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604A - 부유식 lng 충전소 - Google Patents

부유식 lng 충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604A
KR20110097604A KR1020100122104A KR20100122104A KR20110097604A KR 20110097604 A KR20110097604 A KR 20110097604A KR 1020100122104 A KR1020100122104 A KR 1020100122104A KR 20100122104 A KR20100122104 A KR 20100122104A KR 20110097604 A KR20110097604 A KR 20110097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gas
line
boil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352B1 (ko
Inventor
이중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325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976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09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05712A2/ko
Priority to CN201180011102.8A priority patent/CN102781772B/zh
Priority to JP2012554896A priority patent/JP5583229B2/ja
Priority to SG2012062873A priority patent/SG183483A1/en
Priority to US13/580,897 priority patent/US9764802B2/en
Priority to EP11747602.8A priority patent/EP2540611B1/en
Publication of KR2011009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6Floating storage vessels, other than vessels for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e.g. for liqui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3J2099/001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 B63J2099/003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of cargo oil or fuel, or of boil-off gases, e.g. for propulsive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71Arrangement
    • F17C2227/0178Arrangement in th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7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press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7Generating electrical power as sid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Barges
    • F17C2270/0113Barges fl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부유식 LNG 충전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는 해상에 부유하여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 LNG를 충전시키는 충전소로서,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LNG가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LNG 탱크와, 상기 LNG 탱크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기 위한 LNG 라인과, 상기 LNG 라인에 LNG의 배출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LNG 펌프와, LNG를 저압, 중압, 고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으로 충전대상의 압축 충전 조건에 대응하게 압축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LNG 라인에 설치되는 다단의 압축기와, 상기 LNG 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대상의 탱크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증발가스를 리턴처리 할 수 있는 하역유닛과, 상기 LNG 탱크로부터 충전 중 또는 운전 중에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를 일시 저장 또는 전력생산을 위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LNG 충전소{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LNG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의 운영을 원활하도록 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이러한 LNG는 천연가스를 대략 -163도씨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LNG 운송선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수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하여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를 가진다.
종래의 LNG 운송선의 LNG 저장탱크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LNG 수송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LNG 수송선(1)은 내측에 LNG 저장탱크(2)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LNG 저장탱크(2)는 극저온에 견디기 위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지며, LNG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하여 미 도시된 배관설비 및 펌프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LNG 수송선(1)은 LNG 저장탱크(2)에 LNG를 저장하여 원하는 육상의 수요처로 운반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석유류의 가격 상승과 더불어 LNG를 연료로 하여 추진하는 선박이 유럽을 중심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들은 LNG를 충전할 수 있는 곳이 몇몇 해상과 인접한 항구주변의 육상 충전소에 국한되어 있어 한정된 지역에서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항 중에 연료충전이 불가능하며, LNG 충전을 위해서는 항구로 이동해야만 하는 시간적인 제약과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며, 종래의 LNG 수송선(1)의 경우 LNG를 단순히 운반하기 위한 기능만을 가지게 됨으로써 LNG 충전기능을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해상에서 선박에 LNG 충전이 필요한 경우라 하더라도 이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LNG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의 운영을 원활하도록 하고,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이 연료인 LNG의 충전을 위하여 항구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이동에 따른 시간적 제약과 정박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LNG를 충전대상에 공급하거나, LNG 보급선으로부터 제공받을 시 과잉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거나, 처리한 증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동력 생산 및 전력생산으로 활용하여 각종 유틸리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 부유하여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 LNG를 충전시키는 충전소로서,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LNG가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LNG 탱크와, 상기 LNG 탱크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기 위한 LNG 라인과, 상기 LNG 라인에 LNG의 배출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LNG 펌프와, LNG를 저압, 중압, 고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으로 충전대상의 압축 충전 조건에 대응하게 압축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LNG 라인에 설치되는 다단의 압축기와, 상기 LNG 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대상의 탱크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증발가스를 리턴처리 할 수 있는 하역유닛과, 상기 LNG 탱크로부터 충전 중 또는 운전 중에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를 일시 저장 또는 전력생산을 위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포함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은 위성항법에 의한 자동 위치조정(DP) 장치 또는 자기 계류(self-mooring)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은 LNG 적하량이나 해상 상태에 따라 동요를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은 LNG의 하역뿐만 아니라, 상기 LNG 라인을 통해서 상기 LNG 탱크에 LNG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NG 라인은 상기 압축기를 바이패스 하기 위한 제 1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LNG 라인은 상기 LNG 펌프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LNG 탱크에 LNG를 공급하도록 제 2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은 증발가스를 양하역시키기 위한 증발가스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은 부유식 구조물에 위치하여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상기 증발가스처리장치로 증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이 상기 증발가스라인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은 LNG의 하역 또는 양하역 양을 검지할 수 있는 메터링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또한, LNG 탱크로부터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는 별도의 증발가스처리라인과, 상기 증발가스처리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가스압축기와, 상기 가스압축기의 후단에 연결되어 압축된 증발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후단으로부터 동력생산장치까지 연결된 연장라인에 결합되어 증발가스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비는 상기 동력생산장치로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과 유틸리티 사이에 결합된 전압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LNG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의 운영을 원활하도록 하고,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이 연료인 LNG의 충전을 위하여 항구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이동에 따른 시간적 제약과 정박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잉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동력생산 및 전력생산으로 활용하여 각종 유틸리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과잉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압축용기에 일시 저장하여 다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LNG 수송선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의 다른 사용모습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부유식 구조물에서부터 LNG를 충전대상에 공급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LNG 보급선으로부터 LNG를 수급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100)는 해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LNG를 추진이나 발전 등을 위해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과 같은 충전대상(10)에 LNG를 충전시키는 충전소로서, 부유식 구조물(110)과, 부유식 구조물(110)에 마련되는 LNG 탱크(120)와, LNG 탱크(120)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기 위한 LNG 라인(130)과, LNG 라인(130)에 각각 설치되는 LNG 펌프(140) 및 압축기(150)와, LNG 라인(130)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과 같은 충전대상(10)에 공급시키는 하역유닛(160), 그리고 LNG를 양하역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10)은 폭풍에 따른 해상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적정한 용량의 자체 추진시스템을 갖출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예인선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바지선의 형태를 가지거나, 예인선을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110)에 충전대상(10)을 접안시킬 수도 있으며 그 밖의 해상에 부유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10)은 해양에서 선박의 왕래가 잦은 위치나 그 외 필요로 하는 위치에 고정되기 위하여 자기 계류(self-mooring) 장치(11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추진기와 위성장비 또는 위성항법을 통해 자동 위치고정이 가능한 자동 위치조정(DP, Dynamic Positioning) 장치(400, 410)에 의한 정밀하게 위치를 조정하는 계류기능도 가질 수 있다.
즉, 부유식 구조물(110)은 위성항법에 의한 자동 위치조정 장치(400, 410) 또는 자기 계류(111) 장치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110)은 LNG 적하량이나 해상 상태에 따른 동요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와 펌핑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처리 장치(112)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가 LNG 탱크(120)와 일체식 또는 독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LNG 탱크(120)는 부유식 구조물(110) 내측에 LNG가 저장되도록 마련되고, IMO가 규정하는 멤브레인식 또는 타입 B, 타입 C의 독립 형식의 화물창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배열(1-row) 또는 2배열(2-row)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LNG 펌프(140)외에도 LNG의 양역에 필요한 송출 펌프, 스트립 펌프, 내외측의 압력제어용 안전밸브(safety valve), 온도 및 압력 검지장치, 가스검출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LNG 라인(130)은 LNG 탱크(120)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거나, LNG 보급선(20)으로부터 LNG를 보급받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LNG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LNG 펌프(140)는 LNG 라인(130)에 LNG의 배출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고, 극저온인 LNG를 펌핑하기 위한 극저온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기(150)는 LNG를 압축시키도록 LNG 라인(130)에 설치됨으로써 LNG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과 같은 충전대상(10)의 탱크(11)에 공급되는 LNG를 필요한 압력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하역유닛(160)은 LNG 라인(130)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과 같은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충전라인(161)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충전라인(161)은 LNG의 하역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 보급선(20)으로부터 LNG를 보급받기 위하여 LNG 라인(130)을 통해서 LNG 탱크(120)에 LNG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하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역유닛(160)은 충전라인(161)을 LNG의 충전이 필요한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딩 아암(loading arm)과, 중앙관제실(예: CACC, Centralized Administration Control Center)에서 LNG 또는 증발가스의 양역 또는 하역과 공급에 관한 전사적 조작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집적자동시스템(예: IAS, Integrated Automation System) 등을 포함하여, 신뢰성 있는 유량 제어, 온도 제어, 압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160)은 충전대상(10)의 탱크(11)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증발가스를 리턴처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충전라인(161) 또는 증발가스라인(162)은 유연관(flexible hos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LNG 라인(130)은 LNG 보급선(20)으로부터 LNG를 보급받을 때, 압축기(150)를 바이패스(by pass)하기 위한 제 1 바이패스라인(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LNG 펌프(140)를 바이패스하여 LNG 탱크(120)에 LNG를 공급하도록 제 2 바이패스라인(132)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LNG 라인(130)과 제 1 및 제 2 바이패스라인(131,13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밸브 등에 의해 LNG 탱크(120)로 보급되는 LNG가 압축기(150)와 LNG 펌프(140)를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역유닛(160)은 부유식 구조물(110)과 병렬로 나란하게 위치한 충전대상(10) 또는 LNG 보급선(20)에 증발가스를 양하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렬로 위치한 충전대상(10) 또는 LNG 보급선(20)에 증발가스를 양하역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의 양하역, 예를 들면 LNG 탱크(120)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LNG 보급선(20)으로 하역시키거나,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LNG 탱크(120)로 리턴받기 위한 증발가스라인(1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증발가스라인(162)은 LNG 탱크(120)에서 충전대상(10)으로 송출시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LNG 탱크(120)로 리턴시킴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충전대상(10)의 탱크(11) 내 압력 상승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가스라인(162)은 LNG 탱크(120) 측과 충전대상(10)의 탱크(11)간의 상호 압력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LNG 탱크(120)로부터 LNG를 공급받게 되는 충전대상(10)의 탱크(11)에는 초기 증발가스가 상당부분 차있게 되며, LNG 탱크(120)로부터 LNG가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하역될 때, 이러한 증발가스를 적절히 LNG 탱크(120)로 리턴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만일,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부터 증발가스를 빼내어 주지 못하는 경우, 일정한 부피를 갖는 충전대상(10)의 탱크(11) 내의 압력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탱크(11)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LNG 하역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증발가스라인(162)은 LNG 탱크(120) 측과 충전대상(10)의 탱크(11) 간의 상호 부피를 보상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LNG 탱크(120)로부터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이동되는 LNG와 동일한 부피의 증발가스를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부터 LNG 탱크(120)로 리턴시켜 줌으로써, LNG 탱크(120)와 충전대상(10)의 탱크(11)간에 부피를 보상하는 역할, 즉 서로 부피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되는 증발가스는 별도의 연료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하역유닛(160)은 부유식 구조물(110)에 위치하며, 증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증발가스처리장치(113)로 증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163)이 증발가스라인(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라인(162)을 따라 이동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라인(163)을 통해서 증발가스처리장치(113)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처리장치(113)를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전환밸브(164)가 증발가스라인(162)과 공급라인(163)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밸브(164)는 본 실시 예에서처럼 3방향 밸브는 물론 다수의 양방향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처리장치(113)는 예를 들면, 보일러, 소각로, 전기생산을 위한 파워플랜트 또는 발전기, 연료엔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증발가스처리장치(113)의 구체적인 사용예는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하역유닛(160)은 LNG의 하역 또는 양하역 양을 검지할 수 있는 메터링 유닛(165, meter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LNG 탱크(120)로부터 하역되는 LNG 양이나 LNG 탱크(120)에 채워지는 LNG 양을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200)는 부유식 구조물(210)과, 부유식 구조물(210)에 LNG가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LNG 탱크(220)와, LNG 탱크(220)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기 위한 LNG 라인(230)과, LNG 라인(230)에 LNG의 배출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LNG 펌프(240)와, LNG 라인(230)에 LNG를 압축시키도록 설치되는 압축기(251, 252)와, LNG 라인(230)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하역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10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251, 252)는 이전의 실시예와 달리, LNG의 압축 압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압축기(251, 252)로 이루어져서 LNG의 송출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와 같이, LNG를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고압압축기(251)와 LNG를 중압 또는 저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중저압압축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압축기(251)와 중저압압축기(252)는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 발전 등을 하는 선박이나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하는 장비를 보유한 해상구조물과 같은 충전대상(10)에 LNG를 충전시 요구되는 압력 조건, 즉 압축 충전 조건에 따라 적절한 범위 내에서 LNG의 압축 압력이 결정될 수 있는데, 압축기(251, 252)는 LNG 펌프(240)의 송출 압력만으로도 공급 가능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2단계로 구성되기 위해 2개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다단의 압축기(251, 252)는 때로는 저압으로, 때로는 중압 또는 고압으로 충전대상의 압축 충전 조건에 대응하게 LNG를 압축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LNG 라인(2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부유식 구조물에서부터 LNG를 충전대상에 공급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LNG 보급선으로부터 LNG를 수급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LNG 화물창(120)내 혹은 LNG 이송간에 발생되는 모든 증발가스는 통상적으로 부유식 구조물(110)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비의 운용 및 소요 유틸리티(300)의 운전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데 쓰일 수 있다.
예컨대, 유틸리티(300)는 부유식 LNG 충전소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압축장치류, 펌프류, 전등, 공기조화설비, 제어기기 또는 각종 전원 소비 장치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를 충전 중일 때,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 보급선(20)으로부터 LNG를 보급받을 시, LNG 탱크(120)로부터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는 별도의 증발가스처리라인(22a)를 통해 필요한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는 가스압축기(90)를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증발가스처리라인(22a)은 증발가스를 처리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이를 동력생산 및 전력생산으로 활용하여, 전력을 필요로 하는 유틸리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LNG 탱크(120)로부터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스압축기(90) 또는 동력생산장치(80a)에 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압축기(90)의 후단에는 압력용기(91)가 연결되어 압축된 증발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증발가스 공급시의 범퍼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압력용기(91)의 후단으로부터 동력생산장치(80a)까지 연결된 연장라인에는 압력용기(91)의 증발가스 공급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92)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후, 가스압축기(90)를 경유한 증발가스는 별도의 압력용기(91)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동력생산장치(80a)로 보내져 연소될 수 있거나, 가스압축기(90) 또는 압력용기(91)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동력생산장치(80a)로 보내져 연소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생산장치(80a)로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80b)가 동력생산장치(80a)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발전기(80b)의 출력단에는 발전 전력을 유틸리티 사용 전력으로 변환 공급 및 관리하는 전압제어장치(80c)(예: Switch board)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생산장치(80a)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발전기(80b)를 이용하여 전력이 생산될 수 있고, 이렇게 생산된 전력은 전압제어장치(80c)를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각의 유틸리티(3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충전대상(10)과 LNG 보급선(20)과 연계운전과는 관계없이 단순히 외부로부터의 입열에 의해 LNG 화물창(120)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증발가스처리라인(22a) 및 관련 결합 구성을 통해 연료용으로 공급처리 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생산장치(80a)는 디젤엔진, 2중연료(Duel fuel) 디젤엔진, 가스터빈 장치, 증기보일러 및 증기터빈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LNG 보급선(20)으로부터 LNG 탱크(120)가 LNG를 공급받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LNG 탱크(120) 내의 증발가스를 증발가스라인(162)과 하역유닛(160)을 경유하여 LNG 보급선(20)으로 리턴시켜 줄 수 있으며, 이는 LNG 탱크(120)로부터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LNG를 이송시키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LNG 충전소의 작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구조물(110, 210)이 자기 계류 장치(111)에 의해 해상에 부유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부유식 구조물(110, 210)로 접안한 충전대상(10), 예를 들면 LNG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마련된 탱크(11)에 하역유닛(160, 260)에 의해 충전라인(161, 261)을 연결한 다음, LNG 펌프(140, 240)의 펌핑에 의해 LNG 라인(130, 230) 및 충전라인(161, 261)을 통해서 LNG 탱크(110) 내의 LNG를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공급한다.
이 때,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압축기(150)에 의해 LNG를 적절한 압력으로 압축시켜서 충전되도록 할 수 있거나, 압축 정도 또는 압축 충전 조건에 따라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복수 또는 다단의 압축기(251, 252)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구조물(110)의 LNG 탱크(120)에 LNG를 보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역유닛(160)을 이용하여 LNG 보급선(20)의 매니폴드(22)를 통해서 LNG 보급선(20)의 LNG 탱크(21)로부터 LNG를 충전라인(161)과 LNG 라인(130)을 통해서 부유식 구조물(110)의 LNG 탱크(120)로 보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구조물(110)의 LNG 탱크(120)로 공급되는 LNG는 제 1 및 제 2 바이패스라인(131,132)을 통해서 압축기(150) 및 LNG 펌프(140)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한편, 하역유닛(160)이 상기한 바와 같이 LNG를 양하역시, 증발가스라인(162)에 의해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부유식 구조물(110)의 LNG 탱크(120)로 리턴시키거나, 부유식 구조물(110)의 LNG 탱크(120)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LNG 보급선(20)의 LNG 탱크(21)로 리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증발가스라인(162)은 LNG 탱크(120) 측과 충전대상(10)의 탱크(11)간의 상호 압력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라인(162)은 LNG 탱크(120) 측과 충전대상(10)의 탱크(11) 간의 상호 부피를 보상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LNG 탱크(120)로부터 LNG를 공급받게 되는 충전대상(10)의 탱크(11)에는 초기 증발가스가 상당부분 차있게 되는데, LNG 탱크(120)로부터 LNG가 충전대상(10)의 탱크(11)로 하역될 때, 하역되는 LNG 량과 동일한 증발가스를 적절히 LNG 탱크(120)로 리턴시켜 주게 되어 상호 압력 및 부피보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전환밸브(164)의 전환에 의해 증발가스라인(162)의 증발가스를 부유식 구조물의 증발가스처리장치(113)로 공급하여 도 5 또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생산을 위한 연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에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LNG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의 운영을 원활하도록 하고,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이 연료인 LNG의 충전을 위하여 항구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이동에 따른 시간적 제약과 정박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충전대상 11 : 탱크
20 : LNG 보급선 21 : LNG 탱크
90 : 가스압축기 91 : 압력용기
80a : 동력생산장치 80b : 발전기
80c : 전압제어장치 110, 210 : 부유식 구조물
111 : 자기 계류 장치 112 : 수처리 장치
113 : 증발가스처리장치 120, 220 : LNG 탱크
130,230 : LNG 라인 131 : 제 1 바이패스라인
132 : 제 2 바이패스라인 140, 240 : LNG 펌프
150, 251, 252 : 압축기 160, 260 : 하역유닛
161 : 충전라인 162, 22a : 증발가스라인
163 : 공급라인 164 : 전환밸브
165 : 메터링 유닛 300 : 유틸리티

Claims (11)

  1. 해상에 부유하여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에 LNG를 충전시키는 충전소로서,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LNG가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LNG 탱크와,
    상기 LNG 탱크로부터 LNG를 배출시키기 위한 LNG 라인과,
    상기 LNG 라인에 LNG의 배출을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LNG 펌프와,
    LNG를 저압, 중압, 고압 중 어느 하나의 압력으로 충전대상의 압축 충전 조건에 대응하게 압축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LNG 라인에 설치되는 다단의 압축기와,
    상기 LNG 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상 구조물에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대상의 탱크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증발가스를 리턴처리 할 수 있는 하역유닛과,
    상기 LNG 탱크로부터 충전 중 또는 운전 중에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를 일시 저장 또는 전력생산을 위한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포함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위성항법에 의한 자동 위치조정(DP) 장치 또는 자기 계류(self-mooring) 장치 중 하나 이상을 가지고 있는
    부유식 LNG 충전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LNG 적하량이나 해상 상태에 따라 동요를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를 가지는
    부유식 LNG 충전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유닛은,
    LNG의 하역뿐만 아니라, 상기 LNG 라인을 통해서 상기 LNG 탱크에 LNG가 채워지도록 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NG 라인은,
    상기 압축기를 바이패스하기 위한 제 1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는
    부유식 LNG 충전소.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NG 라인은,
    상기 LNG 펌프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LNG 탱크에 LNG를 공급하도록 제 2 바이패스라인이 설치되는
    부유식 LNG 충전소.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유닛은,
    증발가스를 양하역시키기 위한 증발가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유닛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위치하여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상기 증발가스처리장치로 증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이 상기 증발가스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부유식 LNG 충전소.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유닛은,
    LNG의 하역 또는 양하역 양을 검지할 수 있는 메터링 유닛을 가지는
    부유식 LNG 충전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상기 LNG 탱크로부터 과잉 생산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는 별도의 증발가스처리라인과,
    상기 증발가스처리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가스압축기와,
    상기 가스압축기의 후단에 연결되어 압축된 증발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압력용기와,
    상기 압력용기의 후단으로부터 동력생산장치까지 연결된 연장라인에 결합되어 증발가스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상기 동력생산장치로부터 발생된 동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출력단과 유틸리티 사이에 결합된 전압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LNG 충전소.
KR1020100122104A 2010-02-24 2010-12-02 부유식 lng 충전소 KR10123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985 WO2011105712A2 (ko) 2010-02-24 2011-02-15 부유식 lng 충전소
CN201180011102.8A CN102781772B (zh) 2010-02-24 2011-02-15 浮动型液化天然气站
JP2012554896A JP5583229B2 (ja) 2010-02-24 2011-02-15 浮遊式lng充填ステーション
SG2012062873A SG183483A1 (en) 2010-02-24 2011-02-15 Floating type lng station
US13/580,897 US9764802B2 (en) 2010-02-24 2011-02-15 Floating type LNG station
EP11747602.8A EP2540611B1 (en) 2010-02-24 2011-02-15 Floating type lng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805 2010-02-24
KR20100016805 2010-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04A true KR20110097604A (ko) 2011-08-31
KR101239352B1 KR101239352B1 (ko) 2013-03-06

Family

ID=4493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104A KR101239352B1 (ko) 2010-02-24 2010-12-02 부유식 lng 충전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64802B2 (ko)
EP (1) EP2540611B1 (ko)
JP (1) JP5583229B2 (ko)
KR (1) KR101239352B1 (ko)
CN (1) CN102781772B (ko)
SG (1) SG183483A1 (ko)
WO (1) WO2011105712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614B1 (ko) * 2012-01-06 2014-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CN103935497A (zh) * 2014-05-09 2014-07-23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移动加气船
CN105452751A (zh) * 2013-05-06 2016-03-30 韩国科学技术院 蒸发气体临时存储系统
CN110360444A (zh) * 2019-07-25 2019-10-22 合肥万豪能源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橇装式lng装车及导液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21931D0 (en) * 2011-12-20 2012-02-01 Mann Christopher M Self contained,standalone,liquid methane storage system
CA2882325C (en) * 2012-09-21 2019-10-29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Integrated storage/offloading facility for an lng production plant
US8646289B1 (en) 2013-03-20 2014-02-11 Flng, Llc Method for offshore liquefaction
US8640493B1 (en) 2013-03-20 2014-02-04 Flng, Llc Method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offshore
US8683823B1 (en) 2013-03-20 2014-04-01 Flng, Llc System for offshore liquefaction
US8991447B1 (en) * 2013-06-27 2015-03-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hip or air deployable automated buoy refueling station for multiple manned or unmanned surface vessels
LT3057905T (lt) * 2013-10-18 2018-09-2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Įkrovimo mazgas suslėgtų dujų srovei perduoti ir perjungimo sistema, skirta naudoti įkrovimo mazge
CN103879522B (zh) * 2014-01-27 2016-03-16 江苏海企港华燃气发展有限公司 一种水上天然气加注站趸船
KR101584568B1 (ko) * 2014-05-23 2016-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CN107000816B (zh) * 2014-12-08 2019-12-31 高负荷液化天然气公司 在外海上转移货物流体的方法与系统
FR3034746B1 (fr) * 2015-04-10 2018-09-21 Gdf Suez Embarcation et procede d'avitaillement de gaz naturel liquefie
KR102333070B1 (ko) * 2015-04-29 2021-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높이조절형 액화가스 하역 시스템 및 하역 방법
US10668989B2 (en) * 2016-11-29 2020-06-02 HiLoad LNG AS Methods and system relating to positioning a ship to side-by-side configuration alongside a floating offshore storage facility and transferring fluid cargo therebetween
KR101856390B1 (ko) * 2016-12-23 2018-05-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식 해상발전장치
US20200231254A1 (en) * 2017-03-06 2020-07-23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Offshore floating facility
DE102017217425A1 (de) * 2017-09-29 2019-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trieb eines Flugzeugs, Antriebssystem und Flugzeug
US11009291B2 (en) * 2018-06-28 2021-05-18 Global Lng Services As Method for air cooled, large scale, floating LNG production with liquefaction gas as only refrigerant
GB2585758B (en) * 2020-05-22 2021-12-22 Equinor Energy As Underwater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KR20220021560A (ko) 2020-08-14 2022-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송 선박
KR102602683B1 (ko) * 2021-08-26 2023-11-15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9367C3 (de) 1969-11-26 1975-01-23 The Ralph M. Parsons Co., Los Angeles, Calif. (V.St.A.)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tabilisierung von Schiffen
US3877240A (en) 1973-04-27 1975-04-15 Lummus Co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liquefied gases
GB1472533A (en) 1973-06-27 1977-05-04 Petrocarbon Dev Ltd Reliquefaction of boil-off gas from a ships cargo of liquefied natural gas
NO812328L (no) 1981-07-08 1983-01-10 Moss Rosenberg Verft As Fremgangsmaate ved utnyttelse av avkok fra kryogene vaesker som brennstoff i en tostoffs-dieselmotor, og system for utnyttelse av fremgangsmaaten
US4522159A (en) 1983-04-13 1985-06-11 Michigan Consolidated Gas Co. Gaseous hydrocarbon fuel storage system and power plant for vehicles and associated refueling apparatus
US5385176A (en) 1993-07-19 1995-01-31 Price Compressor Company, Inc. Natural gas dispensing
US5370159A (en) 1993-07-19 1994-12-06 Price Compressor Company,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fast filling with natural gas
US5479966A (en) 1993-07-26 1996-01-02 Consolidated Natural Gas Service Company, Inc. Quick fill fuel charge process
KR100370910B1 (ko) * 1993-12-10 2003-03-31 트랙테블 엘엔지 노쓰 아메리카 엘엘씨 Lng조합싸이클플랜트시스템및조합싸이클플랜트의용량및효율을향상하기위한방법
US5584664A (en) 1994-06-13 1996-12-17 Elliott; Alvin B. Hydraulic gas compressor and method for use
US5501200A (en) 1994-06-28 1996-03-26 Bogartz; Stuart P. Compressed gas fueling system
DE19717267B4 (de) * 1997-04-24 2008-08-14 Alstom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tiefgekühltem Flüssiggas
NO315194B1 (no) * 1998-01-30 2003-07-28 Navion As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eksport av LNG og kondensat fra et flytende produksjons-, lagrings- og lossefartöy
NO312715B1 (no) 1999-10-27 2002-06-24 Statoil Asa System for offshore overför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JP3564356B2 (ja) * 2000-03-24 2004-09-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超低温液化ガスの出荷計量装置及び方法
US6584781B2 (en) * 2000-09-05 2003-07-01 Enersea Transport,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ressed gas
FR2815025B1 (fr) * 2000-10-06 2003-08-29 Eurodim Sa Systeme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notamment du gaz naturel liquefie a temperature cryogenique, entre un navire de transport et une installation terrestre de traitement et de stockage de ce produit
JP2002181293A (ja) * 2000-12-11 2002-06-26 Yazaki Corp 液化ガス供給装置
US6546739B2 (en) 2001-05-23 2003-04-15 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KR100468889B1 (ko) 2001-07-19 2005-01-29 김건수 해상 주유소
DE10201273A1 (de) 2002-01-15 2003-07-24 Linde Ag Verfahren zum Betanken eines Speicherbehälters mit einem gasförmigen Treibstoff
US6805598B2 (en) * 2002-09-06 2004-10-19 Dorob International Ltd. Liquid natural gas transfer station
US20040261681A1 (en) 2002-12-20 2004-12-30 Oyvind Jordanger System for converting existing tankers to shuttle tankers
FR2852590B1 (fr) * 2003-03-20 2005-06-17 Snecma Moteurs Alimentation en energie d'un terminal gazier a partir d'un navire transportant du gaz liquefie
NO330955B1 (no) * 2003-04-30 2011-08-22 Torp Tech As Losse- og lastfordampingsanordning for skip
US6932326B1 (en) * 2003-06-13 2005-08-23 Richard L. Krabbendam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a heavy load using a fly-jib
WO2005045337A1 (en) * 2003-11-03 2005-05-19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Lng vapor handling configurations and methods
US6962060B2 (en) * 2003-12-10 2005-11-0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frigeration compression system with multiple inlet streams
GB0400986D0 (en) 2004-01-16 2004-02-18 Cryostar France Sa Compressor
US7299760B2 (en) * 2004-03-05 2007-11-27 Sofec, Inc. Floating LNG import terminal and method for docking
US7624770B2 (en) 2004-09-23 2009-12-01 The Boc Group, Inc. Intelligent compressor strategy to support hydrogen fueling
WO2006036325A1 (en) * 2004-09-28 2006-04-0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Combined riser, offloading and mooring system
WO2006039485A2 (en) 2004-10-01 2006-04-13 Dq Holdings, Llc Method of unloading and vaporizing natural gas
US20080127673A1 (en) 2004-11-05 2008-06-05 Bowen Ronald R Lng Transportation Vessel and Method For Transporting Hydrocarbons
US20060156744A1 (en) 2004-11-08 2006-07-20 Cusiter James M 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EP1705112A1 (en) * 2005-03-22 2006-09-27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KR100680627B1 (ko) * 2005-05-02 2007-02-08 박재욱 해상 화력 발전소
JP2006348752A (ja) 2005-06-13 2006-12-28 Kawasaki Shipbuilding Corp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の蒸発ガス供給システム
CN101421554B (zh) * 2006-04-13 2012-06-20 氟石科技公司 Lng蒸汽的处理配置和方法
KR20090057298A (ko) * 2006-09-11 2009-06-04 우드사이드 에너지 리미티드 Lng의 선박 대 선박 이송과정 중의 액체기화가스 처리
DE102006047313B4 (de) 2006-10-06 2009-08-20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orrichtung zum schnellen Befüllen von Druckgasbehältern
KR100812723B1 (ko) 2006-12-18 2008-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운반선의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US8820096B2 (en) * 2007-02-12 2014-09-0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operation of the same
KR100832603B1 (ko) * 2007-03-21 2008-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080097141A (ko) * 2007-04-30 2008-1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인-탱크 재응축 수단을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상기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의 증발가스 처리방법
KR100835090B1 (ko) * 2007-05-08 2008-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US8186170B2 (en) * 2007-05-29 2012-05-29 Sofec, Inc.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EP2003389A3 (en) * 2007-06-15 2017-04-19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oil-off gas in an LNG carrier having a reliquefaction plant, and LNG carrier having said apparatus for treating boil-off gas
US7938964B2 (en) * 2007-08-15 2011-05-10 Ronald De Strulle Environmentally-neutral processing with condensed phase cryogenic fluids
EP2072885A1 (en) 2007-12-21 2009-06-24 Cryostar SAS Natural gas supply method and apparatus.
US20090252598A1 (en) * 2008-04-02 2009-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inlet temperature suppression during under frequency events and related method
KR20090106681A (ko) * 2008-04-07 2009-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US20090293506A1 (en) * 2008-05-30 2009-12-03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ified Gas
EP2228294A1 (en) 2009-03-09 2010-09-15 RAM LNG Holdings Limited Vessel for transport of liquefied natural gas
DE102009028109A1 (de) 2009-07-30 2011-02-03 Tge Marine Gas Engineering Gmbh Brenngas-System für Handelsschiffe
KR100967818B1 (ko)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614B1 (ko) * 2012-01-06 2014-0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CN105452751A (zh) * 2013-05-06 2016-03-30 韩国科学技术院 蒸发气体临时存储系统
CN103935497A (zh) * 2014-05-09 2014-07-23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移动加气船
CN110360444A (zh) * 2019-07-25 2019-10-22 合肥万豪能源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橇装式lng装车及导液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0611B1 (en) 2015-09-30
CN102781772B (zh) 2015-04-01
SG183483A1 (en) 2012-09-27
KR101239352B1 (ko) 2013-03-06
CN102781772A (zh) 2012-11-14
US9764802B2 (en) 2017-09-19
US20120317996A1 (en) 2012-12-20
JP2013520365A (ja) 2013-06-06
EP2540611A4 (en) 2014-08-27
JP5583229B2 (ja) 2014-09-03
WO2011105712A2 (ko) 2011-09-01
EP2540611A2 (en) 2013-01-02
WO2011105712A3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352B1 (ko) 부유식 lng 충전소
US11204117B2 (en) Dockside ship-to-ship transfer of LNG
AU2011335362B2 (en) Floating LNG plant
US63297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excess electric power from a marine transportation vessel
KR100678851B1 (ko) 압력이 제어되는 석션드럼을 갖는 해상 lng 재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20324910A1 (en) Articulated Tug and Barge Arrangement for LNG Storage, Transportation and Regasification
US20090266086A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lng circulating device
KR101205351B1 (ko) 연료 공급 선박
US201401160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usting boil-off gas and generating electricity at an offshore lng marine terminal
MX2009002474A (es) Transportar y conducir gas natural licuado.
CN107636380A (zh) 用于冷却液化气体的方法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91246B1 (ko) Bog를 선박위치제어장치에 이용하는 선박
US20140290281A1 (en) Articulated tug and barge arrangement for LNG storage, transportation and regasification
CN101260972A (zh) 船舶卸货时使用的货物气化装置
KR102260415B1 (ko) 가압식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방법
CN110167837B (zh) 燃料气体供应系统
WO2017200388A1 (en) Natural gas power plant arrangement
KR101556296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연료 공급 방법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US11486546B2 (en) LNG bunkering equipment test and evaluation system
CN111094121A (zh) 加压型用于输送液体货物的装置和方法
Lee et al. LNG regasification vessel-the first offshore LNG facility
RU2816277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газа,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нутри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ил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в сжиженном состоянии и газообразном состоянии, которая установлена на судне
CN111268026B (zh) 一种利用lng罐箱作为集装箱船燃料舱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