와;
    각 유저가 자신의 게임 랭킹을 확인하는 단계(S200)와;
    게임의 진행 여부 및 게임항목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50단계는
    상기 단계(S140) 후, 상기 게임방 내에 일정 수준의 인원이 차면, 상기 컴퓨터가 게임시작을 알리며 다수 장의 카드(110)를 섞은 후, 시계방향으로 유저들에게 게임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2 내지 10 장의 카드(110)를 분배하는 단계(S151)와;
    상기 단계(S151) 후, 상기 게임방을 만든 선이 자신의 카드(110)를 확인하여, 유저 각자가 소지 가능한 카드(110)의 개수를 게임승리 조건으로 사전 지정하여 선언하는 단계(S152)와;
    상기 단계(S152) 후, 소지 가능한 카드(110)의 개수를 준수하면서 게임항목의 승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각 유저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공통 카드부(70)에서 카드(110)를 한 장씩 가져온 후, 자신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카드(110)와 비교해 보고 자신의 카드(110)와 관련이 있으면 소지하고, 가장 관련이 없는 카드(110)는 바닥에 내려놓는 단계(S15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140단계의 게임항목은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영어단어의 의미 및 철자 익히기(Ⅰ)에서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며, 소정의 도형으로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국문으로 번역되어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로 시작되는 또 다른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단어를 포함한 영어문장과 국문문장이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의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되어 있는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의 구성요소 단어부(11) 첫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국어단어에 대한 영어 표현 익히기(Ⅱ)에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국문 단어가 기록되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며, 소정의 도형으로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영문으로 번역되어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와 연관되는 단어가 국문 또는 영문으로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사용된 영어문장이 국문번역과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에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국문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의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된 국문단어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의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에 기재된 국문단어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를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단어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당 영문단어를 선택하기(Ⅲ)에서 사용되는 상기 카드(1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세모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되,
    소정의 단어에 대한 설명이 영어 지문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소정의 단어에 대한 설명이 지문없이 음성으로 주어지는 구성요소 단어부(11)가 표시되는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의미에 해당되는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이미지 표시부(20)와;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가 국문으로 번역되어 기록되는 의미 표시부(3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대응되어 조합가능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마지막 철자로 시작되는 또 다른 영어의 단어가 발음기호와 함께 기록되는 힌트 구성요소 단어부(41)가 표시되는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상기 단어 메인 표시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제 표시부(51)와, 상기 힌트 단어 표시부(40)와 동일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복제 표시부(51)의 전단 또는 후단 또는 전, 후단에 대응조합되는 참고 형상 표시부(52)로 이루어지는 단어 결합구조 표시부(50);
    상기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단어를 포함한 영어문장과 국문문장이 함께 기재되어 표시되는 영어 예문 표시부(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유저들은 선이 지정한 카드 개수에 맞춰 카드를 소지하되, 첫 번째 카드에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의 마지막 철자가,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도록 하고, 두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마지막 철자가 세 번째 카드 구성요소 단어부(11)의 뜻을 가지는 영문단어 첫 번째 철자와 일치되는 형식이 되도록,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방식으로 카드를 다수 장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0. 제 4, 6,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들은 카드 일면에 무작위로 배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1. 제 4, 6,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이 선언한 게임승리조건에 따라 조합해야 하는 카드(110)의 개수 또는 카드에 표시되는 다수의 표시부가 유저의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어 증감과 삭제되어 표시됨으로써 게임 레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장의 카드(110)에는
    선이 지정한 영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에서 모든 철자와 이어가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다른 유저의 카드나 남아있는 공통 카드부(70)에서 임의로 카드를 추가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보너스 카드가 섞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53)에서,
    원활한 게임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10초 내지 15초 이내의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거나, 또는 시간을 초과하여 카드를 내려놓는 횟수가 선이 지정한 일정 횟수를 넘게 되는 경우, Time System(시간제)의 게임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유저에게 반칙패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110)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물형태의 카드로 제작되어, 온라인(On-Line) 상이 아닌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서반어, 러시아어, 국어 중 하나의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16. 제 1항으로 형성된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컴퓨터, 전자사전, 외국어학습기, PMP, 휴대폰 중 하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장치.
KR1020100023598A 2010-03-17 2010-03-17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KR10133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98A KR101332149B1 (ko) 2010-03-17 2010-03-17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PCT/KR2010/007061 WO2011115345A1 (ko) 2010-03-17 2010-10-14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598A KR101332149B1 (ko) 2010-03-17 2010-03-17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618A true KR20110104618A (ko) 2011-09-23
KR101332149B1 KR101332149B1 (ko) 2013-11-21

Family

ID=4464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598A KR101332149B1 (ko) 2010-03-17 2010-03-17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2149B1 (ko)
WO (1) WO201111534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160A (ko) * 2018-07-24 2020-02-03 박근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끝말잇기 단어 학습 방법
KR20210112757A (ko) 2020-03-06 2021-09-15 키오스크코리아(주) 공간 인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광고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1900B1 (ko) * 2023-01-27 2023-08-02 주식회사 이지콘텐츠연구소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끝말잇기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151A (ko) * 1997-12-12 1999-07-05 성기훈 전자식 영어학습기
KR20070064753A (ko) * 2005-12-19 2007-06-22 안 데이비드 단어 조합 게임구 및 그 게임방법
KR20080045342A (ko) * 2006-11-20 2008-05-23 배철민 낱말 학습을 위한 놀이카드
KR100888264B1 (ko) * 2007-08-02 2009-03-10 이은순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160A (ko) * 2018-07-24 2020-02-03 박근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끝말잇기 단어 학습 방법
KR20210112757A (ko) 2020-03-06 2021-09-15 키오스크코리아(주) 공간 인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광고용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1900B1 (ko) * 2023-01-27 2023-08-02 주식회사 이지콘텐츠연구소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끝말잇기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149B1 (ko) 2013-11-21
WO2011115345A1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hsh Using Games as a Tool in Teaching Vocabulary to Young Learners.
KR101042300B1 (ko) 다양한 색상과 기호 및 이미지를 활용한 컴퓨터 게임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Quy Cooperative Game-Playing in the EFL Classroom.
KR101332149B1 (ko) 카드와 학습기기를 접목시킨 단어 철자 끝자리 이어가기 게임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학습장치
KR101090264B1 (ko) 색상, 도형, 그림의 특성과 학습기기의 장점을 접목하여 언어를 익히는 G-learning 학습방법
KR101234290B1 (ko)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해 영어 알파벳과 단어를 배우는 자기주도 학습방법 및 그 장치
Kongprab Effects of Digital Game-Based Learning on Vocabulary Gain, Retention Motivation and Perceptions of Thai Upper Primary School Students
KR101238154B1 (ko) 특별히 고안된 카드의 장점과 학습기기의 특성을 접목시킨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anskanen et al. Proposing game concep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for minority language learning: Karelian language
ZALMI et al. SPEAKING ACTIVITIES IN ENGLISH CLUB AT SMAN 1 NGEMPLAK BOYOLALI IN THE ACADEMIC YEAR 2022/2023
Ayache Investigating the Impact of Video Game in Learning Vocabulary: The Case of Third-Years gamers’ Students at “Omar Idriss” Secondary School in El-Kantara
Houda et al.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language games in enhancing EFL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Fauziah The Effectiveness of Using Scattergories Game Towards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Vasiliki The impact of cartoons on young learners’ vocabulary acquisition: a case study on Ben and Holly
Alfaizin The Use of Trace Effect Game to Increase Student’s Vocabulary
Arumningsih The Effectiveness of Using Spelling Bee Games in Teaching Vocabulary Mastery at the Seventh Grade Students of Mts Al-Hidayah Nusawungu in the Academic Year 2016/2017
Tanskanen Evaluating and designing language learning games for minority languages: focus on Karelian language
Öcal The use of Robin Hood in the comparison of two method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y: Total physical response and grammar translation method
Al-Khattab et al. Utilizing Games In Teaching English Vocabulary Inside Classrooms A Case Study Of Jordan
Garzón Córdova Use of Board Games to Enhanc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n Ninth-Grade Students.
Rambe The effect of spelling bee game on vocabulary mastery at XI Grade Students of SMAN 3 Padangsidimpuan
Castro et al. Learning German Vocabulary Through Game-Based Learning and Gamification
MEGHDIR The Impact of Game-Based Learning on Promoting EFL Students’ Speaking Skill. The Case of Second Year Students of English at Boulhadj Bouchaib University Centre
Mukhtar et al. The Use of Pelmanism Technique In Increasing Foreign Learners' Grammar Ability
González Vega et al.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 Technique to Improve students’ Speaking skill performance in Eighth graders at Cartagena Technical High School. Santa Cruz Regional Office. 20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