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082A -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 Google Patents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082A
KR20110100082A KR1020100019172A KR20100019172A KR20110100082A KR 20110100082 A KR20110100082 A KR 20110100082A KR 1020100019172 A KR1020100019172 A KR 1020100019172A KR 20100019172 A KR20100019172 A KR 20100019172A KR 20110100082 A KR20110100082 A KR 2011010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uilding
fixed
fixing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7440B1 (en
Inventor
김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리수건설
한국씨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리수건설, 한국씨앤지(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리수건설
Priority to KR102010001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440B1/en
Publication of KR2011010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4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물 내진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두께를 얇게 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강재나 스테인레스(SUS)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고강도 섬유패널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한편, 보강재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보강재의 양단이 벽체의 시공면에 고정되는 제 1 정착판과 벽체의 가장자리나 모서리면에 고정되는 제 2,3 정착판에 조립되어 X자형의 구조 또는 방사형의 구조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벽체는 물론 주변 테두리인 보나 기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진 하중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나 기둥 하중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보나 기둥의 압축 내력을 증가시키며, 특히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를 시공면인 벽체의 면적(가로×세로)에 관계없이 그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공면인 벽체에 보강재의 정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시공면인 벽체의 두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간 활용상의 제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arthquake-resistant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inforcing material made of a high strength fiber panel such as steel or stainless steel (SUS) or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and the like so as to reduce the thickness and weight. Meanwhile,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are assembled to the first fixing plate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wall and the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fixed to the edge or edge of the wall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s do not overlap each other. It is structured to be fixed in structure, there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to walls or beams or columns, which are the periphery,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earthquake loads and to reduce the moment generated in the beam or column load. It increas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lumn, especially the reinforcement, which is a bracing structure. Regardless of the area of the wall (width × length),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precise.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anchor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on the wall, the interior space is minimized. We solved the problem such as the limitation of utilization.

Description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Seismic reinforce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또는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 보강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횡하중)을 벽체와 주변 테두리인 보나 기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브레이싱 구조물을 벽체에 시공함에 있어, 브레이싱 구조물을 얇고 경량화시키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of reinforced concrete or masonry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horizontal load (later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to the beams and pillars, which are walls and peripheral edges, so that the seismic reinforcement of the building is achieved. In constructing a bracing structure on a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ing reinforcing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enables the bracing structure to be used semi-permanently while being thin and light.

일반적으로, 지진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내진설계를 위한 시행령이 제정되기에 이르렀으며, 이에따라 소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반드시 내진설계를 실시하도록 의무화되었다.In general, due to the interest in earthquakes, the Enforcement Ordinance for Seismic Design has been enacted, and accordingly, it is mandatory to implement seismic design for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그러나, 지금까지는 지진을 경험한 사례가 많지 않았고, 지진관련 연구도 미미하여,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시에 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이 저항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내진설계를 도입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내진설계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건축물들이 많은 대도시 지역에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붕괴 등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However,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cases of earthquakes, and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earthquakes.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ntroducing seismic design, which makes the structures resistant to earthquakes. If an earthquake occurs in a large metropolitan area with many undesigned buildings, significant damage such as collapse of buildings will occur.

특히, 우리 나라 저층건물에 주로 쓰이는 단순 프레임 구조의 건축물 및 조적조 건축물 역시 지진에 대한 위험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의 내진보강이 시급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simple frame structures and masonry buildings, which are mainly used in low-rise buildings in Korea, are considered to have a high risk of earthquakes. Therefor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of structures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structures.

이에 따라, 종래에는 내진법규 강화에 따라 철근콘트리트 건축물이나 조적조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 하중이 추가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증타나 브레이싱부재를 이용한 브레이싱 보강 공법, 또는 벽체에 보강패널이나 보강시트를 접착제 또는 앵커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내진 보강기술이 개시되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additionally reflect horizontal loads on walls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and masonry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of seismic regulations, a brac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concrete steaming or a bracing member, or a reinforcement panel or reinforcing sheet on a wall is glued or anchored. A seismic reinforcement technique for attaching using the same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증타에 의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기술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벽체(100)의 두께에 추가적으로 콘트리트 중타에 의한 보강구조물(200)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벽체(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됨은 물론, 필요 이상의 과다 설계가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에 구조적 효율성의 면에서 불합리한 점이 있으며, 건축물의 자중 증가를 초래하여 기초의 보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등의 보강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of the building by the concrete swelling of the wall 100 in the manner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ment structure 200 by the concrete heavy in addition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100 as shown in Figure 1 and 2 attached As the overall thickness is increased, it is unreasonable in terms of structural efficiency because it is easy to overdesign more than necessary, and the reinforcement cost such as the need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building. There is this.

또한, 첨부된 도 1 및 도 2의 내진 보강기술은 시공적인 면에 있어서도 추가의 철근콘크리트 공사 또는 철근(201)의 설치 공사가 소요됨에 의해 공사 기간 및 경제성의 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을 뿐 아니라 기존 벽체(100)와의 일체성 및 품질 확보의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 추가로 보강구조물(200)이 설치됨에 따라 실내 공간 활용상의 제약이 있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of Figs. 1 and 2 are not onl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nstruction period and economic feasibility due to the additional con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or installation of reinforcing steel 201 also in terms of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of securing the integrity and quality with the 100, and further includes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utilization of indoor space as the reinforcement structure 200 is installed.

또한, 벽체에 보강패널이나 보강시트를 부착하는 내진보강기술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프레임을 이루는 보(101)나 기둥(102)과의 연결구조가 없어, 벽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101)나 기둥(102)으로 전달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벽체의 수평력 저항시스템이 구조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였고, 특히 벽체에 보강패널이나 보강시트를 앵커로 부착 고정할 경우 보강패널 또는 보강시트의 단면 결손이나 지압파괴의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for attaching a reinforcement panel or reinforcement sheet to the wall has no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beam 101 or the pillar 102 forming the frame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It could not be transmitted to the beam 101 or the column 102, and thus the horizontal force resistance system of the wall did not work structurally. In particular, when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panel or reinforcement sheet to the wall with anchors, the reinforcement panel or the reinforcement sheet was fixed. The problem of cross-sectional defects and acupressure failure occurred.

이에 따라, 종래에는 브레이싱부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보강기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technologies of buildings using bracing members have been commonly used.

즉, 상기 브레이싱부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보강기술은 X자형을 이루도록 강재와이어 또는 철골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재(300)(300a)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건축물의 벽체(100)에 설치하는 공법으로,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보강이 필요한 건축물 벽체의 4개 보(101)-기둥(102)의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 정착단인 고정프레임(301)을 앵커볼트로 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보강재(300)(300a)를 X자형으로 교차시킨 후 보강재(300)(300a)의 끝단부를 각각 상기 4개의 고정프레임(301)에 회전 가능한 핀지지구조나 회전이 안되는 강접구조로 각각 연결 고정한 것이다.That is,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of the building using the bracing member is a method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made of steel wire or steel so as to form an X-shape to the wall 100 of the build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hich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frame 301, which is a fixing end, is fixed to the inner edges of the joints of the four beams 101 and the pillars 102 of the building wall in need of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S. After cross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in an X-shape, respectively, the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300) (300a)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our fixing frames (301) by a rotatable pin support structure or a non-rotating steel contact structure. It is fixed.

이에 따라, 상기 복수로 이루어진 보강재(300)(300a)의 브레이싱 방식으로부터 벽체(100)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이 상기 보강재(300)(300a)를 통해 보(101)나 기둥(102)으로 전달되어, 건축물에 대한 내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wall 100 from the bracing method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materials 300 and 300a is transmitted to the beam 101 or the pillar 102 through the reinforcement materials 300 and 300a. Therefore, seismic reinforcement of buildings can be achieved.

그러나, 첨부된 도 3 및 도4에 의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기술은 정착단인 고정프레임(301)를 통해 X자형으로 교차되는 복수의 보강재(300)(300a)를 고정시키는 방식인 바, 이 또한 보강재(300)(300a)의 교차시공으로부터 일정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서 벽체(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고, 증가되는 보강재(300)(300a)와 고정프레임(301)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ology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Figures 3 and 4 is a method of fixing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materials 300, 300a intersected in the X-shape through a fixing frame 301 that is a fixing end, this also It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all 100 as having a certain thickness from the cross-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300, 300a,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300, 300a and the fixed frame 301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exposed to the appearance of poor appearance.

또한, 상기와 같은 브레이싱부재인 복수의 보강재(300)(300a)를 X자형으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끝단부를 고정프레임(301)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시공면인 벽체의 면적(가로×세로)에 따라 보강재(300)(300a)의 시공이 어렵고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시공 후에는 복수의 보강재(300)(300a)가 서로 교차되는 지점을 반드시 용접과 같은 별도의 고정작업을 통해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만약 교차지점에 대한 고정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공 후 보강재(300)(300a)의 좌굴길이 증가로 부재내력이 저하되면서 변형이 초래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내진 보강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300) (300a), which is the brac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are fixed to the fixing frame (301) in the state where the X-shaped cross, the area of the wall as the construction surface (width x lengt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300) (300a) is difficult and the precision is low, and after construction,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300) (300a) cross each other must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operation such as welding If you do not fix the work to the intersection point, after construction, the buckling length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300 (300a) increases the deformation of the member strength is reduced, resulting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performance of the building It can act as a cause of lower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위해 벽체에 시공이 이루어지는 보강재의 양단이 벽체의 시공면에 고정되는 제 1 정착판과 벽체의 가장자리(단부)나 모서리면에 고정되는 또 다른 정착판에 조립되어 X자형의 구조 또는 방사형의 구조로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횡 하중)을 벽체는 물론 주변 테두리인 보나 기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진이나 진동에 의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나 기둥 하중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보나 기둥의 압축 내력을 증가시키며, 특히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를 시공면인 벽체의 면적(가로×세로)에 관계없이 그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시공면인 벽체에 보강재의 정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edge (end) of the wall is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wall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constructed on the wall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the building B is assembled to another fixing plate fixed to the corner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fixed in an X-shaped structure or a radial structure, there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horizontal load (later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to the beams or pillars as well as the wall. It improves the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against earthquakes and vibrations, reduces the moment generated in the beams and column loads, and increas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eams and columns.In particular, the reinforcement, which is a bracing structure, is applied to the wall area (horizontal × vertical). Regardless of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an be done easily and precisely. To provide an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building to allow it to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를 강재 이외에 두께를 얇게 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SUS) 또는 고강도 섬유패널(예;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공면인 벽체의 두께 변화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 활용상의 제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SUS) or a high-strength fiber panel (e.g.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steel material to reduce the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wall, the construction surface It is another aim to minimize problems and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limitation of utilization of indoor spac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은, 벽체에 부착 고정되고, 제 1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1 정착판; 상기 벽체의 코너부에 부착 고정되고, 제 2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2 정착판; 상기 벽체는 물론 그 주변의 프레임 구조물인 보와 기둥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도록, 상기 제 1,2 유도홈부에 양단이 조립 고정되는 보강재;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fixing plate is fixed to the wall, forming a first guide groove; A second fixing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a corner of the wall and forming a second guide groove; Reinforcing members of which both ends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so as to evenly distribute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by beams and columns which are frame structures around the wal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제 1,2 정착판과 상기 보강재는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되는 상기 제 1,2 정착판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the reinforcement are attach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wall,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ttach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wall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mber penetrating the wall. It is made up.

또한, 상기 벽체의 가장자리 단부에는 제 3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3 정착판이 부착 고정된다.In addition, a third fixing plate forming a third guide groove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edge end of the wall.

또한, 상기 제 1 유도홈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an X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또한, 상기 제 1 유도홈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또한, 상기 제 1,2,3 정착판은 판형으로서 강재, 스테인레스, 고강도 섬유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are plate-shaped and are made of any one of steel, stainless steel, and high strength fiber panels.

또한, 상기 보강재는 판형으로서 강재, 스테인레스, 고강도 섬유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plate-like steel material, stainless steel, composed of any one of high strength fiber panels.

또한, 상기 고강도 섬유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In addition, the high strength fiber panel is any one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또한, 상기 보강재와 제 1,2,3 정착판은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통해 상기 벽체에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are configured to be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building adhesive of the epoxy resin.

또한, 상기 제 1,2,3 정착판은 이중으로 중첩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are configured to overlap each other.

또한, 상기 이중 중첩된 상기 제 1,2,3 정착판은 이격부재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중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ouble overlapped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spacer member.

또한, 상기 이중 중첩되는 제 1,2,3 정착판, 또는 상기 이격부재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1,2,3 정착판의 이격틈새에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통해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ap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overlapp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or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which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formed through an adhesive layer formed by a building adhesive of epoxy resin. It is configured to be adhesively fixed.

이와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내진 보강 구조물은 두께를 얇게 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강재나 스테인레스(SUS)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고강도 섬유패널로 보강재를 구성하는 한편, 보강재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보강재의 양단이 벽체의 시공면에 고정되는 제 1 정착판과 벽체의 가장자리나 모서리면에 고정되는 제 2,3 정착판에 조립되어 X자형의 구조 또는 방사형의 구조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벽체는 물론 주변 테두리인 보나 기둥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진 하중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나 기둥 하중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줄여 보나 기둥의 압축 내력을 증가시키며, 특히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를 시공면인 벽체의 면적(가로×세로)에 관계없이 그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공면인 벽체에 보강재의 정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시공면인 벽체의 두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간 활용상의 제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earthquake-resistant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late-shaped steel or stainless steel (SUS) or high-strength fiber panels such as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and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made of a thin plate. Both ends of the reinforcement are assembled to the first fixing plate fixed to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wall and the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fixed to the edges or corners of the wall so that they are not overlapped. Therefore,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is effectively distributed to the beams and columns, which are not only walls, but also the periphery, thereby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seismic loads, and reducing the moment generated in the beams or column loads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eams or columns. , Especially the area of the wall where the reinforcement, which is a bracing structure, Regardless of length × height, the construction can be done easily and precisely, increasing the fixing power of the reinforcement on the wall as the construction surface, and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wall as the construction surface.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solve.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중타 공법에 의한 내진 보강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종래 브레이싱부재에 의한 내진 보강 구조도.
도 4는 도 3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내진보강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 1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내진 보강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 2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X자형으로 보강재를 연결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정착판과 보강재를 벽체에 시공한 상태를 보인 도 7의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중으로 겹쳐진 제 1 정착판과 보강재를 벽체에 시공하는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격부재를 통해 이격되게 겹쳐진 이중의 제 1 정착판과 보강재를 벽체에 시공하는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내진 보강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 3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방사형으로 보강재를 연결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태의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십자형으로 설치한 상태의 구조도.
1 i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concrete heavy method.
2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FIG. 1.
Figure 3 is a structure of seismic reinforcement by the conventional bracing member.
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fixing plate included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cond fixing plate included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diagram of the building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in the X-shap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fixing plate and a reinforcing material are constructed on a wall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constructing a first fixing plate and a reinforcing material overlapped with a double wall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constructing a double first fixing plate and a reinforcement on a wall, which are spaced apart through a spacer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hird fixing plate included in 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diagram of the building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radially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a building continuously installed a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a building is installed in a cross shape in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내진보강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 1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내진 보강 구조물에 포함되는 제 2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X자형으로 보강재를 연결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정착판과 보강재를 벽체에 시공한 상태를 보인 도 7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fixing plate included in 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econd fixing plate of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Figure 7 i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in the X-shape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of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reinforcement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hown in FIG.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은, 벽체(100)에 설치되면서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벽체(100)는 물론 주변 테두리인 보(101)와 기둥(102)으로 전달하여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제 1,2 정착판(10)(20)과 보강재(30), 그리고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5 to 8,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100 while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is the wall 100 as well as the peripheral edges. It is to be transmitted to the beam 101 and the column 102 so that the dispersion is effectively made, and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the reinforcing material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

상기 제 1 정착판(10)은 강재 또는 스테인레스(SUS) 또는 고강도 섬유패널(예;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며, 나사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00)를 통해 상기 벽체(100)의 중앙에 부착 고정되고,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plate 10 is made of a structure made of steel or stainless steel (SUS) or a high strength fiber panel (for example,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and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n anchor bolt ( It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wall 100 through the 200,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for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이때, 상기 제 1 정착판(10)에는 상기 보강재(3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재(30)의 삽입시 그 삽입이 정확한 각도유지와 길이방향의 굽힘텐션 방법으로 길이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 유도홈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유도홈부(11)는 상기 보강재(20)가 X자형으로 벽체(100)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심점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whil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precisely adjust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n a precise angle maintaining method and bending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guide groove 11 is formed to be made, the first guide groove 11 is the center point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20 is fixed to the wall 100 or X-shaped fixed or radially fixed installation. It is formed in the X shape as a reference, or it is forme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point.

상기 제 2 정착판(20)은 강재 또는 스테인레스(SUS) 또는 고강도 섬유패널(예;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의 재질로 제작되는 구조물로, 상기 보(101)와 기둥(102)의 접합부인 상기 벽체(100)의 코너부에 나사 또는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00)를 통해 부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된다.The second fixing plate 20 is a structure made of steel or stainless steel (SUS) or a high strength fiber panel (eg,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and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of Attachment fixing is performed through a fastening member 200 such as a screw or an anchor bolt at a corner portion of the wall 100 that is a joint part,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200 (not shown). Is formed.

이때, 상기 제 2 정착판(20)에는 상기 보강재(3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재(30)의 삽입시 그 삽입이 정확한 각도유지와 길이방향의 굽힘텐션 방법으로 길이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 유도홈부(2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while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when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erted, the length is adjusted by maintaining the correct angle and bending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groove 21 is formed to achieve this precision.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제 1,2 정착판(10)(20)을 통해 상기 벽체(100)에 밀착 고정이 이루어져,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횡 하중)을 벽체(100)는 물론 주변 테두리인 보(101)와 기둥(102)으로 전달하면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판형의 구조물로, 강재 또는 스테인레스(SUS) 또는 고강도 섬유패널(예;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로 제작 구성된다.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fixed close to the wall 1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so that the horizontal load (later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is not limited to the wall 100. It is a plate-like structure that is effectively distributed while transferring to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which is composed of steel or stainless steel (SUS) or high strength fiber panel (for example, glass fiber, carbon fiber, aramid fiber).

이때, 상기 보강재(30)는 양끝단이 상기 제 1,2 정착판(10)(20)의 제 1,2 유도홈부(1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상기 양끝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벽체(100)에 밀착되며, 상기 제 1,2 유도홈부(11)(21)에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를 통해 형성되는 접착층(6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60)에 의해 상기 보강재(30)의 양끝단부는 상기 벽체(100)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a portion except both ends when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21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100,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21 are formed with an adhesive layer 60 formed through an adhesive for construction of an epoxy resin,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by the adhesive layer 60. Both ends of the 30 may be firmly fixed to the wall 100.

상기 연결부재(40)는 인장력을 가지면서 양끝단에 너트 체결용 나사부를 가지는 장축의 앵커볼트로, 상기 벽체(100)의 양면에 상기 제 1,2 정착판(10)(20)과 보강재(30)의 설치 고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벽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제 1,2 정착판(10)(20)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connecting member 40 is a long-term anchor bolt having a nut for fastening the nut at both ends having a tensile for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20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2)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When the fixing of the installation 30 is mad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which are fixed to both surfaces of the wall 100 through the wall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은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우선 보(101)와 기둥(102)의 접합부인 벽체(100)의 양면 코너부에 각각 제 2 유도홈부(21)를 형성한 제 2 정착판(20)을 체결부재(200)를 통해 동일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정착판(20)의 제 2 유도홈부(21)에 각각 보강재(30)의 타측 끝단을 삽입시킨다.As such,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made in each of the two-sided corner portions of the wall 100, which is the junction of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as shown in Figure 5 to 8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ixing plate 20 having the two guide grooves 21 formed thereon is fixed in the same manner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200, the reinforcing material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grooves 21 of the second fixing plate 20. Insert the other end of (30).

다음으로, 상기 벽체(100)의 양면 중심부위 즉, 상기 보(101)와 기둥(102)의 접합부인 벽체(100)의 코너부측에서 대각선 방향인 X자형의 중심점에 제 1 유도홈부(11)를 가지는 제 1 정착판(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 1 정착판(10)을 체결부재(200)를 통해 상기 벽체(100)에 고정시킨다.Next, the first guide groove 11 is located on the center of both surfaces of the wall 100,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X-shaped diagonal direction at the corner of the wall 100, which is a junction between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After positioning the first fixing plate 10 having a, the first fixing plate 10 is fixed to the wall 10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200.

다음으로, 상기 제 1 정착판(10)에 형성되는 제 1 유도홈부(11)에 상기 보강재(30)의 일측 끝단을 삽입하여 조립한다.Next, the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1 formed i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assembled.

그러면, 상기 보강재(30)의 양단이 상기 제 1,2 정착판(10)(20)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벽체(100)에 밀착된다.The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20,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100).

여기서, 상기 제 1,2 유도홈부(11)(21)에 보강재(30)의 양단을 삽입시킬 때, 상기 보강재(30)는 정확한 각도유지와 길이방향의 굽힘텐션 방법으로 길이조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 그 삽입작업이 정밀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inserting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21, the reinforcing material 30 can be made by adjusting the length by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correct angle and the bending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ertion can be carried out precisely.

이때, 상기 제 1,2 유도홈부(11)(21)내에 에폭시수기의 건축용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착층(60)을 형성시키면, 상기 접착층(60)에 의해 상기 보강재(30)의 양단은 상기 제 1,2 유도홈부(11)(21)내에서 상기 벽체(100)에 접착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벽체(100)와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adhesive layer 60 is formed by injecting an epoxy resin construction adhesive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11 and 21,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are formed by the adhesive layer 60. , 2 in the guide grooves (11) (21) is made of adhesive fixing to the wall 100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with the wall (100).

다음으로, 상기 벽체(100)의 일면 코너부에 고정되는 제 2 정착판(20)으로부터 타면 코너부에 고정되는 제 2 정착판(20)으로 연결부재(40)를 관통시킨 후, 상기 연결부재(40)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 고정하는 한편, 상기 벽체(100)의 일면 중심부에 고정되는 제 1 정착판(10)으로부터 타면 중심부에 고정되는 제 1 정착판(10)으로 연결부재(40)를 관통시킨 후, 상기 연결부재(40)의 양단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 고정시킨다.Next, the connecting member 40 is penet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late 20 fixed to one corner of the wall 100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fixed to the other corner of the wall 100, and then the connecting member 40. The nu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crew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4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the center of the other surface from the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wall 100. After penetrating the member 40, the nu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threade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0.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마찰접합이 발생하므로,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제 1,2 정착판(10)(20)과 상기 벽체(100)에 추가적인 강한 구속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벽체(100)에서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Here, since the friction joint occurs when the connecting member 40 is fastened, the reinforcing material 30 provides additional strong restraining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and the wall 100. Since it is received, the reinforcing material 30 will be able to maintain a more solid coupling state in the wall (100).

이와 같이, 상기 벽체(100)의 양면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 1,2 정착판(10)(20)은 물론 보강재(30)의 시공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연결부재(40)를 연결 고정되므로, 상기 벽체(100)의 양면에는 X자형을 이루는 내진 보강 구조물인 브레이싱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since both sides of the wall 1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and 2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well as the connection member 40 is fix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made,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the construction of the bracing structure, which is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ming an X shape, may be complet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벽체(100)의 양면에 X자형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시공한 후 이를 연결부재(40)를 연결 고정시키면,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은 상기 제 1,2 정착판(10)(20)을 통해 X자형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30)에 의해 벽체(100)는 물론 보(101)와 기둥(102)으로 분산되고, 이에따라 지진, 진동 등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X-shaped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is constructed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connection member 40 is connected and fixed,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is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10. By the reinforcing material 30, which is a brac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X-shape through 20, the wall 100, as well as the beam 101 and the pillars 102 are dispersed, thereby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earthquakes, vibrations, etc. You will be able to.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벽체(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정착판(10)(10a)을 이중으로 중첩 구성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여기서, 벽체(100)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 2 정착판(20)도 도 9와 같이 이중으로 중첩 구성되며 이를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ross-section of a double overlap of the first fixing plate 10, 10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all (100). The second fixing plate 20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 of 100 is also overlapped as shown in FIG. 9 and i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유도홈부(11)(11a)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정착판(10)(10a)을 이중으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제 1 유도홈부(11)(11a)에 보강재(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제 1 유도홈부(11)(11a)에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를 주입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 grooves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a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guide grooves 11 and 11a face each other. After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the (11) (11a), the building adhesive of the epoxy resin is injec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1) (11a).

그러면, 상기 주입되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60)으로부터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이중 중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 정착판(10)(10a)에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때 연결부재(40)를 체결하는 경우 상기 보강재(30)는 상기 제 1 정착판(10)과 마찰접합이 발생하여 강한 구속력을 가지게 되면서, 도 8에서 나타난 보강재(30)와 제 1 정착판(10) 및 벽체(100)간의 구속력보다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reinforcing material 30 from the adhesive layer 60 formed by the building adhesive of the epoxy resin is injected can maintain a firm bonding state in the first fixing plate (10) (10a) forming the double overlapping structure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ng member 40 is fastened,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frictionally bond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to have a strong restraining forc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30 and the first fixing plate shown in FIG. It is to be able to maintain a more solid coupling state tha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10) and the wall (100).

여기서, 상기 도 9의 설명에서는 제 1 정착판(10)(10a)을 이중으로 중첩하여 그 조립과정의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벽체(100)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 2 정착판 또한 상기 제 1 정착판(10)(10a)과 마찬가지로 이중 중첩하여야 하고, 이러한 이중 중첩에 따른 조립과정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Here, in the description of FIG. 9, the assembly process is described by overlapping the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a in a double manner, but the second fixing plate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wall 100 is also the first. Like the fixing plate (10) (10a) should be double overlapping, th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this double overlap is the sam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따라,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은 X자형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싱 구조물인 이중 중첩 구조의 제 1 정착판(10)(10a)은 물론, 이중 중첩 구조의 제 2 정착판과 보강재(30)에 의해 벽체(100)는 물론 보(101)와 기둥(102)으로 분산되고, 따라서 지진, 진동 등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is not only by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10a of the double overlapping structure, which is the bracing structure installed in the X shape, but also by the second fix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30 of the double overlapping structure. The wall 100 is, of course, distributed to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and thus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earthquakes, vibration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nd fixed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제 1 정착판(10)(10a)을 이중으로 중첩 구성시, 상기 이중 중첩되는 제 1 정착판(10)(10a)을 이격부재(70)를 통해 일정간격의 이격거리를 두고 중첩 구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to double overlap the first fixing plate 10, 10a, the first fixing plate 10, 10a overlapping the overlapping member ( 70) overlapped with a certain distance apart.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제 1 정착판(10)(10a)를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중으로 중첩시킨 후 상기 이격된 틈새에 이격부재(70)를 삽입 구성하는 한편, 상기 이격부재(70)에 의해 이격된 틈새에 보강재(30)의 일단을 삽입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s 70 are inserted into the spaced gaps after overlapping the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ers 70 are inserted into the spac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erted into a gap spaced by the member 70.

그리고, 상기 이격된 틈새에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접착층(60)을 통해 상기 틈새내에서 상기 보강재(30)를 고정시킨 것으로, 이에 따라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은 상기 제 1 정착판(10)(10a)은 물론, 제 2 정착판을 통해 X자형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30)에 의해 벽체(100)는 벽체(100)는 물론 보(101)와 기둥(102)으로 분산되고, 이에따라 지진, 진동 등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fixed in the gap through an adhesive layer 60 formed by injecting a building adhesive of epoxy resin into the spaced gap, whereby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is the first fixing. As well as the plates 10 and 10a, the wall 100 is not only the wall 100 but also the beams 101 and the pillars 102 by the reinforcing material 30 which is a bracing structure installed in an X shape through the second fixing plate. As a resul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earthquakes and vibrations can be improved accordingly.

여기서, 상기 도 10의 설명에서는 제 1 정착판(10)(10a)을 이중으로 중첩하여 그 조립과정의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벽체(100)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 2 정착판 또한 상기 제 1 정착판(10)(10a)과 마찬가지로 이중 중첩하여야 하고, 이러한 이중 중첩에 따른 조립과정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Here, in the description of FIG. 10, the assembly process is described by overlapping the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a in a double manner, but the second fixing plate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wall 100 is also the first. Like the fixing plate (10) (10a) should be double overlapping, the assembly process according to this double overlap is the sam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and fixed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이는 보강재(30)를 벽체(100)에 방사형으로 설치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and Figure 12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installed radially on the wall (100).

즉, 제 1 정착판(10)에 형성되는 방사형의 제 1 유도홈부(11)에 보강재(30)의 일단을 조립 구성하는 한편, 벽체(100)의 코너부와 가장자리 단부에는 각각 제 2 유도홈부(21)를 가지는 제 2 정착판(20)과 제 3 유도홈부(51)를 가지는 제 3 정착판(50)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2,3 정착판(20)(50)의 제 2,3 유도홈부(21)(51)에 각각 보강재(30)의 타단을 조립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정착판(1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강재(30)가 벽체(100)에서 방사형의 구조로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3 정착판(10)(20)(50)을 통해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브레이싱 구조물인 보강재(30)에 의해 벽체(100)는 물론 보(101)와 기둥(102)으로 효과적으로 분산되면서 지진, 진동 등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assembled to the radial first guide groove 11 formed in the first fixing plate 10, while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at the corner and the edge of the wall 100, respectively.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ixing plate 20 having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the third fixing plate 50 having the third guide groove 51 is fixedly installed, the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20, 50 By assembling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nto the second and third guide grooves 21 and 51, respectively,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radially formed on the wall 100 around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installation is made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wall 100, of course by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a bracing structure which is radially installed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fixing plates 10, 20, 50 accordingly It is to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the beam 101 and the pillar 102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earthquakes, vibration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서와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method as that of be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wall 100 is the sam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이는 벽체(100)에 면적이 확장된 경우 벽체(100)에 복수의 제 1 정착판(10)(10')을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정착판(10)(10')을 기준으로 보강재(30)가 대칭 구조 즉, 역 K자형과 K자형으로 설치되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FIG. 13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 ′ on the wall 100 when the area of the wall 100 is extended. In the fixed installation state, the reinforcing material 30 bas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10 'i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at is, an inverted U-shaped and U-shaped.

즉,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복수의 제 1 정착판(10)(10')은 물론 코너부에 설치되는 제 2 정착판(20)과 가장자리 단부에 설치되는 제 3 정착판(50)을 통해 보강재(30)를 벽체(100)에 설치 고정함으로써, 브레이싱 구조물인 대칭구조의 보강재(30)에 의해 벽체(100)는 물론 보(101)와 기둥(102)으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진, 진동 등에 대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plates 10 and 10 ', the second fixing plate 20 is installed at the corner and the third fixing plate 50 is installed at the edge end. By installing and fixing the reinforcing material 30 to the wall 100 through, the wall 100, as well as the beam 101 and the pillars 102 by the symmetrical reinforcing material 30 of the bracing structur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earthquake, vibration It is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gainst the back.

이하, 본 발명의 제 1,2,3,4 실시예에서와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method is the same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 14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 이는 벽체(100)의 중앙면에 제 1 정착판(10)을 고정 설치하고, 벽체(100)의 가장자리 단부에 제 3 정착판(50)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제 1,3 정착판(10)(50)에 형성되는 제 1,3 유도홈부(11)(51)에 보강재(30)의 양단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재(30)가 벽체(100)에서 십자형의 브레이싱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고, 이하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와 벽체(100)의 양면에 설치 고정되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FIG. 14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plate 1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surface of the wall 100 and the third fixing plate (at the edge end of the wall 100). After the 50 is fixedly installe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0 are assembled to the first and third guide grooves 11 and 51 formed in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s 10 and 50, thereby providing the reinforcing material. (30) is to form a cross-shaped bracing structure in the wall 100, and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being installed and fixed on both sides of the wall 100 is the same, so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t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10',10a ; 제 1 정착판 11 ; 제 1 유도홈부
20 ; 제 2 정착판 21 ; 제 2 유도홈부
30 ; 보강재 40 ; 연결부재
50 ; 제 3 정착판 51 ; 제 3 유도홈부
60 ; 접착층 70 ; 이격부재
100 ; 벽체 101 ; 보
102 ; 기둥
10,10 ', 10a; First fixing plate 11; First guide groove
20; Second fixing plate 21; 2nd guide groove
30; Stiffeners 40; Connecting member
50; Third fixing plate 51; 3rd guide groove
60; Adhesive layer 70; Spacer
100; Wall 101; Bo
102; Pillar

Claims (16)

벽체에 부착 고정되고, 제 1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1 정착판;
상기 벽체의 코너부에 부착 고정되고, 제 2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2 정착판;
상기 벽체와 그 주변의 프레임 구조물인 보와 기둥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도록, 상기 제 1,2 유도홈부에 양단이 조립 고정되는 보강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
A first fixing plate attached to the wall and fixed to the wall to form a first guide groove;
A second fixing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a corner of the wall and forming a second guide groove;
Reinforcing members of which both ends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so as to evenly distribute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by beams and columns, which are frame structures around th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벽체에 부착 고정되고, 제 1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1 정착판;
상기 벽체의 가장자리 단부에 부착 고정되고, 제 3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3 정착판;
상기 벽체와 그 주변의 프레임 구조물인 보와 기둥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도록, 상기 제 1,3 유도홈부에 양단이 조립 고정되는 보강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
A first fixing plate attached to the wall and fixed to the wall to form a first guide groove;
A third fixing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an edge end of the wall to form a third guide groove;
Reinforcement members of which both ends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third guide grooves so as to distribute the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building evenly by beams and pillars, which are frame structures around th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도홈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X shape with respect to a center poi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도홈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guide groove is radially formed based on a center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정착판과 상기 보강재는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되는 상기 제 1,2 정착판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wall is fixe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wall fixed to the connection through the wall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a building, wherein the structure is connected by a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정착판과 상기 보강재는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의 양면에 부착 고정되는 상기 제 1,3 정착판은 상기 벽체를 관통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wall is fixed,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wall fixed to the connection through the wall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a building, wherein the structure is connected by a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가장자리 단부에 제 3 유도홈부를 형성하는 제 3 정착판을 부착 고정하고, 상기 보강재는 제 1,2,3 정착판의 제 1,2,3 유도홈부에 양단이 조립되어 방사형의 브레이싱 구조물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wall of claim 1, wherein the wall is attached to and fixed to a third fixing plate forming a third guide groove at an edge end thereof,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s both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groov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is configured to form a radial bracing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정착판은 판형으로서 강재, 스테인레스, 고강도 섬유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8. 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plates are plate-shaped and are made of any one of steel, stainless steel, and high strength fiber pane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정착판은 판형으로서 강재, 스테인레스, 고강도 섬유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s are plate-shaped and are made of steel, stainless steel, or high strength fiber pane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판형으로서 강재, 스테인레스, 고강도 섬유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building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of any one of steel, stainless steel, and high strength fiber panels as a plat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정착판은 각각 제 1,2 유도홈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중으로 중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ace each oth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제 1,2 유도홈부에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 주입으로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 1,2 유도홈부에 삽입되는 보강재의 양단은 상기 벽체에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n adhesive layer by the injection of a building adhesive of epoxy resin,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rom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is ma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정착판은 각각 제 1,3 유도홈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중으로 중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s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third guide grooves face each oth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제 1,3 유도홈부에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 주입으로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 1,3 유도홈부에 삽입되는 보강재의 양단은 상기 벽체에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the third guide groov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n adhesive layer by the injection of a building adhesive of epoxy resin,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guide grooves from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wal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is ma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2 정착판 또는 제 1,3 정착판은 각각 이격부재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이중으로 중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or the first and third fixing plates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by a spaced apart by a spacer member,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verlap.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1,2 정착판 또는 제 1,2 정착판 각각의 이격틈새에는 에폭시수지의 건축용 접착제가 주입되어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보강재의 양단은 상기 벽체에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물.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paration gap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or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spacer member is injected with a building adhesive of epoxy resin to form an adhesive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is fixed to the wall.
KR1020100019172A 2010-03-03 2010-03-03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1874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72A KR101187440B1 (en) 2010-03-03 2010-03-03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72A KR101187440B1 (en) 2010-03-03 2010-03-03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082A true KR20110100082A (en) 2011-09-09
KR101187440B1 KR101187440B1 (en) 2012-10-02

Family

ID=4495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172A KR101187440B1 (en) 2010-03-03 2010-03-03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4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11B1 (en) * 2014-02-27 2014-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einforcement Assembly For Coupling Beam Linked With Coupled Shear Wa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7496B2 (en) * 2005-03-29 2009-04-02 清水建設株式会社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JP4379733B2 (en) 2005-05-17 2009-12-09 清水建設株式会社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uildings
JP4951313B2 (en) 2006-10-31 2012-06-13 戸田建設株式会社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JP5144182B2 (en) 2007-09-11 2013-02-1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11B1 (en) * 2014-02-27 2014-11-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einforcement Assembly For Coupling Beam Linked With Coupled Shear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440B1 (en)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9739B2 (en) Seismic retrofitting methods and walls for existing buildings
KR101986611B1 (en) Integrated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KR20200008685A (en) 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KR102311223B1 (en) Resistance to earthquake reinforcement method for DIY reinforcement of multi-household house piloti column
KR101986610B1 (en) A seismic retrofit 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improved durability
JP2002322817A (en) Fiber reinforcement system for building and building novel member
JP6122740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187440B1 (en) Aseismatic reinforcment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2620931B1 (en) Shear reinforcing method of rebar concrete column structure using corner reinforcement aluminium angle and corner bead and structure of the same
JP2009235812A (en) Joint structure of panel used for construction and method, and building structure
JP6791818B2 (en) Seismic control structure
KR102578034B1 (en) Assembly construction method of noncombustible engineering plastic panel attached FRP wraping and X-brace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column
JP2014088657A (en) Buckling restraining brace and aseismatic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09363B1 (en) Concrete block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H-shaped column and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67304B1 (en) Shear reinforc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engineering plastic panel attached stress reinforcing brace
JP2019027195A5 (en)
JP2016216899A (en) Earthquake-proof wall structure
KR101299574B1 (en) Moment connection structure using panel zone of rectangular shape
JP5251933B2 (en) Buildings with joint hardware
JP7033406B2 (en) Post-attachment brace joint structure
JP3897648B2 (en) Seismic control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JP2010189928A (en) Earthquake-resistant concrete block with built-in optically-transparent member with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arthquake-resisting wall
JP2020143502A (en) Bearing wall
JP4092651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JP2001090255A (en) Fibrous reinforcing system for building and new build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