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669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669A
KR20090036669A KR1020070101825A KR20070101825A KR20090036669A KR 20090036669 A KR20090036669 A KR 20090036669A KR 1020070101825 A KR1020070101825 A KR 1020070101825A KR 20070101825 A KR20070101825 A KR 20070101825A KR 20090036669 A KR20090036669 A KR 2009003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ownload
portable terminal
descriptor
download descri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669A/ko
Publication of KR2009003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66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컨텐츠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Download Descriptor)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시 다운로드할 수 있고,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수신받은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OMA(Open Mobile Alliance),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컨텐츠, 다운로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OWNLOAD CONTENTS IN PO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하나의 주기능만을 지원하는 것에서 여러가지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추세로 발전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서비스 제공자 혹은 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푸쉬 메일(Push mail),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등 다양한 부가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제한된 형태의 인터넷 사용과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상기 무선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는 HTTP 다운로드 방식과 OMA 다운로드 방식이 있다. 상기 HTTP 다운로드 방식은 컨턴츠를 직접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며, 상기 OMA다운로드 방식은 컨텐츠 다운로드 이전에 다운로드 디스크립터(Download Descriptor)를 전송받아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 전에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하려는 컨텐츠의 정보(파일명, 파일사이즈, 제공업체, 해당 컨텐츠의 URL 등)를 보여주고, 한번 더 다운로드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OMA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는 101단계에서 서버(1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서버(100)는 1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05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1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상기 서버(100)로 요청한다.
이후, 상기 서버(100)는 109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가 요청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2)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111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1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결과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OMA를 통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는 컨텐츠 다운로드 이전에 상기 사용자에게 한번 보여지고 다운로드가 완료될 시 임시 저장된 버퍼에서 지워져 다시 사용되지 않는다.
만일,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의 사용으로 저작권 등이 제한된 컨텐츠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이 불가능하며,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추천하려면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구두와 같은 방법으로 전달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으며 상기 다운로드받은 컨텐츠를 다시 다운로드를 하려면 상기 컨텐츠를 재검색하여 상술한 절차를 다시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받은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컨텐츠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 운로드 컨텐츠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전에 수신되는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시 다운로드할 수 있고,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수신받은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전에 수신되는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고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제어부(202), 입력부(204), 표시부(206), 메모리(208),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제어부(202)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면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혹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를 다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204)는 숫자 또는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제어를 위한 키 입력, 즉,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전송 혹은 상기 다 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통한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키 입력을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6)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2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시스템 파라미터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303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드 컨텐츠가 선택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가 선택되면, 305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출력하고 30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319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319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하기 323단계로 진행하여 이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MMS 혹은 SMS등을 통하여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23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3단계로 되돌아가 이후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단말기(430)는 401단계에서 서버(4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서버(400)는 40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상기 제 1단말기(430)로 전송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 및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 1단말기는 407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면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제 2단말기(440)로 전송한다.
상기 제 2단말기(440)는 상기 제 1단말기(430)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면 411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 및 출력하고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415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에 의해 상기 서버(400)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 2단말기(440)로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 제 2단말기(440)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면 419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 1단말기(430)는 421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4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버(400)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425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 1단말기는 427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OMA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통해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컨텐츠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Download Descriptor)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 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혹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 중 컨텐츠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파일명, 파일사이즈, 제공업체, 해당 컨텐츠의 UR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다운로드가 선택될 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컨텐츠 선택 시,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Download Descriptor)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를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 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혹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 중 컨텐츠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파일명, 파일사이즈, 제공업체, 해당 컨텐츠의 UR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저장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컨텐츠 다운로드가 선택될 시,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의 정보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101825A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20090036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25A KR20090036669A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25A KR20090036669A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669A true KR20090036669A (ko) 2009-04-15

Family

ID=4076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825A KR20090036669A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6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1173B2 (en) 2010-03-12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1173B2 (en) 2010-03-12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lication/content based on purchas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017B2 (en) Remote activation of mobile applications
US773473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storing links to media files in network storage
US771195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encrypted user data objects
KR20090084008A (ko) 휴대 단말기의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7191343B2 (en) Voucher driven on-device content personalization
WO2006056835A1 (en) System, method, device, module and computer code product for progressively downloading a content file
US20030083055A1 (en) Local and remote access to radio parametric and regulatory data and methods therefor
US9070114B2 (en) Method for receiving email attachm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02203B2 (en) Content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KR100676052B1 (ko) 싱크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05242886A (ja) 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の使用を許可する方法
US8942182B2 (en) Adjustable download rat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8337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모듈 다운로딩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666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WO199805084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unauthorised data download
KR20000049874A (ko) 무선인터넷브라우져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무선데이터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827101B1 (ko) Url을 포함하는 콜백 sms 메시지를 활용한 컨텐츠선물 방법
KR101360200B1 (ko)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재다운로드 방법
JP2005293078A (ja) 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自動文字コード認識、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29024B2 (ja) 認証サーバ及び認証方法
US20070124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ervice
KR100727071B1 (ko) 플랫폼 기반 부가 서비스 확장 방법 및 시스템
JP200518231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識別方法および通信端末
KR20060022495A (ko) 외부 공간을 이용한 대용량 무선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 대용량 무선 콘텐츠다운로드 장치 및 그 방법
CA2568815C (en) Adjustable download rat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