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416A -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416A
KR20110100416A KR1020100019396A KR20100019396A KR20110100416A KR 20110100416 A KR20110100416 A KR 20110100416A KR 1020100019396 A KR1020100019396 A KR 1020100019396A KR 20100019396 A KR20100019396 A KR 20100019396A KR 20110100416 A KR20110100416 A KR 20110100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ethylene film
main
release paper
silver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937B1 (ko
Inventor
석봉철
Original Assignee
석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봉철 filed Critical 석봉철
Priority to KR102010001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고 단열성이 향상된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는 메인 부직포, 이형지,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그리고 부직포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 부직포는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한다. 이형지는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접착된다.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은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접착된다. 그리고, 부직포 마감재는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접착되며, 노출되는 표면에는 컬러 인쇄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heat insul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insulator}
본 발명은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고 단열성이 향상된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및 일반 산업시설 등에는 외부로부터 열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열재의 재료로서는 통상적으로 스티로폼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스티로폼은 발포 수지로서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방음 및 단열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열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스티로폼만으로는 단열 성능에 한계가 있어 단열효과가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시공성이 좋이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스티로폼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보완재를 결합하여 사용시에, 스티로폼과 보완재가 못이나 스테이플러 등과 같은 결합요소에 의해 단순히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겹치는 부분에 틈이 생성되고 이러한 틈으로 수분이 침투되어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시공된 후에는 스티로폼과 보완재의 결합체의 외면에 별도의 마감용 벽지 등을 더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관이 미려하고 단열성이 향상된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부직포;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접착되는 이형지;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접착되는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접착되며, 노출되는 표면에는 컬러 인쇄가 이루어지는 부직포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지름이 23.6~25.6㎛이고, 상기 메인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마감재 중 하나 이상은 평량이 140~170g/㎡, 두께가 1.71~2.20㎜, 세로방향 인장강도가 59~75㎏/5㎝, 가로방향 인장강도가 35~44㎏/5㎝, 세로방향 신장율이 68~72%, 가로방향 신장율이 78~82%, 공기투과도가 210~180ccs 그리고 중공도가 18~22%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의 사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알루미늄 호일의 사이, 상기 알루미늄 호일과 상기 이형지의 사이,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사이 및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과 상기 부직포 마감재의 사이에는 각각 폴리에틸렌 필름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제1폴리에틸렌 필름과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상기 이형지가 접착되는 단계;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제2폴리에틸렌 필름과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제3폴리에틸렌 필름과,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컬러 인쇄가 이루어진 부직포 마감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상기 컬러 인쇄가 이루어진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부직포 마감재가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의 사이에는 상하면에 각각 제4폴리에틸렌 필름이 구비되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과 상기 이형지의 상면 사이에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인 부직포와 부직포 마감재가 공동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시공성이 향상되고, 재료 사용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이며, 공기투과도가 감소되어 단열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외부로 노출되는 부직포 마감재의 일측면에 컬러 인쇄가 이루어짐으로써 벽지와 같은 별도의 마감재가 없이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부직포 마감재,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메인 부직포, 알루미늄 호일 및 이형지의 사이사이에 각각 폴리에틸렌 필름이 구비되어 녹아 접착됨으로써 접착부분에 틈이 형성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단열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는 메인 부직포(10), 이형지(20),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 그리고 부직포 마감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길이방향으로 공동(13)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하면에는 상기 이형지(20)가 접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상면에는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이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의 상면에는 상기 부직포 마감재(40)가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 마감재(40)는 길이방향으로 공동(13)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노출되는 표면에는 컬러 인쇄(42)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부직포(10)와 상기 부직포 마감재(40)가 공동(13)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짐에 따라 단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 마감재(40)의 표면에 컬러 인쇄(42)가 이루어짐에 따라 벽지와 같은 별도의 마감재가 없이도 개선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상기 단열재의 베이스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길이방향으로 공동(hollow)(13)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원사(原絲)(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량(basis weight)이 140g/㎡에서 21.5㎛의 지름을 가지는 비교예1의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원사와는 달리, 실시예1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는 비교예와 동일한 평량에서 지름이 24.6㎛로, 섬도(纖度)가 약 14%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분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평량(basis weight) g/㎡ 140 170 140 170
데니어(Denier) 6 5
두께 1.71 2.20 1.37 1.64
인장강도
세로방향(MD) ㎏/5㎝
59 75 59 75
가로방향(CD) 35 44 35 44
신장율
세로방향(MD) %
70 70 70 70
가로방향(CD) 80 80 80 80
공기 투과도 ccs 210 180 220 190
중공도(hollow) % 20 0
그리고 이에 따라, 도 4의 (b)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두께가 1.71~2.20㎜로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1에서와 같이 평량이 140g/㎡일 때의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두께 1.71㎜는 비교예1에서와 같이 평량이 140g/㎡일 때의 두께 1.37㎜보다 약 25% 증가된 것이다.
또한, 비교예2에서와 같이 평량이 170g/㎡일 때의 두께 1.64㎜보다도 약 4% 증가된 것이며, 비교예3에서와 같이 평량이 180g/㎡일 때의 두께 1.71㎜와 상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2에서와 같이 평량이 170g/㎡일 때의 두게 2.20㎜는 동일한 평량의 비교예2의 두께 1.64㎜보다 약 34% 증가되고, 비교예3에서와 같이 평량이 180g/㎡일 때의 두께 1.71㎜보다도 약 29% 증가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일반적인 부직포와 비교했을 때 중량 대비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부직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중량이 작아져 가볍게 된다.
이는 곧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의 재료 소비량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경제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c)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의 두께가 증가되더라도 동일한 평량을 가지는 비교예1와는 인장강도와 신장율에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평량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 열 전도율이 각각 0.031(W/mk, 20℃)(KS L 9016)로 서로 동등하여 상용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즉, 길이방향으로 상기와 같이 공동(13)이 형성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인 부직포(10)는 동일한 평량을 가지는 일반적인 부직포와 비교했을 때,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도 더욱 가벼울 수 있다.
그리고,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평량(140g/㎡, 170g/㎡)의 조건에서는 인장강도가 세로방향(Machine Direction)은 각각 59㎏/5㎝ 및 75㎏/5㎝로 동일하고, 가로방향(Cross Direction)도 각각 35㎏/5㎝ 및 44㎏/5㎝로 동일하여 상용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평량(140g/㎡, 170g/㎡)의 조건에서 신장율은 세로방향이 각각 70%, 가로방향이 각각 80%로 상용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투과도는 동일한 평량 조건(140g/㎡, 170g/㎡)에서 비교예는 각각 220ccs, 190ccs를 나타내는 반면에 실시예는 각각 210ccs, 180ccs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중공도(hollow)는 20%로 공기의 함유량이 많이 증가할 수 있어 복사열의 반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열전달은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단열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직포(10)가 상기한 바와 같은 중공도를 가짐으로 인하여 우수한 유연성과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압력에 대해서도 우수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으며 완충효과도 제공할 수 있고, 흡음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는 비투습성과 비흡수성을 가지므로, 방습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는 녹는점이 약 260℃로 높고 자기소화(消火)성을 가지므로 내열성이 좋고, 풍화작용에도 강한 내성을 가져 재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는 의복 소재로도 사용될 만큼 인체에 무해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따라서, 특별한 보호 장비가 없이도 취급될 수 있고 시공성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하면에는 상기 이형지(20)가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하면과 상기 이형지(20)의 사이에는 제1폴리에틸렌(PE) 필름(7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폴리에틸렌 필름(71)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메인 부직포(10)와 상기 이형지(20)가 서로 접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이형지(20)는 접착제에 의해 기존의 건출물의 내벽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단열재가 손쉽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부직포(10)의 상면에는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이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은 폴리에틸렌 필름에 은이 증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은 냉기, 열기 및 습기를 차단하여 상기 단열재의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부직포(10)와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의 사이에는 제2폴리에틸렌 필름(7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폴리에틸렌 필름(72)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메인 부직포(10)와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이 서로 접착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의 상면에는 상기 부직포 마감재(40)가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과 상기 부직포 마감재(40)의 사이에는 제3폴리에틸렌 필름(7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폴리에틸렌 필름(73)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과 상기 부직포 마감재(40)는 서로 접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 마감재(40)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1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 마감재(40)의 일측면에는 컬러 인쇄(42)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직포 마감재(40)는 상기 컬러 인쇄(42)가 이루어진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30)에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부직포 마감재(40)는 그 자체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어 번거롭게 별도의 벽지 등이 부착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 인쇄(42)는 인쇄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될 수 있으며, 어떤 특정한 인쇄장치에 의해 인쇄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제1폴리에틸렌 필름과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상기 이형지가 접착되는 단계(S11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열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폴리에틸렌 필름이 녹으면서 접착제의 역할을 하여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는 접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열가압이 이루어지는 공정 및 후술될 열가압이 이루어지는 공정은 여러 개의 롤러부(미도시)와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조장치의 구성은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제2폴리에틸렌 필름과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되는 단계(S120)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는 제3폴리에틸렌 필름과 부직포 마감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상기 부직포 마감재가 접착되는 단계(S1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 마감재는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접착되기 전에 상기 부직포 마감재는 일측면에 컬러 인쇄가 이루어지는 단계가 먼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인쇄가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부직포 마감재는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부직포, 상기 이형지,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그리고 상기 부직포 마감재가 각각 열가압되어 접착됨에 따라 접착 부분에 틈이 형성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의 투과 및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더욱 우수한 접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부직포(10)와 상기 이형지(20)의 사이에는 알루미늄 호일(foil)(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 구비되는 상기 알루미늄 호일(50)은 열복사 에너지의 반사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50)의 양측면에 각각 접착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알루미늄 호일(50)의 양측에는 각각 제4폴리에틸렌 필름(7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방법에는 메인 부직포와 이형지의 사이에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단계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의 사이에는 상하면에 각각 제4폴리에틸렌 필름이 구비되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과 상기 이형지의 상면 사이에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되는 단계(S210)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은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가 열 접착되기 전에 상기 메인 부직포와 먼저 열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이형지는 상기 메인 부직포와 접착된 상태의 상기 알루미늄 호일에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상기 이형지와 먼저 접착된 후에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다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접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공정 순서의 변경 적용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메인 부직포 11: 폴리에스테르 원사
13: 공동 20: 이형지
30: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40: 부직포 마감재
50: 알루미늄 호일 71: 제1폴리에틸렌 필름
72: 제2폴리에틸렌 필름 73: 제3폴리에틸렌 필름
74: 제4폴리에틸렌 필름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부직포;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접착되는 이형지;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접착되는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접착되며, 노출되는 표면에는 컬러 인쇄가 이루어지는 부직포 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지름이 23.6~25.6㎛이고, 상기 메인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마감재 중 하나 이상은 평량이 140~170g/㎡, 두께가 1.71~2.20㎜, 세로방향 인장강도가 59~75㎏/5㎝, 가로방향 인장강도가 35~44㎏/5㎝, 세로방향 신장율이 68~72%, 가로방향 신장율이 78~82%, 공기투과도가 210~180ccs 그리고 중공도가 18~22%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의 사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알루미늄 호일의 사이, 상기 알루미늄 호일과 상기 이형지의 사이,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사이 및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과 상기 부직포 마감재의 사이에는 각각 폴리에틸렌 필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5.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를 형성하는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제1폴리에틸렌 필름과 이형지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에 상기 이형지가 접착되는 단계;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제2폴리에틸렌 필름과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제3폴리에틸렌 필름과, 길이방향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컬러 인쇄가 이루어진 부직포 마감재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은박 폴리에틸렌 필름의 상면에 상기 컬러 인쇄가 이루어진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부직포 마감재가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직포와 상기 이형지의 사이에는 상하면에 각각 제4폴리에틸렌 필름이 구비되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구비되고 열가압되어 상기 메인 부직포의 하면과 상기 이형지의 상면 사이에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접착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0100019396A 2010-03-04 2010-03-04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96A KR101100937B1 (ko) 2010-03-04 2010-03-04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396A KR101100937B1 (ko) 2010-03-04 2010-03-04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16A true KR20110100416A (ko) 2011-09-14
KR101100937B1 KR101100937B1 (ko) 2011-12-29

Family

ID=4495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396A KR101100937B1 (ko) 2010-03-04 2010-03-04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9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249B1 (ko) 2005-08-25 2006-10-16 주식회사 세영폴리머 시트 형태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200446757Y1 (ko) 2009-03-03 2009-11-25 김연세 단열 방습 초배지
KR200446987Y1 (ko) 2009-08-25 2009-12-17 박종서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937B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332B2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KR20160055873A (ko) 기피제 재료를 포함한 프리프레그, 코어, 복합물 및 물품
DE602006018632D1 (ko)
KR20180032764A (ko) 차음 및 논 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1852731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136694A (zh) 多功能结构及其制造方法
CN104563313B (zh) 防火复合保温板
KR20140002335A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200403182Y1 (ko) 층간소음 방지재
KR101771773B1 (ko) 3층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60124605A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CN210530212U (zh) 一种节能多层保温板
KR101100937B1 (ko)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9308A (ko) 단열보드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100746280B1 (ko)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4848B1 (ko) 고무발포층을 가지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0019022A (ja) 合成畳
CN210151976U (zh) 一种玄武岩纤维保温板
KR101983497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66672B1 (ko) 건축물 외벽 패널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369917A (zh) 一种防火保温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