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648A -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 Google Patents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648A
KR20110103648A KR1020100022818A KR20100022818A KR20110103648A KR 20110103648 A KR20110103648 A KR 20110103648A KR 1020100022818 A KR1020100022818 A KR 1020100022818A KR 20100022818 A KR20100022818 A KR 20100022818A KR 20110103648 A KR20110103648 A KR 2011010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base
remote monitoring
data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512B1 (ko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5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 이중화 기능과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원방 감시반의 구성에 적절히 대응하여 원방 감시반과의 통신을 혼란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프로세스 이중화를 위하여 각 통신선로로 전송할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지만,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도록 하여 송신용 데이터의 연속성과 통일성이 보장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원방 감시반을 독립적으로 연결할 때의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을 정상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단일 원방 감시반을 연결하였을 때 통신선로가 절체되는 상황에도 적절히 대처하여 데이터의 원활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Digital Protective Relay with Duplex Function }
본 발명은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로 이중화 기능과 서로 다른 원방 감시반의 독립적인 통신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 이중화 방식을 모두 구비한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원방 감시반의 구성에 적절히 대응하여 혼란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발전(發電)이나 송배전 등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전력계통의 상태를 감시하고 보호하는 장치로서,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차단기를 동작시켜 전력계통과 부하 기기 사이의 회로를 차단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력계통과 부하 기기를 보호한다.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기량과 고장정보 등 각종 데이터들은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에서 수집될 수 있다.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관리자나 원방 감시반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RS-232, RS-485 등 범용 직렬통신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디지털 보호 계전기와 원방 감시반을 단일 통신선로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 해당 통신선로에 결함이 발생하면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예비의 통신포트를 더 구비하여 통신선로를 이중화하는 방식(선로 이중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선로 이중화 방식은 단순히 원방 감시반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선로를 하나 더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여러 원방 감시반과 동시에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는 없다.
예로서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전담하는 원방 감시반과, 디지털 보호 계전기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전담하는 원방 감시반을 분리하여 운용하는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없다.
즉, 선로 이중화 방식만으로는 원방 감시반 구성의 다양화,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의 다양화, 일반 감시 기능과 긴급 메시지 송신 기능의 차별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각 통신선로마다 별도의 통신 프로세스를 운용하는 이중화 방식(프로세스 이중화 방식)을 선로 이중화 방식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프로세스 이중화 방식은 각 원방 감시반과 별도의 통신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서로 독립적인 통신 프로세스를 유지하므로, 원방 감시반 구성의 다양화,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의 다양화, 일반 감시 기능과 긴급 메시지 송신 기능의 차별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이중화 방식은 각 통신선로에 대한 통신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하나의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경우 적절하게 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단일 원방 감시반과 연결되어 있는데 어느 하나의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타 통신선로를 통해 통신하도록 절체가 일어나는 경우,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독립적인 두 통신 프로세스간에 데이터가 공유되지 못하므로 한쪽에서 감시하고 있던 고장 이력 데이터가 다른 쪽 통신선로로 중복하여 송신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로 이중화 기능과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원방 감시반의 구성에 적절히 대응하여 원방 감시반과의 통신을 혼란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통신부;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중 상기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채널 데이터 처리부; 및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2통신부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대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하는 절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체처리부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대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통신선로와 상기 제2 통신선로에는 동일한 원방 감시반이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디지털 보호 계전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절체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선로(주선로)와 제2 통신선로(예비선로)에 같은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동작하는 이중화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통신부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할 수 있다.
상기 절체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선로(주선로)와 제1 통신선로(예비선로)에 같은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동작하는 이중화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는 각각 원방 감시반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통신포트, 상기 통신포트에 연결된 원방 감시반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콘트롤러, 및 상기 절체처리부의 절체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읽어 해당 통신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채널 태스크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로 이중화 기능과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이 모두 적용된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된 경우에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통신선로의 절체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공통된 내부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에 송신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통신선로의 절체시 불필요한 데이터가 중복하여 원방 감시반에 송신되는 등의 오류를 막을 수 있다.
만일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독립적인 원방 감시반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 경우라면 디지털 보호 계전기가 각 통신선로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유지되는 내부 데이터를 해당 원방 감시반으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이 그대로 수행되도록 한다.
관리자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이중화 동작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각 현장에 설치된 디지털 보호 계전기를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구성에 관한 예,
도 2와 도 3은 디지털 보호 계전기와 원방 감시반의 연결 구조에 관한 예,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각 실시예,
도 6은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 과정을 요약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3), 디지털 보호 계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 Read Only Memory,14), 동작중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15), 선로 이중화를 위한 제1 통신포트(11-1)와 제2 통신포트(11-2), 각 통신포트(11-1,11-2)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콘트롤러(12-1)와 제2 통신 콘트롤러(12-2), 관리자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관리자 컴퓨터(19)를 연결하여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동작정보를 설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운로드 포트(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보호 계전기(10)가 구동을 시작하면, 중앙처리장치(13)는 롬(14)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하고, 동작 중 필요한 정보는 램(15)에 저장하여 유지한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처리장치(13)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전력계통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는 변위기(PT: Potential Transformer)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정보, 센서가 측정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관리하고, 각 통신 콘트롤러(12-1,12-2)를 통해 원방 감시반으로 송신한다.
한편,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에는 선로 이중화 기능과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이 모두 적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자면,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각 통신포트(11-1,11-2)를 통해 단일 원방 감시반(2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의 제1 통신포트(11-1)에 연결되는 제1 통신선로 및 제2 통신포트(11-2)에 연결되는 제2 통신선로를 통해 하나의 원방 감시반(21)과 연결되며,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21)과 통신하는 도중 이상이 발생하면 통신경로를 제2 통신선로로 절체하여 제2 통신포트(11-2)를 통해 원방 감시반(21)과 통신한다.
도 3을 참조하자면,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각 통신포트(11-1,11-2)를 통해 별도의 원방 감시반(21,22)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제1 통신포트(11-1)에 연결되는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 A(21)와 연결되고, 제2 통신포트(11-2)에 연결되는 제2 통신선로를 통해 또 다른 원방 감시반 B(22)와 연결된다.
이때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 A(21)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스와,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 B(2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스를 독립적으로 유지하며, 각 통신 프로세스는 타 통신 프로세스에 영향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원방 감시반 A(21)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전담하고, 또 다른 원방 감시반 B(22)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전담하는 등 원방 감시반을 상호 분리하여 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보호 계전기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각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절체함으로써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있는 상황과 별도의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 각각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통신부(41)는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 통신부(43)는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42)는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유지하며, 제2 데이터베이스(44)는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유지한다.
즉,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기본적으로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을 제공하므로 각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제1 통신부(41)와 제2 통신부(43)는 각각 원방 감시반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통신포트(11-1,11-2), 통신 콘트롤러(12-1,12-2),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통신 콘트롤러(12-1,12-2)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 예컨데 이더넷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43-3)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제2 데이터베이스(44)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읽어 해당 통신 콘트롤러(12-1,12-2)로 전달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제1 통신선로와 제2 통신선로에 각각 대응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제2 데이터베이스(44)가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43-3)는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2 통신 콘트롤러(12-2)로 전달하게 된다.
도 4에는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43-3)가 제2 통신 콘트롤러(12-2)로 전달하는 데이터의 경로가 절체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1 통신 콘트롤러(12-1)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와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43-3)의 역할은 중앙처리장치(13)가 그 동작 중에 생성하여 유지하는 태스크(Task)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채널 데이터 처리부(47)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의 내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48)의 정보 중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제1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하고,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제2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한다.
채널 데이터 처리부(47)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하는 데이터와 제2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10)와 원방 감시반의 연결 관계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채널 데이터 처리부(47)의 역할은 중앙처리장치(13)가 그 동작 중에 생성하여 유지하는 태스크(Task)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절체처리부(46)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2통신부(43)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제2 데이터베이스(44)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으로 송신하도록 절체한다.
즉, 절체처리부(46)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가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라면,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43-3)를 제2 데이터베이스(44)와 연결한다.
이때 제1 통신부(41)는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 A(21)로 송신하고, 제2 통신부(43)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 B(22)로 송신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가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라면, 절체처리부(46)는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43-3)를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연결한다.
이때 정상 상태에서는 제1통신부(41)만이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1)으로 송신한다.
제1 통신부(41)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다가 제1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신선로가 제2 통신선로로 절체되면, 제2 통신부(43)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1)으로 송신한다.
즉,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에서는 통신선로가 절체되더라도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가 공통적으로 원방 감시반에 송신되므로 중복 송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보호 계전기(10)는 도 4에 도시된 예와는 반대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1 통신 콘트롤러(12-1)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자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절체처리부(46)는 관리자가 설정하는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제1통신부(43)가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제2 데이터베이스(44)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으로 송신하도록 절체한다.
즉, 절체처리부(46)는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가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라면,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를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연결한다.
이때 제1 통신부(41)는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 A(21)로 송신하고, 제2 통신부(43)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 B(22)로 송신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가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라면, 절체처리부(46)는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41-3)를 제2 데이터베이스(44)와 연결한다.
이때 정상 상태에서는 제2통신부(43)만이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1)으로 송신한다.
제2 통신부(43)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다가 제2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신선로가 제1 통신선로로 절체되면, 제1 통신부(41)가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1)으로 송신한다.
즉, 단일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는 모드에서는 통신선로가 절체되더라도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가 공통적으로 원방 감시반에 송신되므로 중복 송신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통신부(43)의 데이터 송신 과정을 요약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자면, 관리자가 이중화 동작 모드를 단일 원방 감시반을 연결하는 모드로 설정하였을 때(S61-1), 제2 통신부(43)는 절체처리부(46)에 의해 제1 데이터베이스(42)와 연결된다(S61-2).
이에 따라 통신선로가 주선로인 제1 통신선로에서 예비용 선로인 제2 통신선로로 절체되는 경우 제2 통신부(43)는 제1 데이터베이스(42)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1)으로 송신한다(S61-3).
도 6b를 참조하자면, 관리자가 이중화 동작 모드를 별도의 원방 감시반을 연결하는 모드로 설정하였을 때(S62-1), 제2 통신부(43)는 절체처리부(46)에 의해 제2 데이터베이스(42)와 연결된다(S62-2).
이에 따라 제2 통신부(43)는 제2 데이터베이스(44)의 데이터를 원방 감시반(22)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와 원방 감시반의 연결방식을 결정한 후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이중화 동작 모드를 그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개별적인 원방 감시반을 연결할 때의 프로세스 이중화 기능을 정상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단일 원방 감시반을 연결하였을 경우 통신선로가 절체되는 상황에도 적절히 대처하여 데이터의 원활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디지털 보호 계전기 11-1: 제1 통신포트
11-2: 제2 통신포트 12-1: 제1 통신 콘트롤러
12-2: 제2 통신 콘트롤러 13: 중앙처리장치
14: 롬 15: 램
16: 다운로드 포트 21,22: 원방 감시반
41: 제1 통신부 41-3: 제1 채널 태스크 처리부
42: 제1 데이터베이스 43: 제2 통신부
43-3: 제2 채널 태스크 처리부 44: 제2 데이터베이스
46: 절체처리부 47: 채널 데이터 처리부
48: 메인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전력계통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별도의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할 수 있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에 있어서,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원방 감시반과 통신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통신부;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중 상기 제1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통신선로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채널 데이터 처리부; 및
    관리자가 설정한 이중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2통신부(또는 제1 통신부)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또는 제1 데이터베이스) 대신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하는 절체처리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선로(주선로)와 제2 통신선로(예비선로)에 같은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동작하는 이중화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통신부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선로(주선로)와 제1 통신선로(예비선로)에 같은 원방 감시반이 연결되어 동작하는 이중화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는 각각 원방 감시반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통신포트, 상기 통신포트에 연결된 원방 감시반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콘트롤러, 및 상기 절체처리부의 절체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읽어 해당 통신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채널 태스크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20100022818A 2010-03-15 2010-03-15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KR10134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18A KR101345512B1 (ko) 2010-03-15 2010-03-15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818A KR101345512B1 (ko) 2010-03-15 2010-03-15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48A true KR20110103648A (ko) 2011-09-21
KR101345512B1 KR101345512B1 (ko) 2013-12-27

Family

ID=4495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818A KR101345512B1 (ko) 2010-03-15 2010-03-15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64B1 (ko) * 2011-12-22 2014-12-10 주식회사 케이티 신재생발전 설비 및 양방향 미터기를 위한 pcs용 통합 게이트웨이
KR20170013741A (ko) * 2015-07-28 2017-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계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64B1 (ko) * 2011-12-22 2014-12-10 주식회사 케이티 신재생발전 설비 및 양방향 미터기를 위한 pcs용 통합 게이트웨이
KR20170013741A (ko) * 2015-07-28 2017-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512B1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6489C (en) Distributed switching architecture for communication module redundancy
KR100938738B1 (ko) 전자 패치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
JP4054509B2 (ja) フィールド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8780702B2 (en) Adaptive multi-redundant r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detour
US9136697B2 (en)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with protection functions
JP2004527412A (ja) 少なくとも2つの航空機の座席のための制御およびエネルギ供給システム
KR101815202B1 (ko) 제어 시스템 및 중계장치
KR101345512B1 (ko) 이중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보호 계전기
JP5706347B2 (ja) 二重化制御システム
US11874786B2 (en) Automatic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front end processor
KR20100109713A (ko) 네트워크 이중화 장치
CN102880167A (zh) 现场通信系统
CN102088366B (zh) 一种单板信息监控装置及分布式单板信息监控系统
KR101465991B1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제어 장치
KR101335615B1 (ko) 네트워크 제어 장치
KR20190007738A (ko) 이중화된 전원 및 커플러 모듈을 가진 산업용제어기의 원격 입출력 장치
CN112667428A (zh) Bmc故障处理电路、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406735B1 (ko) 네트워크 백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JPH0223120B2 (ko)
KR101344393B1 (ko) 링 구조를 갖는 필드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CN115529222B (zh) 一种基于级联交换机的双冗余网卡切换装置
CN116455082A (zh) 控制用于电力的自恢复的馈线单元
KR102338113B1 (ko) 디지털 보호계전기
JP4348485B2 (ja) プロセス制御装置
JP3742714B2 (ja) 遠方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