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27A - 묶음용 결속구 - Google Patents

묶음용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27A
KR20110099927A KR1020100018949A KR20100018949A KR20110099927A KR 20110099927 A KR20110099927 A KR 20110099927A KR 1020100018949 A KR1020100018949 A KR 1020100018949A KR 20100018949 A KR20100018949 A KR 20100018949A KR 20110099927 A KR20110099927 A KR 2011009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ody
locking portion
binding
bund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000B1 (ko
Inventor
추형욱
Original Assignee
추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형욱 filed Critical 추형욱
Priority to KR102010001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0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실 또는 머리카락 등 세장형 대상물을 모아서 신속하게 결속 및 해체시킬 수 있는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을 구비하며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타측 단부 부근에 마련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을 사이에 두고 테두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뭉쳐진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묶거나 푸는 작업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묶여 있던 세장형 대상물이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묶음용 결속구{A BINDER FOR TYING}
본 발명은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실 또는 머리카락 등 세장형 대상물을 모아서 묶을 수 있는 묶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묶음용 결속구는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실 또는 머리카락 등 세장형 대상물을 한 덩어리로 묶어 단정하게 정리하는 것으로, 전기 케이블을 묶기 위한 타이밴드 또는 여성의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헤어밴드 등 적용대상에 따라 그 형태와 구조가 다양하다.
예컨대, 여성의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헤어밴드의 경우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밴드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탄력적으로 묶는다.
그러나, 상기 헤어밴드는 머리카락을 뭉쳐 놓은 상태에서 고무줄을 수차례 감아서 묶는 것으로, 묶는 동작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묶는 속도도 지체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머리카락에 감겨 있던 고무줄을 푸는 과정에서 머리카락이 쉽게 끊어지거나 뽑혀서 신체에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고무줄에 감겨 있던 머리카락은 부분적으로 꺽여져 있게 되므로 전체 헤어 스타일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케이블 등의 경우에는 보통 일회용 결속구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단 1회 사용후 폐기되기 때문에 낭비요소가 있고 결속구를 다수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뒤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장형 대상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묶거나 풀 수 있고, 묶여 있던 세장형 대상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묶음용 결속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묶음용 결속구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을 구비하며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타측 단부 부근에 마련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을 사이에 두고 테두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걸림부는 제1 결속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이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제2 결속본체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외주면이 제2 결속본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제1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되 제1 걸림부의 폭보다 크며 제1 걸림부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직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부의 수평부 내주면의 반경은 상기 제1 결속본체 외주면의 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는 제2 걸림부의 수평부 내측 끝에 다다랐을 때, 더 이상 제2 걸림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때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는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에 마련된 요홈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요홈에는 끼움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끼움용 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요홈에 접하는 외주면이 요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그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 볼 때, 상기 요홈으로부터 돌출되는 탄성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 테두리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은 결속용 돌기 중 가장 내측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와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의 수직부 양 내측면과 이와 마주보는 제1 걸림부의 측면에는 제1 걸림부가 제2 걸림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안내수단은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안내홈과 안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태의 결합돌기가 다수개 이어진 것이며, 상기 안내돌기는 그 단면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제2 걸림부에 형성된 요철부의 홈과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미세한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그 단면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연결되는 제1 가압본체와 제2 가압본체의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작용에 의해 세장형 대상물을 묶고나 풀기 때문에, 뭉쳐진 머리카락이나 실 등을 묶거나 푸는 작업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묶여 있던 세장형 대상물이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묶음용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의 종단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내수단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묶음용 결속구(1000)에 대하여 머리카락을 묶기 위한 헤어밴드로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 케이블과 같은 세장형 대상물을 묶기 위해서도 동일하게 사용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묶음용 결속구(1000)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101)을 구비하며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110)와, 상기 힌지부(110)에 대향하는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타측 단부 부근에 마련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걸림부(120a)와 제2 걸림부(1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101)을 사이에 두고 테두리부(130)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30)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부(1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는 힌지부(110)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대략 반원형상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요홈(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는 각각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힌지 운동을 통해 뭉쳐진 머리카락이나 세장형 대상물 등을 용이하게 감싸는 상태로 결속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101)을 사이에 두고 테두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30)의 표면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부(140)가 형성된다.
이는, 비교적 가르다란 직경을 가지는 뭉쳐진 상태의 머리카락 또는 세장형 대상물을 상기 테두리부(130)가 용이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용 돌기부(140)가 뭉쳐진 머리카락 또는 세장형 대상물의 안쪽으로 파고들어 외부로부터의 흔들림에 의해 회전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용 돌기(140)는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테두리부(130)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될수록 그 직경이 점차 좁아져서 선단부가 뾰족해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삼각뿔, 사각뿔 또는 반구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용 돌기(140)는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테두리부(130) 중심 부근 또는 중심을 제외한 양측에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주방향 전체에 배치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결속용 돌기(140)가 테두리부(130) 전체에 형성될 경우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140)가 상호 밀착되는 상태의 연속적인 연결구조로 배치되거나, 상기 다수의 결속용 돌기(14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다수의 결속용 돌기(140)는 각각의 선단부 높이가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결속용 돌기(140)는 테두리부(13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선단부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테두리부(130)의 양측으로부터 원주방향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요홈(101)에는 끼움용 돌기(150)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2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200)에는 끼움용 돌기(150)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201)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101)에 형성된 끼움용 돌기(150)와 탄성부재(200)의 결합홈(201)을 상호 끼움 결합시키기 전에 미리 접착제를 상기 요홈(101)의 표면에 도포할 경우 한층 견고한 결합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타측 단부 부근에는 상호 간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걸림부(120a)와 제2 걸림부(12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부(120a)는 제1 결속본체(100a)의 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121a)이며, 상기 제2 걸림부(120b)는 제2 결속본체(100b)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1a)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121b)가 형성된다(도 3등 참조).
도면에서는 상기 제1 걸림부(120a)의 걸림돌기(121a)가 1개 형성된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걸림돌기(121a)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걸림부(120b)는 외주면이 제2 결속본체(100b)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제1 걸림부(120a)의 걸림돌기(121a)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121b)가 형성된 수평부(122b)와, 상기 수평부(122b)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되 제1 걸림부(120a)의 폭보다 크며 제1 걸림부(120a)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직부(123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120b)의 수평부(122b) 내주면의 반경은 상기 제1 결속본체(100a) 외주면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를 회동시켜 머리카락 등을 결속시킬 때, 상기 제1 걸림부(120a)는 제2 걸림부(120b)의 수평부(122b) 내측 끝에 저지되어 더 이상 제2 걸림부(120b)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때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는 대략 원형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한편, 상기 요철부(121b)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진 요철부(121b)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21a)가 체결될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되므로 그에 따른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체결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직경 크기를 한층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부(120b)의 수직부(123b) 양 내측면과 이와 마주보는 제1 걸림부(120a)의 측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120a)가 제2 걸림부(120b) 내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수단(1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수단(160)은 제1 걸림부(120a)와 제2 걸림부(120b)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안내돌기(161)과 안내홈(1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돌기(161)는 제1 걸림부(120a)에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62)은 제2 걸림부(120b)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반대로 상기 안내돌기(161)를 제2 걸림부(120b)에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62)은 제1 걸림부(120a)에 형성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안내홈(162)의 내측에는 결합돌기(163)가 형성될 수 있다(도 5(b)참조).
즉, 상기 결합돌기(163)는 안내홈(162) 내에 끼워진 안내돌기(161)의 슬라이드 이동을 간섭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시 상기 제1 걸림부(120a)가 상기 제2 걸림부(120b)의 초기 결합된 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단속하며, 만약 이탈되더라도 이탈 진행방향의 이웃한 구간에서 다시 한번 간섭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걸림부(120a)와 상기 제2 걸림부(120b)의 체결관계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162)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3)는 제2 걸림부(120b)에 형성된 요철부(121b)의 홈과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안내수단(160)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120a)와 제2 걸림부(120b)는 체결된 이후,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쉽게 해체되지 않는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된다.
한편, 도 6은 안내수단(1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내홈(162)에 형성된 결합돌기(163')는 미세한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태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것이며, 상기 안내돌기(161)는 그 단면이 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안내수단(1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안내홈(162')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결합돌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안내홈(16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미세한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돌기(161)는 그 단면이 원형의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내주면에 마련된 요홈(101)에는 각각 탄성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소재로 재작하며 뭉쳐진 머리카락이나 세장형 대상물을 탄력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묶여진 머리카락이나 세장형 대상물이 유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200)의 소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에 한정하지 않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요홈(101)에 접하는 외주면이 요홈(10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그 단면을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200)의 외주면은 요홈(101)의 표면에 대응하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은 폭의 중심부가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 볼 때, 상기 요홈(101)으로부터 돌출되는 탄성부재(200)의 내주면은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의 내주면 테두리부(130) 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가 일체로 체결하였을 때, 뭉쳐져 있는 머리카락이나 세장형 대상물이 탄성부재(200)에 의해 보다 탄력적으로 가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00)의 내주면은 결속용 돌기(140) 중 가장 내측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와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묶음용 결속구(1000)는, 힌지부(110)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연결되는 제1 결속본체(100a)와 제2 결속본체(100b)에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1 걸림부(120a)와 제2걸림부(120b)를 구성함으로써, 머리카락이나 실을 묶거나 푸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묶여 있던 머리카락이나 실이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a : 제1 결속본체
100b : 제2 결속본체
101 : 요홈
110 : 힌지부
120a : 제1 걸림부
121a : 걸림돌기
120b : 제2 걸림부
121b : 요철부
130 : 테두리부
140 : 결속용 돌기부
150 : 끼움용 돌기
160 : 안내수단
200 : 탄성부재

Claims (16)

  1.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을 구비하며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는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타측 단부 부근에 마련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을 사이에 두고 테두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결속용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제1 결속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이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제2 결속본체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외주면이 제2 결속본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그 내주면에 제1 걸림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측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되 제1 걸림부의 폭보다 크며 제1 걸림부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직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의 수평부 내주면의 반경은 상기 제1 결속본체 외주면의 반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제2 걸림부의 수평부 내측 끝에 다다랐을 때, 더 이상 제2 걸림부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때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는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에 마련된 요홈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에는 끼움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끼움용 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요홈에 접하는 외주면이 요홈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그 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 볼 때,
    상기 요홈으로부터 돌출되는 탄성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제1 결속본체와 제2 결속본체의 내주면 테두리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은 결속용 돌기 중 가장 내측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는 선단부와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1.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의 수직부 양 내측면과 이와 마주보는 제1 걸림부의 측면에는 제1 걸림부가 제2 걸림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안내홈과 안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태의 결합돌기가 다수개 이어진 것이며,
    상기 안내돌기는 그 단면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제2 걸림부에 형성된 요철부의 홈과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미세한 물결모양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그 단면이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용 결속구.
KR1020100018949A 2010-03-03 2010-03-03 묶음용 결속구 KR10117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49A KR101177000B1 (ko) 2010-03-03 2010-03-03 묶음용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49A KR101177000B1 (ko) 2010-03-03 2010-03-03 묶음용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27A true KR20110099927A (ko) 2011-09-09
KR101177000B1 KR101177000B1 (ko) 2012-08-27

Family

ID=4509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949A KR101177000B1 (ko) 2010-03-03 2010-03-03 묶음용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2275A (zh) * 2015-07-09 2015-11-11 安徽省光明粮油工业有限公司 一种可适用多种直径的圆柱用包铁装置
KR101601258B1 (ko) * 2014-10-30 2016-03-08 주식회사 엠알테크 내진형 배관 클램프
CN106939951A (zh) * 2017-04-11 2017-07-11 公安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接头紧固装置及紧固方法
CN109561753A (zh) * 2016-05-31 2019-04-02 凯拉美发有限公司 珠状物
CN115087376A (zh) * 2021-01-11 2022-09-20 林大地 头发饰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3601U (ja) * 1982-03-20 1983-09-28 太田産業株式会社 髪の毛用結束具
US6439242B1 (en) 2000-03-08 2002-08-27 Ndhead, Inc. Hair cli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58B1 (ko) * 2014-10-30 2016-03-08 주식회사 엠알테크 내진형 배관 클램프
CN105042275A (zh) * 2015-07-09 2015-11-11 安徽省光明粮油工业有限公司 一种可适用多种直径的圆柱用包铁装置
CN109561753A (zh) * 2016-05-31 2019-04-02 凯拉美发有限公司 珠状物
CN106939951A (zh) * 2017-04-11 2017-07-11 公安部四川消防研究所 一种接头紧固装置及紧固方法
CN115087376A (zh) * 2021-01-11 2022-09-20 林大地 头发饰品
CN115087376B (zh) * 2021-01-11 2024-03-12 林大地 头发饰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000B1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000B1 (ko) 묶음용 결속구
US7346963B2 (en) Cord stopper
US117389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rds
KR20140039155A (ko) 특히 노르딕 워킹을 위한 접힘식 폴
US20140101902A1 (en) Hook and connector device
TWM454875U (zh) 束帶
CN107920638B (zh) 硅酮夹扣
US20150107058A1 (en) Cable fastener with cable management function
MX2011002909A (es) Sujetador de producto liberable para empaquetado de producto.
KR20100010426A (ko) 이중 결속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KR101735022B1 (ko) 탐폰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US10426243B2 (en) Hair fastener
KR101462210B1 (ko) 헤어 연출용 도구
KR20150033255A (ko) 청소용 빗자루
JP3208736U (ja) 結束具
JP5001454B1 (ja) コード絡み防止機構付き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コード絡み防止具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JP2015199605A (ja) 脱着式コード収納器具
KR200477875Y1 (ko) 빗이 구비된 머리끈
KR101566078B1 (ko) 청소용 빗자루
JP6464744B2 (ja) 結束バンド
JP2004510517A (ja) 毛髪をつかむ装置
US1027668A (en) Barrette.
US3068505A (en) Mop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710584B1 (ko)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