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280A - 토치 - Google Patents

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280A
KR20110100280A KR1020117016356A KR20117016356A KR20110100280A KR 20110100280 A KR20110100280 A KR 20110100280A KR 1020117016356 A KR1020117016356 A KR 1020117016356A KR 20117016356 A KR20117016356 A KR 20117016356A KR 20110100280 A KR20110100280 A KR 2011010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track
location
ligh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002B1 (ko
Inventor
루카스 예. 에프. 회르츠
핀켄티위스 빼. 바윌
리크 에르. 베셀링크
바스 흐루넨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10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3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onvert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into a haptic signal, e.g. usin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a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for detect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game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게이밍 디바이스는 연장된 핸드헬드 본체 및 본체에 배치된 로케이션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로케이션 제어 유닛은 로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한다. 광 유닛은 본체의 먼 측에 배치된다. 제어기는 상기 광 유닛을 제어하도록 적응되고, 제어기는 트랙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트랙 데이터와 컴퍼스 방향 데이터 및/또는 로케이션 데이터 사이의 근접 펑션에 의존하여 온 트랙 모드와 오프 트랙 모드 사이의 광 특성을 변경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젊은이들 플레이어들에 의해 해석가능할 수 있는, 직관적인 방향 표시들을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토치{TORCH}
본 발명은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location based gam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로케이션 디바이스들은 현재,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표준 특징(standard feature)이 되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미리 결정된 포지션들(positions)을 갖는 소스들로부터 무선 신호들, 특히 지오 스테이셔너리 위성들(geo stationary satellite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들(global positioning systems))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수신에 기초하여, 지구 좌표 포지션(earth coordinate position)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디바이스들을 게임들에 이용하는 트렌드(trend)가 뚜렷해 졌다. 예를 들면, 트래킹 루트들(tracking routes)을 고안하고, 로케이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플레이어들에게 방향들에 대한 힌트들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정한 로케이션에 기초하여 그러한 로케이션 디바이스들의 플레잉 양상들(playing modalities)을 변경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US2008/0014835호는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대화형 '원드'(interactive wand)를 개시한다. 그것은 광 효과들을 활성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US2004/0095759호는 GPS 기능을 포함하는 플래시라이트(flashlight)를 개시한다. 문제는, 제공된 로케이션 기반의 게임들이 젊은이들 용으로 플레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특히 젊은이들 플레이어들 용으로 보다 쉽게 해석가능할 수 있는 지각 방향 표시들(intuitive direction indications)을 제공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서로 다른 게임 개념들 용으로 적응가능한 게이밍 디바이스를 고려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본체 및 본체에 배치된 로케이션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로케이션 제어 유닛은 로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한다. 광 유닛이 제공되고, 제어기가 상기 광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되고, 제어기는 트랙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트랙 데이터와 컴퍼스 방향 데이터(compass directional data) 및/또는 로케이션 데이터 사이의 근접 펑션(proximity function)에 의존하여 온 트랙(on track)과 오프 트랙 모드(off track mode) 사이의 광 특성을 변경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젊은이들 플레어들에 의해 해석가능할 수 있는, 지각 방향 표시들을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는 광 유닛이 본체의 먼 측에 배치되는, 연장된 근위적 핸드헬드 본체(elongated proximally handheld body)이고, 상기 본체는 컴퍼스 방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배치된 전자 컴퍼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기는 저장된 트랙 방향 데이터의 펑션(function)로서 광 유닛을 제어한다.
특허 문헌 WO 2004/087271호가 플레이 참여자들로 하여금 주변의 플레이 환경과 전자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허용하는 마술적인 원드 플레잉 디바이스를 개시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참여자들은 마술을 실시하고, 실행하고, 마스터하는 환상을 경험한다. 플레잉 디바이스는 플레이 환경에서 아이템들 및 플레어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디바이스 및 짧은 범위 통신 RF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틸트 센서들(tilt sensors)을 포함한다. RF 통신을 통해, 플레이 환경에서 아이템들은 원드로부터 수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WO 2004/087271호에 개시된 마술적인 원드 플레이어 디바이스의 플레이 환경에서 아이템들은 예를 들면, 광 효과를 변경시키는 광을 턴 온함으로써 마술적인 원드 명령들에 반응할 수 있다. WO 2004/087271호에 개시된 플레이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데이터를 프로세스 및/또는 방향 표시자들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미국 특허 출원 US 2002/0058459 A1호가 광을 포함하는 토이 원드(toy wand)를 개시하고, 원드 오퍼레이터의 움직임들의 특정에 기초하여 변하는 것이며, 그에 의해, 특정 세트의 움직임들이 미리지정된 광 변경들을 야기함에 유의해야 한다. US 2002/0058459 A1호에 개시된 토이 원드는 로케이션 데이터를 프로세스 및/또는 방향 표시자들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미국 특허 출원 US 2002/0063655 A1이, 이용자로 하여금 GPS 위성 로케이션들과 이용자의 로케이션의 조합에 기초하여 게임들을 플레이하도록 허용하는, 게임 기능을 갖도록 적응된 GPS 수신기를 개시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게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자는 그의 포지션을 변경해야 한다. 플레이 동안, GPS 수신기는, 이용자가 그의 양식을 스스로 알아내는 것이 게임의 일부이므로, 어느 방향으로 그가 그의 포지션을 변경해야 하는 직감적인 방식(intuitive manner)으로 이용자에게 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게이밍 디바이스(10)는 로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배치된 로케이션 제어 유닛(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통상적으로, 그러한 로케이션 제어 유닛(1)은 지오스테이셔너리 신호들(2)로부터 로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잇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유닛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라디오 신호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포지셔닝 신호들이 로케이션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로케이션 제어 유닛은 제어기(3) 및 광 유닛(4)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광 유닛(4)은 광 컬러, 세기 및 광 패턴과 같은 제어기(3)에 의해 제어되는, 광 특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광원들(5)을 포함한다. 광 특성의 변경의 예로서, 제어기(3)는 각각의 광원(5)에 대해, 컬러 전이(color transition)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여기에서, 컬러 전이는 광원의 컬러 상태들의 변경으로서 정의된다. 컬러 상태는 특정한 CIE XYZ 좌표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유도된 컬러 스페이스(derived color space), 예를 들면, 흰색 및 엠버(white and amber) (LED) 광원들을 포함하는 RGB 조합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광 유닛(4)에서 배치된 각각의 RGB 소스들(5)의 제어된 세기에 부가하여, 광의 지각된 컬러링(perceived coloring)을 규정한다. 그 외에는, 광원(5)은 가시광선에서 특정한 컬러를 생성하기 위해, 방사된 파장(radiated wavelength)을 변화시킬 수 있다. 흰색 광을 포함하는, 하이 컬러된 밝기(high colored brightness) LED들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가시광선의 컬러 상태들은 광원들(5)에 의해 신호 비주얼 세그먼트(signal visual segment)(6) 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메모리(7)는 데이터부(8)(WIFI, 적외선, USB, GPRS, UMTS 또는 다른 디지털 접속)를 통해 미리 저장되거나 수신될 수 있는, 트랙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제어기(3)에 결합된다. 또한, 게임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다른 데이터가 제어기(3)에 의해 액세스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제어기 스위치, 노브(knob) 등과 같은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제어기 게임 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해 제어기 스위치 및/또는 제어기 데이터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게이밍 디바이스는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로케이션 제어 유닛(1)은 로케이션 데이터를 제어기(3)에 출력한다. 제어기(3)는, 로케이션 데이터가 메모리(7)에 미리 저장된 트랙 데이터와 매칭하는지를 나타내는 근접 펑션(proximity function)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임의의 트랙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이것은 '온 트랙'으로서 고려될 수 있고, 반면에, 이용자가 트랙으로부터 이격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 예를 들면, 수십 미터에 있으면, 이것은 '오프 트랙'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메모리는 함께 트랙을 형성할 수 있는 로케이션들의 시퀀스, 및 로케이션들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선호 방향(preference direction)을 나타낼 수 있는 방향들의 시퀀스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제어기(3)는 근접 펑션을 계산하고, 근접 계산의 결과를 시그널하기 위해 광 컬러, 광 세기, 또는 광 패턴과 같은 광 특성을 변경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의 조명 행동이 (임의의 특정한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어기(3)는, 디바이스가 온 루트(on route)일 때 풀(full) 조명 세기를 제공하고, 루트를 떠날 때 세기를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며;
제어기(3)는, 방향에 의존하여 컬러, 예를 들면, 오른쪽 방향일 때 녹색 컬러, 잘못 되었을 때 적색 컬러를 변경시키도록 배치되며;
제어기(3)는, 목표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도록: 예를 들면, 최종 목표로부터 멀리 있을 때 천천히 그리고 근접해 있을 때 빠르게 깜박거리도록 배치되며;
제어기(3)는 타깃 장소들의 근접을 나타내도록: 예를 들면, 특별한 장로에 근접할 때 컬러들을 빠르게 변경하도록 배치되며; 또는
컬러는 게이밍 응답을 나타내도록: 예를 들면, 임의의 오브젝트를 픽업할 때 임의의 컬러를 플래시(flash)하도록 배치된다.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11)는 바람직하게는, 신호들(12)을 통해, 예를 들면, GSM, UMTS, GPRS 등을 통해 통신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여러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들(10)과 통신하는 중앙 게임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것을 디지털 맵 상에 투사하기 위해 적어도 게이밍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컴퓨팅하도록 배치된다. 비록, 예시된 실시예가 컴퓨팅 디바이스(11) 간의 단방향 통신을 보여주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은 양방향 통신 유닛이다. 게이밍 디바이스의 제어기를 지시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능은 예를 들면, 토치들이 서로 근처에 있거나 또는 어떤 사람이 게이밍 디바이스들 중 하나와 미리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였다는 경고(alert)를 제공하기 위해, 게이밍 가능성들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중앙 유닛일 수 있지만, 또한 예를 들면, 마스터 슬레이브 관계(master slave relation)로 기능하는, 게이밍 디바이스들(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임의의 게이밍 디바이스는 마스터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슬레이브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복수의 게이밍 디바이스들을 통해 분배되는 기능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토치(20)의 형성은 원통 형태로, 또는 근접 측 상에서 핸드 그립(hand grip)을 갖고, 먼 측 상에서 시각적으로 뚜렷한 복수의 조명 세그먼트들(visually distinct lighting segments)(6)을 갖는 반전된 원뿔 모양으로, 연장 핸드헬드 본체(elongate hand held body)(21)로서 형성된다. 세그먼트들(6)은 소스의 광을 조합하는 옵틱들(optics)을 가시적으로 먼 세그먼트들에 초점시킴으로써 광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 수의 세그먼트들(6)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그먼트들(6)은 중앙 본체 축 주변에 포지션된다. 각각의 세그먼트(6)에서, LED들(도 1 참조)의 클러스터는 상이한 컬러들로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열성 광원(incandescent light source)과 같은 다른 광원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고, 임의의 다른 멀티프라이머리 광원(multiprimary light source) 또는 컬러 온도 조정가능한 광원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단색 LED들이 광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시스템 기능은 또한 도 3에서 예시된다. 도 1의 시스템 요소들이 나타내지지만, 반복되지는 않는다. 디바이스(20)는 미리 규정된 제스처들을 검출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 모듈(gesture recognition module)(2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어기(3)는 또한 검출된 제스처의 펑션으로서 광 특성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아이템들을 '픽업'함으로써, 또는 토치를 "웨이빙(waving)"함으로써, 또는 '스펠(spell)을 드로잉(throwing)'함으로써, 상이한 감각 응답들은 제어기(3)에 의해 활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게이밍 디바이스(20)는 컴퍼스 방향 데이터를 제어기(3)에 출력하도록 배치된, 전자 컴퍼스 유닛(25)을 포함한다. 연장된 핸드헬드 본체는, 이용자가 오른쪽 트랙 상을 향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방향에 있어 컴퍼스를 포인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체의 각도 틸트에 무관하게 신뢰할만한 방향 표시를 촉진시키기 위해, 복수의 컴퍼스 유닛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제어기(3)는 기능적인 동작 상태에서 오리엔트(orient)되는 컴퍼스 유닛을 선택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이한 방향들로 디바이스(20)를 포인팅함으로써, 제어기(3)는 저장된 트랙 방향 데이터의 펑션으로서 광 유닛 응답을 제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리 저장된 '온 트랙 방향'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디바이스(20)를 포인팅할 때, 회색과 같은 특정한 '온 트랙' 컬러가 보여질 수 있고, 방향이 잘 못되었을 때, 적색과 같은 '오프 트랙' 컬러가 시그널될 수 있다. 이것은 맵들을 판독함이 없이, 이용자가 직관적으로 오른쪽 트랙으로 다시 향하게 될 수 있으므로, 게임 가능성들을 향상시킨다. 전자 컴퍼스 표시에 의존하는 광 유닛 응답은 특히 토치가 틸트됨을 제스처 모듈이 감지할 때, 제스처 모듈(26)에 응답하여 활성될 수 있다. 이것은 이용될 때 토치(20)의 회전들 또는 움직임들로 인해, 언급된 시그널링을 방지한다. 특별히, 제스처 모듈(26)은 틸트 센서 및/또는 가속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으로서 광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부가적인 게임 양상들로서 사운드(사운드 캡들(sound capes)), 향기, 진동, 촉각 출력을 포괄한다. 특히, 토치(20)는 음향 유닛(바람직하게는 확성기(22)를 포함함) 및/또는 제어기(3)에 응답하여 활성가능한 진동 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 토치(20)는 트랙 데이터;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로드(load)하기 위해 게임부(8) 및 배터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연장된 토치 같은 본체를 논의하고, 다른 실시예들이 실현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능이 광 볼(light ball), 안경 또는 모자에서 통합된다.
부가적인 특징들은:
- 게임 또는 새로운 할당을 선택하기 위해 대화형 '포스터(poster)'의 터칭(Touching). 이것은 또한, 디지털 컴퍼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포인팅 또는 GPS 로케이션을 입력함으로써 트리거될 수 있다.
- 인벤토리(inventory)로부터 아이템들을 핸드 오버(hand over)하고, 상황들을 활성하고, 서로에 대한 베틀(battle), 컬러를 포워드(forward), 누군가에게 펑션을 제공하기 위해 토치들의 터칭.
- 방향에 대해 (가상) 상황들을 드로우하기 위해 제스처들을 이용. 예를 들면, 마술 스펠(magic spell).
- 루트를 시작하기 위해 토치를 이용.
- 인벤토리로부터 아이템들을 분실하도록 제스처를 흔듦.
- 그것을 당신의 손으로 브라우징 또는 커버(cover)함으로써 광을 흐릿하게 함(Dimming)( 및 그것을 다시 턴 온함)
본 발명은 또한, 이들 게임 특성들의 조합을 포괄한다. 특히, 본 발명이, 반대 없이,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조합된 특성들의 실시예들을 포괄함을 이해할 수 있다.
1: 로케이션 제어 유닛 3: 제어기
4: 광 유닛 5: 광원
7: 메모리 10: 게이밍 디바이스

Claims (15)

  1.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에 있어서:
    본체;
    로케이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본체에 배치된 로케이션 제어 유닛(1);
    광 특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배치된 광원들(5)을 포함하는 광 유닛(4); 및
    상기 광 유닛(4)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된 제어기(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3)는 트랙 데이터(track data)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3)는 상기 트랙 데이터와 상기 로케이션 데이터 사이의 근접 펑션(proximity function)에 의존하여 온 트랙(on track) 모드와 오프 트랙 모드 사이에서 상기 광 유닛(4)의 광 특성을 변경하도록 배치되어, 직관적인 방향 표시들을 제공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장된 근위적 핸드헬드 본체(elongated proximally handheld body)이고, 광 유닛(4)은 상기 본체의 먼쪽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는 컴퍼스 방향 데이터(compass directional data)에 배치되는 전자 컴퍼스 유닛(23)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저장된 트랙 방향 데이터의 펑션으로서 상기 광 유닛을 제어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컴퍼스 유닛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의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기능적 동작 상태로 오리엔트(orient)되는 컴퍼스 유닛(23)을 선택하도록 배치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된 광 특성은 광 컬러, 세기 및 광 패턴 중 하나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 트랙 모드는 상기 오프 트랙 모드에 비해 낮은 광 유닛 세기로써 제공되는 온 트랙 로케이션 모드(on track location mode); 및 오프 트랙 방향 컬러와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온 트랙 방향 컬러로써 제공되는 온 트랙 방향 모드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트랙의 후속 로케이션들 및/또는 방향들을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펑션은 상기 로케이션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트랙 로케이션 사이의 차이; 및 상기 방향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트랙 방향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의존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8.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규정된 제스처들을 검출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 모듈(26)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검출된 제스처의 펑션으로서 상기 광 특성을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인식 모듈은 틸트 센서 및/또는 가속 센서를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응답하여 활성가능한 음향 유닛(21) 및/또 진동 유닛(vibrational unit)(22)을 추가로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11.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어기 게임 모드들을 선택하기 전에 제어기 스위치 및/또는 제어기 데이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12. 제 1 항에 있어서,
    광원들은 LED 멀티플렛들(multiplets)로서 형성되고, 상기 LED 멀티플렛들은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스펙트럴 광(multispectral light)의 구성들(compositions)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되는, 로케이션 기반의 게이밍 디바이스(10, 20).
  13. 제 1 항에 따른 게이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통신 유닛을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컴퓨팅하도록 배치되는, 게이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양방향 통신 유닛이고,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를 지시하도록 배치되는, 게이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게이밍 디바이스들의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게이밍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17016356A 2008-12-18 2009-12-11 토치 KR101614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2184.7 2008-12-18
EP08172184A EP2198939A1 (en) 2008-12-18 2008-12-18 Tor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280A true KR20110100280A (ko) 2011-09-09
KR101614002B1 KR101614002B1 (ko) 2016-04-21

Family

ID=4085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356A KR101614002B1 (ko) 2008-12-18 2009-12-11 토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00399B2 (ko)
EP (2) EP2198939A1 (ko)
JP (1) JP5647139B2 (ko)
KR (1) KR101614002B1 (ko)
CN (1) CN102256676B (ko)
BR (1) BRPI0917776B1 (ko)
TR (1) TR201809806T4 (ko)
TW (1) TW201036681A (ko)
WO (1) WO2010070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2120B2 (ja) * 2011-11-01 2014-10-08 株式会社博報堂 情報端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002995A1 (en) * 2014-10-01 2016-04-06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device
SI3606625T1 (sl) 2017-04-01 2022-06-30 X-Pole Asia Limited Končni sestav za plesni drog
US11474273B2 (en) * 2020-11-29 2022-10-18 Shlomo Reches Detector loc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342A (ja) * 1999-03-26 2000-10-03 Sony Corp 位置情報発信装置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仮想空間映像表示装置
US7500917B2 (en) * 2000-02-22 2009-03-10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761637B2 (en) * 2000-02-22 2004-07-13 Creative Kingdoms, Llc Method of game play using RFID tracking device
US7878905B2 (en)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585391B1 (en) 2000-05-31 2003-07-01 Nordic Technologies, Inc. Flashlight and flashlight electrical connectors
US6626728B2 (en) * 2000-06-27 2003-09-30 Kenneth C. Holt Motion-sequence activated toy wand
JP2002145197A (ja) * 2000-11-17 2002-05-22 Nippon Signal Co Ltd:The ヘリコプタ着陸誘導システム
JP2002159743A (ja) * 2000-11-24 2002-06-04 Jatco Transtechnology Ltd Gps受信装置
US6967566B2 (en) * 2002-04-05 2005-11-22 Creative Kingdoms, Llc Live-action interactive adventure game
JP2004328018A (ja) * 2003-03-05 2004-11-18 Kawakami Kanko Kaihatsu Kk エリア監視システム
JP2005034222A (ja) * 2003-07-16 2005-02-10 Heiwa Corp 遊技機構成部材の管理システム
US6969795B2 (en) 2003-11-12 2005-11-29 Schulmerich Carillons, Inc. Electronic tone generation system and batons therefor
JP2005147916A (ja) * 2003-11-18 2005-06-09 Alpine Electronics Inc 歩行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2690A (ja) 2012-06-07
CN102256676B (zh) 2014-04-23
BRPI0917776B1 (pt) 2019-09-17
TR201809806T4 (tr) 2018-07-23
KR101614002B1 (ko) 2016-04-21
JP5647139B2 (ja) 2014-12-24
WO2010070559A1 (en) 2010-06-24
EP2379188B1 (en) 2018-05-09
TW201036681A (en) 2010-10-16
EP2198939A1 (en) 2010-06-23
CN102256676A (zh) 2011-11-23
US20110263305A1 (en) 2011-10-27
US8400399B2 (en) 2013-03-19
EP2379188A1 (en) 2011-10-26
BRPI0917776A2 (pt)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9069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216264B2 (en) Signal acquiring device,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S2576498T3 (es) Control de fuente(s) de luz mediante un dispositivo portátil
US8194924B2 (en) Camera based sensing in handheld, mobile, gaming or other devices
EP29593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passive wand and actuating an effect based on a detected wand path
US96903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in locating physical objects while the user is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1414008B2 (en) Vehicle light guidance system and method
US10587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bjects for augmented reality
WO2016133158A1 (ja) 履物、音声出力システム及び出力制御方法
US20150072619A1 (en) Wireless motion activated user device with bi-modality communication
US10025375B2 (en) Augmented reality controls for user interactions with a virtual world
US20160231812A1 (en) Mobile gaze input system for pervasive interaction
US11989355B2 (en) Interacting with a smart device using a pointing controller
US8400399B2 (en) Torch
US20090237355A1 (en) Head tracking for virtual reality displays
KR102237608B1 (ko) 가상 현실 제어 시스템
US20230020282A1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game program, game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EP23897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ings of a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a spatial distribution of perceptible output
KR102477531B1 (ko) 음성인식 기능이 구비된 가상 환경 제어 시스템
WO2017103184A1 (en) Lighting for game
CN104036055A (zh) 实体3d玩具与平板电脑、平板手机游戏互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