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696A -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696A
KR20110102696A KR1020100021845A KR20100021845A KR20110102696A KR 20110102696 A KR20110102696 A KR 20110102696A KR 1020100021845 A KR1020100021845 A KR 1020100021845A KR 20100021845 A KR20100021845 A KR 20100021845A KR 20110102696 A KR20110102696 A KR 20110102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upport
elastic
button
lev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현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2696A/ko
Priority to US13/012,938 priority patent/US8552324B2/en
Publication of KR2011010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46Came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6Elastic arms producing non linear counter force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 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부; 및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팔보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Lever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본 발명은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를 작동시켜 버튼을 눌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버튼이 구비되고, 버튼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버튼으로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버튼이 눌려지는 레버 타입의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레버 버튼에서는, 레버가 일 방향으로 작동되면 일 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레버가 다른 일 방향으로 작동되면 다른 일 측에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버튼이 눌려질 수 있다.
이때, 레버가 작동되는 방향에 따라 레버를 본래의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 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부; 및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팔보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을 제공한다.
상기 외팔보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인 제1 탄성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인 제2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가, 상기 탄성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가,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를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접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가,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가, 상기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른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이, 일면으로부터 다른 일면으로 상기 조작 레버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탄성부의 상기 다른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일면에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가 상기 일면에 상기 탄성부의 상기 다른 일단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다른 일면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지지부가 상기 일면에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이, 상기 축 지지부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를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의 제4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조작부; 및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레버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의하면, 적어도 일 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레버 버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레버 버튼이 장착된 지지 프레임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버튼과 지지 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레버 버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레버 버튼을 일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레버 버튼이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디스플레이 패널(25), 및 레버 버튼(2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의 총 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방향 버튼(21)에는 특정 기능이 할당되고, 그 선택에 의하여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의 작동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에는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로 표시되거나 저장된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윗면에는 전원 스위치(23), 및 셔터 릴리즈 버튼(24)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23)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작동되도록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24)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이 기록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레버 버튼(200)은 조작 레버를 상하 및/또는 좌우로 작동시켜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수단이다. 즉, 레버 버튼(200)은 상하 및/또는 좌우로 작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레버 버튼(200)이 상하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버튼(200)이 상향으로 작동되면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고, 레버 버튼(200)이 하향으로 작동되면 다른 하나의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레버 버튼(200)은 광각-줌 또는 망원-줌 기능을 선택하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버튼(200)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질 수 있다. 특히, 레버 버튼(200)은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레버 버튼(200)의 상향 작동에 의하여 광각-줌 기능이 선택되고, 레버 버튼(200)의 하향 작동에 의하여 망원-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레버 버튼(200)의 작동에 의하여 광각-줌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지고, 망원-줌 버튼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레버 버튼(200)은 조작 레버가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 중립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하여 조작 레버가 상향으로 조작된 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조작 레버에 하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조작 레버가 중립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하여 조작 레버가 하향으로 조작된 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조작 레버에 상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조작 레버가 중립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조작 레버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무 재질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별도의 부품을 추가해야 하며, 부품 추가에 따른 조립 공정의 추가가 필요하다. 또한, 탄성 부재 형상에 따른 작동감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버튼(200)은 조작부로부터 연장되고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버튼의 중심을 잡아주고, 상측 및 하측의 작동감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레버 버튼(200)이 장착된 지지 프레임(300)이 본체(100a)로부터 분리하여 도시된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버튼(200)과 지지 프레임(300)이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레버 버튼(200)의 전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레버 버튼(200)은 조작부(210); 및 탄성부(220)를 구비한다. 조작부(210)는 외력에 의하여 작동되어 사용자의 작동을 입력받을 수 있다. 탄성부(220)는 일단이 조작부(210)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300)에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외팔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탄성부(220)는 일단이 조작부(210)에 일체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30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22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실시예로 탄성부(220)의 외팔보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220)는 조작부(210)의 조작 시에 조작부(210)가 중립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220)가 조작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복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레버 버튼(20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 소재는 열과 압력을 가해 성형할 수 있는 고분자화합물이다. 비구면 렌즈(221)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나일론), 폴리에스터(polyester, PE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VDC)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레버 버튼(200)은 상하로 작동되어, 상향으로 작동되거나 하향으로 작동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210)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조작부(210)에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부(220)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220)는 제1 탄성부(220a) 및 제2 탄성부(22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20a)는 조작부(210)로부터 제1 방향 즉 상향에 해당하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가 될 수 있다. 제2 탄성부(220b)는 조작부(210)로부터 제2 방향 즉 하향에 해당하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210)가 상향(Z 방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하향(-Z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가 하향(-Z 방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상향(Z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10)가 상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부(210)의 움직임을 구속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210)는 조작부(210)의 회전축이 되고 지지 프레임(300)에 구속 지지되는 지지축(211)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축(211)은 탄성부(2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작부(210)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이때, 지지축(211)은 지지 프레임(300)에 끼워져 조작부(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제외한 병진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는 조작 레버(212) 및 접촉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 레버(212)는 조작부(210)의 일면으로부터 전면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조작에 의하여 조작부(210)를 지지축(211)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접촉부(213)는 조작부(210)의 일면의 반대면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작 레버(212)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레버 버튼(200)이 장착되는 전자 기기의 본체(100a)의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칭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212)의 작동에 의하여 조작부(210)가 지지축(211)에 대하여 회전하고, 조작부(210)의 내면에 구비되는 접촉부(213)가 본체(100a) 내부의 스위칭 소자를 눌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의 본체(100a)에는 조작 레버(212)가 상하로 작동되는 경우에 상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와 하향으로 작동되는 경우 각각 눌려지는 스위칭 소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213)는 제1 접촉부(213a) 및 제2 접촉부(21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촉부(213a)는 지지축(213)을 기준으로 제1 방향 예를 들어 상향(Z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13b)는 지지축(213)을 기준으로 제2 방향 예를 들어 하향(-Z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 버튼(200)은 조작 레버(212)가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 중립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하여 조작 레버(212)가 상향으로 조작되는 경우, 조작 레버(212)에 하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조작 레버(212)가 중립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하여 조작 레버(212)가 하향으로 조작되는 경우, 조작 레버(212)에 상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조작 레버(212)가 중립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20)가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탄성부(220)가 일정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탄성부(220)는 고정부(221), 연장부(222), 및 지지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21)는 일단이 조작부(210)에 고정되고 조작부(210)로부터 제1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222)는 고정부(211)로부터 제1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Z 방향)과 다른 방향 예를 들어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223)는 연장부(222)로부터 제1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300)에 지지된다.
즉, 탄성부(220)가, 조작부(210)가 지지 프레임(300)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부(2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2)를 구비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 탄성부(220)의 탄성력 공급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레버 버튼(200)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00)은 축 지지부(311), 탄성 지지부(320), 및 관통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축 지지부(311)는 일면 즉 본체(100a)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에서 조작부(210)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211)을 지지한다. 탄성 지지부(320)는 일면 즉 내면에서 탄성부(220)의 다른 일단을 지지한다. 관통부(330)는 일면 즉 내면으로부터 다른 일면 즉 외면으로 조작 레버(212)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탄성 지지부(320)는 일면에 탄성부(220)의 다른 일단이 일면 즉 내면으로부터 다른 일면 즉 외면을 향하는 제3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지지부(320)가 탄성부(220)의 지지부(223)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축 지지부(311)는 일면 즉 내면에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지지축(211)이 끼워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작부(210)의 지지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운동을 제외한 병진 운동을 제한함으로써, 조작부(2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220)의 외팔보가 지지 프레임(300)에 의도적으로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200)의 조작 레버(212)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200)가 지지 프레임(300)에 탄성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조작 레버(212)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레버(212)는 중앙부의 중립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축(211)이 축 지지부(311)에 끼워짐으로써, 탄성부(220)가 제3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과 반대의 제4 방향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축(211)이 축 지지부(311)에 끼워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20)의 일단이 지지 프레임(300)에 접촉되어 탄성을 받으며 약간 휘어지도록, 탄성부(220)의 지지부(223)가 탄성 지지부(320)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작 레버(212)의 중립 위치에서도 레버 버튼(200)이 지지 프레임(3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12)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중립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 레버(212)의 상하 조작에 동일한 조작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작 레버(212)의 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 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레버 버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카메라, 100a: 본체,
200: 레버 버튼, 210: 조작부,
211: 지지축, 212: 조작 레버,
220: 탄성부, 300: 지지 프레임,
311: 축 지지부, 320: 탄성 지지부.

Claims (15)

  1. 조작부; 및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팔보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버 버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 버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인 제1 탄성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인 제2 탄성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레버 버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탄성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레버 버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조작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를 상기 지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레버 버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으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른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일면으로부터 다른 일면으로 상기 조작 레버가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일면에서 상기 탄성부의 상기 다른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일면에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가 상기 일면에 상기 탄성부의 상기 다른 일단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다른 일면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레버 버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가 상기 일면에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는 홈으로 형성되는 레버 버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축 지지부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를 상기 제3 방향과 반대의 제4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레버 버튼.
  14. 조작부; 및
    일단이 상기 조작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지지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레버 버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상기 레버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100021845A 2010-03-11 2010-03-11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10102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45A KR20110102696A (ko) 2010-03-11 2010-03-11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3/012,938 US8552324B2 (en) 2010-03-11 2011-01-25 Lever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845A KR20110102696A (ko) 2010-03-11 2010-03-11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96A true KR20110102696A (ko) 2011-09-19

Family

ID=4455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845A KR20110102696A (ko) 2010-03-11 2010-03-11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2324B2 (ko)
KR (1) KR201101026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274B2 (en) * 2013-09-18 2017-07-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GB202118947D0 (en) * 2021-12-23 2022-02-09 Dehns Aerosol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104A (en) * 1972-11-13 1974-03-26 Becton Dickinson Co Low profile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snap action cantilever contact
US4090229A (en) * 1976-09-30 1978-05-16 Becton, Dickinson Electronics Company Capacitive key for keyboard
JPS63202026U (ko) * 1987-06-17 1988-12-27
JPH055623Y2 (ko) * 1988-04-08 1993-02-15
JP4498181B2 (ja) * 2005-03-22 2010-07-0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アレイ
US8212162B2 (en) * 2010-03-15 2012-07-03 Apple Inc. Keys with double-diving-board spring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0481A1 (en) 2011-09-15
US8552324B2 (en)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228B2 (en)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device
JP3671883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US856493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679674B2 (en) Camera housing
US7463241B2 (en) Joystick input device
US7511235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70105886A (ko) 원격 조정 장치
JP4075335B2 (ja) 電子機器
CN102540630A (zh) 检测对转动操作构件的不同操作的电子设备
US8946573B2 (en) Key assembly, rotary input device using th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otary input device
JP2009271370A (ja) 撮像装置
KR20110102696A (ko) 레버 버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080048649A1 (en) Thi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JP2002090870A (ja) 電子機器用防水ケース
JP2012216353A (ja) 防塵防滴機構を有する押釦装置
JP5365910B2 (ja) 撮像装置
US1115073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vibration device
JP4912243B2 (ja) 電子機器
KR20120037151A (ko) 다방향 입력 장치
JP2007311250A (ja) キーシート及びスライド入力スイッチ
JP4829560B2 (ja) 操作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6016618B2 (ja) 電子機器
JP2011192413A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JP2019160559A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5387973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