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581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581A
KR20110099581A KR1020100018685A KR20100018685A KR20110099581A KR 20110099581 A KR20110099581 A KR 20110099581A KR 1020100018685 A KR1020100018685 A KR 1020100018685A KR 20100018685 A KR20100018685 A KR 20100018685A KR 20110099581 A KR20110099581 A KR 2011009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urrent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427B1 (ko
Inventor
유명환
오춘열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27B1/ko
Priority to US12/888,115 priority patent/US8952951B2/en
Publication of KR2011009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르는 구동 전류의 경로로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이동도의 변화를 구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보상부 상기 보상량을 전달받아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를 빠르게 보상하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와 무관하게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난 장점이 있어 주목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PM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AMOLED)로 분류된다.
패시브 매트릭스형은 양극과 음극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음극 라인과 양극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방식이고, 액티브 매트릭스형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각 픽셀 내에 집적하여 커패시터 용량에 의해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 방식이다. 패시브 매트릭스형은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이지만 대형 또는 고정밀도의 패널 실현이 곤란하다. 반면, 액티브 매트릭스형은 대형 및 고정밀도의 패널 실현이 가능하지만 그 제어방법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비교적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해상도, 콘트라스트, 동작속도의 관점에서 단위 화소마다 선택하여 점등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AMOLED)가 주류가 되고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에 의하여 발광 효율이 떨어져, 동일한 전류에 대해 발광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불균일 및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의 변화에 따른 데이터 신호의 오차에 의하여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는 이미지 스틱킹(image-sticking)의 원인이 되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는 무라(mura)의 원인이 된다.
특히 이동도의 불균일에 의한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방식으로 보상을 하는 경우에는 보상에는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보정된 픽셀 데이터가 정확하게 각 픽셀별 전류를 매칭시키지 못하여 에러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 한계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따른 휘도 저하 문제를 보상하며, 화소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동도와 무관하게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이동도 보상에는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보정된 픽셀 데이터가 정확하게 각 픽셀별 전류를 매칭시키지 못하여 에러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르는 구동 전류의 경로로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이동도의 변화를 구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보상부 상기 보상량을 전달받아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부는, 상기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싱크부, 상기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이동도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보상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결정된 보상량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소정의 제3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을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 정도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한다.
상기 전류 싱크부는, 소정의 제1 전류를 싱크하는 제1 전류 싱크부 및 상기 제1 전류보다 전류값이 낮은 제2 전류를 싱크하는 제2 전류 싱크부이고, 상기 제1 전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값이며,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가 산출되며, 상기 보상량은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로 인해 증가된 구동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된다.
또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소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보상부와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각각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의 접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선택 구동부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는 동안,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이 보상부에 전달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오프 되는 동안,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이 보상부에 전달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오프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는 동안,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 전압이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르는 구동 전류의 경로로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상기 이동도의 편차를 구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량을 기초로 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는, 제1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제1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류보다 전류값이 낮은 제2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값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소정의 제3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 정도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각각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의 접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선택부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선택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가 수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될 수 있으며,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달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1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 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들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불균일과 전자 이동도의 편차로 인한 휘도의 불균일 및 편차를 방지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들 각각에 포함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를 실시간으로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하여 이를 보상함으로써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무관하게 목적하는 휘도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 감지를 빠르게 실시하면서 동시에 블랙 휘도 달성을 구현하기 힘든 문제점을 극복하여 원하는 레벨의 블랙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새로운 관계식에 의해 보상 데이터를 결정하므로, 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따라 조절된 감마에 따라 데이터 전압을 을 생성하므로, TFT의 이동도 오차 보상 범위가 넓어져 양품 패널을 다수 확보할 수 있고, 각각의 이동도 변화에 대한 테이블 또는 논리 연산식만 보유하고 있으면 되므로 간단하게 양품의 패널을 다수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부 구성과 화소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화소 및 선택부로 공급되는 일 실시 예에 의한 구동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화소로 공급되는 일 실시 예에 의한 구동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계조별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 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부(10),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감지 구동부(40), 타이밍 제어부(50), 보상부(60), 및 선택부(70)를 포함한다.
표시부(10)는 복수의 화소(100)가 배열되고 각 화소(100) 각각에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도 3의 OLED)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100) 각각에 행 방향으로 형성되고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 S2, ... Sn), 발광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발광 제어선(EM1, EM2, ... EMn), 및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감지선(SE1, SE2, … SEn)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화소(100) 각각에 열 방향으로 형성되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 D2, ... Dm)이 배열된다. 복수의 데이터선(D1, D2, ... Dm)은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이외에 화소(100)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 정도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산출해 낼 수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리는 전압을 선택적으로 더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0)는 복수의 화소(100)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전원 전압(ELVDD)과 제2 전원 전압(ELVSS)을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에서 전달받는다.
주사 구동부(20)는 표시부(10)에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주사선(S1, S2, ... Sn)과 연결되어 복수의 주사 신호 각각을 복수의 주사선 중 대응하는 주사선에 전달한다.
또한 주사 구동부(20)는 표시부(10)에 발광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발광 제어선(EM1, EM2, ... EMn)과 연결되어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 각각을 복수의 발광 제어선 중 대응하는 발광 제어선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사 구동부(20)가 복수의 발광 제어 신호를 복수의 주사 신호와 함께 생성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제어 구동부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감지 구동부(40)는 표시부(10)에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감지선(SE1, SE2, … SEn)과 연결되어 복수의 감지 신호 각각을 복수의 감지선 중 대응하는 감지선에 전달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표시부(10)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주사 신호 각각이 대응하는 주사선에 전달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복수의 데이터선(D1, D2, ... Dm)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표시부(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100) 중에서 주사 신호가 전달된 한 행의 복수의 화소(100)에 데이터 구동부(30)에서 출력된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복수의 화소(100) 각각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는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르는 구동 전류가 흐른다.
보상부(60)는 복수의 화소(10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각각의 열화 정도(이하 열화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열화도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결정한다. 이 때, 데이터 신호 보상량은 감지된 열화도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보상부(60)는 복수의 화소(10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걸리는 전압을 센싱하고, 이로부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각각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에 대한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산출한다.
보상부(60)는 상기 산출된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기초로 하여 이들 값의 편차와 무관하게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목표 휘도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결정한다. 목표 휘도란 기준으로 설정된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가지는 구동 트랜지스터(M1)에 해당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발생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흐를 때 발생하는 휘도이다.
보상부(60)는 복수의 화소(100) 각각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저장하고 있다. 보상부(60)는 타이밍 제어부(50)에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전달하고, 타이밍 제어부(50)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더해 보상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는 한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8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50)는 8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더해 다른 비트 수 예를 들면, 10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영상 데이터 신호는 10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신호가 된다.
선택부(70)는 복수의 데이터선(D1, D2, ... Dm)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선택 스위치(도면 미도시, 이하 '데이터 선택 스위치'라 함), 복수의 데이터선(D1, D2, ... Dm) 각각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73)을 보상부(60)에 연결시키는 복수의 선택 스위치(도면 미도시, 이하 '보상부 선택 스위치'라 함),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를 제어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선택 구동부(75)를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는 표시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 기간(이하, '영상 표시 기간'이라 한다) 동안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에 전달한다. 즉, 영상 표시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는 모두 턴 온 상태이다.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을 측정하는 기간, 및 문턱 전압의 특성 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게이트 전압을 전달받는 기간(이하, 두 기간을 합해 '감지 기간'이라 한다) 동안 복수의 데이터선 각각을 보상부(60)에 연결한다.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영상 표시 기간 동안 모두 턴 오프 상태이다. 또한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감지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턴 온 된다.
선택 구동부(75)는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 선택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선택 신호 또는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2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타이밍에 대응하는 선택부(70)에 대한 설명은 이후 도 2의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영상 표시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는 복수의 제1 선택 신호에 의해 턴 온 상태이므로, 복수의 화소 중 소정의 화소 행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각각은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로 발광한다.
감기 기간 동안,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복수의 제2 선택 신호 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 온 된다. 소정의 화소 열에 감지 신호가 전달되어 있는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선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73) 각각은 순차적으로 턴 온 되는 보상부 선택 스위치를 통해 보상부(60)에 연결된다. 그러면, 감지 신호가 전달된 화소 열의 복수의 화소(100) 각각이 보상부(6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복수의 감지 선 및 대응하는 화소 열의 복수의 화소(10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감지 신호가 전달된 복수의 화소(100) 각각에 대한 정보는 대응하는 제2 선택 신호에 따라 보상부(60)로 전달된다. 이 때, 화소에 대한 정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 이동도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린 전압이다.
타이밍 제어부(50)는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감지 구동부(40), 및 선택부(70)에 포함되는 선택 구동부(75)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의 영상 신호, 동기 신호, 클럭 신호를 전달받아 주사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감지 구동부(40), 및 선택부(70)에 포함되는 선택 구동부(75)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 전달한다.
타이밍 제어부(50)는 적색, 청색, 녹색의 성분을 갖는 영상 신호(RGB Image signal)를 입력 받고, 보상부(6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타이밍 제어부(50)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에 대한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영상 신호에 반영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구동부(30)에 전달되고, 데이터 구동부(30)는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표시부(10)의 복수의 화소에 전달한다. 그러면, 전체 화소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의 편차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의한 편차가 보상된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부 구성과 화소의 회로도를 도 2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도 2에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중 특히 보상부(60)를 포함한 일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었고, 복수의 데이터선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Dm)에 연결된 화소(100)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화소(10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 중 n 번째 화소 행과 m 번째 화소 열에 해당하는 위치의 화소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10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제1 트랜지스터(M3), 제2 트랜지스터(M2), 제3 트랜지스터(M4),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포함한다.
화소(100)는 애노드 전극에 유입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구동 전류를 전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M1)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제1 전원 전압(ELVDD)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전원 전압(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 전압(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타단 및 제1 전원 전압(ELVDD)에 접속된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압값에 대응하여 제1 전원 전압(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이 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량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시킨다.
제1 트랜지스터(M3)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복수의 데이터선 중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을 전달받는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복수의 감지선 중 화소(100)에 연결된 감지선(SE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복수의 데이터선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Dm)에 연결된다. 제1 트랜지스터(M3)는 감지선(SEn)에 게이트 온 전압 레벨의 감지 신호가 공급될 때 턴 온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턴 오프 된다. 상기 감지 신호는 감지 기간 동안 공급된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복수의 주사선 중 화소(100)에 연결된 주사선(Sn)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주사선(Sn)으로부터 전달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M1)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복수의 주사선 중 대응하는 주사선(S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복수의 데이터선 중 대응하는 데이터선(Dm)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n)에 게이트 온 전압 레벨의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 온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턴 오프 된다. 상기 주사 신호는 감지 기간 중 보상부(60)에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 센싱되는 기간 동안 및 데이터선(Dm)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기간 동안만 온 전압 레벨이다.
제3 트랜지스터(M4)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과 구동 트랜지스터(M1)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발광 제어선 중 화소(100)에 연결된 발광 제어선(EMn)에 접속되며, 발광 제어선(EMn)으로부터 전달되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3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극은 복수의 발광 제어선 중 대응하는 발광 제어선(EM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M4)는 발광 제어선(EMn)으로 게이트 온 전압 레벨을 가지는 발광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턴 온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턴 오프 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일단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 및 제1 전원 전압(ELVDD)에 접속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데이터선(Dm)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노드(N1)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변한다. 그런 다음, 구동 트랜지스터(M1)와 제3 트랜지스터(M4)의 턴 온에 의해 제 1 전원 전압(ELVDD)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까지의 전류 경로가 형성되면, 이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Vgs 전압값 즉,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의 전압과 제 1전원 전압(ELVDD)차에 해당하는 전압에 대응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며, 이에 대응되는 밝기로 발광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보상부(60)는 타이밍 제어부(50)와 선택부(70)에 연결되어 있고, 선택부(70)는 보상부(60)와 함께 데이터 구동부를 화소(100)에 연결하고 있다. 도 2에서 화소(100)는 표시부(10)를 구성하는 전체 복수의 화소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화소만을 대표적으로 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보상부(60), 타이밍 제어부(50), 선택부(70), 및 데이터 구동부의 보상 과정과 구동은 표시부(10)의 복수의 화소 전체에 대하여 수행됨은 물론이다.
도 2에서는, 선택부(70)의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중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 및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만을 도시하였다. 앞서 데이터 선으로부터 분기된 선이란 보상선(73)이다.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가 감지 기간 동안 턴 온 되면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를 통해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 화소(100)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진다.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에는 보상부(60)의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제2 전류 싱크부(605)가 연결되어 있다. 전류 소스부(601)는 제1 스위치(SW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되고, 제1 전류 싱크부(603)는 제2 스위치(SW3)에 의해 제어되며, 제2 전류 싱크부(605)는 제3 스위치(SW4)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스위치(SW2), 제2 스위치(SW3), 및 제3 스위치(SW4)는 하나의 노드에 공통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노드의 전압이 ADC(607)로 전달된다.
보상부(60)는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제2 전류 싱크부(605),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함)(607)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제2 전류 싱크부(605)는 각각 하나씩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제2 전류 싱크부(605)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는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제2 전류 싱크부(605)에 연결된 하나의 ADC(607)를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전류 소스부(601), 복수의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복수의 제2 전류 싱크부(605)에 각각 연결되거나 혹은 그루핑(grouping)하여 연결된 복수의 ADC(60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류 소스부(601)는 감지 기간 동안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중 하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가 턴 온 되면, 전류 소스부(601)에 포함된 제1 스위치(SW2)가 턴 온 되어,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선으로 제1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대응하는 데이터 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중 감지 스위치가 턴 온 된 화소로 제1 전류가 공급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SWm이고, 제1 전류가 공급되는 화소를 100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제1 전류가 턴 온 된 제1 트랜지스터(M3)를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흐른다. 이 때, 트랜지스터 M1, M2, M4는 턴 오프 상태이다. 그러면 제1 전류에 대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이하 '제1 전압'이라 함)이 ADC(607)로 공급된다. ADC(607)에 공급되는 제1 전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 정도를 반영하는 전압이다.
화소(100)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열화될수록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저항이 증가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은 저항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제1 전류가 공급되었을 때 열화되기 전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이하, 기준 구동 전압)과 현재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제1 전류가 공급되었을 때의 구동 전압을 비교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도를 알 수 있다. 즉, ADC(607)에 전달된 전압은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고, 보상부(60)는 기준 구동 전압에 대응하는 디지털 값과 이를 비교하여 열화도를 예측할 수 있다. 전류 소스부(601)에서 수행되는 화소(10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 검출은 복수의 감지 신호 각각이 대응하는 감지선에 전달되는 기간 동안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턴 온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감지 기간 동안 표시부(10)의 전체 화소의 제1 전압 각각이 ADC(607)에 전달된다.
감지 기간 동안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중 하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가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 M1, M2, M3 및 M4가 턴 온 되며, 제1 전류 싱크부(603)에 포함된 제2 스위치(SW3)가 턴 온 된다. 그러면 제1 전류 싱크부(603)는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선으로부터 제2 전류를 싱크한다. 그러면, 대응하는 데이터 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중 감지 스위치가 턴 온 된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M1)로부터 제2 전류가 싱크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는 SWm이고, 제2 전류가 싱크되는 화소를 100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제2 전류가 턴 온 된 제1 트랜지스터(M3)를 통해 제1 전원 전압(ELVDD)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M1)을 지나 싱크된다. 그러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린 전압(이하 '제2 전압'이라 함)이 ADC(607)로 공급된다. ADC(607)에 공급되는 제2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된다.
제2 전류의 전류값은 정해진 시간 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특히 고계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소(100)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흘러야 할 전류값(Imax)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전류 싱크부(603)에서 수행되는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압 검출은 복수의 감지 신호 각각이 대응하는 감지선에 전달되는 기간 동안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턴 온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감지 기간 동안 표시부(10)의 전체 화소의 제2 전압 각각을 모두 검출하여 ADC(607)에 전달한다.
한편, 제2 전류 싱크부(605)는 감지 기간 동안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중 하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가 턴 온 되고 트랜지스터 M1, M2, M3 및 M4가 모두 턴 온면, 제2 전류 싱크부(605)에 포함된 제3 스위치(SW4)가 턴 온 되어,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선으로부터 제2 전류를 싱크한다. 그러면, 대응하는 데이터 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중 감지 스위치가 턴 온 된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M1)로부터 제2 전류가 싱크된다.
그러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는 제2 전류에 대응하는 게이트 전압(이하 '제3 전압'이라 함)이 발생하고, 제3 전압은 ADC(607)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제3 전압을 이용하여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3 전류는 제2 전류에 비하여 낮은 전류값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저계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제3 전류는 최저 계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전류 싱크부(605)에서수행되는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3 전압 검출은 복수의 감지 신호 각각이 대응하는 감지선에 전달되는 기간 동안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턴 온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감지 기간 동안 표시부(10)의 전체 화소의 제3 전압 각각을 모두 검출하여 ADC(607)에 전달한다.
감지 기간 동안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해 센싱된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은 각각은 복수의 화소 각각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전자 이동도를 구하는데 이용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전류 싱크부와 한 개의 전류 소스부로보상부(60)를 구성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류 싱크부에서 싱크 전류값만을 달리 설정하여 센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ADC(607)는 표시부(10) 전체의 화소들에 대해 각각 센싱되어 전류 소스부(601), 제1 전류 싱크부(603), 및 제2 전류 싱크부(60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1 전압, 제2 전압, 및 제3 전압 각각을 디지털 값으로 각각 변환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보상부(60)는 메모리부(609) 및 제어부(613)를 구비한다.
메모리부(609)는 ADC(607)에서 전달받은 제1 전압, 제2 전압, 제3 전압들 각각의 디지털 값들을 저장한다.
제어부(613)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해 센싱된 제1 전압, 제2 전압, 제3 전압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편차, 및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각각의 열화도를 산출한다. 메모리부(609)는 산출된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M1)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편차, 및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각각의 열화도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613)는 구동 트랜지스터(M1) 이동도 편차의 변화량에 따라 감마를 조절한다. 메모리부(609)는 감마 값도 함께 저장한다.
이와 같이, 메모리부(609)는각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편차,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도, 및 감마 값을 화소 단위로 저장한다.
제어부(613)는 산출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상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산출한다. 이 때, 룩업테이블(611)은 영상 데이터 신호,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도 편차를 보상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저장하거나,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식을 저장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50)는 영상 신호에서 임의의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소정 비트의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613)로 전달한다. 제어부(613)는 해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이동도 편차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도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편차 및 열화도에 따라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룩업테이블(611)로부터 독출한다.
제어부(613)는 독출된 데이터 신호 보상량 및 감마를 타이밍 제어부(50)로 전달하고, 타이밍 제어부(50)는 영상 데이터 신호에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더하고 감마에 따라 영상 데이터 신호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30)로 전달한다.
이하 제어부(613)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편차를 산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613)는 상기 전압값들로부터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를 산출해낸다.
일례로 제2 전류의 전류값은 화소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의 전류값 Imax로 설정하고, 제3 전류의 전류값은 저계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값으로 설정하되, 특히Imax의 1/256에 해당하는 전류값 1/256Imax 로 설정한다.
상기 제2 전류 및 제3 전류로 각각 싱크하였을 때 도 4의 제1 노드(N1)에 인가되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값, 즉 제2 전압의 전압값(V1) 및 제3 전압의 전압값(V2) 각각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 및 2의 ELVDD는 제1 전원 전압(ELVDD)에서 공급되는 전압값으로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다.
또한 β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채널을 이동하는 전자의 이동도이며, |VthM1|은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고유 문턱 전압이다.
따라서,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제어부(613)는 두 개의 미지수인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Q2)과 이동도(Q1)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이처럼 산출된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Q2)과 이동도(Q1)는 메모리부(609)에 저장된다.
타이밍 제어부(5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1)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더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Data1)를 보정한다. 영상 데이터 신호(Data1)는 한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8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50)는 8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더해 다른 비트 수 예를 들면 10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Data2)는 10비트 단위의 디지털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신호가 된다.
보정 전의 영상 데이터 신호(Data1)의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를 보상하고,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편차에 무관하게 목적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도록 보상부(60)에서 결정된 값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으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를 구하여 외부 보상을 하는 경우에도, 중간 계조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하여, 무라(mura)등이 패널 내에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상부(60)는, 동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이동도(β)의 변화에 따라 감마(γ)를 조절한다. 이동도 변화에 따른 감마의 변화는 실험에 의한 데이터로 룩업테이블(611)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감마(γ)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중간 계조에서의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감마(γ)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보상하면, 영상 데이터 신호(data)와 데이터 전압(VDATA) 사이에 수학식 5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pat00005
수학식 5에서의 ELVDD는 제1 전원 전압(ELVDD)에서 공급되는 전압값으로서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다.
또한 β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채널을 이동하는 전자의 이동도이며, |VthM1|은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고유 문턱 전압이다.
또한 data는 영상 데이터 신호(2bit)이며 2n-1은 2bit 영상 데이터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이다. 감마(γ)는 동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β의 변화에 따라 이를 보상되는 값으로, β값의 변화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VthM1|은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고유 문턱 전압이다.
도 2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도 3 내지 도 6의 파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 신호의 보상을 위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 혹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 전압이 검출되고, 화소(100)가 발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제1 전류 싱크부(603)가 제2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4는 제2 전류 싱크부(605)가 제3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는 전류 소스부(601)가 제1 전압을 센싱하기 위한 파형도이며, 도 6은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어 화소(100)에서 영상이 표시되기 위한 파형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의 파형도는 도 2에 제시된 화소(100)의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 및 복수의 선택 스위치들이 PMOS인 것을 상정하여 제안한 것이며, 만일 화소(100)의 회로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 및 복수의 선택 스위치들이 NMOS로 구현된다면 파형도의 극성이 반전될 것이다.
도 3의 파형도에 따라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 센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점(t1)에서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접속된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를 제어하는 데이터 선택 신호(SWC1)가 하이 레벨로 전달되어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가 턴 오프 된다. 반면,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보상선(73)에 접속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는 이를 제어하는 보상부 선택 신호(SWCm)가 시점(t1)에서 로우 레벨로 전달되므로 턴 온 된다.
시점(t1)에서 화소(100)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n]), 발광 제어 신호(EM[n]), 및 감지 신호(SE[n]) 각각이 로우 레벨 전압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화소(100) 내에서 주사 신호(S[n])를 전달받은 제2 트랜지스터(M2), 발광 제어 신호(EM[n])를 전달받은 제3 트랜지스터(M4), 및 감지 신호(SE[n])를 전달받은 제1 트랜지스터(M3)가 시점(t1)에서 턴 온 된다.
제2 트랜지스터(M2), 제3 트랜지스터(M4), 및 제1 트랜지스터(M3)가 턴 온 되는 기간(P1) 동안, 제1 전류 싱크부(603)의 제2 스위치(SW3)는 로우 레벨의 선택 신호(SWC3)에 의해 턴 온 된다. 그러면 제2 전류가 이 기간 동안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싱크된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M1)가 턴 온 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까지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과 제1 전극의 전압차(Vgs)는 제2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제2 전압)이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상기 제2 전압은 제2 트랜지스터(M2)를 통해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을 경유하여 ADC(607)로 전달되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점(t3) 에서 시점(t4)까지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를 제어하는 데이터 선택 신호(SWC1)가 하이 레벨로 전달되어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가 턴 오프 된다. 반면,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보상선(73)에 접속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는 이를 제어하는 보상부 선택 신호(SWCm)가 시점(t3)에서 로우 레벨로 전달되므로 턴 온 된다.
시점(t3) 에서 화소(100)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n]), 발광 제어 신호(EM[n]), 및 감지 신호(SE[n]) 각각이 로우 레벨 전압으로 전달되어, 제2 트랜지스터(M2), 제3 트랜지스터(M4), 및 제1 트랜지스터(M3)를 각각 기간(P2) 동안 턴 온 시킨다.
이 때 제2 전류 싱크부(605)의 제3 스위치(SW4)는 로우 레벨의 선택 신호(SWC4)에 응답하여 턴 온 된다. 그러면 제2 전류 싱크부(605)가 기간(P2) 동안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제3 전류를 싱크한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M1)가 턴 온 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까지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과 제1 전극의 전압차(Vgs)는 제3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제3 전압)이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상기 제3 전압은 제2 트랜지스터(M2)를 통해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을 경유하여 ADC(607)로 전달되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보상부(60)의 메모리부(609)는상기 변환된 제2 전압 및 제3 전압의디지털 값을 각각 저장하고, 제어부(613)는 이들 전압값으로부터 화소(100)의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를 산출해낸다.
도 5의 파형도는 화소(10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이 센싱되는 기간의 파형도이다.
시점(t5)부터 시점(t6)까지의 기간(P3) 동안 데이터 선택 신호(SWC1)가 하이 레벨로 전달되어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가 턴 오프 되고, 보상부 선택 신호(SWCm)가 로우 레벨이므로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보상선(73)에 접속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가 턴 온 된다.
기간(P3) 동안, 주사 신호(S[n]) 및 발광 제어 신호(EM[n])는 하이 레벨 전압으로 전달되고, 감지 신호(SE[n])는 로우 레벨 전압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화소(100) 내에서 주사 신호(S[n])를 전달받은 제2 트랜지스터(M2) 및 발광 제어 신호(EM[n])를 전달받은 제3 트랜지스터(M4)는 기간(P3) 동안 턴 오프 되고, 감지 신호(SE[n])를 전달받은 제1 트랜지스터(M3)는 기간(P3) 동안 턴 온 된다.
이 때 전류 소스부(601)의 제1 스위치(SW2)는 로우 레벨의 선택 신호(SWC2)를 전달받아 그에 응답하여 턴 온 된다. 그러면 전류 소스부(601)가 기간(P3) 동안 턴 온 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선으로 제1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한다.
정상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경우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제1 전류에 대응하는 적절한 전압값이 될 것이지만, 열화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저항이 증가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이렇게 증가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은 제1 전압이고, 제1 전압이 턴 온 된 제1 트랜지스터(M3)를 통해 데이터선을 거쳐 ADC(607)로 전달되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메모리부(609)는 상기 변환된 제1 전압의 디지털 값을 저장하고, 제어부(613)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적절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도록 제1 전압을 기초로 하여 열화에 의해 증가된 전압값만큼 보상하는 데이터 신호 보상량을 결정한다.
도 6은 화소(100)가 정상적으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하기 위한 파형도를 나타낸다.
시점(t7) 내지 시점(t8)의 기간 동안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접속된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는 데이터 선택 신호(SWC1)가 로우 레벨이므로 이에 응답하여 턴 온 된다. 반면, 화소(100)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분기된 보상선(73)에 접속된 보상부 선택 스위치(SWm)는 이를 제어하는 보상부 선택 신호(SWCm)가 시점(t7) 내지 시점(t8)의 기간 동안 하이 레벨로 전달되므로 턴 오프 된다.
시점(t7)에서 화소(100)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n])가 로우 레벨 전압으로 공급되고, 제2 트랜지스터(M2)는 기간(P4) 동안 턴 온 된다.
기간(P4) 동안 상기 턴 온 된 데이터 선택 스위치(SW1)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30)는 대응하는 데이터선(Dm)으로 보상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 신호는 제2 트랜지스터(M2)를 거쳐 제1 노드(N1)에 전달되는데, 제1 노드(N1)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충전한다.
타이밍 제어부(50)는 보상부(60)로부터 화소(10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따른 보상량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 편차 및 이동도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량을 전달받고 외부에서 공급된 영상 데이터 신호(Data1)의 비트수를 증가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Data2)를 생성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회로도이고, 상기 화소로 공급되는 신호의 구동 파형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의 화소의 구성은 도 2의 화소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10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제1 트랜지스터(M3), 제2 트랜지스터(M2), 제3 트랜지스터(M4), 제4 트랜지스터(M5)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도 2의 화소와 비교하여 n 번째 발광 제어선(EMn)을 통해 대응하는발광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제3 트랜지스터(M4)가 노드 A 및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극과 제1 전원 전압(ELVDD)이 접속되는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전극은 복수의 발광 제어선 중 대응하는 발광 제어선(EM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노드(A)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M4)는 발광 제어선(EMn)으로 게이트 온 전압 레벨을 가지는 발광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턴 온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턴 오프 된다. 발광 제어 신호는 데이터선(Dm)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기간, 즉 데이터가 기입되는 기간 후에 게이트 온 전압 레벨로 전달된다. 그러면 구동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따른 구동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어 영상이 표시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일단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 및 제1 전원 전압(ELVDD)에 접속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충전한다. 데이터선(Dm)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단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제1 노드(N1)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변한다. 이 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선(Dm)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만큼 저장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타단은 노드(A)에 연결되어 있는데, 노드(A)와 보조 전원(Vsus) 사이에 제4 트랜지스터(M5)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4 트랜지스터(M5)의 게이트 전극은 복수의 주사선 중 대응하는 주사선(S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보조 전원(Vsus)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노드(A)에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M5)는 주사선(Sn)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 온 전압 레벨의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턴 오프 된다. 온 전압 레벨의 주사 신호는 보상부(60)에서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걸리는 전압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이 센싱되는 기간, 및 데이터선(Dm)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기간 동안 공급된다.
그러면 제4 트랜지스터(M5)가 상기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턴 온 되어 노드(A)로 보조 전원(Vsus)의 보조 전압을 전달한다. 보조 전압은 제1 전원 전압(ELVDD)의 IR drop 현상에 따라 강하되는 전압값을 보상할 수 있다.
도 7의 화소(100) 회로도를 참조하여 도 8의 파형도에 따라 영상 데이터 신호의 보상을 위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 혹은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 전압이 검출되고, 화소가 발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시점(t9)에서 화소(100)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n]) 및 감지 신호(SE[n]) 각각이 로우 레벨 전압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화소(100) 내에서 주사 신호(S[n])를 전달받은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4 트랜지스터(M5), 및 감지 신호(SE[n])를 전달받은 제1 트랜지스터(M3)가 시점(t9)에서 시점(t10)에 이르기까지 기간(P5) 동안 턴 온 된다.
그러면 보상부(60)로부터 소정의 전류가 싱크되어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과 제1 전극의 전압차(Vgs)는 소정의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이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상기 전압은 화소(100)에 연결된 데이터선(Dm)을 경유하여 보상부(6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1)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가 산출되고 보상량이 결정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미지 스틱킹을 보상하기 위해 화소(10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구동 전압이 검출되는 동안의 파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보상을 위한 전압의 센싱 과정 이후에 시점(t11)에서는 화소(100)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들 중 주사 신호(S[n])만이 로우 레벨로 인가되어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4 트랜지스터(M5)를 기간(P6) 동안 턴 온 시킨다.
기간(P6)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M1) 역시 턴 온 되며, 대응하는 데이터선(Dm)으로부터 소정의 보상된 데이터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만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되고 안정적인 제1 전원 전압(ELVDD)의 공급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제4 트랜지스터(M5)를 통해 보조 전압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인가된다.
다음으로 시점(t12)에서 대응하는 주사 신호(S[n])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대응하는 발광 제어 신호(EM[n])가 로우 레벨 전압으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4 트랜지스터(M5)는 턴 오프 되고, 제3 트랜지스터(M4)가 기간(P7) 동안 턴 온 되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압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전달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광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계조별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그래프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스틱킹 보상 및 균일 휘도를 위한 보상을 수행하고 이동도 불균일에 의한 편차를 보정하여 데이터 전압에 대한 오차를 제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화소 영상의 계조별 전류 곡선은 2.2 감마 곡선에 일치하여 저계조 데이터 영역까지 충분히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표시부 20: 주사 구동부
30: 데이터 구동부 3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33: 연산 증폭기 40: 감지 구동부
50: 타이밍 제어부 60: 보상부
70: 선택부 73: 보상 라인
75: 선택 구동부 100: 화소
601: 전류 소스부 603: 제1 전류 싱크부
605: 제2 전류 싱크부 607: ADC
609: 메모리부 611: 룩업 테이블
613: 제어부

Claims (21)

  1.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르는 구동 전류의 경로로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이동도의 변화를 구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보상부;
    상기 보상량을 전달받아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싱크부;
    상기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이동도의 편차를 구하고 상기 보상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결정된 보상량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싱크부는,
    소정의 제1 전류를 싱크하는 제1 전류 싱크부 및 상기 제1 전류보다 전류값이 낮은 제2 전류를 싱크하는 제2 전류 싱크부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값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가 산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소정의 제3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을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 정도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량은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로 인해 증가된 구동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값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소스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보상부와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사이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각각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의 접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선택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과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는 동안,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이 보상부에 전달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오프 되는 동안,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이 보상부에 전달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오프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 각각이 턴 온 되는 동안,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 전압이 복수의 화소 각각에 공급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르는 구동 전류의 경로로 소정의 전류를 싱크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소정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 이동도 및 상기 이동도의 편차를 구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량을 기초로 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는,
    제1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제1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류보다 전류값이 낮은 제2 전류를 싱크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제2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최대 휘도로 발광할 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값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소정의 제3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구동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전달받은 구동 전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열화 정도에 따른 보상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선을 통해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각각에서 분기된 복수의 보상선의 접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선택부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및 복수의 보상부 선택 스위치 각각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선택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압을 전달받는 단계가 수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달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일 전극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1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 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선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 각각의 제2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00018685A 2010-03-02 2010-03-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4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85A KR101147427B1 (ko) 2010-03-02 2010-03-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2/888,115 US8952951B2 (en) 2010-03-02 2010-09-2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85A KR101147427B1 (ko) 2010-03-02 2010-03-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81A true KR20110099581A (ko) 2011-09-08
KR101147427B1 KR101147427B1 (ko) 2012-05-22

Family

ID=4453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685A KR101147427B1 (ko) 2010-03-02 2010-03-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52951B2 (ko)
KR (1) KR10114742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081A (ko) * 2011-10-05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40147241A (ko) * 2013-06-19 2014-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41973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방법
KR20150078839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3284A (ko) * 2014-11-03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60055562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전압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감마 전압 생성 방법
KR20160057229A (ko) * 2014-11-13 2016-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9520082B2 (en) 2013-04-02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026758A (ko) * 2015-08-27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1583864A (zh) * 2020-06-11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WO2023080287A1 (ko) * 2021-11-05 2023-05-11 (주)블라썸테크놀로지 아몰레드 이미지 보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009B1 (ko) * 2006-01-16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79354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셔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
JP5195942B2 (ja) * 2011-01-24 2013-05-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走査型画像表示装置
KR101536129B1 (ko) 2011-10-04 2015-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463651B1 (ko) * 2011-10-12 2014-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493226B1 (ko) * 2011-12-26 2015-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화소 구동 회로의 특성 파라미터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000041B1 (ko) * 2011-12-29 2019-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15332B1 (ko) 2012-03-06 2016-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US10832616B2 (en) 2012-03-06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2708819B (zh) * 2012-05-10 2014-08-1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101917757B1 (ko) 2012-06-04 201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14694A (ko) * 2012-07-25 201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기의 영상 보상 장치 및 방법
TWI570680B (zh) * 2012-09-13 2017-02-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源極驅動器及更新伽瑪曲線的方法
CN102881257B (zh) * 2012-10-18 2015-02-04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主动式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驱动方法
CN102915702B (zh) * 2012-10-19 2015-06-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92904B1 (ko) * 2012-12-21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57660B1 (ko) 2013-03-07 2019-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11435B1 (ko) * 2013-03-07 2019-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6157178B2 (ja) * 2013-04-01 2017-07-0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3226931B (zh) * 2013-04-27 2015-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和有机发光显示器
CN103268755B (zh) * 2013-05-28 2015-01-14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主动式有机发光阵列驱动系统及驱动方法
CN103745685B (zh) * 2013-11-29 2015-11-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有源矩阵式有机发光二极管面板驱动电路及驱动方法
CN104282271B (zh) * 2014-10-24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的电阻压降的补偿电路
KR102237026B1 (ko) * 2014-11-05 2021-04-0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3360B1 (ko) * 2014-11-10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5810145B (zh) * 2014-12-30 2018-06-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像素、像素的驱动方法以及有机发光显示器
KR102470026B1 (ko) * 2015-09-09 2022-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653038B2 (en) * 2015-09-30 2017-05-16 Synaptics Incorporated Ramp digital to analog converter
KR102555096B1 (ko) * 2016-06-09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0497301B2 (en) * 2016-08-19 2019-12-03 Innolux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LED) and LED displaying circuit
KR102570976B1 (ko) * 2016-11-25 2023-08-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소자 특성 센싱 방법
EP3564940A4 (en) * 2016-12-27 2020-06-1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CONTROL METHOD FOR PIXEL CIRCUIT, PIXEL CIRCUIT GROUP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08269525B (zh) * 2017-01-03 2020-05-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Amole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7016964B (zh) * 2017-04-25 2020-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9215569B (zh) * 2017-07-04 2020-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7230454A (zh) * 2017-07-11 2017-10-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2519355B1 (ko) * 2018-02-02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9671392B (zh) * 2019-02-27 2021-11-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亮度补偿方法、显示器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686306B (zh) * 2019-03-05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补偿因子获取方法及装置、驱动方法、显示设备
KR20210052713A (ko) * 2019-10-30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60691A (ko) * 2019-11-1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0969987A (zh) * 2019-12-20 2020-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方法
CN111599316A (zh) * 2020-05-29 2020-08-2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20086900A (ko) * 2020-12-17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6580B2 (en) * 2005-06-30 2008-11-25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8659511B2 (en) * 2005-08-10 2014-02-25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4151714B2 (ja) 2006-07-19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858615B1 (ko) * 2007-03-22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93482B1 (ko) * 2007-08-23 2009-04-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939211B1 (ko) * 2008-02-22 2010-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08465B1 (ko) * 2008-06-04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결함을 보상하기 위한 영상 표시 장치
US8665295B2 (en) * 2008-11-20 2014-03-04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isplay initial-nonuniformity-compensated drve signal
KR101065419B1 (ko) * 2010-02-26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081A (ko) * 2011-10-05 2013-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9520082B2 (en) 2013-04-02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40147241A (ko) * 2013-06-19 2014-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41973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방법
KR20150078839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160053284A (ko) * 2014-11-03 2016-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60055562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전압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감마 전압 생성 방법
KR20160057229A (ko) * 2014-11-13 2016-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70026758A (ko) * 2015-08-27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1151947B2 (en) 2015-08-27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tilizing compensator to improve display quality
US11663979B2 (en) 2015-08-27 2023-05-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ata driver and compensator
CN111583864A (zh) * 2020-06-11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1583864B (zh) * 2020-06-11 2021-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1875742B2 (en) 2020-06-11 2024-01-16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rive circuit and driv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23080287A1 (ko) * 2021-11-05 2023-05-11 (주)블라썸테크놀로지 아몰레드 이미지 보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427B1 (ko) 2012-05-22
US8952951B2 (en) 2015-02-10
US20110216056A1 (en)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42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6541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017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234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33374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1760090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682690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36872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40038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1013328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50138177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3626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28013A (ko)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201122148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40095275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40028732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2020030286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9008026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3877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81809A (ko) 타일드 디스플레이와 그 휘도 보상 방법
KR2009013178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7002361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1667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20014714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WO2015190258A1 (ja) 電流駆動装置、および、電流駆動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