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608A -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608A
KR20110097608A KR1020100138315A KR20100138315A KR20110097608A KR 20110097608 A KR20110097608 A KR 20110097608A KR 1020100138315 A KR1020100138315 A KR 1020100138315A KR 20100138315 A KR20100138315 A KR 20100138315A KR 20110097608 A KR20110097608 A KR 2011009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llars
output member
shi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191B1 (ko
Inventor
비제이 에이. 니라칸탄
브렛 엠. 올슨
클린턴 이. 캐리
제임스 더블유. 헤인즈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9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38Arrangements with single drive motor for selecting and shifting movements, i.e. one motor used for generating both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84Screw-n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electromagnetic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6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screw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84Meshing assi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77Particular element [e.g., shift fork, templat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식 시프트 기구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등의 자동차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클러치 및 다수의 기어를 작동하는 복수의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링크 장치를 갖는 단일의 선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선형 액추에이터는 출력 부재의 양방향 선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유성 롤러 스크류 또는 유압 혹은 공압 오퍼레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선형 클러치는 출력 부재의 양방향 운동을 전달하는 복수의 링크 장치 중 하나에 출력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링크 장치 중 하나는 트랜스미션의 입력(메인) 클러치에 결합되어 맞물리고, 나머지의 링크 장치는 기어 선택 및 결합을 성취하는 시프트 포크 및 싱크로나이저 클러치에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Description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MULTIPLEXED ELECTROMECHANICAL ACTUATOR MECHANISM}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클러치 및 기어 작동을 위한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트랜스미션 내의 클러치 및 다수의 기어를 작동하는 다수의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링크 장치를 갖는 단일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의 기술내용은 본원에 관한 배경 정보를 단지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을 구성하거나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자동차 트랜스미션용 기어 시프트 조립체는 몇 가지의 형태를 취한다. 일반적인 수동 트랜스미션에서, 복수의 평행한 시프트 레일은 오퍼레이터 조작식 시프트 레버에 의해 작동되며, 싱크로나이저를 결합하여 평행이동시키는 시프트 포크와, 소정의 기어와 결합하는 클러치를 구비한다. 자동 트랜스미션에서, 복수의 로직 및 제어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작동식 클러치 및 브레이크는 유성 기어 조립체의 요소들을 결합, 분리 및 브레이킹한다. 보다 새로운 트랜스미션 타입, 즉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에서, 2개의 카운터샤프트 상의 복수의 싱크로나이저 클러치는 연결된 액추에이터에 의한 결합으로 평행이동되고, 2개의 입력 샤프트는 카운터샤프트를 교호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일반적으로 5개, 6개 또는 7개의 전진 기어 또는 속도, 및 후진을 제공한다. 5개의 전진 기어 및 후진을 갖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서, 3개 이상의 액추에이터, 3개의 시프트 링크 장치 및 3개의 더블 싱크로나이저가 요구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전기 또는 유압 장치인 액추에이터는 시프트 조립체의 가장 값비싼 부품일 것이다. 일반적인 6단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서, 4개 이상의 액추에이터, 4개의 시프트 링크 장치, 3개의 더블 싱크로이저 및 1개의 단일 싱크로나이저가 요구될 것이다. 다시, 액추에이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시프트 조립체의 가장 값비싼 부품일 것이다.
그들의 우수한 연료 경제성 및 수동 트랜스미션의 것과 평행한 신속한 시프트를 완료하는 성능을 포함하는 스포티한 성능으로 인해,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은 시장에서 인정받아 수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설계 및 작동의 모든 관점을 개선하려는 활동이 계속되고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활동의 결과이다.
본 발명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과 같은 자동차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클러치를 작동하며 다수의 기어와 결합하는 다수의 독립적으로 선택가능한 링크 장치를 갖는 단일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출력 부재의 양방향 선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볼 스크류, 유성 롤러 스크류 또는 유압 혹은 공압 오퍼레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선형 클러치는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출력 부재의 양방향 운동을 전달하는 복수의 링크 장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링크 장치 중 하나는 트랜스미션의 입력(메인) 클러치와 결합되고, 나머지 링크 장치는 기어 선택 및 결합을 성취하는 싱크로나이저 클러치 및 시프트 포크에 결합되어 양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서, 홀수 기어가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한편, 짝수 클러치가 결합되며, 그 후 홀수 클러치가 결합되고, 새로운 짝수 기어가 선택된다. 다소 다르게 설명하면,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에서, 기어 변경을 착수하고 동일한 카운터샤프트 상에 입력 클러치를 동시에 결합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홀수 개의 기어가 하나의 카운터샤프트 상에 함께 그룹핑되며 홀수 기어 입력 클러치와 연결되고, 짝수 개의 기어와 홀수 기어 클러치가 다른 카운터샤프트 상에 유사하게 배치되는 일반적인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구성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하나와 결합하는 액추에이터 및 링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하나와 결합하는 멀티플렉스 액추에이터 및 링크 조립체(multiplexed actuator and linkage assembly)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자동차 트랜스미션의 하나의 클러치와 결합하는 볼 스크류, 유성 롤러 스크류 또는 유압 혹은 공압 오퍼레이터 및 링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하나의 클러치와 결합하는 볼 스크류, 유성 롤러 스크류 또는 유압 혹은 공압 오퍼레이터 및 링크 조립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하나의 클러치와 결합하는 복수의 링크 조립체들 및 선형 출력 부재를 갖는 멀티플렉스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하나의 클러치와 결합하는 선형 클러치를 구비한 링크 조립체들 및 선형 출력 부재를 갖는 멀티플렉스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정의 기어를 선택하며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내의 클러치들과 결합하는 쌍으로 이용되는 복수의 링크 조립체들 및 멀티플렉스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 요소 또는 특징부를 지칭함)과 함께 취한 본 발명의 최선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내장하는 예시적인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선형 클러치 칼라를 구비하는 선형 액추에이터 출력 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3a는 제 1의 비결합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액추에이터 출력 부재 및 선형 클러치 칼라의 개략적인 단부도,
도 3b는 제 2의 결합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액추에이터 출력 부재 및 선형 클러치 칼라의 개략적인 단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롤러 스크류 액추에이터 및 클러치 링크 장치의 개략도.
하기의 설명은 단지 예로서, 본 개시내용,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할 의도의 것이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10)을 도시한다. 트랜스미션(10)은, 트랜스미션(10) 내에 배치된 각종 부품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이들을 수용, 위치 및 지지하는 복수의 개구, 보어 및 플랜지를 갖는 하우징(12)을 구비한다. 트랜스미션(10)은 가솔린, 플렉스 연료 또는 디젤 엔진, 하이브리드 플랜트 혹은 전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부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입력 샤프트(14)를 구비한다. 입력 샤프트(14)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20)의 입력 구조체 또는 구동 하우징(18)에 연결된다.
듀얼 클러치 조립체(20)는 트랜스미션(10)의 홀수 개의 기어와 연결되며 트랜스미션(10) 내의 부품을 구동하는 제 1 클러치 출력 샤프트(24)를 갖는 제 1 메인 또는 입력 클러치(22); 및 트랜스미션(20)의 홀수 개의 기어 및 후진 기어와 연결되며 트랜스미션(10) 내의 부품을 구동하는 제 2 클러치 출력 퀼, 구동 튜브 또는 부재(28)를 갖는 제 2 메인 또는 입력 클러치(26);를 구비한다. 제 1 메인 클러치(22)와 연결되는 제 1 카운터샤프트(3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 1 복수의 기어(32, 34, 36, 38)를 구비한다. 기어(32, 34, 36, 38)는, 예컨대 모든 홀수 개의 기어, 즉 7단 트랜스미션에서 제 1, 제 3, 제 5 및 제 7의 기어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메인 클러치(26)와 연결되는 제 1 카운터샤프트(40)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 2 복수의 기어(42, 44, 46, 48)를 구비한다. 기어(42, 44, 46, 48)는, 예컨대 모든 짝수 개의 기어, 즉 제 2, 제 4 및 제 6의 기어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카운터샤프트(30)의 둘레 그리고 기어(32, 34) 사이에는 제 1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2)가 배치된다. 제 1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2)는 제 1 카운터샤프트(30)를 따라 양방향으로 평행이동됨으로써, 우선 싱크로나이징한 다음, 기어(32 또는 34) 중 하나를 제 1 카운터샤프트(30)에 결합할 수 있다. 기어(36, 38) 사이의 제 1 카운터샤프트(30) 둘레에는 제 2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4)가 배치된다. 제 2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4)는 제 1 카운터샤프트(30)를 따라 양방향으로 평행이동됨으로써, 우선 싱크로나이징한 다음, 기어(36 또는 38) 중 하나를 제 1 카운터샤프트(30)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카운터샤프트(40)의 둘레 그리고 기어(42, 44) 사이에는 제 3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6)가 배치된다. 제 3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6)는 제 2 카운터샤프트(40)를 따라 양방향으로 평행이동됨으로써, 우선 싱크로나이징한 다음, 기어(42 또는 44) 중 하나를 제 1 카운터샤프트(40)에 결합할 수 있다. 기어(46, 48) 사이의 제 2 카운터샤프트(40) 둘레에는 제 4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8)가 배치된다. 제 4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8)는 제 2 카운터샤프트(40)를 따라 양방향으로 평행이동됨으로써, 우선 싱크로나이징한 다음, 기어(46 또는 48) 중 하나를 제 2 카운터샤프트(40)에 결합할 수 있다.
제 1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2)는 제 1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2)에 결합되어 평행이동되고; 제 2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4)는 제 2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4)에 결합되어 평행이동되고; 제 3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6)는 제 3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6)에 결합되어 평행이동되며; 제 4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8)는 제 1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8)에 결합되어 평행이동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A, 70B)를 더 구비한다. 제 1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A)는 제 1 카운터샤프트(30), 홀수 개의 기어(32, 34, 36, 38), 제 1 및 제 2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2, 54), 제 1 및 제 2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2, 64), 및 제 1 입력 클러치(22)와 연결된다. 제 2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B)는 제 2 카운터샤프트(40), 후진 및 짝수 개의 기어(42, 44, 46, 48), 제 3 및 제 4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6, 58), 제 3 및 제 4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6, 68), 및 제 2 입력 클러치(26)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A)만이 충분히 기술될 것이다.
제 1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A)는, 하기에 충분히 기술되며, 예컨대 선형 출력 위치 센서 또는 변환기를 바람직하게 갖는 볼 스크류 또는 유성 롤러 스크류 장치 또는 유압 혹은 공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일 수 있는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72)를 구비한다.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72)는 기다란 출력 샤프트 또는 부재(74)를 구비한다. 기다란 출력 부재(74)는 그 길이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차단되는 수형 스레드(76)를 형성한다. 수형 스레드(76)는, 예컨대 아메리칸 스탠더드 또는 너클 등의 임의의 종래 형성된, 바람직하게 대칭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수형 스레드(76)는 리드를 가지지 않는, 즉 헬리컬이 아니라 직선형이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스레드(76)는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인, 즉 스레드되지 않은 대략 60°의 3개의 원주방향 영역(78)과 교호하는 약 60°미만의 3개의 불연속적인 원주방향 영역 위로 연장된다. 개방 (언스레드된) 영역(78)에 인접한 스레드(76)의 단부는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 베벨 또는 모따기 가공됨으로써, 스레드 결합을 조력하며 스레드 버트(thread butt)를 회피한다.
제 1 시프트 칼라(82), 제 2 시프트 칼라(84) 및 제 3 클러치 칼라(86)를 구비하는 복수의 선형 클러치는 출력 부재(74)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제 1 시프트 칼라(82)는 제 1 시프트 칼라(82)와 제 1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2)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제 1 커플링(92)을 통해 제 1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2)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제 2 시프트 칼라(84)는 제 2 시프트 칼라(84)와 제 2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4)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제 2 커플링(94)을 통해 제 2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4)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제 3 시프트 칼라(86)는 제 3 시프트 칼라(86)와 제 1 클러치 링크 조립체(88)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제 3 커플링(96)을 통해 제 1 입력 클러치(22)를 결합 및 분리하는 제 1 클러치 링크 조립체(88)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시프트 및 클러치 칼라(82, 84, 86) 각각은, 출력 샤프트 또는 부재(74) 상의 수형 스레드(76)에 상보적인 배치로 구성되는 불연속적인 내측(암형) 스레드(102)를 구비한다. 즉, 암형 스레드(102)는, 예컨대 리드를 가지지 않는 아메리칸 스탠더드 또는 너클 등의 대칭형 프로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스레드(102)는 물론 수형 스레드(76)에 상보적이며 그와 결합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암형 스레드(102)는 스레드 없이 3개의 대략 60°의 영역(104)과 동일하게 이격된 약 60°미만의 3개의 스레드(102) 영역을 갖는 내측의 불연속적인 구성으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개방(언스레드된) 영역(104)에 인접한 스레드(102)의 단부는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 베벨 또는 모따기 가공됨으로써, 스레드 결합을 조력하며 스레드 버트를 회피한다.
전기 솔레노이드 또는 유압 혹은 공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 등의 2가지 위치 액추에이터는 시프트 및 클러치 칼라(82, 84, 86) 각각에 연결된다. 제 1 시프트 액추에이터(112)는 링크 장치(114)를 통해 대략 60°에 걸쳐 제 1 시프트 칼라(8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시프트 칼라(82) 내의 스레드(76, 102)를 완전히 결합 또는 해제하며, 제 1 시프트 칼라(82)를 출력 부재(74)에 축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한다. 제 2 시프트 액추에이터(116)는 링크 장치(118)를 통해 대략 60°에 걸쳐 제 2 시프트 칼라(8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2 시프트 칼라(84) 내의 스레드(76, 102)를 완전히 결합 또는 해제하며, 제 2 시프트 칼라(84)를 출력 부재(74)에 축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한다. 제 3 시프트 액추에이터(122)는 링크 장치(124)를 통해 대략 60°에 걸쳐 제 3 시프트 칼라(86)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3 시프트 칼라(86) 내의 스레드(76, 102)를 완전히 결합 또는 해제하며, 제 3 시프트 칼라(86)를 출력 부재(74)에 축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한다.
3개의 교호하는 스레드 및 언스레드된 영역이 우수란 작동 및 서비스 수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칼라(82, 84, 86) 및 출력 부재(74) 내에 보다 많거나 적은 스레드 영역이 칼라(82, 84, 86)의 회전에 대한 대응하는 조절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적은 영역, 예컨대 대략 90°을 넘어 각각 연장되는 2개의 교호하는 스레드 및 언스레드 영역은 칼라(82, 84, 86)의 보다 큰 회전(대략 90°)을 필요로 하고; 보다 많은 영역, 예컨대 4개의 교호하는 스레드 및 언스레드 영역은 칼라(82, 84, 86)의 보다 적은 회전(대략 45°)을 필요로 하며; 6개의 교호하는 스레드 및 언스레드 영역은 칼라(82, 84, 86)의 훨씬 적은 회전(대략 30°)을 필요로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션(10)은 프롭 샤프트, 차동 축 및 휠 그리고 타이어(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는 최종 구동 조립체(130)를 직접 구동하는 출력 샤프트(128)를 구비한다.
작동은 복잡하지 않다. 도시 및 설명을 위해 제 1 카운터샤프트(30) 상의 기어(36)가 되도록 예컨대 제 5 기어를 선택하기 위채, 제 2 액추에이터(116)는 도 3a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도 3b에 도시한 위치로 제 2 시프트 칼라(84)를 회전하도록 전력 공급된다. 수형 스레드(76)에 의해 암형 스레드(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시프트 칼라(84)는 출력 부재(74)에 연결되고,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72)의 작동은 출력 부재(74), 제 2 시프트 칼라(84), 제 2 시프트 포크 및 레일 조립체(64) 및 제 2 싱크로나이저 클러치(54)를 도 1의 좌측으로 평행이동시킴으로써, 우선 싱크로나이징한 다음, 기어(36)를 제 1 카운터샤프트(30)에 결합한다. 그 다음, 제 2 시프트 액추에이터(116)는 제 2 시프트 칼라(84)를 출력 부재(74)로부터 비결합하도록 전력 해제되고, 제 3 클러치 액추에이터(122)는 제 3 클러치 칼라(86)를 회전시키고, 수형 스레드(76)와 암형 스레드(102)를 결합하며, 출력 부재(74)를 제 1 입력 클러치 링크 조립체(88)에 결합하도록 전력 공급된다. 그 다음, 출력 부재(74)의 양방향 운동은 제 1 입력 클러치(22)를 결합 및 분리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5 기어 선택 프로세스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트랜스미션(10)은 제 2 멀티플렉스 시프트 액추에이터 조립체(70B)에 의한 유사한 일련의 단계 및 제 2 입력 클러치(26)의 결합을 통해 선택되어 있는 제 2 카운터샤프트(40)의 제 4 기어, 예컨대 기어(46) 내에서 작동되고 있을 것이다.
도 4는 바람직한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 및 클러치 링크 조립체(150)를 도시한다.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 및 클러치 링크 조립체(150)는 유성 롤러 스크류 조립체(156)를 직접 구동하는 양방향, 3상, 브러시리스 직류(DC) 모터(154)를 바람직하게 구비하는 유성 롤러 스크류 선형 액추에이터(152)를 구비한다. 전자기 브레이크(158)는 전기 모터(154)의 출력부에 결합되며, 모터(154)의 회전을 방해하며 유성 롤러 스크류 선형 액추에이터(152)의 출력 부재(74)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홀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 등의 변환기(162)가 선형 액추에이터(152)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출력 부재(74)의 현재 위치에 관한 트랜스미션 제어 모듈(TCM) 등의 도 1에 도시한 제어기(164)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유성 롤러 스크류 선형 액추에이터(152)의 세부 사항은 미국특허 제5,557,154호로부터 입수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부재(74)는 제 1 클러치 링크 조립체(8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클래스 레버(166)의 일단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3 클러치 칼라(86)를 수용한다. 제 2 클래스 레버(166)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2)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형 선회부(168) 내에 지지된다. 제 1 클러치 액추에이터 링크(172)는 제 2 클래스 레버(166)의 중간 지점을 제 1 입력 클러치(22)에 연결한다. 출력 부재(74)의 도 4의 우측으로의 평행이동은 클러치 링크 조립체(88)를 우측으로 평행이동시키며 제 1 입력 클러치(22)의 디스크를 압축함으로써, 입력 샤프트(14)로부터 제 1 클러치 출력 샤프트(24)로 토크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0)

  1.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multiplexed mechanical shift assembly)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의 수형 스레드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기다란 출력 부재를 갖는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
    상기 출력 부재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수형 스레드에 상보적인 불연속의 암형 스레드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이격된 칼라;
    상기 칼라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칼라 각각에 결합되는 2가지 위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칼라 중 하나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 조립체(shift fork assembly)와, 상기 칼라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클러치 작동 링크 장치(clutch actuating linkage);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조립체에 의해 결합되어 평행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싱크로나이저 클러치(synchronizer clutch)와, 상기 클러치 작동 링크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마찰 클러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성 롤러 스크류 조립체(planetary roller screw assembly)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스레드(thread) 및 노 스레드(no thread)의 3개의 원주방향으로 교호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각각은 스레드(thread) 및 노 스레드(no thread)의 3개의 원주방향으로 교호하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부재, 상기 출력 부재 상의 복수의 이격된 칼라, 상기 칼라 각각과 연결되는 2가지 위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칼라 중 하나에 결합된 클러치를 갖는 제 2 양방향 액추에이터와, 상기 칼라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 조립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 조립체와 클러치 작동 링크 장치는 하나의 카운터샤프트 상의 트랜스미션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8.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multiplexed electromechanical shift assembly)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의 수형 스레드의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기다란 출력 부재를 갖는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
    상기 출력 부재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수형 스레드에 상보적인 불연속의 암형 스레드의 동일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이격된 칼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칼라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칼라 각각에 결합되는 2가지 위치 액추에이터;
    싱크로나이저 클러치와, 상기 칼라 중 하나와 상기 싱크로나이저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시프트 포크 조립체; 및
    입력 클러치와, 상기 칼라 중 다른 하나와 상기 클러치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클러치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는 브러시리스 직류 전기 모터와, 위치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선형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성 롤러 스크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KR1020100138315A 2010-02-23 2010-12-29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KR101220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1,024 US8677852B2 (en) 2010-02-23 2010-02-23 Multiplexed electromechanical actuator mechanism
US12/711,024 2010-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08A true KR20110097608A (ko) 2011-08-31
KR101220191B1 KR101220191B1 (ko) 2013-01-09

Family

ID=4446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315A KR101220191B1 (ko) 2010-02-23 2010-12-29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77852B2 (ko)
KR (1) KR101220191B1 (ko)
CN (1) CN102162520B (ko)
DE (1) DE10201101114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72576Y (es) * 2010-05-26 2010-10-27 Bitron Ind Espana Sa Dispositivo de bloqueo/desbloqueo
JP5895702B2 (ja) * 2012-05-18 2016-03-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変速装置
JP5962205B2 (ja) * 2012-05-23 2016-08-0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変速装置
CN104334932B (zh) * 2012-06-22 2017-07-28 舍弗勒技术有限两合公司 变速器
JP6064459B2 (ja) * 2012-09-05 2017-01-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駆動装置
DE102013220041A1 (de) * 2012-10-24 2014-04-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WO2015003698A2 (de) * 2013-07-09 2015-01-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ngestellter) Schaltaktor
DE102014214137A1 (de) * 2013-07-29 2015-01-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sreinrichtung und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mit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CN104329453A (zh) * 2014-09-28 2015-02-04 唐海滨 一种混合动力变速系统
CN104315141A (zh) * 2014-09-28 2015-01-28 唐海滨 一种电机驱动换挡机构的变速箱
CN104315140A (zh) * 2014-09-28 2015-01-28 唐海滨 电机驱动换挡机构的变速箱
CN104329452A (zh) * 2014-09-28 2015-02-04 唐海滨 混合动力变速系统
CN105909785A (zh) * 2016-04-25 2016-08-31 淮阴工学院 一种电磁直驱机械式自动变速装置
DE102019131940A1 (de) * 2019-11-26 2021-05-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ktuatormodul
DE102021200929A1 (de) 2020-02-04 2021-08-05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Verfahren und systeme für ein stellantrieb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8096A (en) * 1929-03-28 1931-12-29 Fleischel Gaston Automatic speed changer
USRE21828E (en) * 1930-03-28 1941-06-17 Progressive clutch control for au
US3698257A (en) * 1971-01-25 1972-10-17 U S Shamban & Co Lead screw and nut
US3863518A (en) * 1974-02-01 1975-02-04 Caterpillar Tractor Co Transmission shifting system
US4292722A (en) * 1979-08-13 1981-10-06 Pacific Western Systems, Inc. Renewable nut for a lead screw driv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8146748A (ja) * 1982-02-22 1983-09-01 Mazda Motor Corp 複合クラッチ式多段歯車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S63172045A (ja) * 1987-01-09 1988-07-15 Iseki & Co Ltd 変速操作装置
JPH03113167A (ja) * 1989-09-28 1991-05-14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US5557154A (en) * 1991-10-11 1996-09-17 Exlar Corporation Linear actuator with feedback position sensor device
DE4335754A1 (de) 1993-10-20 1995-04-27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altvorrichtung mit Steuergliedern
US5460060A (en) * 1994-07-27 1995-10-24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with spring loaded ball screw
US5517876A (en) * 1994-08-04 1996-05-21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pring loaded shift device
JPH09210200A (ja) * 1996-02-06 1997-08-12 Hino Motors Ltd 変速装置
EP1164310A4 (en) * 1998-12-03 2006-05-17 Hitachi Ltd AUTOMATIC GEAR AND AUTOMOTIVE TRANSMISSION USING THE SAME
DE10143325A1 (de) * 2001-09-05 2003-03-2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Getriebe mit elektromechanischen Getriebesteller
JP4279534B2 (ja) * 2002-10-04 2009-06-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速機の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DE10307308B4 (de) * 2003-02-20 2006-11-30 Siemens Ag Einrichtung zum linearen Verfahren einer Nutzmasse
EP1486704B1 (en) 2003-06-12 2006-04-26 HOERBIGER Antriebstechnik GmbH Shifting device
DE10347492A1 (de) 2003-10-13 2005-06-09 Zf Friedrichshafen Ag Schalteinrichtung
JP2006029441A (ja) * 2004-07-15 2006-02-02 Nissan Motor Co Ltd シフトフォークの位置検知装置
JP2006076548A (ja) * 2004-08-12 2006-03-2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多輪駆動車両の副駆動輪用トランスアクスル
DK1800025T3 (da) * 2004-09-29 2013-03-25 Linak As Lineær aktuator
JP5217483B2 (ja) * 2008-02-19 2013-06-1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5161644B2 (ja) * 2008-04-25 2013-03-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変速制御装置、鞍乗型車両、及び変速制御方法
US8070649B2 (en) * 2009-01-09 2011-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brid powertrain an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156837B2 (en) * 2009-03-16 2012-04-17 Eaton Corporation Multiple-ratio transmission with concentric offset shift forks
US8429994B2 (en) * 2009-09-09 2013-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US8225687B2 (en) * 2009-09-09 2012-07-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US8356529B2 (en) * 2009-09-09 2013-0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US8627739B2 (en) * 2009-09-15 2014-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fork single shift rail assembly
US8359941B2 (en) * 2009-09-29 2013-0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US8403792B2 (en) * 2009-10-21 2013-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US8402859B2 (en) * 2009-11-04 2013-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rrel cam shift mechanism
US8292055B2 (en) * 2009-11-04 2012-10-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adjusting mechanisms for clutches
US8210066B2 (en) * 2009-11-09 2012-07-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magnetic synchronizer actuating system
US8192176B2 (en) * 2009-12-10 2012-06-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fluid supply system having active regulator
US8402855B2 (en) * 2010-01-11 2013-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s for dual clutch trans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191B1 (ko) 2013-01-09
CN102162520B (zh) 2014-05-07
US8677852B2 (en) 2014-03-25
DE102011011149A1 (de) 2012-03-01
CN102162520A (zh) 2011-08-24
DE102011011149B4 (de) 2022-03-31
US20110203401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91B1 (ko) 멀티플렉스 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및 멀티플렉스 전기기계적 시프트 조립체
US11231090B2 (en) Heavy duty transmission architecture
CN102667241B (zh) 用于机动车辆的多离合变速器
KR101220190B1 (ko) 트랜스미션용 배럴 캠 시프트 메커니즘, 및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캠 트랙 시프트 메커니즘
US8151662B2 (en) Electric dual input clutch transmission
US7428852B2 (en) Actuator mechanism for shift motors of a transmission
US8468907B2 (en) Shift arrangement
US20100229668A1 (en) Multiple-Ratio Transmission with Concentric Offset Shift Forks
US20110167957A1 (en) Automatic dual-clutch transmission
KR20100126669A (ko)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요소용 작동 어셈블리
JP2008208912A (ja) 作業車用変速機構
CN104913050B (zh) 用于机动车辆齿轮箱的换档布置及换档方法
WO2019161715A1 (en) Shifting device
US20220144069A1 (en) Clutch Assembly, Motor Vehicle Powertrain,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train
US7861613B2 (en) Selector mechanism for dual-clutch transmissions
US20090151496A1 (en) Motor-vehicle gearbox
WO2019022656A1 (en) SPEED CHANGE CONTROL ARRANGEMENT IN A GEAR BOX
EP3430289A1 (en) Shift control arrangement in a gearbox
US20170146097A1 (en) Transmission
WO2011013043A1 (en) A gearbox for motor vehicles
US20210270366A1 (en)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Shifting Elements
CN114517827A (zh) 用于电动机的双速变速箱
EP2005039A1 (en) Gearbox for a motor vehicle
WO2015072908A1 (en) Compact vehicle transmission
WO2014116175A1 (en) Gearbox with manoeuvring fork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gear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