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865A -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865A
KR20110097865A KR1020117014197A KR20117014197A KR20110097865A KR 20110097865 A KR20110097865 A KR 20110097865A KR 1020117014197 A KR1020117014197 A KR 1020117014197A KR 20117014197 A KR20117014197 A KR 20117014197A KR 20110097865 A KR20110097865 A KR 20110097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ctivation
carriers
deactivation
wtr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870B1 (ko
Inventor
베누아 펠티에
크리스토퍼 알 케이브
펭준 시
다이아나 패니
폴 마리니어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9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다중 캐리어 불연속 송신(DTX) 및 불연속 수신(DRX) 활성화/비활성화 및 동작, 및 다중 캐리어 승인/부정 응답 피드백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다중 캐리어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결합하고 다중 캐리어의 DTX 및 DRX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결합하기 위한 조항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CARRIER UTI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이 출원은 2008년 11월 21일에 출원한 미국 예비 출원 제61/116,887호 및 2008년 12월 30일에 출원한 61/141,470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들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서 그 전체 내용을 설명한 것처럼 통합된다.
이 출원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연속적이고 더 고속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사업 목적, 레저 목적 또는 기타의 목적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다른 사용자 또는 정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하는 희망에 의해 촉발된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중 캐리어를 사용한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중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 캐리어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다중 캐리어의 사용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 및 비셀룰러 무선 시스템 모두에서 확대되고 있다. 다중 캐리어 시스템은 이용가능한 캐리어 수의 배수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 캐리어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 시스템에 비하여 대역폭을 2배로 할 수 있고, 삼중 캐리어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 시스템에 비하여 대역폭을 3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량 이득(throughput gain) 외에도, 다양성 및 결합 스케줄링 이득(joint scheduling gain)이 또한 기대된다. 이것은 최종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다중 캐리어의 사용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시스템과 관련해서, 이중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라고 부르는 새로운 특징이 3GPP 명세서의 릴리즈 8에 도입되었다. DC-HSDPA에 있어서, 동일한 지리적 영역은 동일 대역에 있는 최대 2개의 아마도 인접한 HSDPA 캐리어에 의해 커버된다. DC-HSDPA 시스템에서 동일 대역 내의 캐리어들 간에 주파수 다양성을 이용하면 시스템 성능이 개선된다. DC-HSDPA에 의해, 기지국(다른 변형체 또는 다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노드-B, 액세스 포인트, 사이트 제어기(site controller) 등으로도 부름)은 동시에 2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과 통신한다. 이것은 WTRU에 이용가능한 대역폭 및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2배로 할 뿐만 아니라 2개의 캐리어를 통한 고속 스케줄링 및 고속 채널 피드백에 의해 네트워크 효율을 증가시키는 가능성도 있다.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다중 캐리어 불연속 송신(DTX) 및 불연속 수신(DRX) 활성화/비활성화 및 동작, 및 다중 캐리어 승인/부정 응답 피드백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다중 캐리어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결합하고 다중 캐리어의 DTX 및 DRX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결합하기 위한 조항(provision)을 포함한다. 다중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하는 방법은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활성화/비활성화 명령 정보 및 캐리어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 캐리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로부터 결정되고,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와 관련하여 작용된다.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더 상세한 이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예로서 주어지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업링크 송신을 취급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시적인 송신/수신 유닛(WTRU) 및 예시적인 노드-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2개의 업링크 캐리어와 2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보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로 운반되는 2개의 채널을 보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오더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순차적 활성화/비활성화의 예시적 실현을 보인 도이다.
도 6은 모듈화 서명의 겹침을 이용하여 승인/부정응답(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도 7은 장기 진화(LTE)의 무선 통신 시스템/액세스 네트워크의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도 8은 LTE 무선 통신 시스템의 WTRU 및 노드-B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이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용어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사용자 설비(UE), 이동국, 고정식 또는 이동식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컴퓨터,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용어 "노드-B"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기지국, 사이트 제어기(site controller),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DL)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캐리어를 고정(anchor) 다운링크 캐리어 및 고정 업링크 캐리어로서 각각 지정할 수 있다. 다중 캐리어 동작에 있어서, WTRU는 2개 이상의 캐리어를 가지고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주파수라고도 인용된다. 상기 캐리어들은 각각 네트워크 및 WTRU와의 논리적 연합 및 별개의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동작 주파수는 그룹화되어 고정(anchor) 또는 1차 캐리어 및 보충(supplementary) 또는 2차 캐리어라고 인용된다. 2개 이상의 캐리어가 구성되면, WTRU는 하나 이상의 1차 캐리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2차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캐리어는 다운링크/업링크 송신을 위한 특정 집합의 제어 정보를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라고 정의될 수 있다. 고정 캐리어로서 지정되지 않은 임의의 캐리어는 보충 캐리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고정 캐리어를 지정하지 않고, 임의의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캐리어에 우선순위, 선호도 또는 디폴트 상태가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 "고정 캐리어", "1차 캐리어", "업링크 캐리어 1", "제1 캐리어", "제1 업링크 캐리어" 및 1차 업링크 주파수"는 편리성을 위해 여기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용어 "보충 캐리어", "2차 캐리어", "업링크 캐리어 2", "제2 캐리어", "제2 업링크 캐리어" 및 2차 업링크 주파수"는 여기에서 역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중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DC-HSUPA)를 포함하는 이중 셀 고속 패킷 액세스(DC-HSPA)의 일부로서, 아래의 정의/용어/가설이 도입되었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이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될 것이다. 첫째로, 섹터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고 동일한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셀이다. 둘째로, 2개의 캐리어는 동시 참조문(same time reference)을 가지며 그들의 다운링크는 동기화된다. 다음에, 용어 "고정 캐리어"는 WTRU에 지정된 업링크 주파수 캐리어와 관련된 다운링크 주파수 캐리어를 인용하고, 용어 "보충 캐리어"는 고정 캐리어가 아닌 다운링크 주파수 캐리어를 인용한다. 업링크 "고정" 캐리어는 명시적 구성을 통해 또는 특정 업링크/다운링크 캐리어 스페이싱을 통한 암시적 관계에 의해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업링크 캐리어를 인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TRU용으로 다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가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캐리어는 서로 인접할 수도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동일한 주파수 또는 라디오 대역(radio band) 및/또는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 캐리어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동일 대역에서 인접한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 및 동일 대역의 1개 또는 2개의 업링크 캐리어; 2개의 상이한 대역에 걸친 2개의 인접한 다운링크 캐리어 및 각 대역의 2개의 업링크 캐리어로 구성된 2개의 쌍; 또는 동일 대역에 있는 3개의 인접한 다운링크 캐리어 및 역시 동일 대역에 있는 1개 또는 2개의 (인접한) 업링크 캐리어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단편적 전용 물리 채널(fractional dedicated physical channel; F-DPCH), 향상된 절대적 허가 채널(enhanced-absolute grant channel; E-AGCH) 등과 같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반하는 다운링크 캐리어를 인용한다. 공동 파일럿 채널(CPICH),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및 고속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과 같은 다른 물리 채널들은 보충 또는 2차 캐리어와 같은 임의의 다운링크 캐리어로부터 읽을 수 있다. 1개 이상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1개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와 관련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반할 때,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는 "고정" 캐리어 속성으로 구성된 다운링크 캐리어를 인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어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는 서빙 HS-DSCH 셀을 전송하는 다운링크 캐리어를 인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WTRU용으로 단일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구성되면, 이것은 1차 다운링크 캐리어이다.
이하의 표시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다. 용어 DLn 및 ULn은 각각 n번째 2차 서빙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셀(2차 DL 캐리어) 및 n번째 2차 서빙 증대 전용 채널(E-DCH) 셀(2차 UL 캐리어)를 인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 n>0이다. 용어 DL0 및 UL0는 각각 1차 서빙 HS-DSCH 셀(1차 DL 캐리어) 및 1차 서빙 E-DCH 셀(1차 UL 캐리어)를 인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UL 캐리어는 DL 캐리어와 쌍을 이룬다. 반면에, DL 캐리어는 쌍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즉, 구성된 DL 캐리어의 수는 구성된 UL 캐리어의 수보다 크거나 같다). DL 캐리어가 UL 캐리어와 쌍을 이룬 경우, UL/DL 캐리어 쌍은 캐리어 쌍의 3개의 가능한 상태 사이의 천이를 커버하는 3개의 다른 오더(order)를 요구할 수 있다. 상태 1은 UL 캐리어와 DL 캐리어 모두가 활성으로 된 것을 의미하고, 상태 2는 UL 캐리어와 DL 캐리어가 모두 비활성으로 된 것을 의미하며, 상태 3은 DL 캐리어가 활성이고 UL 캐리어가 비활성으로 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UL 캐리어는 관련 DL 캐리어가 비활성이면 활성으로 되지 않을 수 있다.
DL 캐리어가 쌍을 이루지 않은 경우(즉, DL 캐리어가 관련 UL 캐리어를 갖지 않은 경우), 2개의 가능한 상태 사이의 천이를 커버하기 위해 2개의 다른 오더가 요구되고, 여기에서 상태 1은 DL 캐리어가 활성으로 된 것을 의미하고 상태 2는 DL 캐리어가 비활성으로 된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고속 패킷 액세스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의 명칭으로 마리니어(Marinier) 등이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2/610,284호에 개시된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허 출원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통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보인 도이고, 여기에서 업링크 송신은 다중 캐리어(160)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다운링크 송신은 다중 캐리어(170)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WTRU(110), 노드-B(120), 제어용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CRNC)(130), 서빙용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SRNC)(140) 및 코어 네트워크(150)를 포함하고 있다. 노드-B(120), CRNC(130) 및 SRNC(140)는 집합적으로 범용(universal)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180)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TRU(110)는 노드-B(120)와 통신하고, 노드-B(120)는 CRNC(130) 및 SRNC(140)와 통신한다. 도 1에는 3개의 WTRU(110), 하나의 노드-B(120), 하나의 CRNC(130) 및 하나의 SRNC(140)가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및 유선 장치의 임의 조합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WTRU(210) 및 노드-B(22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WTRU(210)는 노드-B(220)와 통신하고 양자는 소정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WTRU(210)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은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260)를 이용하여 노드-B(220)로 송신되고 노드-B(220)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은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270)를 이용하여 WTRU(210)로 송신된다.
WTRU(210)는 프로세서(215), 수신기(216), 송신기(217), 메모리(218), 안테나(219), 및 전형적인 WTRU에서 찾을 수 있는 기타의 요소들(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안테나(219)는 역시 WTRU(21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메모리(218)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로세서(215)는 단독으로 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연합하여 다중 캐리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신기(216) 및 송신기(217)는 프로세서(215)와 통신한다. 수신기(216) 및 송신기(217)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동시에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수신기 및/또는 다수의 송신기가 WTRU(210)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219)는 수신기(216) 및 송신기(217) 둘 다와 통신하여 무선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다중 캐리어 시나리오로 수행한다.
노드-B(220)는 프로세서(225), 수신기(226), 송신기(227), 메모리(228), 안테나(229), 및 전형적인 기지국 또는 노드-B에서 찾을 수 있는 기타의 요소들(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안테나(229)는 역시 노드-B(22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메모리(228)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프로세서(225)는 단독으로 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연합하여 다중 캐리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수신기(226) 및 송신기(227)는 프로세서(225)와 통신한다. 수신기(226) 및 송신기(227)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동시에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수신기 및/또는 다수의 송신기가 노드-B(220)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229)는 수신기(226) 및 송신기(227) 둘 다와 통신하여 무선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다중 캐리어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고, 다중 캐리어 불연속 수신(DRX) 및 불연속 송신(DTX)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며, 다중 캐리어 DRX 및 DTX 동작을 수행하고, 다중 캐리어에 대한 승인/부정 응답 피드백을 구현하는 몇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비록 특정 실시예가 다운링크(업링크) 또는 DRX(DTX)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여기에서 설명되지만,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업링크(다운링크) 또는 DTX(DRX) 시나리오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3GPP 릴리즈 4 내지 7과 관련된 채널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는 LTE 릴리즈 8, LTE-어드반스드와 같은 다른 3GPP 릴리즈(및 3GPP 릴리즈에서 사용하는 채널) 및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채널)에도 역시 적용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임의의 오더 또는 임의의 조합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보충 캐리어를 동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실시예가 설명된다. 특히, 도 3과 도 4는 다중 캐리어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사용하는 채널은 특수한 채널의 사용을 보여주고 있지만, 임의의 채널이 캐리어에 수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캐리어가 다른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WTRU는 그 구성된 HSDPA 캐리어의 일부에 의해 커버되고 다른 것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노드-B(300)와 WTRU(305)는 다운링크 캐리어 2(320) 및 업링크 캐리어 2(325)가 아닌 다운링크 캐리어 1(310) 및 업링크 캐리어 1(315)에 의한 통신 커버리지를 갖는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수신기/송신기 또는 송수신기에 포함되어 있는 라디오의 수에 상관없이 임의의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UTRAN이 HS-SCCH 오더를 사용하여 보충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HS-SCCH 오더는 노드-B(400)로부터 WTRU(405)까지 다운링크 캐리어 1(410)에 의해 수반되는 CH1(420)일 수 있다. 제1 예에 있어서, HS-SCCH 오더는 보충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개별 기준으로 제어한다. 이 HS-SCCH 오더는 그 오더에 따라서 어떤 캐리어가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시를 수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HS-SCCH 오더는 모든 보충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보존될 수 있다.
HS-SCCH 오더의 시그널링은 xodt ,1, xodt ,2, xodt , 3라고 표시된 오더 유형 비트 및 xord ,1, xord ,2, xord , 3라고 표시된 오더 비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오더 유형은 활성화/비활성화 오더를 표시하고 오더 비트는 오더가 적용되는 캐리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서, 만일 오더 유형 xodt ,1, xodt,2, xodt ,3='010'이면, 오더는 xord ,1, xord ,2, xord ,3에 의해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index)에 대하여 활성화 오더이다. 만일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1'이면, 오더는 xord ,1, xord ,2, xord ,3에 의해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에 대하여 비활성화 오더이다. 다른 보충 캐리어(xord,1, xord,2, xord,3에 의해 색인되지 않은 것)는 오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방법은 최대 8개의 보충 캐리어의 시그널링을 허용하지만 2개의 오더 유형을 필요로 한다. 단지 예시하는 목적으로만, 만일 오더 유형 xodt,1, xodt,2, xodt ,3='010' 및 오더 비트 xord ,1, xord ,2, xord ,3='111'이 수신되었으면, 보충 캐리어 색인 7과 관련된 보충 캐리어는 활성화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만일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0'이면, 오더는 xord ,1, xord ,2, xord ,3에 의해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에 대하여 비활성화 오더이다. 만일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3='011'이면, 오더는 xord ,1, xord ,2, xord ,3에 의해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에 대하여 활성화 오더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동적 전환(switching) 또는 활성화/비활성화는 만일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0'이면 실행된다. 그 다음에 오더 비트를 시험하여 적절한 동작 및 보충 캐리어를 결정한다. 만일 오더 비트 xord ,1=1이면 보충 캐리어 1이 활성화되고, 만일 오더 비트 xord ,1=0이면 보충 캐리어 1이 비활성화된다. 만일 오더 비트 xord ,2=1이면 보충 캐리어 2가 활성화되고, 만일 오더 비트 xord ,2=0이면 보충 캐리어 2가 비활성화된다. 만일 오더 비트 xord ,3=1이면 보충 캐리어 3이 활성화되고, 만일 오더 비트 xord ,3=0이면 보충 캐리어 3이 비활성화된다. 이 실시예는 단일 오더 유형을 사용하고 최대 3개의 보충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TRAN은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해 명시 신호(explicit signal)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 그룹은 하기 방법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둘 다에 대하여) 주어진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보충 캐리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주파수 대역과 명시 메시지 간의 관계는 명시 메시지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구성되거나 암시(implicit)된다. 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둘 다에 대하여) 모든 보충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 있는) 주어진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모든 다운링크 보충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특수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 모든 캐리어(업링키, 다운링크 또는 둘 다에 대하여)를 포함한다. 또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다운링크, 업링크 또는 둘 다에서 모든 비고정(non-anchor)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캐리어 그룹의 일부인 모든 캐리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캐리어의 그룹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캐리어의 미리 규정된 리스트이며, 그룹 내의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캐리어의 리스트는 라디오 운반자(bearer) 확립/재구성시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기(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미리 구성되거나 WTRU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그룹화 방법에 있어서, 그룹은 캐리어 그룹의 일부인 모든 캐리어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다운링크 캐리어의 그룹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RNTI(H-RNTI)과 같은 동일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를 WTRU가 할당한 모든 캐리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그룹화 방법은 여기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명시 신호(explicit signaling) 실시예는 포괄적으로 나타내었고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명시 신호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기존의 오더와는 다른 새로운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오더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예를 들면 WTRU가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뿐만 아니라 캐리어, 예를 들면 모든 보충 서빙 HS-DSCH 셀 캐리어의 그룹을 표시하도록 다중 캐리어 동작용으로 구성될 때 재해석되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기존의 오더일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오더는 그들 각각의 대역에서 "보충"으로 간주되는 캐리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은 주어진 대역에서 고정인 다운링크(DL) 캐리어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2 또는 L3 명시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명시 실시예에 있어서, 명시 메시지는 명시 메시지가 송신되었던 대역 내의 캐리어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명시 실시예에 있어서, 명시 메시지는 동일한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보충 캐리어들에 적용될 수 있다.
캐리어마다(per-carrier) 또는 개별적 또는 쌍을 이룬 캐리어마다(미리 규정되거나 미리 지정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음)의 기반으로 구현되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의 세부는 뒤에서 설명된다. 다수의 HS-SCCH 오더가 다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기존의 오더 유형은 각종 오더 맵핑 방법과 함께 재사용되어 활성화/비활성화 오더를 제공하고 활성화/비활성화 오더를 적용할 수 있는 목표 캐리어(targeted carrier)(또는 목표된 쌍을 이룬 캐리어)를 표시한다. DC-HSPA에 있어서, 기존의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01'에 대하여 3개의 비트 오더(xord ,1, xord ,2, xord ,3)가 제1 2차 캐리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오더 맵핑 방법은 다수의 2차 캐리어가 있는 MC-HSPA에 대하여 목표 2차 캐리어를 개별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해 기존의 오더 유형(xodt ,1, xodt ,2, xodt,3)='001'의 재사용과 함께 사용된다.
제1 방법에 있어서, 단일의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다. 단일의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 때, 3개의 비트 오더는 최대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가진 MC-HSDPA 시스템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 하나의 2진 오더 비트는 각각의 2차 다운링크 캐리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오더 비트 '1'과 '0'은 각각 활성화와 비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와 활성화를 표시할 수 있다), 나머지의 오더 비트는 오더가 적용된 목표 2차 다운링크 캐리어의 색인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3개의 2차 다운링크 캐리어의 개별적 활성화/비활성화는 3개의 오더 비트만을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최대 K개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가진 MC-HSDPA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K-1)개의 2차 다운링크 캐리어의 개별적 활성화/비활성화는 N개(여기에서, N은 N≥[1+log2(k-1)]을 만족시키는 정수이다)의 오더 비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오더 비트와 캐리어 간의 맵핑은 임의의 오더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4개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구성된 MC-HSDPA에서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HS-SCCH 오더를 표시하는 표 1의 예로 나타낸 것처럼 각 다운링크 캐리어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상이한 HS-SCCH 오더들이 보내질 수 있다. 실제 명령 대 비트(command-to-bit) 맵핑은 표 1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 개념은 4개 미만의 다운링크 캐리어가 있는 때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구성되지 않은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와 관련된 오더는 "보존(reserved)"으로 변경된다. 이것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뒤에서 나타내는 실제 명령 대 비트 맵핑은 캐리어마다 또는 그룹마다의 기반으로 적용될 수 있다.
4 DL + 1 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1의 비활성화
0 0 1 DL1의 활성화
0 1 0 DL2의 비활성화
0 1 1 DL2의 활성화
1 0 0 DL3의 비활성화
1 0 1 DL3의 활성화
1 1 0 보존
1 1 1 보존
제2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다. 아래의 실시예들의 집합은 2개의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 경우에 관한 것이고, 여기에서 기존의 3개의 비트(xord ,1, xord ,2, xord ,3)는 보충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 재해석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은 단일의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 때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나 있고, 여기에서 각 HS-SCCH 오더는 하나의 오더 비트로 표시될 수 있는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 또는 쌍을 이룬 다운링크/업링크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고, 나머지의 오더 비트는 목표 캐리어 또는 목표된 쌍을 이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오더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xord ,1=0이면, 오더는 쌍을 이룬 DL1/UL1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오더이다. 만일 xord ,1=1이면, 오더는 단일 다운링크 캐리어(즉, DL2 또는 DL3)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오더이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다수의 HS-SCCH 오더가 노드-B에 의해 보내질 수 있다. 실제 명령 대 비트 맵핑은 표 2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예시적인 HS-SCCH 오더는 MC-HSPA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4 DL + 2 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1의 비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0 1 DL1의 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1의 활성화, UL1의 활성화
1 0 0 DL2의 비활성화
1 0 1 DL2의 활성화
1 1 0 DL3의 비활성화
1 1 1 DL3의 활성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다운링크 캐리어, 예를 들면, DL2와 DL3는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단일 HS-SCCH 오더를 이용하여 동시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 예에서, xord ,2 비트는 DL2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xord ,3 비트는 DL3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제 명령 대 비트 맵핑은 MC-HSPA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예시적인 HS-SCCH 오더를 보여주는 표 3에 나타낸 것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4 DL + 2 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1의 비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0 1 DL1의 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1의 활성화, UL1의 활성화
1 0 0 DL2의 비활성화, DL3의 비활성화
1 0 1 DL2의 비활성화, DL3의 활성화
1 1 0 DL2의 활성화, DL3의 비활성화
1 1 1 DL2의 활성화, DL3의 활성화
다른 실시예들의 집합은 업링크에 4개의 캐리어가 구성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은 단일 업링크 캐리어가 구성된 때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제2 및 제3의 2차 캐리어 쌍, 즉 DL2/UL2 및 DL3/UL3의 활성화/비활성화는 함께 신호될 수 있다. 예로서, HS-SCCH 오더 "111", "101" 및 "100"은 제2 및 제3의 2차 캐리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동시에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는 MC-HSPA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예시적인 HS-SCCH 오더를 보여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xord ,1=0이면, 릴리즈 9 DC-HSUPA 오더 맵핑이 제1의 2차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다. 만일 xord ,1=1이면, 릴리즈 9 DC-HSUPA 오더 맵핑이 제2 및 제3의 2차 캐리어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2개의 다른 조합, 즉, 릴리즈 9 DC-HSUPA에 대한 백워드 능력(backward capability)을 고려하지 않고 제1 및 제2의 2차 캐리어가 함께 신호되는 경우, 또는 제1 및 제3의 2차 캐리어가 함께 신호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4 DL + 4 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1의 비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0 1 DL1의 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1의 활성화, UL1의 활성화
1 0 0 DL2/DL3의 비활성화, UL2/UL3의 비활성화
1 0 1 DL2/DL3의 활성화, UL2/UL3의 비활성화
1 1 0 보존
1 1 1 DL2/DL3의 활성화, UL2/UL3의 활성화
4개의 다운링크 및 4개의 업링크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L/DL 캐리어 쌍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제2 캐리어 둘 다에 대한 단일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제3 캐리어 둘 다에 대한 단일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이용하여 제2 및 제3의 2차 캐리어에 대해 함께 활성화/비활성화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더를 암시적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HS-SCCH 번호는 어떤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이 목표되었는지를 표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만일 (HS-SCCH 번호) 모드(mod)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1의 2차 캐리어에만 목표정해지고, 011은 제1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001은 제1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000은 제1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한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mod)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2 및 제3 캐리어에 목표정해지고, 011은 제2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001은 제2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000은 제2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하고, 111은 제3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101은 제3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100은 제3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2의 2차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1 및 제3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3의 2차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1 및 제2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따라서, 오더는 위의 예에서 보인 것처럼 상기 목표 정해진 캐리어에 적용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1 및 제2의 2차 캐리어에 목표정해지고, 011은 제1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001은 제1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000은 제1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하고, 111은 제2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101은 제2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100은 제2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한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3의 2차 캐리어에만 목표정해지고, 011은 제3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활성화를 의미하고; 001은 제3의 2차 다운링크의 활성화 및 2차 업링크의 비활성화를 의미하며; 000은 제3의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의 비활성화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2및 제3의 2차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1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대안적으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제1 및 제3의 2차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제2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따라서, 오더는 위의 예에서 보인 것처럼 상기 목표 정해진 캐리어에 적용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0이면, HS-SCCH 오더는 구성된 제1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마찬가지로 만일 (HS-SCCH 번호) 모드 2=1이면, HS-SCCH 오더는 구성된 2차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캐리어에 목표정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활성화로 목표정해진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은 어떤 캐리어로 HS-SCCH 오더가 송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활성화 오더는 비활성화될 캐리어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반면에, 활성화 오더는 임의의 활성 캐리어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현예는 표 5에 나타나 있고, 표 5에서 DLrx 및 ULrx는 HS-SCCH 오더를 수신한 다운링크 캐리어와 관련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응한다. 표 5는 MC-HSPA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HS-SCCH 오더를 보여준다.
4 DL + 4 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rx의 비활성화, ULrx의 비활성화
0 0 1 DLrx의 활성화, ULrx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rx의 활성화, ULrx의 활성화
1 0 0 보존
1 0 1 DL1의 활성화
1 1 0 DL2의 활성화
1 1 1 DL3의 활성화
선택적으로, "100"은 모든 캐리어를 동시에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활성화로 목표정해진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은 어떤 주파수 대역으로 HS-SCCH 오더가 송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주어진 주파수 대역의 모든 캐리어에 대한 비활성화 오더는 비활성화될 주파수 대역의 임의의 캐리어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반면에, 활성화 오더는 임의의 활성 캐리어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오더 유형을 도입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HS-SCCH 오더의 수는 추가적인 오더 유형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더 많은 HS-SCCH 오더를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아래의 표 6에 나타낸 하나의 예시적인 실현예에 있어서, DL1, DL2, UL1 및 UL2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보내기 위해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01'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새로운 오더 유형 xodt,1, xodt ,2, xodt ,3='010'은 DL3 및 UL3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된다. 표 6은 MC-HSPA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HS-SCCH 오더를 예시한 것이다.
4 DL + 4 UL(릴리즈 9 DC-HSUPA와 호환하는 백워드)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DL1의 비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0 1 DL1의 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1의 활성화, UL1의 활성화
1 0 0 DL2의 비활성화, UL2의 비활성화
1 0 1 DL2의 활성화, UL2의 비활성화
1 1 0 보존
1 1 1 DL2의 활성화, UL2의 활성화



G010
0 0 0 DL3의 비활성화, UL3의 비활성화
0 0 1 DL3의 활성화, UL3의 비활성화
0 1 0 보존
0 1 1 DL3의 활성화, UL3의 활성화
1 0 0 보존
1 0 1 보존
1 1 0 보존
1 1 1 보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HS-SCCH 오더의 일부로서 보내지는 오더 유형은 캐리어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GPP 릴리즈 9에 있어서, 오더 유형 xodt,1, xodt,2, xodt ,3='000'은 DTX, DRX 및 HS-SCCH-레스(less) 동작에 관련된 명령을 신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01'은 DL1 및 UL1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일부로서, 각각의 추가적인 다운링크 캐리어(아마도 이들은 각각 업링크 캐리어에 대응할 것이다)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오더 유형이 규정될 수 있다. 예로서, xodt ,1, xodt,2, xodt ,3='010'은 DL2 및 UL2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신호할 때 사용되고, xodt ,1, xodt,2, xodt ,3='011'은 DL3 및 UL3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신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수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쌍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신호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이용가능한 오더 유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3GPP 릴리즈 9에 대하여 현재 규정되어 있는 기존의 오더 비트 xord ,1, xord ,2, xord , 3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캐리어 쌍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쌍은 그 다음에 오더 유형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HS-SCCH 오더 필드 내의 비트의 수는 4DL 및 4UL 캐리어를 가진 MC-HSPA 시스템에서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 증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오더 비트, 예를 들면 xord ,4는 운송 블록 사이즈 정보(xtbspb ,1, xtbspb,2,..., xtbspb ,6,) 필드에 있는 6개의 비트 중의 임의의 비트 및/또는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xnd ,1) 필드의 1 비트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3 비트 오더 유형 및 3 비트 오더를 가진 각종 활성화/비활성화 오더 맵핑 방식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임의 방법에 의해 오더 및/또는 오더 유형의 길이가 증가한 후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1개 또는 2개의 HS-SCCH 오더 유형 비트는 HS-SCCH 오더 비트로서 재해석될 수 있다. 예로서, xodt ,1 비트는 xord ,4로서 재해석되어 더 많은 HS-SCCH 명령을 허용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WTRU가 다중 캐리어 모드로 구성될 때 HS-SCCH 오더를 송신하기 위해 새로운 HS-SCCH 유형, 예를 들면, 유형 4를 도입할 수 있다. WTRU 구성은 상위층으로부터 신호될 수 있다. HS-SCCH 유형 4는 MC-HSPA 시스템에 있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 충분한 오더 비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HS-SCCH 오더의 단일 집합(또는 집합들의 조합)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순차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태 505는 활성 캐리어 DL0 및 UL0를 포함하고, 명령 "001"은 상태 510에서 DL1을 추가로 활성화한다. 더욱이, 상태 515 및 520에서 캐리어 DL2, UL2, DL3 및 UL3를 각각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오더 집합 "101", "111" 및 "100"이 도입될 수 있다. 기존의 3GPP 릴리즈 9 오더 "001", "011" 및 "000"은 이 예에서 DL1 및 UL1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대안적으로, "000"은 기본 상태 505로 되돌아가기 위해 임의의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상태 505에서 모든 2차 캐리어는 비활성화된다.
이제 그룹 기반으로 구현되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의 활성화/비활성화 오더가 캐리어의 전체 그룹에 적용될 수 있도록 2차 캐리어의 그룹이 규정될 것이 제안된다. 그룹화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그룹화 방법 중 임의의 방법 또는 방법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UTRAN은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되도록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명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개별적인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위에서 규정한 신호 메카니즘이 캐리어 그룹의 활성화/비활성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의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오더가 특수 캐리어 그룹에 적용될 수 있음을 WTRU에 신호하기 위해 새로운 HS-SCCH 오더 유형, 예를 들면, (xodt ,1, xodt,2, xodt ,3)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오더 유형 "010"은 활성화/비활성화 오더가 그룹 다운링크 1(GDL1) 및/또는 그룹 업링크 1(GUL1)에서 규정된 모든 캐리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WTRU에 신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 7은 4DL+2UL 캐리어에 대해 새로운 HS-SCCH 오더 유형을 사용한 그룹식 활성화/비활성화의 예시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이다.
4 DL + 4 UL(릴리즈 9 DC-HSUPA와 호환하는 백워드)
오더 유형
(xodt,1, xodt,2, xodt,3)
오더 명령의 실행
xord ,1 xord ,2 xord ,3



001



DL1의 비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DL1의 활성화, UL1의 비활성화
보존
DL1의 활성화, UL1의 활성화
DL2의 비활성화
DL2의 활성화
DL3의 비활성화
DL3의 활성화

010

GDL1의 비활성화, GUL1의 비활성화
GDL1의 활성화, GUL1의 비활성화
보존
GDL1의 활성화, GUL1의 활성화
다른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그룹 오더는 캐리어의 비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캐리어의 활성화는 개별 오더를 통하여 또는 위에서 설명한 캐리어마다의 기반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더 비트 "000"을 가진 기존의 오더 유형 "001"의 범위는 모든 구성된 캐리어의 오더일 수 있다. 그래서, 노드-B에 의한 이 오더의 송신은 모든 활성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캐리어의 비활성화를 신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HS-SCCH 오더는 모든 구성된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 중 임의의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더 비트와 함께 오더 유형에 의해 표시되는 각 HS-SCCH 오더는 구성된 모든 2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의 상태를 표시하고, 오더와 상태 간의 맵핑은 임의의 오더 내에 있을 수 있다. 4DL+1UL, 4DL+2UL, 4DL+3UL 및 4DL+4UL과 같이 상이한 캐리어 구성이 주어지면, 결과적인 활성화/비활성화 캐리어 상태의 총 수는 각각 8, 12, 18 및 27이다. 이것은 4DL+1UL 캐리어가 3 비트 오더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4DL+2UL, 4DL+3UL 및 4DL+4UL과 같은(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복수의 업링크 캐리어를 가진 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3 비트 오더 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는 단지 2차 캐리어만이 HS-SCCH 오더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것을 가정한 것임에 주목한다. 그러나, 구성된 모든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비활성화하는 것은 1차 DL/UL 캐리어가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경우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단일 업링크 캐리어 구성에 있어서, 3 비트 오더(xord ,1, xord ,2, xord ,3)가 현재 지정된 HS-SCCH 오더로부터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오더 유형(xodt ,1, xodt ,2, xodt ,3)='001' 및 3 비트 오더는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가 표 8에 나타나있고, 여기에서 어떤 캐리어가 활성화되고 및/또는 어떤 캐리어가 비활성화되는지를 명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이한 HS-SCCH 오더가 사용된다. 앞의 표 1의 실시예와 비교한 이 실시예의 장점은 단일 오더를 이용하여 다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활성화/비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실제 명령 대 비트 맵핑은 표 8에 나타낸 것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각 명령에 대하여 규정된 캐리어 구성의 실제 조합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4DL +1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결과적인 캐리어 구성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UL0;DL0 DL1,DL2,DL3 비활성화
0 0 1 UL0;DL0,DL1 DL2,DL3 비활성화
DL1 활성화
0 1 0 UL0;DL0,DL2 DL1,DL3 비활성화
DL2 활성화
0 1 1 UL0;DL0,DL3 DL1,DL2 비활성화
DL3 활성화
1 0 0 UL0;DL0,DL1,DL2 DL3 비활성화
DL1,DL2 활성화
1 0 1 UL0;DL0,DL1,DL3 DL2 비활성화
DL1,DL3 활성화
1 1 0 UL0;DL0,DL2,DL3 DL1 비활성화
DL2,DL3 활성화
1 1 1 UL0;DL0,DL1,DL2,DL3 DL1,DL2,DL3 활성화
다중 업링크 캐리어 구성의 경우에, 기존의 오더 유닛 및 3 비트 오더는 결과적인 활성화/비활성화 캐리어 상태를 맵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하기의 방법들 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오더 유형이 MC-HSPA에 대하여 규정된다. 현재의 HS-SCCH 오더 물리 채널에는 3 비트 오더 유형(xodt ,1, xodt ,2, xodt ,3)이 있고, 이것은 8 오더 유형을 표시한다. 릴리즈 9 DC-HSUPA에 있어서, 오더 유형 xodt ,1, xodt,2, xodt ,3='000' 및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01'의 일부가 사용된다. 새로운 오더 유형은 1개 이상의 구성된 업링크 캐리어를 가진 MC-HSPA에서 모든 결과적인 활성화/비활성화 캐리어 상태를 맵하기 위해 더 많은 명령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DL 및 4UL 캐리어를 지원하기 위해, 27개의 결과적인 캐리어 구성 상태가 오더 유형 및 오더 비트의 조합에 의해 명령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7개의 오더 유형을 제공하는 3 비트 오더 유형(xodt ,1, xodt ,2, xodt ,3)은 3 비트 오더(xord ,1, xord,2, xord,3)와 함께 충분한 오더를 생성할 수 있다. 표 9는 보존된 (이용가능한) 명령과, 4DL 및 4UL 캐리어를 가진 MC-HSPA 시스템의 모든 결과적인 캐리어 구성 상태 간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 명령 대 비트 맵핑은 표 9에 나타낸 것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각 명령에 대하여 규정된 캐리어의 실제 조합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4DL + 4UL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
오더 결과적인 캐리어 구성
명령의 설명
xord ,1 xord ,2 xord ,3







001
0 0 0 UL0;DL0 DL1,DL2,DL3,UL1,UL2,UL3 비활성화
0 0 1 UL0;DL0,DL1 DL2,DL3,UL1,UL2,UL3 비활성화
DL1 활성화
0 1 0 보존 보존
0 1 1 UL0,UL1;DL0,DL1 DL2,DL3,UL2,UL3 비활성화
DL1,UL1 활성화
1 0 0 UL0;DL0,DL2 DL1,DL3,UL1,UL2,UL3 비활성화
DL2 활성화
1 0 1 UL0;DL0,DL3 DL1,DL2,UL1,UL2,UL3 비활성화
DL3 활성화
1 1 0 UL0;DL0,DL1,DL2 DL3,UL1,UL2,UL3 비활성화
DL1,DL2 활성화
1 1 1 UL0;DL0,DL1,DL3 DL2,UL1,UL2,UL3 비활성화
DL1,DL3 활성화







010
0 0 0 UL0;DL0,DL2,DL3 DL1,UL1,UL2,UL3 비활성화
DL2,DL3 활성화
0 0 1 UL0;DL0,DL1,DL2,DL3 UL1,UL2,UL3 비활성화
DL1,DL2,DL3 활성화
0 1 0 UL0,UL1;DL0,DL1,DL2 DL3,UL2,UL3 비활성화
DL1,DL2,UL1 활성화
0 1 1 UL0,UL1;DL0,DL1,DL3 DL2,UL2,UL3 비활성화
DL1,DL3,UL1 활성화
1 0 0 UL0,UL1;DL0,DL1,DL2,DL3 UL2,UL3 비활성화
DL1,DL2,DL3,UL1활성화
1 0 1 UL0,UL1,UL2;DL0,DL1,DL2 DL3,UL3 비활성화
DL1,DL2,UL1,UL2활성화
1 1 0 UL0,UL1,UL2;DL0,DL1,DL2,DL3 UL3 비활성화
DL1,DL2,DL3,UL1,UL2 활성화
1 1 1 UL0,UL1,UL2,UL3;DL0,DL1,DL2,DL3 DL1,DL2,DL3,UL1,UL2,UL3 활성화







011
0 0 0 UL0,UL2;DL0,DL2 DL1,DL3,UL1,UL3 비활성화
DL2,UL2 활성화
0 0 1 UL0,UL2;DL0,DL1,DL2 DL3,UL1,UL3 비활성화
DL1,DL2,UL2 활성화
0 1 0 UL0,UL2;DL0,DL2,DL3 DL1,UL1,UL3 비활성화
DL2,DL3,UL2 활성화
0 1 1 UL0,UL2;DL0,DL1,DL2,DL3 UL1,UL3 비활성화
DL1,DL2,DL3,UL2활성화
1 0 0 UL0,UL3;DL0,DL3 DL1,DL2,UL1,UL2 비활성화
DL3,UL3 활성화
1 0 1 UL0,UL3;DL0,DL1,DL3 DL2,UL1,UL2 비활성화
DL1,DL3,UL3 활성화
1 1 0 UL0,UL3;DL0,DL2,DL3 DL1,UL1,UL2 비활성화
DL2,DL3,UL3 활성화
1 1 1 UL0,UL3;DL0,DL1,DL2,DL3 UL1,UL2 비활성화
DL1,DL2,DL3,UL3활성화







100
0 0 0 UL0,UL2,UL3;DL0,DL2,DL3 DL1,UL1 비활성화
DL2,DL3,UL2,UL3활성화
0 0 1 UL0,UL2,UL3;DL0,DL1,DL2,DL3 UL1 비활성화
DL1,DL2,DL3,UL2,UL3 활성화
0 1 0 UL0,UL1,UL3;DL0,DL1,DL3 DL2,UL2 비활성화
DL1,DL3,UL1,UL3활성화
0 1 1 UL0,UL1,UL3;DL0,DL1,DL2,DL3 UL2 비활성화
DL1,DL2,DL3,UL1,UL3 활성화
1 0 0 보존 보존
1 0 1 보존 보존
1 1 0 보존 보존
1 1 1 보존 보존
두번째 방법에 있어서, 오더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오더 유형을 오더 비트로서 재해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오더 비트의 길이를 3 비트로부터 6 비트로 증가시킬 것이고, 이 6 비트는 오더 유형으로부터의 3 비트와 오더 비트로부터의 3 비트이다. 이것은 4DL+4UL 캐리어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 백워드 호환성이 릴리즈 9 DC-HSUPA에 대해 유지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오더 유형 xodt,1, xodt ,2, xodt ,3='000'이 3 비트 오더와 함께 MC-HSPA의 2차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의 것들은 DTX, DRX 및 HS-SCCH-레스 동작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서 및 릴리즈 9의 HS-DSCH 서빙 셀 변경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대안적인 방법에 있어서, 운송 블록 사이즈 정보의 일부와 결합된 보존된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는 오더 유형 및/또는 오더로서 재해석될 수 있다. HS-SCCH 오더와 관련된 HS-PDSCH가 없기 때문에, 6 비트 운송 블록 사이즈 정보(xtbspb ,1, xtbspb,2,..., xtbspb ,6)의 일부 및/또는 1 비트의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xnd ,1)는 오더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재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tbspb ,5,xtbspb ,6)와 xnd ,1은 HS-SCCH 유형 1의 오더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만일 xnd ,1이 사용되면, xnd ,1은 HS-SCCH 오더(HS-SCCH 유형 1)에 대하여 xord ,4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만일 (xtbspb ,4,xtbspb ,5,xtbspb ,6)이 사용되면, HS-SCCH 오더(HS-SCCH 유형 3)는 xtbspb ,1,xtbspb ,2,...,xtbspb ,6으로 되고 '1,1,1,xord ,4, xord ,5, xord ,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재해석된 비트는 오더 유형 또는 오더의 임의의 비트에 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형 4와 같은 새로운 HS-SCCH 유형은 WTRU가 다중 캐리어 동작 또는 다중 캐리어(MC) 모드용으로 구성된 때 HS-SCCH 오더를 송신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MC 모드 상태는 상위층으로부터(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명시적으로 신호될 수 있다. HS-SCCH 유형 4는 MC-HSPA 시스템에서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충분한 오더 비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MC-HSPA에 대하여 다수의 HS-SCCH 오더를 신호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HS-SCCH 오더가 임의의 캐리어로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서빙 셀은 예를 들면 4DL 및 4UL 캐리어를 가진 MC-HSPA에서 2차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HS-SCCH 오더를 캐리어마다(또는 미리 규정되거나 미리 지정되거나 미리 구성된 개별적 또는 쌍을 이룬 캐리어마다)의 기반으로 또는 그룹 기반으로 신호할 수 있다. 다른 오더들은 다른 오더 유형 및 오더를 가질 수 있다. 이 방법은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희생하면서 4DL 및 4UL 캐리어 이상이 있는 MC-HSPA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TRAN은 각 캐리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명시 L1 신호를 독립적으로 송신한다.
첫번째 방법에서, L1 신호는 다중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수반하는 HS-SCCH 오더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주어진 캐리어에 대해 HS-SCCH 오더 유형 비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맵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맵핑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암시적(implicit)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HS-SCCH 오더는 목표 캐리어 주소와 함께 단일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만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4개의 캐리어 중 하나를 표시하도록 HS-SCCH 오더 유형의 2 비트를 보존하고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도록 다른 비트를 보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 L1 신호는 다중 캐리어의 동시 활성화/비활성화를 신호하도록 재해석된 비트 필드를 가진 향상된 전용 채널(enhanced dedicated channel; E-DCH) 절대적 허가 채널(Absolute Grant Channel; E-AGCH)을 포함한다. 세번째 방법에서, L2 또는 L3 메시지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명시 명령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WTRU에서 암시 규칙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발생은 하기의 파라미터 중 임의의 것에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기초를 둔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는 총 E-DCH 버퍼 상태(TEBS)와 같은 버퍼 상태일 수 있다. 파라미터는 고정 셀(anchor cell)에서의 수신된 운송 블록 사이즈, 스케줄링 정보(SI)에 의해 표시된 파워 헤드룸 또는 수신 신호 코드 파워(RSCP),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또는 다른 유사한 측정치에 의해 표시된 수신 신호 파워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캐리어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이한 임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발생되면, WTRU는 하기의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를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 및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
WTRU는 L1, L2 또는 L3를 이용하여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신호할 수 있다. WTRU는 표시 메시지의 일부로서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를 일으킨 측정치 및/또는 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WTRU는 표시 메시지의 일부로서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캐리어에 대한 색인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WTRU는 네트워크로부터 명시적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 만일 표시가 비활성화이면, WTRU는 캐리어를 자치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만일 표시가 캐리어 활성화이면, WTRU는 캐리어를 자치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보충 캐리어의 비활성화시에, 그 보충 캐리어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 피드백 보고(feedback reporting)는 중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QI 피드백 보고는 더 낮은 속도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대안예로서, CQI 피드백 보고는 L1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을 이용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중간 액세스 채널(MAC) MAC-i 헤더의 L2 시그널링 또는 L3 시그널링을 이용해서 더 느린 속도로 송신될 수 있다. 보충 캐리어의 활성화시에, CQI 피드백은 재개시될 수 있다. 이 CQI 동작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다수의 캐리어가 다중 캐리어 동작을 위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구성된 때, 캐리어는 인접하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인접한 캐리어는 특수 기술을 위해 필요한 대역폭만큼 간격질 수 있다. 예를 들면, WCDMA FDD에 있어서, 각 캐리어는 5 MHz만큼 간격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인접 캐리어의 캐리어 주파수는 5 MHz만큼 간격진다. 일반적으로, N개의 인접 캐리어가 구성되면, 인접 캐리어는 N×5 MHz의 집합체 및 연속 대역폭을 점유한다.
하드웨어 제한 때문에, 일부 WTRU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비인접 캐리어로부터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하여 성공적으로 복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하드웨어 제한은 신호 필터링과 관련된 제한을 포함한다. 다중 캐리어 동작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캐리어가 있을 때, WTRU의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는 연속 활성화 스펙트럼을 유지 또는 보장하기 위해 제한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비인접 캐리어들이 WTRU에 의해 지원되지 않으면, RRC는 그 주파수 대역 내의 비인접 캐리어의 구성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노드-B는 하나 이상의 구성된 캐리어의 비활성화로부터 발생하는 비인접 캐리어로 귀착되는 HS-SCCH 오더를 사용하도록 구성 또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HS-SCCH 오더 방식은 비인접 캐리어 시나리오와 인접 캐리어 시나리오를 둘 다 고려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단지 인접 캐리어만을 활성화시키는 제한이 있는 다수의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비인접 캐리어로 귀착하는 임의의 HS-SCCH 오더를 보존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즉, 이 HS-SCCH 오더들은 노드-B에 의해 사용되거나 신호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4DL 및 1UL 캐리어가 있는 MC-HSDPA의 경우에, 만일 4DL 인접 캐리어들이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고 DL0, DL1, DL2 및 DL3의 순으로 인접한다는 가정하에 구성되면, 표 1의 오더 "Oxx"("x"는 0 또는 1이다)는 DL0/UL0가 비활성화될 수 없다고 가정할 때 DL3만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존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 HS-SCCH 오더를 설계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인접 캐리어 제약으로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원되지 않은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구성으로 유도하는 구성 메시지의 수신시에 WTRU의 행동을 묘사하는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일 예로서, WTRU는 무효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구성을 야기하는 HS-SCCH 오더를 수신한다. WTRU는 무효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구성을 야기하는 HS-SCCH 오더를 수신한 때 하기의 동작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동작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WTRU는 HS-SCCH 오더를 무시하고 그 현재 구성을 유지한다; WTRU는 HS-SCCH 오더를 무시하고 비인접 캐리어가 있는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보충 캐리어를 디스에이블한다; WTRU는 HS-DPCCH상의 HS-SCCH 오더일 수 있다; WTRU는 HS-DPCCH상의 HS-SCCH 오더를 승인할 수 있다; WTRU는 HS-DPCCH상의 HS-SCCH 오더를 부정 응답할 수 있다; 또는 WTRU는 HS-DPCCH상의 HS-SCCH 오더에 대하여 승인 또는 부정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DTX).
여기에서는 DRX 및 DPX를 활성화/비활성화하고 DRX 및 DTX 동작을 처리하는 실시예가 셜명된다. DRX 동작용으로 WTRU를 구성하는 방법은 뒤에서 설명한다. WTRU는 L3 메시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으로 WTRU를 구성하고, WTRU는 상기 DRX 파라미터를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암시적으로 인가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주파수 대역마다 하나의 DRX 파리미터 집합을 구성하고 WTRU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인가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각 캐리어마다 별도로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구성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각각의 고정 캐리어마다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충 캐리어에 대한 DRX 파라미터는 관련 고정 캐리어에 대한 DRX 파라미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WTRU가 하나 이상의 수신기 사슬(receiver chain)을 갖고 있으면 네트워크에 의해 제2 집합이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다운링크 캐리어의 그룹마다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구성하고, 여기에서 동일 그룹 내의 모든 캐리어는 동일한 DRX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그룹은 라디오 운반자 확립/재구성시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WTRU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 캐리어의 그룹은 WTRU에 동일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가 할당되는 그러한 모든 캐리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그룹화 방법을 이용하여 적당한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초기화시에 DRX 상태에 관한 실시예들이 여기에서 개시된다. 일 실시예로서,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한 DRX는 다운링크 캐리어를 구성할 때 비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DRX 상태를 미리 구성할 수 있고, 그 DRX 상태가 다운링크 캐리어의 전부 또는 부분집합에만 또는 그 그룹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예로서, 네트워크는 각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DRX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WTRU에서 DRX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발생시키는 실시예들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DRX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WTRU에 명시적으로 신호할 수 있다. 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메시지는 하나의 특수한 캐리어에, 또는 캐리어의 그룹에 보내질 수 있다. DRX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명시적으로 신호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를 DRX 활성화/비활성화로 교체함으로써 캐리어 활성화 및 비활성화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의 부분 집합 또는 그룹에 대하여 DRX를 암시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의 발생은 예를 들면 하기 측정치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에 기초를 둘 수 있다. 하나의 측정치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다운링크 활량(activity)이다. 다른 하나의 측정치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 속도이다. 또다른 측정치는 보고된 CQI이다. 또다른 측정치는 공동 파일럿 채널(CPICH) 측정치, RSCP, RSSI 등과 같은 라디오 파워 측정치이다. 상기 측정치들은 하나 또는 수 개의 캐리어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평균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상기 측정치들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DRX에 들어가는(DRX-in) 임계치와 DRX에서 나오는(DRX-out) 임계치를 구성할 수 있다. DRX가 활성이 아니고 실제 측정치가 DRX-in 임계치에 도달한 때, WTRU는 DRX를 관련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에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RX가 활성화되고 실제 측정치가 DRX-out 임계치에 도달한 때, WTRU는 비활성화 DRX를 관련 캐리어 또는 캐리어 그룹에 적용할 수 있다.
DRX의 암시적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하여, WTRU는 상태의 변경을 네트워크에 신호할 수 있다. 따라서, DRX가 활성화된 때, WTRU는 상태의 변경을 네트워크에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메시지는 하기 정보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캐리어 색인 또는 참조문; 상태 변경을 일으킨 측정치; 변경의 원인; 활성화 시각; 또는 새로운 상태.
여기에서 캐리어 활성화시에 DRX 동작에 관한 WTRU 동작이 설명된다. WTRU가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시키면, WTRU는 하기 동작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의 DRX 상태를 비활성화 전에 있었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의 DRX 상태를 고정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의 DRX 상태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고정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의 DRX 상태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다른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DRX 상태를 "활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DRX 상태를 "비활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모든 캐리어에 대해 DRX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새로 활성화된 캐리어와 동일한 대역 내의 모든 캐리어에 대해 DRX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모든 캐리어에 대해 DRX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새로 활성화된 캐리어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캐리어에 대해 DRX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캐리어 비활성화시에 DRX 동작에 관한 WTRU 동작이 설명된다. WTRU가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비활성화하면, WTRU는 하기 동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WTRU는 나머지 활성 캐리어의 전부 또는 그룹에 대하여 DRX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TRU는 캐리어 비활성화를 저활량(low-activity) 상태 천이로서 또는 더 낮은 파워 모드로 가는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 있어서, WTRU는 나머지 활성 캐리어의 전부 또는 그룹에 대하여 DRX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TRU는 캐리어 비활성화를 트래픽 활량의 변경없이 파워를 절약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캐리어 시나리오에서 HSDPA의 승인 및 부정 응답(ACK/NACK) 피드백을 처리하는 실시예가 개시된다. 현재 시스템에 있어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또는 DC-HSDPA 기능이 있는 HSDPA에서 승인 및 부정 응답(ACK/NACK) 피드백은 HS-DPCCH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Q) HARQ-ACK 필드에서 미리 규정된 서명의 전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ACK/NACK/DTX 이벤트의 가능한 조합마다 하나의 서명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ACK/NACK 정보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변조된 서명의 겹침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구성된 캐리어마다 하나의 서명이 있을 수 있다. N개의 서명이 직교할 수 있다. ACK-NACK x 입력은 ACK, NACK 및 DTX를 표시하기 위해 각각 +1, -1 및 0의 값을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CK의 값과 NACK의 값은 바뀔 수 있다. 다른 대안예에서, ACK 및 NACK의 진폭은 1이 아닌 다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UTRAN에 의해 또한 신호될 수 있다.
모든 송신된 서명의 합산으로부터의 결과는 인자 ΔMC - ACK - NACK에 의해 축척(scale)될 수 있다. 이 인자는 UTRAN에 의해 미리 규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축척 인자(scaling factor)는 송신된 ACK-NACK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신호에서 유도된 잠재적인 추가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더 많은 서명이 동시에 주어질 때 더 많은 파워가 ACK-NACK에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ΔMC - ACK - NACK 축척 인자의 값은 송신된 비제로 ACK-NACK 값(Nnz)의 수에 기초하여 미리 규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된 각각의 추가 비제로 ACK-NACK에 대하여, 추가의 Δnz(dB)가 축척 인자에 추가되고, 여기에서 Δnz는 UTRAN에 의해 신호되거나 명세서에서 미리 구성된다.
제2의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비제로 ACK-NACK의 수에 축척 인자를 맵핑하는 조사표가 미리 규정되거나 UTRAN에 의해 신호될 수 있다.
비록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및 동작에 대해 여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이 다중 캐리어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및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이 실시예들은 이들 캐리어 구성을 넘어서는 시스템 및 다른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비록 위에서는 HSPA 및 HSDPA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임의의 무선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진화된 범용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E-UTRAN)(705)를 포함한 장기 진화(LTE) 무선 통신 시스템/액세스 네트워크(700)를 도시한 것이다. E-UTRAN(705)은 WTRU(710) 및 수 개의 진화된 노드-B(eNB)(720)를 포함한다. WTRU(710)는 eNB(720)와 통신한다. eNB(720)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인터페이스 접속한다. 각 eNB(720)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서빙 게이트웨어(S-GW)(730)와 인터페이스 접속한다. 비록 도 7에는 하나의 WTRU(710)와 3개의 eNB(720)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및 유선 장치의 임의 조합이 무선 통신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7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8은 WTRU(710), eNB(720) 및 MME/S-GW(730)를 구비한 LTE 무선 통신 시스템(7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WTRU(710), eNB(720) 및 MME/S-GW(730)는 직접 결합 통신 보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인 WTRU에서 찾을 수 있는 컴포넌트들 외에도, WTRU(710)는 선택적 결합 메모리(822)를 가진 프로세서(816),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814), 선택적 배터리(820) 및 안테나(81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816)는 직접 결합 통신 보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814)는 프로세서(816) 및 안테나(818)와 통신하여 무선 통신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한다. WTRU(710)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는 송수신기(814)와 프로세서(816)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형적인 eNB에서 찾을 수 있는 컴포넌트들 외에도, eNB(720)는 선택적 결합 메모리(815)를 가진 프로세서(817), 송수신기(819) 및 안테나(821)를 구비한다. 프로세서(817)는 직접 결합 통신 보안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819)는 프로세서(817) 및 안테나(821)와 통신하여 무선 통신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한다. eNB(720)는 선택적 결합 메모리(834)를 가진 프로세서(833)를 구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서빙 게이트웨이(MME/S-GW)(730)에 접속된다.
실시예
1.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시스템에서 하나의 라디오를 가진 다중 캐리어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일의 HS-DSCH 운송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HS-DSCH 운송 채널과 관련된 캐리어는 서브프레임 기반으로 동적으로 변경됨- 와;
고정 캐리어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
2.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은 업링크 송신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3.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은 단편적 다운링크 물리 채널(F-DPCH), 향상된 절대적 허가 채널(E-AGCH), 향상된 상대적 허가 채널(E-RGCH) 및 향상된 HARQ 표시자 채널(E-HICH)을 포함한 것인 방법.
4.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5.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변경은 미리 정해진 패턴 또는 상위층으로부터 신호된 패턴을 따르는 것인 방법.
6.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캐리어는 하나 거른 각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거나, 각 캐리어는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교호로 사용되는 것인 방법.
7.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캐리어는 동일하게 빈번하게 사용될 필요가 없는 것인 방법.
8.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변경은 다른 시간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 캐리어의 일부 채널로부터의 정보는 기지국이 이 채널용의 캐리어 주파수를 또한 전환하지 않는 한 서브프레임의 단편만이 청취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해 손실되는 것인 방법.
10.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고정 캐리어로의 캐리어 전환은 HS-SCCH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발생하고, 후속 HS-SCCH 서브프레임의 끝에서 역전환되는 것인 방법.
11.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전환은 HS-PDSCH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발생하는 것인 방법.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HS-SCCH 서브프레임과 그 대응하는 HS-PDSCH 서브프레임 사이에 2-슬롯 옵셋이 있는 경우, HS-SCCH는 HS-SCCH 서브프레임의 2개의 최초 슬롯에 대하여 전치 전환(pre-switch) 캐리어에서 수신되고, HS-SCCH의 최종 슬롯은 후치 전환(post-switch) 캐리어에서 수신되는 것인 방법.
13.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호 간격(guard interval)이 각 캐리어 전환 이벤트 전에 포함된 방법.
14.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호 간격은 단일 캐리어가 새로 선택된 캐리어에 대해 동조 및 동기화되게 하는 것인 방법.
15.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호 간격 중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방법.
16.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호 간격은 하나의 라디오 슬롯의 지속기간을 갖는 것인 방법.
17.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셀 지정의 특정 보호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18.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타이밍 또는 행동은 보호 간격을 고려하도록 수정된 것인 방법.
19. 실시예 18에 있어서, E-HICH의 타이밍 또는 행동은 엄격한 타이밍 필요조건을 갖기 때문에 수정된 것인 방법.
20. 실시예 18 또는 19에 있어서, E-HICH는 기지국이 보호 기간 중에 있음을 알고 있을 때 더 강한 파워를 가진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것인 방법.
21. 실시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보호 간격 중에 E-HICH를 기대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누락된 E-HICH를 NACK로서 해석하고, WTRU는 HARQ 재송신을 수행하는 것인 방법.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HARQ 처리를 위하여 허용된 HARQ 재송신의 최대수에 관계없이 추가의 HARQ 재송신을 수행하는 방법.
23. 실시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그 대응하는 E-HICH가 보호 기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을 HARQ 처리에서 송신하지 않는 것인 방법.
24.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든 캐리어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CQI는 각 HS-DPCCH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캐리어에 대해 보고되는 것인 방법.
26. 실시예 24 또는 25에 있어서, CQI가 보고되는 캐리어는 수 밀리초 후에 또는 수 밀리초 전에 수신한 HS-PDSCH 서브프레임의 패턴에 따라서 WTRU가 수신하는 캐리어인 방법.
27.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QI는 대응하는 캐리어에서 수 밀리초 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 중의 CPICH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되는 것인 방법.
28.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QI는 각 HS-DPCCH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에 대해 보고되는 것인 방법.
29.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대응하는 E-AGCH, E-RGCH 또는 E-HICH 서브프레임이 수신되지 못한 서브프레임 중에 E-DCH를 이용하여 송신하지 않는 것인 방법.
30.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대응하는 E-AGCH 서브프레임이 수신되지 못한 서브프레임 중에 E-DCH의 계획되지 않은 송신을 송신하는 것인 방법.
31. 실시예 30에 있어서, WTRU는 E-HICH 서브프레임이 수신되지 못한 때 마치 HARQ NACK가 E-HICH를 통해 송신된 것처럼 MAC-e 또는 MAC-i PDU를 재송신하는 것인 방법.
32.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F-DPCH가 특정 수의 슬롯을 전에 수신하였으면 DPCCH, HS-DPCCH, E-DPCCH 또는 E-DPDCH를 송신하는 것인 방법.
33.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MAC 층 아키텍쳐는 모든 캐리어에 걸쳐 8개의 HARQ 처리가 사용되고 다른 캐리어에 대하여 HARQ 재송신이 허용되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34.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시스템에서 이중 라디오를 가진 다중 캐리어를 이용하는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HS-DSCH 운송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HS-DSCH 운송 채널과 관련된 캐리어는 서브프레임 기반으로 동적으로 변경됨- 와;
고정 캐리어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
35. 실시예 34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은 업링크 송신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36. 실시예 34 또는 35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집합은 단편적 다운링크 물리 채널(F-DPCH), 향상된 절대적 허가 채널(E-AGCH), 향상된 상대적 허가 채널(E-RGCH) 및 향상된 HARQ 표시자 채널(E-HICH)을 포함한 것인 방법.
37. 실시예 34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 캐리어로부터의 F-DPCH, E-AGCH, E-RGCH, E-HICH를 항구적으로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38. 실시예 34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Nc HS-DSCH 운송 채널과 캐리어의 주파수 간의 맵핑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Nc) 캐리어의 HS-SCCH 및 HS-PDSCH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39. 실시예 34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 캐리어는 모든 다운링크(DL) 제어 채널이 송신하는 캐리어 주파수인 방법.
40. 실시예 34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의 수신기 중 하나는 제어 채널의 적절한 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 캐리어 주파수에 항상 동조되는 것인 방법.
41. 실시예 34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의 수신기 중 하나는 HS-DSCH 운송 채널을 통하여 DL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하여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임의의 다른 캐리어 주파수에 동조되는 것인 방법.
42. 실시예 34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Nc 캐리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는 적어도 CPICH 정보, H-RNTI, HS-SCCH, 주파수 정보, 및/또는 임의의 다른 필요한 파라미터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방법.
43. 실시예 42에 있어서, Nc 캐리어 정보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시에 또는 WTRU가 CELL_DCH 상태로 천이할 때 수신되는 것인 방법.
44. 실시예 34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45. 실시예 34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변경은 미리 정해진 패턴 또는 상위층으로부터 신호된 패턴을 따르는 것인 방법.
46. 실시예 34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HS-DSCH가 고정 캐리어의 캐리어 주파수에 맵되는 방법.
47. 실시예 34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전환의 스케줄링은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방법.
48. 실시예 47에 있어서, WTRU의 스케줄링은 고정 셀의 HS-SCCH를 이용하여 제어되고 WTRU에 신호되는 것인 방법.
49. 실시예 47 또는 48에 있어서, HS-SCCH는 캐리어 번호를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캐리어에 대한 색인을 제공하는 추가 비트를 포함한 것인 방법.
50. 실시예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다른 H-RNTI를 암시적으로 이용하여 신호되는 캐리어 정보를 수신하고 HS-PDSCH를 감시할 캐리어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51. 실시예 47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HS-SCCH 코드 번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방법.
52. 실시예 47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HARQ 처리 번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정보를 수신하고, HARQ 처리는 캐리어마다 할당되고 HS-SCCH에서 신호되는 HARQ 처리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53. 실시예 47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고정 셀의 HS-SCCH를 감시하고, 표시된 캐리어의 HS-PDSCH로 직접 이동하는 것인 방법.
54. 실시예 34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SCCH는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을 보증하기 위해 정보 x TTI 또는 슬롯을 먼저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x는 제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규정되거나 신호된 임의 값과 같은 것인 방법.
55. 실시예 34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네트워크가 다른 타이밍 필요조건을 설정한 경우 HS-SCCH의 수신 후에 캐리어 Nc x 슬롯 또는 TTI의 HS-PDSCH를 감시하는 것인 방법.
56. 실시예 55에 있어서, HS-SCCH 파트 1은 WTRU가 새로운 캐리어로 직접 전한할 수 있을 때 명시적 시그널링을 위한 캐리어 정보를 내포하는 것인 방법.
57. 실시예 55 또는 56에 있어서, HS-SCCH 파트 2는 적용가능한 HS-PDSCH 코드를 감시하기 위해 WTRU에 적용되는 지연이 있을 때 명시적 시그널링을 위한 캐리어 정보를 내포하는 것인 방법.
58. 실시예 34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고정 셀의 HS-PDSCH에서 및 임의의 다른 캐리어의 HS-PDSCH에서 스케줄되는 것인 방법.
59. 실시예 58에 있어서, WTRU는 2개의 H-RNTI를 이용하여 스케줄되고, 여기에서 하나의 H-RNTI는 고정 셀에 대하여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H-RNTI는 다른 캐리어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인 방법.
60. 실시예 58에 있어서, WTRU는 2개의 HS-SCCH 코드 집합을 이용하여 스케줄되는 것인 방법.
61. 실시예 58에 있어서, WTRU는 2개의 HARQ 처리 집합을 이용하여 스케줄되는 것인 방법.
62. 실시예 58에 있어서, WTRU는 명시적 캐리어 시그널링이 사용된 때 2개의 다른 HS-SCCH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TTI의 2개의 캐리어에 대해 스케줄되는 것인 방법.
63. 실시예 34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저속의 동적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64. 실시예 63에 있어서, 기지국은 고정 셀의 L1 또는 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저속 전환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65. 실시예 63에 있어서, 기지국은 WTRU가 감시하는 임의의 다른 셀에서 저속 전환을 제어하는 것인 방법.
66. 실시예 63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SCCH 오더는 WTRU가 전환되어야 하는 캐리어를 표시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67. 실시예 34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전환 오더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캐리어 전환 오더 및 기타의 정보 비트는 WTRU가 이용가능 수신기로 감시를 시작해야 하는 캐리어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방법.
68. 실시예 34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더 수신 후의 표시된 캐리어, x 슬롯 또는 TTI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x는 0 또는 임의의 다른 미리 규정된 값 또는 구성된 값인 방법.
69. 실시예 34 내지 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데이터 정보에 대한 표시된 캐리어 (Nc)의 HS-SCCH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70. 실시예 34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 셀 또는 보충 셀에서 다른 오더가 수신될 때까지 캐리어 Nc의 HS-SCCH 및 HS-PDSCH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71. 실시예 34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SCCH 오더는 캐리어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HS-SCCH 오더는 보충 셀에서 제공되는 것인 방법.
72. 실시예 34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각 캐리어에 대해 H-RNTI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73. 실시예 34 내지 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WTRU가 표시된 캐리어로 이동한 때 대응하는 H-RNTI의 HS-SCCH를 감시하는 것인 방법.
74. 실시예 34 내지 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든 보충 캐리어에 공동 H-RNTI가 할당된 방법.
75. 실시예 34 내지 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2 메시지는 캐리어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76. 실시예 34 내지 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개의 라디오 중 하나는 고정 캐리어에 영구적으로 동조되고, 제2 라디오는 하나의 보충 캐리어로부터 다른 보충 캐리어로 동적으로 동조되는 것인 방법.
77. 실시예 34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캐리어는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번호를 갖는 것이고, 그 동안에 WTRU는 CQI를 측정 및 보고하도록 허용되고 네트워크는 CQI가 피드백 채널의 어떤 캐리어에 대해 보고되는 것인지를 아는 것인 방법.
78. 실시예 34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데이터가 수신된 캐리어와 보고 사이의 엄격한 타이밍이 규정되어 있는 방법.
79. 실시예 34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DPCCH의 CQI 포맷은 캐리어 번호를 명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수정된 것인 방법.
80. 실시예 34 내지 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때 CQI를 측정 및 보고하는 것인 방법.
81.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복수의 보충 캐리어 중 하나 이상을 동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82. 실시예 81에 있어서,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는 HS-SCCH 오더를 이용하여 보충 캐리어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83. 실시예 82에 있어서, HS-SCCH 오더는 어떤 캐리어가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표시를 수반하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84. 실시예 81에 있어서, 어떤 캐리어가 활성화 및 비활성화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표시는 첨부되는 물리층 메시지를 통하여 수반되는 것인 방법.
85.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더 유형 비트는 xodt ,1, xodt ,2, xodt,3로 표시되고 오더 비트는 xord ,1, xord ,2, xord , 3로 표시되는 것인 방법.
86. 실시예 85에 있어서,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0'이면 오더는 xord,1, xord ,2, xord ,3으로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에 대한 활성화 오더인 방법.
87. 실시예 85 또는 86에 있어서,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1'이면 오더는 xord ,1, xord ,2, xord ,3으로 표시된 보충 캐리어 색인에 대한 비활성화 오더인 방법.
88. 실시예 85에 있어서, 오더 유형 xodt ,1, xodt ,2, xodt ,3='010'이면 오더 맵핑은 마치 xord ,1=1인 것처럼 규정되고 보충 캐리어 1이 활성화되는 방법.
89. 실시예 88에 있어서, xord ,1=0이면, 보충 캐리어 1이 비활성화되는 방법.
90. 실시예 88 또는 89에 있어서, xord ,2=0이면, 보충 캐리어 2가 비활성화되는 방법.
91. 실시예 88 내지 9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ord ,3=1이면, 보충 캐리어 3이 활성화되는 방법.
92. 실시예 88 내지 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ord ,3=0이면, 보충 캐리어 3이 비활성화되는 방법.
93. 실시예 88 내지 9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충 캐리어의 비활성화시에, 그 캐리어에 대한 CQI 피드백 보고는 중지되는 것인 방법.
94. 실시예 88 내지 9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보충 캐리어의 활성화시에, CQI 피드백이 재개시되는 방법.
95.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DPCCH의 HARQ-ACK 필드에서 미리 규정된 서명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96. 선행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승인/부정 응답(ACK/NACK) 정보가 변조된 서명의 겹침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방법.
97. 실시예 96에 있어서, ACK 값과 NACK 값이 반대로 된 방법.
98. 실시예 96 또는 97에 있어서, 송신된 모든 서명의 합산이 ΔMC-ACK-NACK의 인자에 의해 수행되고 축척되는 것인 방법.
99. 실시예 96 내지 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ΔMC-ACK-NACK 축척 인자의 값은 송신된 비제로 ACK-NACK 값의 수에 기초하여 미리 규정된 규칙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100. 실시예 99에 있어서, 비제로 ACK-NACK의 수에 축척 인자를 맵하는 조사표가 미리 규정되거나 UTRAN에 의해 신호되는 방법.
101. 실시예 99에 있어서, 비제로 ACK-NACK의 수에 축척 인자를 맵하는 조사표가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되는 방법.
102. 다운링크 다중 캐리어 동작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명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
103. 실시예 102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로부터 수신된 것인 방법.
104. 실시예 102 또는 103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주어진 라디오 대역 내의 모든 보충 캐리어를 포함한 것인 방법.
105. 실시예 102 내지 10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은 미리 구성된 것인 방법.
106. 실시예 102 내지 10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라디오 대역은 명시 메시지가 수신되는 대역에 기초한 암시적인 것인 방법.
107. 실시예 102 내지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모든 다운링크 보충 캐리어를 포함한 것인 방법.
108. 실시예 102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주어진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모든 다운링크 보충 캐리어를 포함한 것인 방법.
109. 실시예 102 내지 10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특수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를 포함한 것인 방법.
110. 실시예 102 내지 10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다운링크의 모든 비고정 캐리어를 포함한 것인 방법.
111. 실시예 102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캐리어 그룹의 일부인 모든 캐리어를 포함하고, 캐리어 그룹은 다운링크 캐리어의 미리 규정된 리스트인 방법.
112. 실시예 111에 있어서, 그룹 내의 다운링크 캐리어의 리스트는 라디오 운반자 확립/재구성시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WTRU에서 미리 구성된 것인 방법.
113. 실시예 102 내지 1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그룹은 WTRU가 동일한 임시 라디오 네트워크 식별자를 할당한 그러한 모든 캐리어로서 정의된 것인 방법.
114. 실시예 102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새로운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오더인 방법.
115. 실시예 114에 있어서, 새로운 HS-SCCH 오더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기존의 오더와 다른 것인 방법.
116. 실시예 102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그룹을 표시하기 위해 재해석되는 2차 서빙 HS-DSCH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기존 오더인 방법.
117. 실시예 102 내지 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캐리어 그룹의 동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해 설계된 새로운 L2 또는 L3 명시 메시지인 방법.
118. 실시예 116에 있어서, 기존의 오더는 그 각각의 대역 내에서 보충으로 간주되는 캐리어에 적용되는 것인 방법.
119. 실시예 102 내지 1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캐리어가 송신되었던 대역 내의 캐리어에만 적용되는 것인 방법.
120. 실시예 1 내지 1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명시 신호는 동일한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보충 캐리어에만 적용되는 것인 방법.
121. 실시예 102 내지 1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캐리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명시 L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22. 실시예 121에 있어서, L1 신호는 각 캐리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용으로 설계된 새로운 HS-SCCH 오더를 포함한 것인 방법.
123. 실시예 121 또는 122에 있어서, 새로운 HS-SCCH 오더는 다수의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수반하는 것인 방법.
124. 실시예 121 내지 1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HS-SCCH 오더 유형 비트가 주어진 캐리어에 맵되는 방법.
125. 실시예 124에 있어서, HS-SCCH 오더 유형 비트의 맵핑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암시적인 것인 방법.
126. 실시예 121 내지 1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HS-SCCH 오더는 목표 캐리어 주소와 함께 단일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수반하는 것인 방법.
127. 실시예 126에 있어서, HS-SCCH 오더의 2 비트가 4개의 캐리어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
128. 실시예 126에 있어서, HS-SCCH 오더의 1 비트가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는 방법.
129. 실시예 121 내지 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1 신호는 다중 캐리어의 동시 활성화/비활성화를 신호하도록 재해석된 비트 필드를 가진 E-DCH 절대 허가 채널(E-AGCH)을 포함한 것인 방법.
130. 실시예 121 내지 1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캐리어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용으로 설계된 새로운 HS-SCCH 오더를 포함한 명시 L2 또는 L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31. 실시예 102 내지 1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WTRU에서 암시 규칙에 의해 발생되는 것인 방법.
132. 실시예 131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인 방법.
133. 실시예 131 또는 132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고정 셀에서의 수신된 운송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인 방법.
134. 실시예 131 내지 1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파워 헤드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인 방법.
135. 실시예 131 내지 1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는 수신된 신호 파워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인 방법.
136. 실시예 102 내지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발생시키는 임계치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인 방법.
137. 실시예 102 내지 1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L1, L2 또는 L3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표시 메시지를 신호하는 WTRU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8. 실시예 137에 있어서, 표시 메시지는 캐리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일으킨 측정치 또는 원인을 포함한 것인 방법.
139. 실시예 137 또는 138에 있어서, 표시 메시지는 활성화/비활성화할 캐리어에 대한 색인을 포함한 것인 방법.
140. 실시예 102 내지 1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명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명령을 기다리는 WTRU를 더 포함한 방법.
141. 실시예 102 내지 1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표시 메시지가 캐리어 비활성화인 때 캐리어를 자치적으로 비활성화하는 것인 방법.
142. 실시예 102 내지 1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WTRU는 표시 메시지가 캐리어 비활성화인 때 캐리어를 자치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인 방법.
143. 실시예 102 내지 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L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메시지는 DRX 동작용으로 WTRU를 구성하는 것인 방법.
144. 실시예 143에 있어서, 메시지는 WTRU가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암시적으로 적용하는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5. 실시예 143에 있어서, 메시지는 WTRU가 소정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적용하는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주파수 대역마다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6. 실시예 143에 있어서, 메시지는 각 캐리어마다 별도로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7. 실시예 143에 있어서, 메시지는 각 고정 캐리어마다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8. 실시예 147에 있어서, 보충 캐리어의 DRX 파라미터 집합은 관련된 고정 캐리어의 DRX 파라미터 집합과 동일한 것인 방법.
149. 실시예 143에 있어서, 메시지는 다운링크 캐리어의 그룹마다 하나의 DRX 파라미터 집합을 포함하고 동일 그룹 내의 모든 캐리어는 동일한 DRX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인 방법.
150. 실시예 149에 있어서, 그룹은 라디오 운반자 확립/재구성시에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WTRU에서 미리 구성된 것인 방법.
151. 실시예 149에 있어서, 그룹은 WTRU가 동일한 임시 라디오 네트워크 식별자를 할당하는 그러한 모든 캐리어로서 정의된 것인 방법.
152. 실시예 102 내지 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운링크 캐리어를 구성할 때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에 대해 DRX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3. 실시예 102 내지 1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 상태는 미리 구성되어 다운링크 캐리어의 전부 또는 부분집합에만 적용되는 것인 방법.
154. 실시예 102 내지 1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 상태는 각 다운링크 캐리어마다 개별적으로 구성된 것인 방법.
155. 실시예 102 내지 1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56. 실시예 102 내지 1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는 활성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157. 실시예 102 내지 1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는 비활성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158. 실시예 156 또는 157에 있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메시지는 특수 캐리어 또는 캐리어의 그룹으로 지향되는 것인 방법.
159. 실시예 102 내지 1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는 하나 이상의 측정치에 응답하여 암시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160. 실시예 159에 있어서, 측정치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다운링크 활량을 포함한 것인 방법.
161. 실시예 159에 있어서, 측정치는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한 것인 방법.
162. 실시예 159에 있어서, 측정치는 보고된 CQI를 포함한 것인 방법.
163. 실시예 159에 있어서, 측정치는 라디오 파워 측정치를 포함한 것인 방법.
164. 실시예 102 내지 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는 미리 구성된 임계치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165. 실시예 102 내지 16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의 암시적 할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있을 때 상태 변경을 네트워크에 신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66. 실시예 165에 있어서, 메시지는 임의의 관련 캐리어 색인 또는 참조문을 포함한 것인 방법.
167. 실시예 165 또는 166에 있어서, 메시지는 상태 변경을 일으키는 측정치를 포함한 것인 방법.
168. 실시예 165 내지 1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시지는 상태 변경의 원인을 포함한 것인 방법.
169. 실시예 165 내지 1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시지는 활성화 시각을 포함한 것인 방법.
170. 실시예 165 내지 1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시지는 새로운 상태를 포함한 것인 방법.
171. 실시예 102 내지 1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의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비활성화하기 전에 있었던 상태로 되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2. 실시예 102 내지 1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의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고정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3. 실시예 102 내지 1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의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동일 대역의 고정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4. 실시예 102 내지 1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어의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동일 주파수 대역의 다른 캐리어와 동일한 상태로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5. 실시예 102 내지 1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6. 실시예 102 내지 1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RX 상태를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7. 실시예 102 내지 1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모든 캐리어의 DRX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8. 실시예 102 내지 1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새로 활성화된 캐리어와 동일 대역 내에 있는 모든 캐리어의 DRX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79. 실시예 102 내지 1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활성화한 후 모든 캐리어의 DRX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80. 실시예 102 내지 1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비활성화한 후 나머지 활성 캐리어의 전부 또는 소정 그룹의 DRX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81. 실시예 102 내지 1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비활성화한 후 나머지 활성 캐리어의 전부 또는 소정 그룹의 DRX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82. 실시예 1 내지 18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
183. 실시예 1 내지 18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집적 회로.
184. 실시예 1 내지 18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지금까지 특징 및 요소들을 특수한 조합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특징 또는 요소는 다른 특징 및 요소없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특징 및 요소와 함께 또는 다른 특징 및 요소없는 각종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한 방법 또는 흐름도는 범용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 통합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의 예로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 광학 매체, 및 CD-ROM 디스크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와 같은 광학 매체 등이 있다.
적당한 프로세서로는, 예를 들면, 범용 프로세서, 특수 용도 프로세서, 관습적 프로세서(conventio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합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 지정 집적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회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집적회로(IC) 및/또는 상태 머신이 있다.
소프트웨어와 연합하는 프로세서는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 사용자 설비(UE), 단말기, 기지국,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송수신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TRU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모듈, 비디오폰, 스피커폰, 진동 장치, 스피커, 마이크로폰, 텔레비전 송수신기, 핸즈프리 헤드셋, 키보드, 블루투스® 모듈, 주파수 변조(FM) 라디오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LCD) 표시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장치,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또는 임의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또는 초광대역(UWB) 모듈과 같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120: 노드-B, 150: 코어 네트워크
218, 228: 메모리, 215, 225: 프로세서
217, 227: 송신기, 216, 226: 수신기
220: 노드-B

Claims (20)

  1. 다중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명령 정보와 캐리어 정보를 포함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중 캐리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로부터 결정하는 단계와;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정보는 캐리어 색인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다중 캐리어의 그룹에 적용되는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모든 보충 캐리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보충 캐리어, 모든 다운링크 보충 캐리어, 주어진 다운링크 고정 캐리어와 관련된 모든 다운링크 보충 캐리어, 특정 주파수 대역 내의 모든 다운링크 캐리어, 모든 다운링크 비고정 캐리어, 미리 정해진 캐리어 그룹의 일부인 모든 캐리어, 동일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를 가진 캐리어 그룹의 일부인 모든 캐리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된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에 의해 표시되는 번호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표시하는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를 운반하는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표시하는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표시하는 미리 정해진 오더 유형을 포함한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공유 제어 채널 오더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캐리어들에 적용되는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표시하는 오더 맵핑과 함께 오더 유형 재사용을 포함한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명령 정보 및 캐리어 정보는 미리 정해진 캐리어에 맵되는 것인 다중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12. 다중 캐리어의 불연속 수신(DRX) 또는 불연속 송신(DTX)을 취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다중 캐리어 그룹에 적용가능한 DRX/DT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DRX/DTX 동작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중 캐리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로부터 결정하는 단계와;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다중 캐리어 그룹에 적용가능한 것인 방법.
  15.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명령 정보와 캐리어 정보를 포함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다중 캐리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로부터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작용하도록 추가 구성된 것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캐리어 정보는 캐리어 색인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
  17. 제15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다중 캐리어의 그룹에 적용되는 것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
  18. 무선 송신/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다중 캐리어 그룹에 적용가능한 불연속 수신(DRX)/불연속 송신(DTX)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와;
    DRX/DTX 동작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 무선 송신/수신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중 캐리어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로부터 결정하도록 추가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서 작용하도록 추가 구성된 것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
  20. 제18항에 있어서, 활성화/비활성화 메시지는 다중 캐리어 그룹에 적용가능한 것인 무선 송신/수신 유닛.
KR1020117014197A 2008-11-21 2009-11-20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30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88708P 2008-11-21 2008-11-21
US61/116,887 2008-11-21
US14147008P 2008-12-30 2008-12-30
US61/141,470 2008-12-30
PCT/US2009/065299 WO2010059926A1 (en) 2008-11-21 2009-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carrier uti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372A Division KR20120023833A (ko) 2008-11-21 2009-11-20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865A true KR20110097865A (ko) 2011-08-31
KR101330870B1 KR101330870B1 (ko) 2013-11-18

Family

ID=417186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372A KR20120023833A (ko) 2008-11-21 2009-11-20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17014197A KR101330870B1 (ko) 2008-11-21 2009-11-20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372A KR20120023833A (ko) 2008-11-21 2009-11-20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00130137A1 (ko)
EP (2) EP2359663B1 (ko)
JP (3) JP5531023B2 (ko)
KR (2) KR20120023833A (ko)
CN (2) CN104980260A (ko)
AR (1) AR074392A1 (ko)
WO (1) WO2010059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5010A1 (en) 2005-03-25 2006-10-05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ula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8155098B2 (en) 2005-06-09 2012-04-10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efficien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1682034B1 (ko) 2008-08-18 201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밴드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브밴드의 선택적 사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531023B2 (ja) * 2008-11-21 2014-06-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通信でマルチキャリア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448104B1 (en) 2008-12-01 2020-02-26 Sun Patent Trust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hannel signal forming method and channel signal receiving method
US9496995B2 (en) * 2009-03-04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 multi-carrier system
US9084261B2 (en) * 2009-03-16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uplink transmission operation and interference avoidance for a multi-carrier system
EP2592774B1 (en) * 2009-03-17 2015-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feedback signal
US8989105B2 (en) 2009-03-17 2015-03-24 Htc Corporation Method of establishing multiple links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119119B1 (ko) 2009-06-08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20099439A1 (en) * 2009-06-29 2012-04-26 Robert Baldemair Method and Device for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Reconfiguration in a Mobile User Equipment
EP2471209A1 (en) * 2009-08-26 2012-07-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CN102036348B (zh) * 2009-09-30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连续接收配置方法及系统
WO2011040516A1 (ja) 2009-10-02 2011-04-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043395A1 (ja) * 2009-10-06 2011-04-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9049618B2 (en) * 2009-12-16 2015-06-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measurement repor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52502B1 (ko) 2010-01-07 2017-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2123366B (zh) * 2010-01-11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载波系统非服务上行增强型无线链路的控制方法和系统
EP2343848A1 (en) * 2010-01-11 2011-07-13 Alcatel Lucent Feedback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120269147A1 (en) * 2010-01-15 2012-10-25 Zte Corpor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auxiliary carrier pairing information, node b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ransmission
JP5438227B2 (ja) * 2010-02-11 2014-03-1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通信構成
US9954651B2 (en) * 2010-02-22 2018-04-24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1265646B1 (ko) * 2010-02-24 201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피드백 채널을 통해 캐리어의 하향링크에 대한 상향링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823371B2 (ja) * 2010-03-30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AU2011233851B2 (en) * 2010-04-01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hanced random access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36702B1 (en) * 2010-04-30 2020-06-24 Nokia Technologies Oy User equipment carrier activation
WO2011158762A1 (ja) * 2010-06-18 2011-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2398176B1 (en) * 2010-06-18 2013-05-15 Alcatel Lucent Multi carrier network configuration
EP2398285B1 (en) * 2010-06-18 2016-11-16 Alcatel Lucent Power saving
US8891356B2 (en) 2010-06-28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RLC sublayer
US8989140B2 (en) 2010-06-2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in a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14096B1 (ko) 2010-08-12 2016-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캐리어 구조를 위한 채널 관리 방법
WO2012064052A2 (ko) * 2010-11-08 2012-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캐리어 집성 환경에서의 캐리어 관리 방법
US8861451B2 (en) * 2010-08-13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deactivating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378325B (zh) * 2010-08-13 2016-03-30 索尼公司 对终端的副小区的上行链路进行激活和去激活的方法及装置
KR101208560B1 (ko) 2010-09-03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할당 세컨더리 캐리어의 스캐닝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2050838A1 (en) 2010-09-28 2012-04-19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use of frequency bands
US9374193B2 (en) 2010-09-29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882624B2 (en) 2010-09-2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813135B2 (en) 2010-09-29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602298B2 (en) 2010-09-2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 type of control field
US10090982B2 (en) 2010-09-2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US9831983B2 (en) 2010-09-29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field and modulation coding scheme information
US9806848B2 (en) 2010-09-29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field and modulation coding scheme information
CN105898848B (zh) 2010-09-30 2019-08-06 索尼公司 电子设备、通信方法以及用户设备
WO2012044694A1 (en) * 2010-10-01 2012-04-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coordin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N102457969B (zh) * 2010-10-27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改变辅成分载波激活状态的方法和基站
US8989004B2 (en) 2010-11-08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int HSDPA communication utilizing a multi-link PDCP sublayer
BR112013010913A2 (pt) * 2010-11-11 2016-08-23 Ericsson Telefon Ab L M controle de agregação de portadora baseado em mensagem de grupo
WO2012086039A1 (ja) 2010-12-22 2012-06-2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局、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2624663A (zh) * 2011-01-31 2012-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激活的控制方法及装置
CN103384979B (zh) * 2011-02-11 2017-05-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多载波hsdpa的控制方法和设备
WO2012134376A2 (en) * 2011-03-31 2012-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suring reception quality for non-adjacent multi-carrier operation
CN102761952B (zh) * 2011-04-28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层状态同步的方法、设备和系统
US8395985B2 (en) *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US8737211B2 (en) 2011-08-03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modes in multiflow systems
US9125098B2 (en) 2011-08-03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gestion control in multiflow networks
TWI760318B (zh) * 2011-08-12 2022-04-1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使用導頻信號來監控至少一實體控制頻道的方法及裝置
KR101595676B1 (ko) 2011-08-12 2016-02-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융통성있는 대역폭 동작을 위한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CN102958139A (zh) * 2011-08-17 2013-03-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载波开断方法及装置
EP2777357A1 (en) * 2011-11-08 2014-09-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saving ul dtx and dl drx techniques for multi-flow operation in hspa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964780B2 (en) 2012-01-25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9237537B2 (en) 2012-01-25 2016-01-12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process in a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10111212B2 (en) * 2012-01-26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UE-initiated dynami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secondary carriers
US20130229931A1 (en)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US20150043464A1 (en) * 2012-03-16 2015-0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network nod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resource allocation between downlink and uplink
US20130259008A1 (en) 2012-04-01 2013-10-03 Esmael Hejazi Dinan Random Access Response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US11943813B2 (en) 2012-04-01 2024-03-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215678B2 (en) 2012-04-01 2015-12-15 Ofinno Technologies, Llc Timing advance tim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US11582704B2 (en) 2012-04-16 2023-02-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EP2839705B1 (en) 2012-04-16 2017-09-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11252679B2 (en) 2012-04-16 2022-02-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8964593B2 (en)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US11825419B2 (en) 2012-04-16 2023-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timing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971280B2 (en) 2012-04-20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device
US9210664B2 (en) 2012-04-17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Preamble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US9179425B2 (en)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US8885590B2 (en) 2012-05-18 2014-11-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pilot channels
US8971298B2 (en)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9107206B2 (en) 2012-06-18 2015-08-11 Ofinne Technologie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11622372B2 (en) 2012-06-18 2023-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device
US9113387B2 (en) 2012-06-20 2015-08-18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signalling in wireless networks
US9179457B2 (en) 2012-06-20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882560B2 (en) 2012-06-18 2024-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210619B2 (en) 2012-06-20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Signalling mechanisms for wireless device handover
US9084228B2 (en) 2012-06-20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6021527B2 (ja) * 2012-08-31 2016-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4053151A1 (en) * 2012-10-01 2014-04-10 Nokia Siemens Networks Oy Secondary cell activation
US20140126400A1 (en) * 2012-11-08 2014-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uplink flow control in an hspa+ ue using autonomous connected drx mode triggering
EP2959732B1 (en) * 2013-02-20 2017-1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nfiguring and performing ul measurements accounting for low-activity stat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node
US9066362B2 (en) * 2013-03-08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 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
EP2782409A1 (en) 2013-03-20 2014-09-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eterministic UE behaviour for CSI/SRS Reporting during DRX
CN108184263B (zh) * 2013-06-09 2020-11-17 南京顺盛通信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确定ue激活时间的方法及装置
CN104521295A (zh) * 2013-07-02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授权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5018081A1 (zh) 2013-08-09 2015-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及装置,信息交互方法及装置,驻留方法及装置技术领域
US9655121B2 (en) 2014-05-09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E capability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136387B2 (en) * 2014-10-31 2018-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event-triggered DR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74913A1 (en) * 2014-11-13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of discontinuous operation for wireless devices
EP3335450B1 (en) * 2015-08-13 2020-12-0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JP6595113B2 (ja) * 2015-08-21 2019-10-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セルを活性化又は非活性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158477B2 (en) 2016-07-28 2018-12-18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carrier aggregation group sets
US11671999B2 (en) * 2016-12-12 2023-06-06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aware concurrent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for pan radio technology
CA3066210C (en) * 2017-06-09 2023-03-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541904A (zh) * 2017-06-16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Drx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通信系统
JP2020528687A (ja) 2017-07-28 2020-09-24 富士通株式会社 命令指示方法及び装置、情報交換方法及び装置
RU2752696C1 (ru) 2017-09-08 2021-07-30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586876B (zh) * 2017-09-29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状态指示方法及设备
CN109787726B (zh) * 2017-11-10 2021-12-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载波状态的控制方法和设备
US10608721B2 (en) 2017-12-14 2020-03-31 Google Llc Opportunistic beamforming
KR20200119837A (ko) * 2018-02-08 2020-10-20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리소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저장매체
EP3890227A4 (en) * 2019-01-07 2021-12-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JP2021101167A (ja) * 2019-12-24 2021-07-08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サブキャリア変調方式テラヘルツレーダー
CN114007263A (zh) * 2020-07-27 202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1100B1 (en) * 1998-11-19 2003-07-08 Ericsson Inc. Cellular communication device with scanning receiver and continu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same
EP1255363B1 (en) 2001-05-04 2007-06-27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asymmetric data transmission
US7889759B2 (en) * 2001-05-04 2011-02-15 Entropic Communications, Inc. Broadband cable network utilizing common bit-loading
KR100455285B1 (ko) * 2001-09-06 200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무선 통신 방법 및장치와 이를 위한 전송 프레임 포맷
US7724639B1 (en) * 2002-12-12 2010-05-25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bit allocation in a multicarrier symbol to achieve non-periodic frequency diversity
US9184870B2 (en) *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RU2424618C2 (ru) * 2005-09-21 2011-07-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служебной нагрузки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потребления мощност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1127556B (zh) * 2006-08-15 201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资源的动态调度方法
US8094554B2 (en) *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US8086272B2 (en) * 2007-08-06 2011-12-2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s incorporating antenna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20090086706A1 (en) * 2007-10-01 2009-04-02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ross-layer multi-packet reception based medium access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CN104767602B (zh) * 2007-11-05 2018-03-16 苹果公司 通信系统以及用于操作用户设备及通信站的方法
US8711785B2 (en) * 2008-03-25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Fast carrier alloc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US8677204B2 (en) * 2008-05-05 2014-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84599B2 (en) * 2008-06-2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UE oper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1276848B1 (ko) * 2008-07-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42513B1 (ko) * 2008-09-05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EP2533454B1 (en) 2008-10-31 2019-12-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ultiple carriers in high speed packet access communications
KR101609878B1 (ko) * 2008-11-10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JP5531023B2 (ja) * 2008-11-21 2014-06-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通信でマルチキャリア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1023B2 (ja) 2014-06-25
US20100130137A1 (en) 2010-05-27
CN102293046B (zh) 2015-06-10
JP2012510207A (ja) 2012-04-26
CN104980260A (zh) 2015-10-14
CN102293046A (zh) 2011-12-21
JP2016106508A (ja) 2016-06-16
KR101330870B1 (ko) 2013-11-18
JP2014168266A (ja) 2014-09-11
JP5970495B2 (ja) 2016-08-17
EP2359663B1 (en) 2016-10-19
US20130163550A1 (en) 2013-06-27
WO2010059926A1 (en) 2010-05-27
EP2359663A1 (en) 2011-08-24
US20150351099A1 (en) 2015-12-03
AR074392A1 (es) 2011-01-12
US9136990B2 (en) 2015-09-15
KR20120023833A (ko) 2012-03-13
EP3125628A1 (en)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870B1 (ko)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84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ponent carrier-specific reconfiguration
US9888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supplementary downlink carrier
JPWO2008126604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TWI481280B (zh) 在無線通訊中多載波利用方法及裝置
WO201616350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