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779A - 적외선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779A
KR20110101779A KR1020100021022A KR20100021022A KR20110101779A KR 20110101779 A KR20110101779 A KR 20110101779A KR 1020100021022 A KR1020100021022 A KR 1020100021022A KR 20100021022 A KR20100021022 A KR 20100021022A KR 20110101779 A KR20110101779 A KR 2011010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module
housing
infrared irradiation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666B1 (ko
Inventor
권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부가 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과, 렌즈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가 장착된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렌즈부의 위치 및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시 카메라{Infrared monitoring camera}
본 발명은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전시장, 공장 등의 실내 외에 구비되는 감시 카메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 또는 공정 흐름이나 상황 판단 등을 위하여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장소에서 벌어지는 모든 상황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이를 위하여 영상 송출기와 영상 송출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장치에 제공하는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는 빛이 없는 야간이나 조명이 없거나 약해서 사물을 확인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어두운 장소에서는 감시 기능이 약화되므로 감시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렌즈의 촬영 모드에 따라서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부가 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과, 렌즈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가 장착된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렌즈부의 위치 및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이 경우, LED 모듈은 고리 형상으로, 각 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LED 모듈을 방사상으로 분할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조사부는 가요성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조사부 중 어느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제어 모듈은 렌즈부의 줌 동작에 따라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 제어는, 적외선 조사부와 하우징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측정하는 노출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제어 모듈은 노출 측정 모듈의 측정 값에 따라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단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부가 제1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과, 제1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가 장착된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가 제2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LED 모듈 및 렌즈부의 위치 및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에 의하여도 달성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적외선 조사부는 가요성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조사부 중 어느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렌즈부의 줌 동작에 따라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의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 제어는, 적외선 조사부와 제2하우징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측정하는 노출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제어 모듈은 노출 측정 모듈의 측정 값에 따라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LED 모듈을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로 구성하고 각 적외선 조사부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적외선 광을 피사체에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아울러, 적외선 광의 포화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각 적외선 조사부에 장착된 적외선 LED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광각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와 같은 광각 촬영 모드에서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망원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와 같은 망원 촬영 모드에서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는 하우징(110), 카메라 모듈(120), 카메라 구동 모듈(140), LED 모듈(130), LED 구동 모듈(150) 및 제어 모듈(160), 조작 핸들(170), 노출 측정 모듈(18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전단이 개방된 형상이다. 하우징(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120)과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구동에 필요한 배선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110)은 방수 및 방습의 기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후드(111)를 구비하여 비나 눈 등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카메라 모듈(120)의 렌즈부(121)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전단이 개방된 관형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돔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카메라 모듈(12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120)은 렌즈부(121)와 CCD 센서부(122) 등을 포함한다.
렌즈부(121)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부(1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되어 줌-인/아웃 동작이 가능하다.
CCD 센서부(122)는 렌즈부(121)를 통과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감지한다. 감지된 이미지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카메라 구동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20)의 렌즈부(121)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줌 비율에 따라 각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 구동 모듈(140)로는 AF 모터, DC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구동 모듈(140)은 후술할 제어 모듈(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LED 모듈(130)은 피사체에 대하여 적외선 광을 출력한다. 렌즈부(121)에 의하여 촬영되는 피사체는 적외선 광을 통해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LED 모듈(130)은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131)를 포함한다.
적외선 조사부(131)는 렌즈부(121)의 둘레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L)가 장착되어 있다.
LED 모듈(130)은 전체적으로 렌즈부(121)를 둘러싸는 고리의 형상으로, 렌즈부(121)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방사상으로 나누었을 때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적외선 조사부(131)가 된다. 고리 형상의 LED 모듈(130)은 원형 고리 또는 사각형의 고리 등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조사부(131)가 2개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LED 모듈(130)을 전체적으로 3개, 4개,…, N개로 나누었을 때의 각 영역을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131)로 구성할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131)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줌 비율에 따른 화각에 적응적으로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사각형의 이미지로 출력되는데, 이 때 적외선 조사부(131)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LED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광은 사각형에 가깝게 출력 가능하다. 즉, 카메라 모듈(12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에 적합하게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포화되거나 낭비되는 적외선 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131)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L)를 포함한다. 이 때, 적외선 LED(L)는 가요성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에 적외선 LED(L)를 장착하는 경우, 적외선 조사부(131)와 하우징(110)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의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131)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예컨대, 각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가변되어, 각각의 적외선 조사부(131)가 하우징(110)의 전단면과 이루는 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적외선 조사부(131)와 하우징(110)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에 따라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의 출력 방향이 달라진다.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및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LED 구동 모듈(150)은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LED 구동 모듈(150)에 의하여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변한다. LED 구동 모듈(150)로는 각종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모터는 적외선 조사부(131) 하나당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LED 구동 모듈(150)은 후술할 제어 모듈(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모듈(160)은 카메라 모듈(120) 및 LED 모듈(13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160)은 카메라 제어부(161) 및 LED 제어부(162)를 포함한다.
카메라 제어부(161)는 카메라 모듈(120)의 렌즈부(121)의 위치를 제어하여 줌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제어부(161)는 줌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구동 모듈(140)로 보냄으로써, 광각 촬영 모드에서부터 망원 촬영 모드까지 다양한 화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줌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신호에 따르거나 촬영되는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LED 제어부(162)는 LED 모듈(130)의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를 제어하여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LED 제어부(162)는 카메라 모듈(120)의 줌 비율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광각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광은 넓은 각도 범위로 출력되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하도록 각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망원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광은 비교적 좁은 각도 범위로 출력되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하도록 각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ED 제어부(162)에는 줌 비율에 따른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가 룩업테이블 등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작 핸들(170)이 구비될 수 있다. 조작 핸들과 LED 구동 모듈(150)은 연동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LED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노출 측정 모듈(180)은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 모듈(160)으로 보낸다. 제어 모듈(160)은 렌즈부(121)의 줌 비율뿐만 아니라 노출값에 따라서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광각 촬영인 경우와 망원 촬영인 경우 각 적외선 조사부(131)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광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광각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130)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광각 촬영 모드에서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광각 촬영 모드인 경우, 각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단면과 이루는 각도 변화는 상대적으로 큰 값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부(131)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서 넓은 범위로 적외선 광이 출력된다. 이 때,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이다. 도 5에서는 수직방향으로의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도시하였으나, 수평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적외선 광이 출력됨은 물론이다.
도 6은 망원 촬영 모드인 경우 LED 모듈(130)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망원 촬영 모드에서 적외선 광의 출력 범위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다.
망원 촬영 모드인 경우, 각 적외선 조사부(131)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다면과 이루는 각도변화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조사부(131)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좁은 범위로 적외선 광이 출력된다. 이 경우, 적외선 광의 출력범위는 도 7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이다. 도 7에서는 수직방향으로의 적외선 광의 출력범위를 도시하였으나, 수평방향으로도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 걸쳐 적외선 광이 출력됨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20)의 촬영 모드, 즉 줌 동작의 비율에 따라 적외선 광의 조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적외선 광이 한 곳에 이중으로 조사되는 포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각 밖으로 벗어나는 적외선 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적외선 광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에 조사되는 적외선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므로 피사체의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고, 적외선 LED(L)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는 제1하우징(810), 카메라 모듈(120), 제2하우징(820), LED 모듈(130), 카메라 구동 모듈(140), LED 구동 모듈(150), 제어 모듈(160), 조작 핸들(170) 및 노출 측정 모듈(180)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의 경우 카메라 모듈(120)과 LED 모듈(130) 카메라 구동 모듈(140), LED 구동 모듈(150), 제어 모듈(160), 조작 핸들(170) 및 노출 측정 모듈(180)의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시 카메라(100)는 LED 모듈(130)이 카메라 모듈(1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120)은 제1하우징(8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LED 모듈(130)은 제2하우징(8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820)과 내부에 구비되는 LED 모듈(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810)의 양 옆에 구비되어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에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LED 모듈(130)은 고리 형상으로서, 각 적외선 조사부(131)는 고리 형상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방사상으로 분할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영역일 수 있다. 고리 형상의 LED 모듈(130)은 원형 고리 또는 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LED 모듈(130)이 고리 형상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LED 모듈(130)은 사각형 형상으로 각 적외선 조사부(131)가 바둑판과 같이 행과 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하우징(820)에 구비된 LED 모듈(130)이 제1하우징(810) 양 옆에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하우징(810)의 상부에 하나만 구비되어 피사체에 적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적외선 감시 카메라 110: 하우징
111: 후드 120: 카메라 모듈
121: 렌즈부 122: CCD 센서부
130: LED 모듈 131: 적외선 조사부
140: 카메라 구동 모듈 150: LED 구동 모듈
160: 제어 모듈 161: 카메라 제어부
162: LED 제어부 170: 조작 핸들
180: 노출 측정 모듈 810: 제1하우징
811: 후드 820: 제2하우징

Claims (13)

  1. 전단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
    상기 렌즈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가 장착된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렌즈부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고리 형상으로,
    상기 각 적외선 조사부는, 상기 렌즈부의 중앙을 중심점으로 상기 LED 모듈을방사상으로 분할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영역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조사부는 가요성 기판에 배치된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조사부 중 어느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렌즈부의 줌 동작에 따라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 제어는,
    상기 적외선 조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측정하는 노출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노출 측정 모듈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8. 전단이 개방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렌즈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가 장착된 복수개의 적외선 조사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전단 측에 설치된 LED 모듈; 및
    상기 렌즈부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외선 조사부는 가요성 기판에 배치된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조사부 중 어느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적외선 감시 카메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렌즈부의 줌 동작에 따라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 제어는,
    상기 적외선 조사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전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피사체에 대한 노출을 측정하는 노출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노출 측정 모듈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적외선 조사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20100021022A 2010-03-09 2010-03-09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163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22A KR101639666B1 (ko) 2010-03-09 2010-03-09 적외선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22A KR101639666B1 (ko) 2010-03-09 2010-03-09 적외선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779A true KR20110101779A (ko) 2011-09-16
KR101639666B1 KR101639666B1 (ko) 2016-07-14

Family

ID=4495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022A KR101639666B1 (ko) 2010-03-09 2010-03-09 적외선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412B1 (ko) * 2013-09-13 2014-09-29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적외선 조명 제어 감시 카메라 장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68101B1 (ko) * 2018-07-12 2019-04-11 천재두 딥러닝을 이용한 객체 인식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객체 인식 시스템
KR20220126585A (ko) * 2021-03-09 2022-09-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감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415B1 (ko) 2018-06-01 2024-01-23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427A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엠비젼 Ccd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인쇄물 진위식별기 및 자동화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427A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엠비젼 Ccd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인쇄물 진위식별기 및 자동화검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412B1 (ko) * 2013-09-13 2014-09-29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적외선 조명 제어 감시 카메라 장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68101B1 (ko) * 2018-07-12 2019-04-11 천재두 딥러닝을 이용한 객체 인식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한 객체 인식 시스템
KR20220126585A (ko) * 2021-03-09 2022-09-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666B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18B1 (ko) 비접촉식 온도 감시 장치
DE102004043257A1 (de) Kameraeinheit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Fahrzeugumgebung
NZ601178A (en) Tracking and monitoring camera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KR101337671B1 (ko) 적외선 겸용 카메라 모듈
US94737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US8947527B1 (en) Zoom illumination system
KR20150107506A (ko)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KR20110101779A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101173542B1 (ko)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KR101042895B1 (ko) 줌연동 광량 조절 적외선 조명장치
WO2009028139A1 (ja) 撮像装置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43399Y1 (ko)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TWI452404B (zh) 具有投光角度自動調整功能的影像擷取系統
US20140300803A1 (en) Image-capturing system
WO2012063177A2 (en) Flashlight device
KR100649954B1 (ko) 적외선엘이디가 구비되는 적외선카메라
CN208691382U (zh) 一种摄像机
KR101067382B1 (ko) 차량번호 식별이 용이한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조명제어장치
KR101804309B1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KR20140078166A (ko) 원격 교체가 가능한 멀티 옵티컬 필터를 구비한 체인저
KR101147327B1 (ko)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JP2006316993A (ja) 危険領域の防護装置
KR102170690B1 (ko) 감시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