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605A -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605A
KR20160124605A KR1020150055500A KR20150055500A KR20160124605A KR 20160124605 A KR20160124605 A KR 20160124605A KR 1020150055500 A KR1020150055500 A KR 1020150055500A KR 20150055500 A KR20150055500 A KR 20150055500A KR 20160124605 A KR20160124605 A KR 2016012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onstruction
heat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서
박경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경산업
박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경산업, 박종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경산업
Priority to KR102015005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4605A/ko
Publication of KR2016012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6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air or gas pocket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건축용 복합 단열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접착제에 의해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접착되기 위한 기초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1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열반사부재; 상기 제1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압축보온재; 1개 이상의 에어 포켓을 구비하여 상기 압축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포켓 보온재; 상기 에어 포켓 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2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열반사부재; 및 상기 제2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초배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단열재를 벽체에 시공하는 초기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초배 부직포가 구비됨으로써 도배지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틈막이 초배지로 막음으로써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막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COMPLEX INSULATOR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한 흡습 및 곰팡이, 벌레 등의 서식이 곤란한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열손실의 40% 이상이 외벽을 통해 발생되고 있는데, 이는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벽돌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공기가 건축물의 내외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되기 때문이다.
단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건축물에서는 여름철 냉방을 하고 있는 실내로 실외의 더운 열이 쉽게 들어오고, 실내에서 난방을 하는 겨울철에는 실내의 더운 열이 실외로 쉽게 빠져 나가는 등 냉방과 난방의 효율이 떨어진다. 즉, 쾌적한 실내의 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소비가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단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건축물에서는 추운 겨울에 실내에서 난방을 하고 있는 경우 벽체가 차가운 외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부의 벽체 표면 온도가 낮아지고, 결국 내부의 벽체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벽체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경우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건축물의 단열을 위해서는 열관류율(heat transmission coefficient)을 작게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재료의 두께를 크게 하는 방법 또는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선정하는 방법 등이 고려되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재료의 두께를 크게 하는 방법은 건축비와 시공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선정하는 방법 즉, 건물 벽체의 속에 단열재를 삽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란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한 열의 흐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단일 재료 또는 여러 재료의 조합을 말하는데 이 단열재의 사용범위는 광범위하다. 단열재는 열의 흐름을 크게 줄임으로써 열손실이나 열획득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표면 온도 강하로 나타나는 표면 결로를 방지하며, 냉난방이 필요 없거나 불가능할 때 실내온도의 변동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단열재는 침기와 투습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단열재의 선택 기준은 열성능이라는 기본 성질외에도 강성, 방음성, 침기 방지성능, 난연성, 내열성, 경제성, 인체 유해의 정도, 안정성, 시공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성능이 고려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수한 기포로 구성된 다공질 또는 섬유질인 저항형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저항형 단열재는 공기가 정지되도록 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단열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형 단열재의 대표적인 것으로 발포 폴리스틸렌을 들 수 있는데, 발포 폴리스틸렌은 시공이 쉽고 공기가 부피의 98%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단열재에 비해 내열 온도가 낮고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운반에 따른 문제점이 있고, 화재 발생시 일산화탄소(CO), 메탄(CH4), 에틸렌(C2H4) 등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며, 화학반응에 약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족 탄화수소계의 유기용제에 쉽게 용해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유리면이나 암면 등과 같은 무기질 단열재는 열에 강하고, 접합부의 시공성이 우수하나, 흡습성이 높고, 성형된 상태에서의 기계적인 성질이 우수하지 못하여 벽체에서는 시공이 어렵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사용 취급시 분진에 의한 인체의 호흡기 질환을 야기 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저항형 단열재를 대체하는 반사형 단열재가 제시되어 있기는 하나, 종래기술에 따른 반사형 단열재는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알루미늄호일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이 단일층으로만 이루어지거나 최외층에만 배치되어 있어 열반사율이 떨어지고, 상기 반사층에 단순 기포지를 적층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5564호(공고일 : 2012.03.05)에는 개선된 건축용 복합단열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건축용 복합단열재는, 1개 이상의 중공을 포함하는 표면재 및 표면재에 접합된 발포성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표면재는 합성수지 및 규산염 광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탈크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고, 판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강도가 개선되어 운반이나 시공시 파손이 방지될 수 있었으나, 강도가 개선되는 대신에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열재가 판상형으로 구성됨으로, 시공시 각 단열재를 못 등으로 벽에 고정한 후 각 단열재 사이에 틈이 발생할 경우에 그 틈을 우레탄 폼으로 메꾸고 우레탄 폼이 건조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등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단열재는, 우레판 폼이 단열재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경화될 경우에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추가로 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5564호(공고일 : 2012.03.05)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이 향상되고 단열성능이 우수한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접착제에 의해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접착되기 위한 기초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1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열반사부재; 상기 제1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압축보온재; 1개 이상의 에어 포켓을 구비하여 상기 압축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포켓 보온재; 상기 에어 포켓 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2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열반사부재; 및 상기 제2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초배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참숯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참숯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황토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황토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황토가루와 참숯가루 및 전분이 2 :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황토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반사부재 및 제2 열반사부재는, 일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압축보온재는, 압출법 보온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포켓 보온재는, 1겹이나 2겹의 크로스 폴리에틸렌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각각의 건축용 단열재의 기초 부직포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벽체 또는 천장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 의해 부착된 각 건축용 복합 단열재들 사이에 틈막이 초배지를 부착하여 양쪽 건축용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막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용 복합 단열재가 기초 부직포와 제1 장섬유 부직포와 제1 열반사부재와 압축보온재와 에어포켓 보온재와 제2 장섬유 부직포와 제2 열반사부재와 초배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열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고, 기초 부직포가 구비됨으로써 초기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합 단열재의 표면에 초배 부직포가 구비됨으로써 도배지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각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틈막이 초배지로 막음으로써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막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복합 단열재(10)는, 접착제에 의해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접착되기 위한 기초 부직포(20)와, 부직포(20)의 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제1 장섬유 부직포(30)와,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제1 장섬유 부직포(3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열반사부재(40)와, 제1 열반사부재(4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압축보온재(50)와, 1개 이상의 에어 포켓(62)을 구비하여 압축보온재(5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에어포켓 보온재(60)와, 에어 포켓 보온재(6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장섬유 부직포(70)와,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제2 장섬유 부직포(7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제2 열반사부재(80)와, 제2 열반사부재(8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초배 부직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복합 단열재(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초 부직포(20)는,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실내 내벽이나 천장 등의 표면상에 마감작업이 이루어진 벽면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으로 마감작업이 이루어진 벽면과의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기초 부직포(20)는, 사용재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나타내는 부직포 중에서 경량이고, 통기성 및 투수성이 우수하여 습기의 배출과 증발이 잘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성본드(미도시)에 의해 실내 내벽의 마감면과 이질감 없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직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부직포(20)는 성형성이 좋고, 단열성, 보온성, 방습성, 완충성,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한 재질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이용하여 시트형태로 제작한다.
제1 장섬유 부직포(30)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인장강도를 강화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변형(신장 또는 수축)을 방지하며, 우수한 투수성 및 통기성을 통해 습기를 증발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1 장섬유 부직포(30)는, 기초 부직포(20)와 제1 열반사부재(40) 사이에 배치되어 수성본드(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방식에 의해 접착되는 것으로, 기초 부직포(20)와 제1 열반사부재(40) 사이를 이격시켜 제1 열반사부재(40)의 표면에 습기(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장섬유 부직포(30)는, 섬유의 종류와 부직포 성형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한 물성을 갖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섬유 부직포(30)는, 논할로겐 난연물질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진 장섬유를 주재료로 하여 제작된다. 이로 인해 제1 장섬유 부직포(30)는 인장강도와 결합력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갖게 됨은 물론, 40%~60% 정도의 기공용적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우수한 투수성 및 통기성을 갖게 된다.
제1 열반사부재(40)는,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장섬유 부직포(3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벽체로부터의 열을 반사하여 단열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얇은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장섬유 부직포(30)의 바깥 쪽(실내측)에 후술할 수성본드(미도시) 또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열반사부재(40)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가 증착된다. 즉, 제1 열반사부재(40)는 은박 피이티(PET) 또는 동박 피이티(PET)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제1 열반사부재(4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축보온재(50)는, 제1 열반사부재(4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압출법 보온판(Extruded Polystyrene - 일명 아이소핑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축보온재(50)는, 대략 0.5 - 3cm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압축보온재(50)는, 압축보온재(50)의 품질은, KS M 3808 (발포폴리스틸렌(PS) 단열재)에 따라 제조되며, 밀도가 아닌 열전도율에 따라 등급이 구분된다. 등급에 따라 0.027~0.031W/mK이며, 일반 비드법 종류의 단열재에 비해 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는 제조시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수소염화불화탄소(HCFC)를 혼합, 압출시킴으로서 자체적으로 완벽한 독립 구조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압축보온재(50)의 투수계수가 두께 25mm 당 0.07ng/㎡·s·Pa 인 것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압축보온재(50)는, 일반적인 비드법 보온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에어포켓 보온재(60)는, 1개 이상의 에어 포켓(62)을 구비하여 압축보온재(50)의 표면에 접착제 또는 열융착법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1겹이나 2겹의 크로스 폴리에틸렌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포켓 보온재(60)는, 무수히 많은 에어 포켓(62)에 공기가 수용되므로, 수용된 공기로 인한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에어포켓 보온재(60)는, 제2 장섬유 부직포(70)와 압축보온재(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대략 2.5 - 10mm)를 갖는 크로스 폴리에틸렌 폼 또는 우레탄 폼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제2 장섬유 부직포(70)와 압축보온재(50) 사이에 다수개의 에어 포켓(62)이 형성되는 것이다.
에어포켓 보온재(60)의 두께나 폭 또는 에어 포켓(62)의 크기는 정해지지 않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섬유 부직포(70)는, 전술한 제1 장섬유 부직포(30)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등에 의해 에어 포켓 보온재(60)의 표면에 접착된다.
제2 열반사부재(80)는, 전술한 제1 열반사부재(40)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 제2 열반사부재(80)는 실내측 열이 벽체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반사하며, 벽체측 열이나 냉기가 실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열반사부재(80)는 제2 장섬유 부직포(7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다.
초배 부직포(90)는, 제2 열반사부재(80)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기초 부직포(20)와 같은 구성을 갖으며, 도배지(도시되지 않음)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는, 황토액에 침지되거나 황토액이 도포된다.
황토는 카탈라아제, 사카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및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과 황토 분자구조상의 다공성 특징으로 인해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며 특히, 겨울철에 실내 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더욱 높은 수준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이다.
이때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 5㎛~15㎛의 파장을 방출함으로써 피부의 심층(3~4㎝ 깊이)까지 침투하여 세포의 대사를 촉진하여 신진대사와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준다. 상술한 황토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황토의 기능이 있지만, 이미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기작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황토액 처리의 용이성이 확보되는 한도 내에서 황토의 원적외선 방출기능이 촉진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함수율 0∼5%의 황토가루와 전분을 2:1의 비율로 혼합한 후 가열분쇄하여 소금물에 용해시킨 황토액으로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를 도장하거나 황토액에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를 침지하는 방식으로 황토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황토액 처리는 황토의 유용한 특성이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에 부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황토가루의 입자 크기는 대략 0.06mm 내외의 밀가루 입자크기와 비슷한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분은 황토 입자가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바인더의 용도로 사용되고, 소금물이 사용되는 것은 황토입자가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황토액은, 황토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황토가루 2kg, 전분 1kg이 혼합된 황토 혼합물을, 1kg의 물에 35g의 소금을 용해시킨 소금물과 혼합하여 황토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의 중량에 따라 그 양은 서로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는, 참숯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참숯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숯은 다공질의 구성요소로투서성이 양호하고 물빠짐이나 보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특성이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에 부가되도록 기초 부직포(20)와 초배 부직포(90)를 참숯액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 부직포(20) 및 초배 부직포(90)는, 황토가루와 참숯가루 및 전분이 2 :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황토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한다. 이는 황토의 유용한 특성과 참숯의 유용한 특성이 기초 부직포(20) 및 초배 부직포(90)에 부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건축용 복합 단열재(10)가 황토액 처리된 기초 부직포(20)와,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1 장섬유 부직포(30)와, 열을 반사하기 위한 제1 열반사부재(40)와, 주 보온층을 이루고 화재시 소화가 용이한 압축보온재(50)와, 에어 포켓(62)을 구비하여 단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포켓 보온재(60)와, 제1 장섬유 부직포(30)와 더불어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2 장섬유 부직포(70)와, 제1 열반사부재(40)와 더불어 열을 반사하여 단열성을 높이기 위한 제2 열반사부재(80) 및 황토액 처리된 초배 부직포(90)를 구성됨으로써, 단열효과가 종래기술에 의한 단열재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1,2 열반사부재(40,80)가 열을 반사하고, 압축 보온재(50)와 에어포켓 보온재(6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므로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제1,2 장섬유 부직포(40,7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며, 황토액으로 처리된 기초 부직포(20)가 구비됨으로써, 벽체에 부착하는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황토액 처리된 초배 부직포(90)가 구비됨으로써 도배지을 부착하는 시공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주거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을 벽체 또는 천정과 같은 구조물에 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3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a) 단계
전술한 건축용 단열재(10)의 기초 부직포(20)에 접착제(수성본드)를 도포한 후 벽체 또는 천장에 각각 부착한다.(S1) 이때 각각의 건축용 단열재(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 부착한다.
이와 같이 기초 부직포(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축용 복합 단열재(10)를 구조물에 부착하므로 건축용 복합 단열재(10)를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접착성이 양호한 기초 부직포(20)가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b)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벽체에 부착된 각 건축용 복합 단열재(10)들 사이에 틈막이 초배지(100)를 부착하여 양쪽 건축용 복합 단열재(10) 사이의 틈(12)을 막는다.(S2)
즉, 틈막이 초배지(100)를 각 건축용 복합 단열재(10)의 연결부에 부착하여 건축용 복합 단열재(10) 사이의 틈(12)을 막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건축용 복합 단열재(10) 사이에 발생되는 틈(12)을 소정의 폭을 갖는 틈막이 초배지(100)를 부착하여 막음으로써, 틈(12)을 메꾸기 위한 별도의 작업, 예들들면 발포 우레탄을 틈(12)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작업 등이 삭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재(10)의 시공이 단시간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복합 단열재 12 : 틈
20 : 기초 부직포 30 : 제1 장섬유 부직포
40 : 제1 열반사부재 50 : 압축 보온재
60 : 에어포켓 보온재 70 : 제2 장섬유 부직포
80 : 제2 열반사부재 90 : 초배 부직포
100 : 틈막이 초배지

Claims (8)

  1. 접착제에 의해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체에 접착되기 위한 기초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1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1 열반사부재;
    상기 제1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압축보온재;
    1개 이상의 에어 포켓을 구비하여 상기 압축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에어포켓 보온재;
    상기 에어 포켓 보온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장섬유 부직포;
    은박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 상기 제2 장섬유 부직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제2 열반사부재; 및
    상기 제2 열반사부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초배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참숯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참숯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황토가루와 전분이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황토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직포 및 초배 부직포는,
    황토가루와 참숯가루 및 전분이 2 : 2 : 1의 비율로 혼합된 300 중량부의 황토 혼합물을 1000 중량부의 물에 35 중량부의 소금이 용해된 소금물과 혼합한 황토 참숯액에 침지하거나 도포하여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반사부재 및 제2 열반사부재는,
    일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보온재는,
    압출법 보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 보온재는,
    1겹이나 2겹의 크로스 폴리에틸렌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8.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각각의 건축용 단열재의 기초 부직포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벽체 또는 천장에 각각 부착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 의해 부착된 각 건축용 복합 단열재들 사이에 틈막이 초배지를 부착하여 양쪽 건축용 복합 단열재 사이의 틈을 막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
KR1020150055500A 2015-04-20 2015-04-20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24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00A KR20160124605A (ko) 2015-04-20 2015-04-20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00A KR20160124605A (ko) 2015-04-20 2015-04-20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05A true KR20160124605A (ko) 2016-10-28

Family

ID=5724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00A KR20160124605A (ko) 2015-04-20 2015-04-20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46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622A (ko) 2018-11-22 2020-06-01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열반사용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 불연 단열 보드
KR20210105107A (ko) * 2020-02-18 2021-08-26 김한경 그래핀 나노소재와 황토의 벌집구조 결합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방식의 항균,탈취, 유해물질 분해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5013B1 (ko) 2021-10-22 2022-07-04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KR102496607B1 (ko) 2022-02-07 2023-02-08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폐기된 우레탄 보드를 파쇄하여 만든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64B1 (ko) 2011-04-26 2012-03-05 주식회사 이보드 개선된 건축용 복합단열재 및 이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64B1 (ko) 2011-04-26 2012-03-05 주식회사 이보드 개선된 건축용 복합단열재 및 이의 생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622A (ko) 2018-11-22 2020-06-01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열반사용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 불연 단열 보드
KR20210105107A (ko) * 2020-02-18 2021-08-26 김한경 그래핀 나노소재와 황토의 벌집구조 결합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방식의 항균,탈취, 유해물질 분해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장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5013B1 (ko) 2021-10-22 2022-07-04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KR102496607B1 (ko) 2022-02-07 2023-02-08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폐기된 우레탄 보드를 파쇄하여 만든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052B1 (ko)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반사형 단열재
KR101369208B1 (ko) 불연성 충진 단열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조립식 건식 벽체 시스템 및 마감일체형 조립식 구조물
KR20160124605A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CN206335913U (zh) 隔音隔热复合材料结构
KR101756739B1 (ko) 강도 보강 하이브리드 단열재
KR100908972B1 (ko) 건축용 단열 내장재
KR101987040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건축용 단열재
JP5119015B2 (ja) 断熱材および断熱構造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JP2004211440A (ja) 壁構造
AU2014302029A1 (en) Building membranes
CN210857579U (zh) 阻燃隔音保温板
KR101559671B1 (ko) 단열판넬
KR102125544B1 (ko) 난연성 세라믹 패널
KR101218326B1 (ko) 열반사 단열재
JP2006527111A (ja) 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6667509U (zh) 一种新型复合保温板
KR20160014882A (ko)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CN205577309U (zh) 一种新型聚氨酯防火保温复合墙板
CN214354611U (zh) 一种全封闭高密度纤维板
CN108643375A (zh) 一种膨胀珍珠岩一体化保温板
KR101100937B1 (ko)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6510A (ko) 에어캡(air-cap) 단열재 복합 보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보드
JPWO2005113909A1 (ja) 外断熱壁構築用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断熱壁施工方法
KR200409687Y1 (ko) 건축물용 차음, 단열, 방습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