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196A - 유체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유체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196A
KR20110101196A KR1020117015932A KR20117015932A KR20110101196A KR 20110101196 A KR20110101196 A KR 20110101196A KR 1020117015932 A KR1020117015932 A KR 1020117015932A KR 20117015932 A KR20117015932 A KR 20117015932A KR 20110101196 A KR20110101196 A KR 20110101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state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윌리엄 트레이시
린든 토마스 트레이시
Original Assignee
린마든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마든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린마든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5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와,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체를 집수하기 위해 컨테이너 외부로부터의 유체를 유입구를 통해 컨테이너로 배수하기 위한 담수면을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로부터 운반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 또는 운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집수된 유체 위로 올라와 있도록 위치되는 유체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집수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집수벽은 컨테이너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유체 장애물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유체 유동을 저지하고,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배출 상태에 있을 때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용 컨테이너{A Container For Fluid}
본 발명은 유체(예컨대, 물)용 컨테이너 및 유체를 집수하고 수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종래 간행물(또는 이로부터 도출된 정보) 또는 공지된 임의의 자료에 대한 이 명세서의 참조는 종래 간행물(또는 이로부터 도출된 정보) 또는 공지된 자료가 이 명세서가 관련된 노력 분야에 통상적인 일반지식의 일부를 이룬다는 인식이나 자백 또는 임의의 제안 형태가 아니며 그렇게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기존의 유체용 컨테이너는 채우기가 불편하고 운반이 불안정하고/하거나 부을 때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살수(watering)는 급수전(water tap)으로 물을 채우기 위한 호스의 추가 사용을 필요할 수 있다; 또는 오일은 오일을 채우기 위한 깔대기의 추가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표준 버킷은 일반적으로 예컨대 이동식 또는 회전 손잡이로 인해 운반시 불안정한 바디를 갖는다.
기존 유체용 컨테이너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단점 또는 제한들을 해결 또는 완화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구와,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체를 집수하기 위해 유입구를 통해 컨테이너 외부로부터의 유체를 컨테이너로 배수하기 위한 담수면을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로부터 운반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 또는 운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집수된 유체 위로 올라와 있도록 위치되는 유체용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테이너의 제 1 면이 컨테이너의 기저를 제공하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수용 유체를 형성하도록 유입구를 통해 컨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컨테이너로 유체를 배수하는 단계와, 상기 누운 상태로부터 컨테이너의 제 2 면이 컨테이너에 기저를 제공하는 운반 상태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수용 유체 위로 올라와 있도록 위치되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집수 상태의 컨테이너로 담수면 상에 유입하는 유체를 집수하기 위한 담수면과, 운반 상태의 컨테이너로 집수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면을 제공하는 집수벽이 있는 유체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유입구는 담수면의 가장자리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에서 운반 상태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입구는 핸들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해 있다.
누운 상태는 운반 상태의 일반적으로 가로방향일 수 있다.
담수면은 컨테이너의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유동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담수면은 컨테이너의 외부상의 유입구를 향해 유체를 보내기 위한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수면은 유동 장애물 및/또는 유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담수면은 상기 담수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안쪽으로부터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담수면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담수면 경계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담수면으로부터 잔여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멀리 배수하기 위한 스필웨이채널(spill-way channel)을 포함하고, 잔여 유체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입구 위의 담수면에 놓인다.
담수면은 운반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기저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웨지형일 수 있으며, 기저면적은 맞은편 운반단부 면적보다 더 크다.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와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한 유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되고, 컨테이너로부터 집수된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유출 상태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해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는 누운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위로 올라와 있고, 유출 상태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아래로 내려와 있도록 배열된 라이저(ris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는 컨테이너의 내부와 유체소통하는 노즐 입구와, 컨테이너의 외부와 유체소통하는 노즐 출구가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라이저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노즐 입구와 노즐 출구 사이의 상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운반 상태로부터, 유입구가 수용 유체 위에 위치되고 컨테이너의 유출구가 수용 유체 아래에 위치되어 수용 유체가 컨테이너 밖으로 유출되는, 유출 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누운 상태에서 운반 상태로 그리고 유출 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이동될 수 있고, 컨테이너의 핸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유입구는 핸들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다. 배수하는 단계는 컨테이너 외부의 유동 장애물을 이용해 컨테이너의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하는 단계는 컨테이너의 외부의 유동 가이드를 이용해 유입구를 향해 유체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핸들은 운반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핸들은 누운 상태에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컨테이너의 대향 단부에 파지를 제공할 수 있거나, 운반 상태에서 유출상태로 컨테이너를 옮기기 위해 상당한 지레 작용을 제공하도록 컨테이너의 상당한 길이를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핸들은 사람이 파지함으로써 보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운반 상태에서 유출 상태로 컨테이너를 옮기기 위해 컨테이너의 기저단부에 핸들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 그립은 컨테이너 기저단부의 기저에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고, 기저단부는 핸들을 포함하는 핸들단부에 대한 컨테이너의 맞은편 단부이다.
담수면은 컨테이너가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수용 유체를 포함하기 위한 수용면을 또한 제공하는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담수면은 집수벽을 포함한 컨테이너의 집수측에 있을 수 있다. 집수벽은 컨테이너의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기 위한 유동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다.리브는 집수벽의 엠보싱, 집수벽의 다른 구조, 집수벽 상에 추가 재료, 또는 집수벽에 추가된 다른 재료에 의해 담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는 담수면에 기다란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는 담수면의 유체 유동 방향, 즉, 누운 상태에서 담수면의 하방 기울기에 의해 정의된 유동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으로 놓여 있을 수 있다. 집수벽은 유입구를 향해 유체를 보내기 위한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또한 리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리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를 향한 바람직한 유동 방향을 따라 놓여있을 수 있다. 리브는 유입구에 인접한 담수면의 중앙영역에 논리브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담수 경계는 컨테이너의 집수측에, 예컨대, 컬렉팅 림에 의해 형성된 수용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집수벽을 둘러쌀 수 있다. 수용 립은 컨테이너가 누운 방향에 있고 컨테이너가 넘치게 채워졌을 때 유입구 위에 높인 담수면으로부터 잔여물, 또는 초과나 오버플로우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스필웨이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기저면적은 운반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하단 면적과 관련 있다. 일반적으로 기저면적이 맞은편 운반단부보다 더 큰 웨지형 컨테이너에 대해, 운반단부는 핸들단부와 관련 있고, 기저폭은 웨지형을 제공하도록 운반단부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웨지형태는 누운 상태에서 집수동안 유동 방향과, 운반 상태에서 서있는 위치로 저장될 경우 안정성을 돕는다.
노즐은 운반 위치에서 유체 수위 아래로부터 유체 수위 위로 뻗어 있는 유체 유동을 위한 유출구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노즐은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출구 채널을 따른 유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유출구 채널의 상승부에 의해 제공된 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저는 누운 상태에서 유체 수위 위로 올라와 있도록 배열된 노즐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저는 누운 상태에서 유체 수위 위에 배열된 노즐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노즐을 지지하기 위해 망상구조로 컨테이너의 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구는 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폐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장치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로 움직일 수 있는 탭을 포함할 수 있다. 탭은 볼 밸브 탭(ball valve tap)일 수 있다. 폐쇄장치는 누운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위로 올라와 있도록 그리고 유출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아래로 내려와 있도록 움직일 수 있는 유출구의 이동가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능부는 노즐의 편향부의 편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노즐의 외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폐쇄 및/또는 유출구의 위치는 유출구의 적어도 일부가 누운 상태에서 충분히 수용 유체수위 위에 있게 제공될 수 있어, 유출구는 실질적으로 유체의 집수동안 수용 유체의 전도를 저지한다. 유출구의 배열로 일반적으로 누운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채우는 한편 유출구를 통한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유입구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또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태의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는 일반적으로 담수면의 구석에 위치될 수 있거나, 일반적으로 담수면의 가장자리 중앙 가까이에 있을 수 있다. 유입구는 누운 상태, 운반 상태 또는 유출 상태에 있을 때 사용 동안 유입구 밖으로 수용 유체의 흘림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수용 유체수위보다 충분히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구는 운반 상태 및 유출 상태에 있을 때 유입구 밖으로 수용 유체의 흐름을 줄이기 위해 컨테이너의 내부에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외력에 의한 컨테이너의 변형을 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갖는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컨테이너에 서 있는 사람에 의한 변형을 저지하기 위한 위치에 있고 저지하기 위한 치수로 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유체를 필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시스템은 예컨대 물 또는 오일을 필터하기 위해, 가령, 유입구, 바디 또는 유출구에 다공성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운반 상태에서 운반동안 저장을 돕고 흘림을 막기 위해 유입구 및/또는 유출구용 폐쇄부(예컨대, 밀봉, 도어 또는 탭)를 포함할 수 있다.
운반 상태 및 유출 상태는 일반적으로 연직 상태이며, 또한 "연직" 또는 "세워진" 방향이라 한다. 누운 상태는 집수 방향을 포함하는 집수 상태이며, 또한 "놓여 있는" 방향이라 한다. 운반 상태는 운반 방향을 포함한다. 운반 상태는 또한 컨테이너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해 예컨대, 유체의 집수와 유체의 유출 사이에 배열된 저장 상태이다. 유출 상태는 유출 방향을 포함한다. 누운 상태는 일반적으로 운반 상태 및 유출 상태에 대해 횡 또는 수직(또는 "직교" 또는 "직각")이다.
운반 상태는 일반적으로 누운 상태에 대해 횡 또는 직각(또는 "직교" 또는 "직각")이다. 기저면은 컨테이너의 풋프린트 또는 기저면적을 정의한다: 가령 컨테이너의 후벽과 백림(back rim)으로 형성된 제 1 면은 가령 컨테이너의 기저벽인 제 2 면보다 더 크므로, 운반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운반 또는 저장에 필요한 풋프린트보다 유체를 집수하기 위한 누운 상태에서 더 큰 풋프린트를 제공한다.
누운 상태는 유체를 집수하는데 사용되고, 컨테이너가 지면(또는 선반 또는 바닥 등)에 준비됨으로써 저장될 때 또한 실질적으로 저장 상태인 운반 상태는 저장 및 운반을 위해 사용되며, 사람은 유체로 컨테이너를 채우기 위해 컨테이너를 내려 놓고 수용 유체를 운반 또는 저장하기 위해 (핸들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들어올릴 수 있다. 더욱이, 사람은 또한 컨테이너로부터 수용 유체를 붓거나 배수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뒤집을 수 있다.
유체는 액체, 예컨대, 물일 수 있고, 컨테이너는 물뿌리개일 수 있다. 물은 샤워 아래에 집수될 수 있다. 유체는 오일 또는 오일 혼합물일 수 있고, 유체는 차랴 아래에 집수될 수 있다. 유체는 곡물 또는 먼지 입자와 같은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편한 용량으로 약 1 밀리리터에서 100 리터, 수동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약 500 밀리리터에서 20 리터, 및 사람에 의한 편리한 수동 운반 및 예컨대 정원에 물을 뿌리기 위한 편리한 용량을 허용하도록 약 1 리터에서 10리터의 최대 유체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례에 따르지 않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단지 예로써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위에서 본 보조 도면이다.
도 2는 운반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위에서 본 보조 도면이다.
도 3은 컨테이너의 운반 단면도이다.
도 4는 컨테이너의 비토수구측 도면이다.
도 5는 컨테이너의 집수측 도면이다.
도 6은 컨테이너의 토수구측 도면이다.
도 7은 컨테이너의 후면측 도면이다.
도 8은 컨테이너의 기저부측 도면이다.
도 9는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운반단부로부터의 보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A-A로 표시된 선을 따라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비토수구측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집수된 유체가 포함된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비토수구측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집수된 유체를 유출하는 것을 도시한 유출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토수구측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집수된 유체의 유출을 도시한 유출 방향으로 컨테이너의 운반측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다른 토수구들을 가진 컨테이너의 토수구측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비스듬한 리브 및 C형 토수구를 가진 컨테이너의 보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방향으로 유체 컨테이너(100)는 리브(104)들로 집수벽(102)과 담수면에 유입하는 물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를 받는 컨테이닝림(106) 또는 컬렉팅림(106)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100) 외부의 담수면을 포함한다. 담수면은 집수개구(108) 형태의 유입구 또는 집수벽(102)에 있는 개구 또는 홀을 통해 컨테이너(100)에 유체를 보낸다.
담수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집수측(302)을 정의하며, 컨테이너(100) 후면(110)의 맞은편에 있다. 컨테이너(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방향에 있을 때 후면(110)에 놓여져 있다. 컨테이너(100)가 일반적인 수위의 논슬로핑(non-sloping)면의 후면(110)으로 집수 방향에 있다면, 담수면은 집수개구(108)를 향해 중력에 대해 아래로 기울어져, 담수면에 닿은 유체가 집수개구(108)로 보내지게 된다. 예시적인 논슬리핑면은 욕실에서 샤워 아래의 마루 또는 수로(level drive-way) 또는 수위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수면의 리브(104)는 담수면으로부터 집수개구(108)로 유입 유체가 배수/유출될 때 유동 장애를 제공한다. 유동 장애는 담수면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한다.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다면, 리브(104)는 일반적으로 아래쪽 슬로핑 방향에 횡으로(또는 "가로질러") 놓이고(또는 "이어지고"), 집수벽(102)을 따라 집수개구(108)로 속력 및 유속을 줄이도록 동작하며, 이에 따라 (특히, 컬렉팅림(106)으로 흐르거나 부딪힌 유체로 인한) 담수면으로부터 유입 유체의 오버플로우 또는 튀김을 줄이고, 유입 유체가 집수개구(108)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기보다는 집수개구(108)를 통해 컨테이너(108)로 보내질 가능성을 높인다. 리브(104)는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담수면으로부터 각 리브(104)의 외부 에지에 있는 협소한 리지로 차츰 줄어들고/줄거나 담수면을 가로질러 길이를 따라 줄어드는(예컨대, 타측보다 일측에서 더 두껍고/두껍거나 더 큰) 형태로 테이퍼질 수 있다.
리브(104)는 집수벽(102)에서 범프, 리지 또는 오목부로 형성된다. 리브(104)는 집수벽(102)을 엠보싱함으로써(즉, 집수벽(102)의 기다란 외부 곡선을 형성함으로써), 집수벽(102)의 다른 구조에 의해(가령, 집수벽(102)에서 오목한 채널 또는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집수벽에 재료(예컨대, 리브용으로 더 두꺼운 재료)를 추가함으로써, 또는 집수벽에 추가된 다른 재료(컨테이너(100)의 다른 부분들과 동일한 타입의 재료일 수 있거나 다른 재료일 수 있는 대체 재료를 이용해 컨테이너(100)의 다른 부분들과 별도로 형성되고 집수벽(102)의 형성 후에 추가된 리브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104)는 단속적 또는 불연속적이거나, 고립된 범프들에 의해 형성되거나, 담수면으로부터 오르거나 담수면으로 내려갈 수 있다.
컬렉팅림(106)은 집수벽(102)을 향해 입사 유체를 보내고 집수개구(108)로부터 멀리 집수벽(102)으로부터 흐르는 유체에 저항하는 립(lip)으로서 작용한다. 컬렉팅림(106)은 담수면에 집수벽(102)의 삽입을 위해 제공되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 유체를 포함한다. 컬렉팅림(106)은 일반적으로 집수개구(108)에 인접 위치한 집수벽(102)의 표면 위에 높이가 줄어든 컬렉팅림(106)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필웨이(spill-way)(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2)을 포함해, 집수 방향으로 놓여질 경우, 스필웨이채널(112)에 의해 정의된 오버플로우 높이에 의해 정의된 유체수위가 실질적으로 집수개구(108)의 위치에 의해 정의된 집수 유체수위보다 높지 않게 한다: 이는 컨테이너(100)가 넘치게 채워지더라도 집수개구(108) 위의 수위로 담수면에 집수되거나 일시적으로 놓이는 잔여 유체가 도 11을 참조로 하기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스필웨이채널(112)을 통해 담수면으로부터 방출되므로 거의 소량의 유체만이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때 담수면의 표면 밖으로 흐르게 보장한다. 스필웨이채널(112)은 또한 표준 버킷과는 달리 특정부피로 액체의 담수를 제한하고, 운반을 쉽게 하기 위해 과충진을 방지한다(예컨대, 포함된 액체는 컨테이너(100)가 운반되는 동안 튀기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스필웨이채널(112)을 통해 흐르는 유체는 용기가 채워진 지표로서 작용한다.
실시예에서, 스필웨이채널(112)에 의해 정의된 오버플로우 높이는 일반적으로 토수구의 라이저(riser) 이하이다. 유출구는 컨테이너가 유출 방향에 있지 않을 때 컨테이너(100) 밖으로 흐르는 집수된 유체에 저항하는 라이저를 포함한다. 유출구는 완전히 또는 적어도 상당부분 또는 일반적으로 매우 최소한으로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및 컨테이너(100)가 운방방향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한 유체 유동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유출구는 컨테이너(100)로부터 집수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 방향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해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라이저는 완전히 또는 적어도 상당부분 또는 일반적으로 매우 최소한으로 집수 방향 및 운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로부터 토수구 밖으로 유체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라이저는 도 14a, 14b, 14c, 및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구가 올라온) 상승부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라이저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토수구 개구(1006)를 포함하는 상승부(1406A)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내부 토수구 개구(1006)는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오버플로우 높이 위에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라이저는 내부 토수구 개구(1006)를 포함하지 않고, (토수구가 올라간 경우의) 도 14b, 14c, 및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구내 다른 곳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토수구 개구(1006)의 높이는 컨테이너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다른 또는 추가 스필웨이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오버플로우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핸들(114)을 포함해, 유체가 담수면에 닿을 수 있는 영역에 컨테이너(100)가 위치되게 하고 집수 방향에서 운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가 들어올려 지거나 이동되며, 운반 방향으로 날라지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로부터 유체가 배수 또는 유출하는 유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기울여 진다. 집수개구(108)는 컨테이너(100)의 바디에 대해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운반단부(406)에서 담수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되거나 두어져, 유입구가 연직 방향 중 하나에 있을 때 집수되어 수용 유체 위에 놓이게 된다. 운반단부(406) 또는 "핸들단부"는 핸들(114)을 포함한다.
핸들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이 운반단부(116)를 따라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의 운반단부(116)의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핸들(114)은 일반적으로 바디를 따라 원통형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어, 중공핸들(1002)이 컨테이너(100)의 바디에 수용 유체를 담고 있는 중공바디(1004)와 유체 소통한다.
컨테이너(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구관(118), 토수구 베이스(120) 및 외부 토수구 개구(122)를 포함한 노즐 또는 '토수구' 형태의 유체 유출구를 포함한다. 토수구는 컨테이터(100)로부터 유체 유동을 위한 유출구 채널을 정의한다. 즉, 유출구 채널은 유체 유출구를 통해 유체를 운반 또는 가이드한다.
실시예에서, 유출구 베이스(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포함된 또는 집수된 유체수위(1108) 위로 컨테이너(100)의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어, 노즐에서 상승부(1406A)를 제공하며, 상기 상승부는 또한 라이저, 또는 돌출부 또는 플랫폼이라 한다. 대안으로, 라이저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구를 따라 "C형" 또는 "S형"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가 채워졌을 때 수용 유체수위의 높이는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집수개구(108) 및 스필웨이채널(112)의 높이로 정의된다. 라이저로 인해, 일반적으로 집수된 유체 수위 이상으로는,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토수구를 통해 유체가 아주 거의(또는 실질적으로 전혀 또는 완전히) 흐르지 않는다.
토수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주요 바디의 토수구측(806)상의 토수구측벽(810)으로부터 토수구가 돌출하도록 하는 재료로 된 망상형태의 토수구 지지부(124)에 의해 컨테이너(100)의 바디에 기계적으로 연결 또는 통합되어 있으나, 토수구관(118)의 길이를 따라 컨테이너(100)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토수구와 토수구 지지부(124)는 컨테이너(100)와 함께 몰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것을 포함해 파지 및 운반을 편하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100)의 상단에 핸들(114)이 제공된다. 집수개구(108)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유체수위(1108) 위로 올라와 있고, 외부 토수구 개구(122)도 또한 집수 유체수위(1108) 위로 올라와 있다. 운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는 핸들(114)에 의해 운반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컨테이너(100)의 후면(202)에 놓여 있도록 지면 또는 마루와 같은 지지면에 놓일 수 있다. 운반 방향에서, 수용 유체는 집수벽(10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벽(70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저벽(80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수구측벽(60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토수구측벽(410)을 포함한 함유면을 제공하는 밀봉된 벽들의 협력에 의해 컨테이너에 보유된다.
컨테이너(100)의 바디에 실질적으로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핸들(114)은 수용 유체의 흘림 또는 튀김을 일으킬 수 있는 상당한 흔들림이나 움직임 없이 안정적인 운반을 제공한다. 더욱이, 집수측이 아닌 컨테이너 측에 핸들(114)이 있음으로써 핸들(114)이 담수면(114)을 막거나 봉쇄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봉쇄로 인해 핸들(114)에 의해 담수면으로부터 멀리 (가령, 기름 또는 산(酸)과 같이 오물 또는 위험 유체에 대해 바람직지 못할 수 있는) 유입 유체의 튀김 및/또는 핸들(114)에 유체의 흘림이 유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는 더 협소한 운반단부(406)로부터 더 넓은 기저단부(408)까지 후면(110)과 집수측(302)의 일반적인 슬로핑 특성에 의해 제공된 기저폭(404)보다 운반단부 폭(402)이 더 작다. 즉, 횡(또는 횡단면) 기저단부 영역은 맞은편 횡 핸들 또는 운반단부 영역보다 더 크므로, 웨지 형태의 컨테이너(100)가 형성된다. 이 웨지 형태는 집수 방향으로 담수면의 슬로핑, 즉, 일반적으로 운반단부(406)에 가까운 집수개구(108)를 향한 슬로핑을 제공한다. 웨지 형태는 또한 기저단부(408)를 향해 대부분의 중공바디(1004)를 제공하며, 상기 기저단부는 연직 방향으로 집수 유체를 담을 때 컨테이너(100)의 중력 중심 아래에 있다. 슬로핑 각도는 컨테이너가 경사면에 있을 때에도 유입구가 더 높은 지면을 향해 지향된 유입구가 있는 경사면에, 가령, 욕조의 경사면에 놓여 있더라도 표면이 경사지게 약간 과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는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토수구측(806) 맞은편의 토수구측(806)에서 비토수구측(808)으로 길이인 기저 길이(502)를 포함한다. 기저 길이(502)는 실질적으로 기저폭(404)보다 더 크다. 기저폭(404)은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의 전체 높이를 정의하며, 지면 또는 마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수직으로 낙하하는 유체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 방향에 컨테이너(100)가 사용되도록 충분히 작은 기저폭(404)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기저폭(404)은 집수 방향에서 낮은 높이를 제공한다. 예컨대, 컨테이너(100)는 (지면 또는 싱크로부터) 낮은 높이에 있는 급수전으로부터 집수 방향으로 물을 집수하거나, 지면에 주차된 자동차 아랫면에 떨어지는 기름을 수비하기 위해 또는 (가령, 집 또는 차고의) 지붕으로부터 물을 운반하는 홈통 또는 낮은 급수전 아래에 끼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저길이(502)는 큰 담수면과 집수용적을 정의하기 위해 기저폭(404)보다 상당히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저폭(404)과 기저길이(502)(및 토수구측 길이(504), 핸들용적, 및 토수구 용적)에 의해 정의되고, 담수면 면적은 일반적으로 기저길이(502)(및 토수구측 길이(504))에 의해 정의된다. 기저폭(404)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토수구측 길이(504)와 기저길이(502)를 가지므로 운반 방향으로 보다는 수집방향으로 컨테이너(100)의 수평면적이 더 크게 제공되므로, 유체 수집을 위한 더 큰 담수면적과 컨테이너의 운반 및 저장을 위한 상대적으로 더 작은 풋프린트를 제공한다. 상대적으로 더 큰 토수구측 길이(504)는 운반 또는 저장을 위해 더 큰 높이를 제공하며, 사람이 지면 또는 마루에 너무 가까이 구부리지 않고도 손으로 컨테이너(100)를 집기 쉽게 한다. 큰 담수면적은 사람이 운반하기에 너무 큰 컨테이너(100)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비가 올 때 빗물과 같이 전체 담수면적 위로 떨어지는 유체의 효율적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큰 담수면적은 또한 엔진오일 유출구가 정확하게 어디에 있는지 결정하기 어려울 때 차량 아래의 엔진오일 유출구 아래와 같이 수집방향으로 유체 소스 아래 단지 컨테이너(100)의 대략적인 위치지정을 가능하게 한다. 큰 담수면적은 또한 가령, 이들 유체에 강한 표면장력으로 인해 수도꼭지 또는 탭의 가장자리 및 표면장력을 깨기에 가장자리가 충분히 날카롭지 못한 개구를 따라 방출 및 낙하하기 전에 나오고 있는 개구로부터 표면을 따라 멀리 흐르는 경향이 있는 유체, 예컨대, 물의 집수를 향상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면(110)은 일반적으로 리브나 유입구가 전혀 없는 집수벽(102)과 치수가 일치하는 후벽(702)과 스필웨이채널이 전혀 없는 컬렉팅림(106)과 치수가 일치하는 백림(back rim)(704)에 의해 정의된다. 후면(110)은 지면 또는 마루에 놓임으로써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후면(110)은 또한 컨테이너(100)에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면을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면(302)와 대칭으로 기저단부(408)로부터 운반단부(406)로 경사져 있어, 전체적으로 웨지형 컨테이너(100)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면(202)은 컨테이너(100)에 유체를 보유하기 위한 기저벽(802)과 기저벽(802)에 기저 오목부(804) 형태의 핸드그립을 포함한다. 기저 오목부(804)는 사람의 손 또는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치수(또는 '크기')이며, 핸들(114)과 결부해 컨테이너(100)를 수동으로 동작하기 위해 컨테이너(100)의 기저면(202)에 그립을 제공한다. 예컨대, 유출 방향에 또는 유출 방향으로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때, 사람은 한 손으로 핸들(114)을 그립 또는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토수구측(806)을 향해 컨테이너(100)를 기울이도록 기저 오목부(804)를 그립 또는 파지하여, 유출을 위해 비토수구측(808)으로부터 멀리 토수구를 향해 컨테이너(100)에 있는 유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토수구는 도 10 및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토수구 개구(1006) 또는 토수구 입구(1402A)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 또는 입구는 컨테이너(100)의 바디와 토수구 사이에 유체 소통을 제공하며 지면 또는 마루 위의 스필웨이채널(112)과 집수개구(108)의 높이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에 수용 유체수위(1108) 위에 위치해 있어, 컨테이너(100)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컨테이너(100)로부터 토수구 밖으로 유체의 흐름을, 있다 하더라도, 아주 조금 제공한다. 도 14d를 참조로 후술된 다른 실시예에서, 집수 방향으로 컨테이너(100)의 토수구를 통해 나온 유체의 흘림이 가령 유체의 집수 및 유체의 운반동안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막고 유출 동안 유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토수구의 탭과 같은 기계적 폐쇄장치의 사용을 통해 막아질 수 있다. 도 14a, 14b, 및 14c를 참조로 후술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토수구 밖으로 유체의 흐름이 라이저를 형성하는 토수구의 상승부에 의해 저지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입구는 컨테이너가 연직 방향에 있을 때 유입구 밖으로 수용 유체의 튀김 또는 흘림(즉, 집수 또는 유출)을 저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또한 운반단부(406)로부터 (예컨대, 집수개구(108)에 의해 형성된) 유입구 가장자리에 있는 집수벽(102)의 내부에 있는 유입구 립을 포함한다. 연직 방향에서, 수용 유체는, 예컨대, 운반중에 컨테이너의 거친 수동 취급에 의해 일시적으로 컨테이너에 대해 상승될 수 있고, 유입구 립은 컨테이너의 후면(110)을 향해 바람직하게는 위로 밀려지는 유체를 안내해 유입구 밖으로 흘림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입구는 컨테이너가 운반 방향 및 유출 방향에 있을 때 저지하기 위한 이동식 밀봉가능한 도어를 포함해 유입구 밖으로 수용 유체의 튀김 또는 흘림을 줄이거나 상당히 방지한다. 도어는 폐쇄 위치와 집수 방향에서 개방 위치 사이에 수동으로 움직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는 담수면에 또는 아래에 (예컨대, 집수벽(102)에) 장착된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수집방향으로, 유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입방향(1102)으로 담수면에 부딪힌다. 예를 들면, 유체는 유체, 가령, 컨테이너(100)가 지면 또는 마루(1104) 위에 집수 방향으로 놓여 있는 동안 컨테이너(100)로 중력을 받아 낙하한다. 담수면에 부딪힌 후 유체는 리브(104)의 동작에 의해 지연되더라도 집수개구(108)를 향한 집수벽(102)과 컬렉팅림(106)의 경사에 의해 정의된 집수 방향(1106)으로 이동한다. 느린 유속의 유체는 담수면에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그렇지 않으면 담수면으로부터 튀거나 흩뿌려질 수 있는 유입 유체를 받거나 집수하는 유체버퍼층을 만듦으로써 저수 과정을 돕는다.
유체는 컨테이너의 바디(예컨대, 컨테이너(100)의 중공바디(1004))에 집수되며, 수집 유체수위(1108)는 일반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방향으로 오버플로우 높이에 의해 정의된다(스필웨이채널 또는 유출구 높이에 의해 정의된다).
운반 방향으로, 집수 유체수위(1108)는 중력하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입구 아래와 유출구 토수구 개구(122) 아래 위치로 이동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방향으로, 집수된 유체 수위(1108)는 컨테이너(100)가 집수된 유체 수위(1108) 아래로 유출구 토수구 개구(122)를 낮추도록 회전되는 동안 일반적으로 중력에 의해 수위가 유지되어 유체가 컨테이너(100) 밖으로 흐르게 되며, 이로써 가령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해 컨테이너(100)로부터 유체를 배수한다.
집수개구(108)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100)의 비토수구측(808)을 향해 위치되어 있거나 운반단부(406)를 따라 적어도 중앙에 위치되어 있어 유출 방향에 있을 때 집수개구(108)를 통해 컨테이너(100) 밖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개구(108)는 유출 방향으로 유출구 토수구 개구(122)의 높이에 의해 정의된 수용되거나 집수된 유체수위(1108) 위에 있어, 집수된 유체수위(1108) 위에 컨테이너(100)가 (예컨대, 유출 방향으로 컨테이너(100)의 갑작스런 회전에 의해) 갑자기 더 크게 기울어진 유출 방향으로 움직일 때 흘림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 높이를 가지며, 이로써 집수 유체수위(1108)가 일시적으로 유출 방향으로 유출구 토수구 개구(122)에 의해 정의된 높이 위에 있게 된다. 실시예에서, 집수개구(108)는 토수구측(806)보다 비토수구측(808)에 가까이 또는 더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00)는 집수벽(102)과 후벽(702)상에 (예컨대, 수용 유체용적의 압력에 의해 야기된) 외력을 막고 (예컨대, 집수벽(102)에 입사방향으로 유입한 가령 유체의 무거운 용적으로 인해 집수 방향에 있을 때 집수벽(102)에 대한 압력 또는 담수면의 적어도 일부에 서 있는 사람의 무게에 의해 유발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내력에 저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적소에 집수벽(102)과 후벽(702)을 지지하기 위한 스트러트 또는 리브와 같은 내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컨테이너(100)는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비반응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컨테이너(100)는 블로우 몰딩(blow moulding), 주입몰딩, 회전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를 형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재료에 첨가제 또는 컨테이너(100) 내부 및/또는 외부에 표면코팅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항균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담수면은 컨테이너(100)의 외부에 비접착재료를 포함해 실질적으로 담수면에 유체의 접착을 줄일 수 있다.
유체는 액체, 예컨대, 물일 수 있고, 컨테이너는 물뿌리개일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지붕, 홈통, 또는 방수시트 또는 샤워시 흐르는 샤워 물로부터 흘러나온 물을 수집할 수 있다. 유체는 오일일 수 있다. 컨테이너는 부엌에서 지방 및 그리스(grease)와 같은 뜨거운 액체를 수집하거나, 차고에서 차량으로부터 나온 액체(예컨대, 라디에이터 유체, 오일 및 브레이크 유체)를 수집하거나, 실험실에서 화학제(예컨대, 폐기물, 염기, 용매 및 산)을 수집하거나, 병원에서 위험한 유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체는 분말, 또는 밀가루나 빵과 같은 자유흐름 입자일 수 있다.
컨테이너의 치수는 편리한 사용을 위해 컨테이너의 외부 크기를 정의하고 컨테이너에 의해 보유된 편리한 용적을 정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소용량 컨테이너는 약 1 밀리리터를 지닐 수 있고, 대용량 컨테이너는 약 100 리터를 지닐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컨테이너는 약 500 밀리리터 내지 약 20 리터 사이, 더 바람직하게는 사람이 편리하게 육체적으로 사용하도록, 예컨대, 샤워시 물을 집수하고 정원에 물을 뿌리도록 약 1리터 내지 약 10리터 사이를 보유하도록 하는 크기 또는 치수로 된다. 특별히 편리한 용량은 약 3 리터, 약 5 리터, 및 약 10 리터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컨테이너는 폭(또는 "기저길이")이 약 350㎜, 높이가(또는 "토수구측 길이")가 약 400㎜, 및 기저깊이(또는 "기저폭")이 약 120㎜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유출구에 다공성 필터를 포함한 유체를 필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특별한 유체, 예컨대, 물 또는 오일을 필터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노즐 또는 토수구는 유체 유출구를 제공하기 위해 도 14a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a를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토수구는 컨테이너(100)의 중공바디(1004)로부터 토수구로 입구(1402A)를 제공하는 내부 토수구 개구(100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수구는 또한 토수구로부터 유출된 유체에 배출구(1404A)를 제공하는 유출구 토수구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수구는 또한 유입구(1402A)를 포함한 상승부(1406A)에 의해 제공된 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402A)는 도 14a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100)내 유체의 수용 유체수위(1408) 위에 있다. 라이저는 실질적으로 컨테이너가 집수 방향에 있을 때 유출구 채널을 따른 유체 유동을 저지한다.
대안적인 토수구 수단으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402B)는 유체수위(1408) 아래에 있고 출구(1404B)는 유체수위(1408) 위에 있는 상승부(1406B)에 의해 제공된 라이저에 포함된다.
토수구의 다른 대안적인 수단으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구는 입구(1402C)와 출구(1404C) 사이의 상승부(1406C)에 의해 제공된 라이저가 있는 C형 토수구이며, 상기 상승부는 누운 상태로 실질적으로 유체의 수위레벨(1408)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 있다.
토수구의 다른 대안적인 수단으로,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402C)와 출구(1404C)를 포함한 전체 토수구는 일반적으로 수위레벨(1408) 아래에 놓이며, 폐쇄장치가 유체의 집수동안 토수구를 막아 실질적으로 저지하고 유출동안 토수구를 따라 열려 유체가 흐르게 하도록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탭(140)에 의해 제공된다. 탭(1410)은 볼 밸브 탭(ball valve tap)일 수 있다.
토수구의 다른 배열로,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1404E)는 라이저를 정의하는 이동식 상승부(1406E)의 일부인 출구(1404E)의 결과로 유체수위(1408) 아래 하부위치와 유체수위(1408) 위의 상승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출구(1404E)는 누운 상태로 있으면서 유체의 집수동안 유체수위(1408) 위로 올라오도록 이동될 수 있다. 입구(1402E)는 상승부(1406E)가 실질적으로 토수구를 따른 유체 유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유체수위(1408) 아래에 있을 수 있다. 상승부(1406E)는 토수구의 편향부(1412)(또한 "피봇장치"라고도 함)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편향부는 토수구의 출구(1404)가 유체수위(1408) 위 아래 위치 사이로 이동되게 한다. 편향부(1412)는 토수구의 가요부,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된 가요성 파이프 또는 밀봉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체 컨테이너(1500)는 도 1 내지 도 14e를 참조로 기술된 유체 컨테이너(100)와 동일한 특징을 갖지만, 도 15를 참조로 다른 특징들이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유체 컨테이너(1500)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는 일반적인 중앙집수개구(1502)를 제공하는 원형 개구, 또는 홀에 의해 정의되고, 컨테이너(1500)의 운반단부(406)를 따라 일반적으로 중심에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심에 위치된 중앙집수개구(1502)를 가짐으로써 집수개구(108)가 집수벽(102)의 한 구석에 위치되어 있을 때보다 제조가 더 편리해 질 수 있다. 리브들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리브(1504) 형태로 있을 수 있으며, 유입구 및 중앙집수개구(1502)를 향한 유체의 바람직한 유동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비스듬한 리브(1504)는 단속적(즉, 불연속)이며 집수면을 가로질러 기울어져 있어, 담수면상에 중앙집수개구(1502)를 향해 유체를 채널하는 수단으로서 동작한다.
다른 유체 컨테이너(1500)로, 리브는 집수개구(1502)로 바람직한 유체 유동 방향을 따라 정렬된 집수벽(102)의 중심영역을 따라 논리브 영역(non-ribbed region)(1508)을 제공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앵글 리브(1504)는 누운 상태의 컨테이너(100)와 함께 집수개구(1502)를 향해 유체를 보내며 직접적으로 집수개구(1502)를 향해 있지 안는 중력에 의해 정의된 방향으로 집수벽(102)을 다라 유체 유동을 느리게 하기 위한 배플(baffle)로서 작동한다. 담수면의 앵글 리브(1504)는 유입그를 향해 담수면상에 입사한 유체를 보내기 위한 유체 가이드의 형태이다. 앵글 리브(1504)는 집수벽(1504)을 따라 흐르고 고속 흐름으로 인해 또는 집수개구(1502)를 향해 불충분하게 지향된 흐름으로 인해 컬렉팅림(106) 위로 흘리는 유체와 관련된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중앙에 위치된 집수개구(1502)는 개구(108)에 대한 채널(112)에 일치하는 컬렉팅림(106)에 형성된 중앙 스필웨이채널(1506)이 있다. 중앙 스필웨이채널(1506)은 스필웨이채널(112)과 상기에서 도 11을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가 누운 상태로 있을 때 유체에 오버플로우를 제공하도록 중앙집수개구(1502)와 정렬되어 있다.
많은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인지될 것이다.
100 컨테이너
102 집수벽
104 리브
106 컬렉팅 림
108 집수개구
110 후면
112 스필웨이채널
114 핸들
116 운반단부
118 토수구관
120 투수구 기저
122 유출구 토수구 개구
124 토수구 지지체
202 기저측
302 집수측
402 운반단부폭
404 기저폭
406 운반단부
408 기저단부
410 비토수구측벽
502 기저길이
504 토수구측 길이
602 토수구측벽
702 후벽
704 백림(back rim)
802 기저벽
804 기저 오목부
806 토수구측
808 비토수구측
810 토수구측벽
1002 중공핸들
1004 중공바디
1006 내부 토수구 개구
1102 유입방향
1104 지면 또는 마루
1106 집수 방향
1108 유체수위
1402A-E 입구
1404A-E 출구
1404 유체수위
1410 탭
1412 편향부
1500 다른 유체 컨테이너
1502 중앙집수개구
1504 앵글 비드
1506 중앙스필웨이채널
1508 논리드 영역

Claims (20)

  1. 유입구와,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체를 집수하기 위해 유입구를 통해 컨테이너 외부로부터의 유체를 컨테이너로 배수하기 위한 담수면을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로부터 운반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 또는 운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 집수된 유체 위로 올라와 있도록 위치되는 유체용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입구가 담수면의 가장자리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유체용 컨테이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누운 상태에서 운반 상태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핸들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해 있는 유체용 컨테이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운 상태는 운반 상태의 일반적으로 가로방향인 유체용 컨테이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수면은 컨테이너의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유동 장애물을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담수면은 컨테이너 외부의 유입구를 향해 유체를 보내기 위한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담수면은 유동 장애물 및/또는 유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수면은 상기 담수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안쪽으로부터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담수면 경계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담수면 경계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담수면으로부터 잔여 유체를 유입구로부터 멀리 배수하기 위한 스필웨이채널(spill-way channel)을 포함하고, 잔여 유체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유입구 위의 담수면에 놓이는 유체용 컨테이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수면은 운반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기저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유체용 컨테이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웨지형이며, 기저면적은 맞은편 운반단부 면적보다 더 큰 유체용 컨테이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누운 상태와 운반 상태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한 유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되고, 컨테이너로부터 집수된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유출 상태에 있을 때 유출구를 통해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누운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위로 올라와 있고, 유출 상태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입구 아래로 내려와 있도록 배열된 라이저(riser)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컨테이너의 내부와 유체소통하는 노즐 입구와, 컨테이너의 외부와 유체소통하는 노즐 출구가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라이저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노즐 입구와 노즐 출구 사이의 상승부를 포함하는 유체용 컨테이너.
  15. 컨테이너의 제 1 면이 컨테이너의 기저를 제공하는 컨테이너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수용 유체를 형성하도록 유입구를 통해 컨테이너의 외부로부터 컨테이너로 유체를 배수하는 단계와,
    상기 누운 상태로부터 컨테이너의 제 2 면이 컨테이너에 기저를 제공하는 운반 상태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수용 유체 위로 올라와 있도록 위치되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운반 상태로부터, 유입구가 수용 유체 위에 위치되고 컨테이너의 유출구가 수용 유체 아래에 위치되어 수용 유체가 컨테이너 밖으로 유출되는, 유출 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누운 상태에서 운반 상태로 그리고 유출 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는 컨테이너의 핸들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유입구는 핸들에 일반적으로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는 컨테이너 외부의 유동 장애물을 이용해 컨테이너의 외부에 유체의 흐름을 느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하는 단계는 컨테이너 외부의 유동 가이드를 이용해 유입구를 향해 유체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수집 및 수용방법.
  20. 집수 상태의 컨테이너로 담수면 상에 유입하는 유체를 집수하기 위한 담수면과,
    운반 상태의 컨테이너로 집수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면을 제공하는 집수벽이 있는 유체용 컨테이너.
KR1020117015932A 2008-12-18 2009-12-18 유체용 컨테이너 KR20110101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87208P 2008-12-18 2008-12-18
US61/138,872 2008-12-18
US17415809P 2009-04-30 2009-04-30
US61/174,158 2009-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196A true KR20110101196A (ko) 2011-09-15

Family

ID=4226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932A KR20110101196A (ko) 2008-12-18 2009-12-18 유체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57224B2 (ko)
EP (1) EP2367734A4 (ko)
JP (1) JP5542838B2 (ko)
KR (1) KR20110101196A (ko)
CN (1) CN102282082A (ko)
AU (1) AU2009328658C1 (ko)
CA (1) CA2746688A1 (ko)
NZ (1) NZ593544A (ko)
WO (1) WO2010069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778B2 (en) 2013-03-15 2018-01-09 Resmed Limited Humidifier reservoir
CN115006677A (zh) 2013-03-15 2022-09-06 瑞思迈私人有限公司 增湿器储存器
US10668908B2 (en) * 2017-11-14 2020-06-02 Robert Bosch Gmbh Brake fluid reservoir
US20190353301A1 (en) * 2018-05-15 2019-11-21 Lih Yann Industrial Co., Ltd. Mobile storage device
CN109731680B (zh) * 2018-12-30 2020-04-10 浙江速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铁屑渗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8933A (en) 1971-03-04 1972-03-14 Mr Gardener Enterprises Ltd Watering can
GB1416096A (en) 1973-05-23 1975-12-03 Bell Prod Ltd Container for waste engine oil
US4010863A (en) * 1976-02-09 1977-03-08 Ebel Lawrence G Combined container for new and waste crankcase oil
US4030664A (en) 1976-04-12 1977-06-21 Custom Plastics, Inc. Spraying and watering can
US4114644A (en) * 1977-02-08 1978-09-19 Piper Eldon L Recycling drain pan
US4301841A (en) * 1979-10-22 1981-11-24 Kiyoshi Sandow Multipurpose container
USD264180S (en) * 1980-03-27 1982-05-04 Bartz Richard O Liquid collection and storage container
US4392594A (en) 1980-08-27 1983-07-12 Dart Industries Inc. Watering can
US4488584A (en) * 1982-09-30 1984-12-18 Bomatic, Inc. Drainer container and funnel
US4632268A (en) * 1983-05-20 1986-12-30 Melzi Edward R Disposable oil drain pan and container combination
US4881650A (en) 1988-06-14 1989-11-21 Bartz Richard O Fluid collection container
US5285824A (en) * 1992-08-17 1994-02-15 Krstovic Alexander P Vehicle oil drainage apparatus and method
US5503246A (en) * 1995-01-13 1996-04-02 Western Industries, Inc. Crankcase oil drain pan
US5562131A (en) * 1995-07-03 1996-10-08 Drawbaugh; Thomas W. Drip-free oil drain pan
US5915628A (en) 1997-05-19 1999-06-29 Dynamic Design, Inc. Watering can
US6302336B1 (en) 1997-08-07 2001-10-16 Akro-Mils Watering container with a rotatable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elivery patterns
AU8520898A (en) 1997-09-16 1999-04-01 Nino Michele Soccio Watering can
DE10037856A1 (de) * 2000-08-01 2002-02-14 Ibs Filtran Kunststoff Metall Ölbehä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4124612A (ja) 2002-10-04 2004-04-22 Tetsuhiko Kuroiwa 集水、貯水装置
ITBO20020766A1 (it) * 2002-12-06 2004-06-07 Marco Camoli Tanica per il recupero ed il trasporto di oli usati.
US6874549B1 (en) * 2004-06-10 2005-04-05 Lisle Corporation Transportable oil drain pan
US7066358B2 (en) 2004-06-11 2006-06-27 Helen Of Troy Limited Watering container
AU2005100874A4 (en) 2005-10-14 2006-02-02 Culvenor, Anthony Richard Mr Watering Can With Shut off Valve
AU2006100965A4 (en) 2006-11-20 2006-12-21 Darren Ronald James Collapsible watering can or bucket stand
US8210389B2 (en) * 2009-08-21 2012-07-03 William Treslo Drai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93544A (en) 2013-11-29
CA2746688A1 (en) 2010-06-24
JP5542838B2 (ja) 2014-07-09
JP2012512107A (ja) 2012-05-31
US8757224B2 (en) 2014-06-24
CN102282082A (zh) 2011-12-14
EP2367734A1 (en) 2011-09-28
AU2009328658B2 (en) 2016-07-07
AU2009328658C1 (en) 2017-01-19
AU2009328658A1 (en) 2011-07-07
EP2367734A4 (en) 2016-01-20
WO2010069003A1 (en) 2010-06-24
US20110248082A1 (en)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1196A (ko) 유체용 컨테이너
US20160051101A1 (en) Urinal drip pan with pivoting arm
JP637195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US20060096186A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EP3535197B1 (en) Controlled pour bottle
US5931118A (en) Self-filling birdbath system
US5961006A (en) Pump assembly for use with volumetric container
AU2011280926A1 (en) Vacuum debris collection box having sloped debris chute
US8468618B2 (en) Sink insert
US5482181A (en) Portable liquid drain pan with cantilever extensions and pour spout
US10279284B2 (en) Waste water separation vessel
US11564378B2 (en) Poultry drinker system
JP2009011498A (ja) 塵取り
US10058798B2 (en) Outlet well cover for an in-line grease interceptor
CN201094612Y (zh) 收水桶
CA2487572C (en) Storage tank overflow containment apparatus
GB2527163A (en) An apparatus for storage and dispensing of a liquid
CZ212894A3 (en) Collector of surface contaminants
US20230157494A1 (en) Vacuum attachment for collecting running water
JP2003104177A (ja) キャスター付きオイル受け皿
TWM637161U (zh) 具導水功能的冰鏟
JPS589546Y2 (ja) エア−ポツト
GB2437096A (en) Central heating radiator drainage receptacle
WO2000050701A1 (en) Gully
JP2003112738A (ja) 流出促進された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