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328A -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328A
KR20110103328A KR1020110017300A KR20110017300A KR20110103328A KR 20110103328 A KR20110103328 A KR 20110103328A KR 1020110017300 A KR1020110017300 A KR 1020110017300A KR 20110017300 A KR20110017300 A KR 20110017300A KR 20110103328 A KR20110103328 A KR 20110103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lient
cont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023B1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13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792328B/zh
Priority to PCT/KR2011/001716 priority patent/WO2011112035A2/en
Priority to JP2012558072A priority patent/JP6124248B2/ja
Priority to EP11753640.9A priority patent/EP2534627A4/en
Priority to AU2011224942A priority patent/AU2011224942B2/en
Priority to US13/047,451 priority patent/US10121173B2/en
Publication of KR20110103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et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복수의 클라이언트들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와 같이 특정 소프트웨어 플랫폼(software platform)에서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 키트(developer kit)에 기초해 개발자가 자유롭게 개발하여 판매하는 인터넷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구매 및 송수신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콘텐트를 송수신하는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라이언트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pack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meta)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동적으로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compile)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중간 코드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컴파일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스크립트(scri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파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장치는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정보 관리부; 및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는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된 어플리케이션 수신 방법 및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복수의 상이한 클라이언트에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콘텐트의 구매 및 이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이지 않은 중간 코드를 이용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의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유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를 위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을 위한 서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는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하고, 수신하기 위해 서버(11)에 접속한다. 제1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가 서버(11)에 등록한 계정(account)을 통해 로그인(log-in)하여 서버(11)에 접속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제1 클라이언트(10)에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고, 콘텐트는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의미한다. 콘텐트는 전자책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정지 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는 서버(11)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제1 클라이언트(10)는 서버(11)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서버(11)에 요청하고, 수신한 다음,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10)는 서버(1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display)하고, 제1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는 소정의 입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결제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제1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는 다양한 결제 방법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할 수 있다.
단계 11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가 서버(11)에 접속할 때,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서버(11)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할 때, 서버(11)는 단계 11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클라이언트(10)에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 또는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라이언트(10)는 단계 110이 아닌 단계 120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를 시작할 때,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서버(11)에 전송하고, 서버(11)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클라이언트(10)에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 또는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는 제1 클라이언트(10)의 OS(operating system)에 대한 정보, 제1 클라이언트(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대한 정보, 메모리(memory)에 대한 정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 또는 콘텐트의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는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지원하는 언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원 여부, 3차원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서버(11)는 단계 120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제1 클라이언트(10)가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식별자(identifier), 구매시 이용한 사용자 계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제1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가 정당한 절차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10)가 콘텐트를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한 콘텐트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콘텐트 기술(content description)에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콘텐트의 식별자 이외에 콘텐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과 같이 콘텐트를 정의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에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단계 130에서 서버(11)는 이러한 콘텐트 기술을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4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는 단계 13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단계 1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전송할 것을 서버(11)에 요청한다. 단계 13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서버(11)에서 전송함으로써, 단계 1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한다. 제1 클라이언트(10)가 콘텐트를 구매하여, 단계 130에서 콘텐트 기술을 수신한 경우에는 콘텐트 기술을 서버(11)에 전송하여 구매한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또한, 단계 110 및 120이 아닌 단계 14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150에서 서버(11)는 단계 12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에 의해 구매되고, 단계 140에서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생성한다. 단계 110, 120 또는 단계 14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물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압축한 하나의 파일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소스 코드 또는 중간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library) 및 스크립트(scri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아이콘,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메타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버전(version), 제작자,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환경 등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기술(description)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단계 12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에 의해 구매된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source code)를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해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컴파일(compile)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는 중간 코드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1)는 단계 14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가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210)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중간 코드(220)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210)를 클라이언트의 종류에 의존적이지 않은 코드인 중간 코드(220)로 컴파일하여 보유하고 있다가, 제1 클라이언트(10)가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면,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시 컴파일한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중간 코드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클라이언트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230 내지 234)을 생성하기 때문에 서버(11)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종류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계 150에서 서버(11)는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동적으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서버(11)에 등록한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또는 중간 코드를 컴파일하여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실행되고 구동될 수 있는 실행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파일(예를 들어, 바탕 화면)을 제1 클라이언트(10)의 해상도에 맞춰 선택하고, 선택된 리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라이언트(10)가 지원하는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에는 여러 가지 언어 중에서 한국어와 관련된 리소스 파일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미리 생성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중에서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실행되고 구동될 수 있는 실행 파일을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하고, 선택된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제작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복수의 파일을 서버(11)에 등록하여 놓으면, 서버(11)는 이중에서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실행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는 단계 150에서 제1 클라이언트(10)가 요청한 콘텐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110, 120 또는 14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서버(11)는 원본 콘텐트를 보유하고 있다가, 제1 클라이언트(10)가 콘텐트를 요청하면,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원본 콘텐트를 다시 제1 클라이언트(1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로 다시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는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의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가, 제1 클라이언트(10)가 콘텐트를 요청하면,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따라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다시 인코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50은 서버(11)가 아닌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생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외부 서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150은 선택적인 단계로서 제1 클라이언트(10)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하기 이전에 서버(11)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복수의 콘텐트를 미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또는 복수의 콘텐트를 미리 소정의 저장 장치에 저장해 놓고, 제1 클라이언트(10)가 전송을 요청하면, 제1 클라이언트(10)의 디바이스 정보에 부합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또는 콘텐트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1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또는 콘텐트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 또는 콘텐트 제작자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설치되고 구동되거나, 재생될 수 있도록 직접 생성하여 서버(11)에 등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또는 콘텐트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60에서 서버(11)는 단계 15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한다.
단계 15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15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제1 클라이언트(1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들이 공유하여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하기 위해 서버(31)에 접속한다. 도 1의 단계 110에 대응된다.
단계 32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는 서버(31)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도 1의 단계 320에 대응된다.
단계 330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31)는 단계 320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2 클라이언트(32)에 전송한다. 도 1의 단계 130에 대응된다.
단계 34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는 단계 33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제2 클라이언트(32)의 사용자가 정당한 절차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구매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라이언트(32)는 이러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30)와 공유하여 제1 클라이언트(30)에서도 단계 3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 이용하기 위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한다. 제2 클라이언트(32)가 콘텐트를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이 제1 클라이언트(30)에 전송될 수 있다.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별도로 제1 클라이언트(30)와 제2 클라이언트(32) 사이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설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와 같이 제1 클라이언트(30)와 제2 클라이언트(30) 사이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비접촉식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제1 클라이언트(30)와 제2 클라이언트(32)가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350에서 제1 클라이언트(30)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을 요청하기 위해 서버(31)에 접속한다. 단계 31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가 서버(31)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한 계정과 동일한 계정으로 서버(31)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라이언트(30)는 서버(31)에 접속할 때 제1 클라이언트(30)의 디바이스 정보를 서버(31)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제1 클라이언트(30)는 단계 34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단계 3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전송할 것을 서버(31)에 요청한다. 단계 34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서버(31)에 전송한다.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단계 34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로부터 수신한 콘텐트 기술을 서버(3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50이 아닌 단계 360에서 제1 클라이언트(30)의 디바이스 정보를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70에서 서버(31)는 단계 320에서 제2 클라이언트(32)에 의해 구매되고, 단계 360에서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을 생성한다. 도 1의 단계 150에 대응되는 단계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동적으로 생성되거나, 제1 클라이언트(3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가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380에서 서버(31)는 단계 37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1 클라이언트(30)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방법에서 구매 및 제공이 서로 다른 서버 즉, 제1 서버(41) 및 제2 서버(42)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복수의 서버를 도시하고 있으나, 구매를 위한 서버 및 제공을 위한 서버가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단계 41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구매하고, 수신하기 위해 제1 서버(41) 및 제2 서버(42)에 접속한다. 제1 클라이언트(40)의 사용자가 제1 서버(41) 및 제2 서버(42)에 등록한 계정을 통해 로그인하여 제1 서버(41) 및 제2 서버(42)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110과 마찬가지로 단계 41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는 제1 클라이언트(4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제1 서버(41) 및/또는 제2 서버(4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는 제2 서버(42)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제1 클라이언트(40)는 제1 서버(41)로부터 제2 서버(42)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고, 수신한 다음,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선택하면, 결제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제1 클라이언트(40)의 사용자는 다양한 결제 방법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40)는 단계 410이 아닌 단계 42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제1 서버(4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는 단계 4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바우처(voucher) 또는 단계 420에서 구매한 콘텐트의 콘텐트 바우처를 전송할 것을 제2 서버(42)에 요청한다. 어플리케이션 바우처는 도 1 및 3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대응된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제2 서버(42)는 제1 서버(41)에 접속하여 제1 클라이언트(40)의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의 전송 요청이 정당한 요청인지 판단한다. 제1 클라이언트(40)가 단계 410에서 접속할 때 이용한 계정에 기초해 제1 서버(41)에 저장되어 있는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제1 클라이언트(40)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하였는지 판단한다. 제2 서버(42)는 구매 정보로서 제1 서버(41)에 저장되어 있는 계정 및 계정에 대응되는 구매 이력(history)을 참조하여 제1 클라이언트(40)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하였는지 판단한다.
단계 450에서 제2 서버(42)는 단계 440의 확인 결과에 기초해 단계 420에서 구매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1 클라이언트(40)에 전송한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는 단계 45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에 기초해 단계 420에서 구매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 단계 45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2 서버(42)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제2 서버(4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제1 클라이언트(4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제1 서버(41) 및/또는 제2 서버(42)에 전송하지 않았다면, 단계 460에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와 함께 제1 클라이언트(40)의 디바이스 정보도 함께 제2 서버(4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제2 서버(42)는 단계 410, 420 또는 46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4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제1 클라이언트(4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도 1의 단계 150에 대응되는 단계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4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480에서 제2 서버(42)는 단계 47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생성된 콘텐트를 제1 클라이언트(41)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방법에서 구매 및 제공이 서로 다른 서버 즉, 제1 서버(51) 및 제2 서버(52)에서 수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은 복수의 서버를 도시하고 있으나, 구매를 위한 서버 및 제공을 위한 서버가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2 클라이언트(53)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구매하기 위해 제1 서버(51)에 접속한다. 제2 클라이언트(53)의 사용자가 제1 서버(51)에 등록한 계정을 통해 로그인하여 제1 서버(41)에 접속할 수 있다. 도 4의 단계 410에 대응된다.
단계 520에서 제2 클라이언트(53)는 제2 서버(52)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도 4의 단계 420에 대응된다.
단계 530에서 제2 클라이언트(53)는 단계 5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전송할 것을 제2 서버(52)에 요청한다. 도 4의 단계 430에 대응된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540에서 제2 서버(52)는 제1 서버(51)에 접속하여 제2 클라이언트(53)의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의 전송 요청이 정당한 요청인지 판단한다. 제2 클라이언트(53)가 단계 510에서 접속에서 이용한 계정에 기초해 제1 서버(51)에 저장되어 있는 구매 정보를 검색하여 제2 클라이언트(53)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을 구매하였는지 판단한다.
단계 550에서 제2 서버(52)는 단계 540의 확인 결과에 기초해 단계 520에서 구매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2 클라이언트(53)에 전송한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제2 클라이언트(53)는 단계 55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1 클라이언트(50)에 전송한다. 구매 정보를 공유하여 제2 클라이언트(53)를 통해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1 클라이언트(50)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단계 55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1 클라이언트(50)에 전송한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제1 클라이언트(5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70에서 제1 클라이언트(50)는 단계 520에서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요청하기 위해 제2 서버(52)에 접속한다. 단계 510에서 제2 클라이언트(53)가 제1 서버(51)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한 계정과 동일한 계정으로 제2 서버(52)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50)는 제2 서버(52)에 접속하면서 제1 클라이언트(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제2 서버(52)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580에서 제1 클라이언트(50)는 단계 56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에 기초해 단계 520에서 구매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 단계 56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를 제2 서버(5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70이 아닌 단계 580에서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와 함께 제1 클라이언트(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콘텐트 바우처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제2 서버(52)에 전송하여 단계 520에서 구매된 콘텐트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590에서 제2 서버(52)는 단계 570 또는 58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5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제1 클라이언트(5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단계 150에 대응되는 단계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570 또는 580에서 수신된 제1 클라이언트(5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제1 클라이언트(5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592에서 제2 서버(52)는 단계 59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1 클라이언트(50)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장치(600)는 구매정보 관리부(610) 및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620)를 포함한다.
구매정보 관리부(610)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서버 또는 또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다. 장치(600)가 포함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직접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한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클라이언트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한 경우에는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는 장치(600)의 사용자가 정당한 절차를 통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바우처 또는 콘텐트 바우처일 수 있다. 콘텐트 바우처는 콘텐트 기술에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620)는 구매정보 관리부(61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전송할 것을 서버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수신한다.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서버에 전송하여 소정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때, 장치(600)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10, 30, 40 또는 50)의 디바이스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전송된 디바이스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10, 30, 40 또는 5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또는 중간 코드를 컴파일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620)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콘텐트가 클라이언트(10, 30, 40 또는 5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콘텐트를 다시 인코딩하고, 다시 인코딩된 콘텐트를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6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620)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때에는 구매할 때 이용했던 사용자 계정과 동일한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하고,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클라이언트(10, 30, 40 또는 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할 때 이용했던 사용자 계정과 동일한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구매 이력을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700)는 구매정보 관리부(710) 및 제공부(720)를 포함하고, 제공부(720)는 생성부(724) 및 전송부(726)를 포함한다.
구매정보 관리부(710)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한 제1 클라이언트(10) 또는 제2 클라이언트(32)가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 요청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매정보 관리부(710)는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10 또는 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 요청으로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의 제1 클라이언트(10)와 같이 구매 결과를 직접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고, 도 3의 제1 클라이언트(30)와 같이 구매 결과를 또다른 클라이언트(32)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공부(720)는 클라이언트(10 또는 30)로부터 클라이언트(10 또는 3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 및 구매정보 관리부(71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구매정보 관리부(71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신된 클라이언트(10 또는 3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생성부(722)는 클라이언트(10 또는 3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생성한다.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또는 중간 코드를 컴파일하여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거나,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생성한다.
전송부(724)는 생성부(722)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724)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복수의 콘텐트를 미리 보유하고, 구매 정보 관리부(710)에서 수신된 디바이스에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10 또는 30)에서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를 위한 서버 및 제공을 위한 서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 및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 및 제공이 서로 다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두 서버를 도시한다. 도 8은 복수의 서버를 도시하고 있으나, 구매를 위한 서버 및 제공을 위한 서버가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를 위한 제1 서버(41 또는 51)는 계정 관리부(810),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820) 및 구매 수행부(830)를 포함하고, 제2 서버(42 또는 52)는 구매정보 관리부(840) 및 제공부(850)를 포함한다.
계정 관리부(810)는 사용자 계정의 등록 및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로그인의 관리를 수행한다. 사용자 계정 및 비밀 번호 등을 등록하여 클라이언트들의 제1 서버 접속을 제어한다.
또한, 계정 관리부(810)는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 이력을 관리한다. 사용자 계정 및 각각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구매 이력을 저장하여, 이를 제2 서버(42 또는 52)가 참조할 수 있게 한다.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820)는 클라이언트(40 또는 53)에 제2 서버(42 또는 52)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2 서버(42 또는 52)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계정 관리부(810)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40 또는 53)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의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수행부(830)는 클라이언트(40 또는 53)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 구매 절차를 제어한다. 클라이언트(40 또는 53)가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820)에서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또는 콘텐트의 리스트에 기초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콘텐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구매를 위한 결제 절차를 진행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구매 수행부(830)는 클라이언트(40 또는 53)의 구매 이력을 갱신하기 위해 구매 결과를 계정 관리부(810)에 전송한다.
구매정보 관리부(840)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구매한 제1 클라이언트(40) 또는 제2 클라이언트(53)가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40) 또는 제2 클라이언트(53)에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 요청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콘텐트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트 기술을 제1 클라이언트(40) 또는 제2 클라이언트(5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매정보 관리부(840)는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제1 클라이언트(40 또는 5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 요청으로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도 4의 제1 클라이언트(40)와 같이 구매 결과를 직접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고, 도 3의 제1 클라이언트(50)와 같이 구매 결과를 또 다른 클라이언트(53)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850)는 클라이언트(40 또는 50)로부터 클라이언트(40 또는 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 및 구매정보 관리부(84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구매정보 관리부(840)에서 수신된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콘텐트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신된 클라이언트(40 또는 50)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40 또는 5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40 또는 5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0 또는 5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클라이언트(40 또는 50)에서 설치되고 구동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40 도는 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장치는 도 6,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1)

  1. 제1 클라이언트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pack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meta)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동적으로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compile)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중간 코드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컴파일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스크립트(scri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파일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0. 서버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package)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meta)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동적으로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compile)하여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은
    상기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생성된 중간 코드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컴파일하여 생성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상기 서버에 등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방법.
  17. 제1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정보 관리부; 및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콘텐트 관리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package)를 수신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meta)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9. 서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package)를 전송하고,
    상기 패키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resource) 파일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메타(meta)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공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17300A 2010-03-12 2011-02-25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78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13694.7A CN102792328B (zh) 2010-03-12 2011-03-11 基于购买信息来发送和接收应用/内容的方法和设备
PCT/KR2011/001716 WO2011112035A2 (en) 2010-03-12 2011-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JP2012558072A JP6124248B2 (ja) 2010-03-12 2011-03-11 購買情報に基づいたアプリケーション/コンテンツ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EP11753640.9A EP2534627A4 (en) 2010-03-12 2011-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 / 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AU2011224942A AU2011224942B2 (en) 2010-03-12 2011-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US13/047,451 US10121173B2 (en) 2010-03-12 2011-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430 2010-03-12
KR1020100022430 2010-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28A true KR20110103328A (ko) 2011-09-20
KR101780023B1 KR101780023B1 (ko) 2017-09-19

Family

ID=4495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300A KR101780023B1 (ko) 2010-03-12 2011-02-25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21173B2 (ko)
EP (1) EP2534627A4 (ko)
JP (1) JP6124248B2 (ko)
KR (1) KR101780023B1 (ko)
CN (1) CN102792328B (ko)
AU (1) AU2011224942B2 (ko)
WO (1) WO20111120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854B2 (en) * 2012-05-07 2021-06-22 Opentv,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reselling digital media rights
WO2014146253A1 (zh) * 2013-03-19 2014-09-25 深圳市掌讯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和装置
CN112491885B (zh) * 2018-01-12 2022-11-18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凭证的传输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487A (en) * 1876-08-22 Improvement in suspenders
US64488A (en) * 1867-05-07 Lewis s
GB9827831D0 (en) * 1998-12-17 1999-02-10 Tribek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tribution of digitised information on demand
US7421411B2 (en) * 2001-07-06 2008-09-02 Nokia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CN1537388A (zh) * 2001-07-31 2004-10-13 ���µ�����ҵ��ʽ���� 内容发行的系统、设备与方法以及有关程序与程序记录媒体
US7113776B2 (en) * 2002-08-30 2006-09-2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nd application metadata filtering based on wireless device capabilities
KR20030004206A (ko) * 2002-11-28 2003-01-14 (주) 로스틱테크놀로지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위한 피어투피어 기반 유무선 통합디.알.엠 시스템 구축 방법
US20040181487A1 (en) * 2003-03-10 2004-09-16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media clearing house platform
KR100489295B1 (ko) * 2003-03-28 2005-05-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020867A1 (en) 2003-08-28 2008-01-24 Callaway Golf Company Golfer's impact properties during a golf swing
US20060064488A1 (en) * 2004-09-17 2006-03-23 Ebert Robert F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based on hardware identification
CN1909557B (zh) * 2005-08-02 2010-05-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音乐下载的处理方法
KR100779089B1 (ko) 2005-12-07 2007-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0664575B2 (en) * 2006-05-02 2020-05-26 Acer Cloud Technology, Inc. Virtual vault of licensed content
US8280982B2 (en) 2006-05-24 2012-10-02 Time Warner Cable Inc. Personal content server apparatus and methods
CN101017552A (zh) * 2006-05-25 2007-08-15 崔远新 一种数字视听商品网上试听与售卖的方法
CN101119387B (zh) 2007-09-10 2012-11-14 北京网秦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便利于定制、配置与迁移手机软件业务的方法和系统
KR20090036669A (ko) 2007-10-10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CN101222456A (zh) * 2008-01-28 2008-07-16 陈勇 网络安全网关产品共享的方法
JP2009217370A (ja) * 2008-03-07 2009-09-24 Nippon Hoso Kyokai <Nhk> コンテンツ視聴端末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テンツ視聴権利移譲方法
WO2009117104A1 (en) 2008-03-17 2009-09-24 Fuhu, Inc. Social based search engine, system and method
US20090287582A1 (en) * 2008-05-15 2009-11-19 Badri Nath Deploying software items from software shopping carts onto mobile wireless devices
JP2011527465A (ja) 2008-06-30 2011-10-27 モミニス リミテッド コンピュ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の生成・配布方法
US8719112B2 (en) * 2009-11-24 2014-05-06 Microsoft Corporation Invocation of accessory-specific user exper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2328A (zh) 2012-11-21
WO2011112035A2 (en) 2011-09-15
AU2011224942A1 (en) 2012-09-27
WO2011112035A3 (en) 2012-01-05
JP2013522758A (ja) 2013-06-13
JP6124248B2 (ja) 2017-05-10
EP2534627A4 (en) 2013-11-13
US20110225236A1 (en) 2011-09-15
CN102792328B (zh) 2016-08-10
EP2534627A2 (en) 2012-12-19
US10121173B2 (en) 2018-11-06
KR101780023B1 (ko) 2017-09-19
AU2011224942B2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2191B2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アクティビティ検出器
JP6001084B2 (ja) リダイレクトの低減
US20180069947A1 (en) Automatic Integrity Checking of Content Delivery Network Files
US8131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tributing game on network
KR20140038971A (ko) 다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의 존재에 근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렌더링되는 광고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CN105721608A (zh) 用于处理器可执行内容的传送的方法和系统
US20140379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pp store servers to share application information
KR101780023B1 (ko) 구매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50095165A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application
CN108738362A (zh) 基于多层级引用符数据生成应用的深度链接
JP6683835B2 (ja) 複数のスレッドを使って電子リソースをダウンロードする際の待ち時間の削減
US118560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entralize localization of micro-services messages in a distributed cloud environment
JP2020514928A (ja) ソフトウェ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時間を短縮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4509894A (ja) コンバージョンイベント追跡及び帰属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9660874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JP2021111392A (ja) ユーザ流入追跡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