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681A -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681A
KR20090106681A KR1020080031955A KR20080031955A KR20090106681A KR 20090106681 A KR20090106681 A KR 20090106681A KR 1020080031955 A KR1020080031955 A KR 1020080031955A KR 20080031955 A KR20080031955 A KR 20080031955A KR 20090106681 A KR20090106681 A KR 2009010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gas turbine
heat
transfer medium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한
최동규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681A/ko
Priority to US12/175,231 priority patent/US20090249799A1/en
Publication of KR2009010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4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 F02C7/141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4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 F02C7/141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of working fluid
    • F02C7/143Cooling of plants of fluids in the plant, e.g. lubricant or fuel of working fluid before or between the compressor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02C7/185Cooling means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6Very high pressure, i.e. above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2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in a closed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2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with recovery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6Enhancing energ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7Generating electrical power as sid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Barges
    • F17C2270/0113Barges fl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재기화 설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이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 가스 터빈이 구비된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상기 열교환 수단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회로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되며, 이러한 해상 구조물에서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LNG, 열교환기, 해상 구조물, 가스 터빈, 효율 증가, 냉열, 연소용 공기

Description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 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GAS TURBINE USING COLD HEAT FROM LNG AND MARINE STRUCTURE HAVING THE GAS TURBINE}
본 발명은, LNG 재기화 설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이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 가스 터빈이 구비된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상태로 LNG 캐리어(특히,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 는 LNG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LNG 수송선은 LNG 저장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이러한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소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특히 자연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LNG 수송선이 소요처에 LNG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LNG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LNG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LNG 수송선이나 해상 부유물에 LNG 재기화 설비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LNG 재기화 설비가 마련된 해상 구조물의 예로서는 LNG RV (Regasification Vessel)나 LNG 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LNG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해상 구조물에도 LNG 재기화 설비가 마련될 수 있다.
LNG RV는 자력 항해 및 부유가 가능한 LNG 수송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 한 것이고,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액화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액화 천연가스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그리고,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LNG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해상 구조물에는 전력 생산을 위해 가스 터빈이 사용되고 있는데, 가스 터빈에 연소용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을수록 가스 터빈의 효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가스 터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종래 증발 냉각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종래에는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에 물을 흘려보내거나 분무한 후 이 물이 증발하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증발 냉각 기술은 미국 특허 제 5,390,505 호 및 일본 특허공개 평08-151933 호 등에 잘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물의 증발에 따른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면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습공기 온도의 포화온도 이하까지 공기 온도를 낮출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위도가 높은 지역이나 겨울철과 같이 대기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가스 터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고, 대기 온도에 따라 가스 터빈의 출력이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LNG 재기화 설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이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이 가스 터빈이 구비된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을 위해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상기 열교환 수단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회로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을 위해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해상 구조물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상기 열교환기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상 구조물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LNG 기화기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기와, 상기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열전달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이송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매체는, 극저온 상태인 LNG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동결되지 않도록 빙점이 낮은 열매체 오일(thermal(hot) oil),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및 증발형 냉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NG 기화기에서 기화된 LNG는 상기 가스 터빈의 연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폐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상 구조물은, LNG 재기화 설비가 장착되어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서, LNG RV, LNG FSRU 및 LNG FPSO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 장탱크와, 전력 생산을 위해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은,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LNG를 재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LNG의 재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전달받은 상기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연소용 공기를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은, 상기 연소용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전달 매체를 외부로부터의 열 에너지에 의해 더욱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은, 상기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되는 상기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소용 공기의 냉각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을 위해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열전달 매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소용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전달 매체를 외부로부터의 열 에너지에 의해 더욱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LNG 재기화 설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이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이 증가된 가스 터빈을 구비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대기온도와 관계없이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항상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스 터빈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동일한 사양의 가스 터빈을 가지고도 종래에 비해 더욱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의 연료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고 해상 구조물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더욱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터빈 효율 증가방법과, 이 가스 터빈이 구비된 해상 구조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해상 구조물이란, LNG와 같이 극저온 상태로 적재되는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가지면서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구조물뿐만 아니라 LNG RV(LNG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 효율 증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해상 구조물의 LNG 저장탱크(도시생략)에는 극저온의 LNG가 저장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는 필요에 따라 LNG 기화기(25)에 의해 기화된 후 수요처로 공급되거나 해상 구조물에 탑재된 각종 장치의 연료로 사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LNG 기화기(25)에서 LNG는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열을 공급받아 재기화되고, 열전달 매체는 재기화되는 LNG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아 냉각되어 응축된다.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 이송펌프(11)에 의해 LNG 기화기(25)에 공급되는 LNG의 양은 LNG 조절밸브(1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전달 매체 회로(20)는 LNG 기화기(25),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 및 열교환기(27)를 포함한다. 이 열전달 매체 회로(20)는 폐회로이며, 열전달 매체는 LNG 기화기(25),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 및 열교환기(27)를 순차적으로 순환한다.
LNG 기화기(2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7)에서 가스 터빈의 입구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열전달 매체 회로(20)에서의 열전달 매체의 순환은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에 의해 수행되며, 열교환기(27)로 공급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은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LNG 기화기(25)에서 냉열을 공급받아 응축된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7)에서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냉열을 빼앗겨 기화될 수 있다.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에 의해 열교환기(27)에 공급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27)를 통과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기온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터빈(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27)를 통과하기 전의 대기 공기의 온도는 계절 및 위도 등의 상황에 따라 대략 0 ~ 45℃ 정도인데, 열교환기(27)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대략 5 ~ 30℃만큼 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가스 터빈(30)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대략 27℃ 정도 낮출 경우, 가스 터빈(30)의 효율은 대략 10% 정도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기(27)에서 열전달 매체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아 냉각된 공기는 가스 터빈(30)에 공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된 공기는, 가스 터빈(30)에 포함되어 연소전에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31)의 입구측으로 공급된다. 공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32)로 공급된 후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되고, 터빈(33)을 구동시킨다.
터빈(33)과 공기 압축기(31), 나아가서 발전기(35)는 모두 하나의 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발전기(35)에서 생산된 전력은 해상 구조물 내에서 각종 장치 등을 구동시키거나 동력원으로서 쓰일 수 있다. 즉, 가스 터빈(30)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LNG 기화기(25)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는 가스 터빈(30)의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 효율 증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해상 구조물의 LNG 저장탱크(도시생략)에는 극저온의 LNG가 저장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는 필요에 따라 LNG 기화기(25)에 의해 기화된 후 수요처로 공급되거나 해상 구조물에 탑재된 각종 장치의 연료로 사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LNG 기화기(25)에서 LNG는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열을 공급받아 재기화되고, 열전달 매체는 재기화되는 LNG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아 냉각되거나 응축된다.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 이송펌프(11)에 의해 LNG 기화기(25)에 공급되는 LNG의 양은 LNG 조절밸브(1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열전달 매체로서는, 극저온 상태의 LNG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동결되지 않도록 열매체 오일(thermal(hot) oil)이나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혹은 증발형 냉매 등과 같은 빙점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전달 매체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미국특허 제 2,975,607 호, 제 3,986,340 호, 제 6,367,258 호, 제 6,688,114 호 및 제 6,945,049 호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특허에서는 LNG의 기화시에 발생되는 냉열을 모두 버리고 있다.
열매체 오일은 미네랄 오일의 일종으로 매우 넓은 온도 범위(-10 ~ 320℃)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글리콜 워터는 글리콜과 물의 혼합물로서 그 혼합비율은 글리콜이 30 ~ 50%, 물이 70 ~ 50% 정도이며, 역시 넓은 온도 범위(-30 ~ 100℃)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전달 매체 회로(20)는 LNG 기화기(25), 열교환기(27),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 및 가열기(23)를 포함한다. 이 열전달 매체 회로(20)는 폐회로이며, 열전달 매체는 LNG 기화기(25), 열교환기(27),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 및 가열기(23)를 순차적으로 순환한다.
LNG 기화기(2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7)에서 가스 터빈의 입구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킨다. 열전달 매체 회로(20)에서의 열전달 매체의 순환은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21)에 의해 수행되며, 가열기(23)로 공급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 즉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은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LNG 기화기(25)에서 냉열을 공급받아 저온 상태로 된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7)에서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냉열을 빼앗긴다. 즉, 열교환기(27)에서 열전달 매체는 공기에 의해 가열된다. 이와 같이 공기에 의해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가열기(23)에서 더욱 가열되어 고온 상태로 될 수 있다.
LNG 기화기(25)를 통과한 열전달 매체는, 열매체 오일(thermal(hot) oil)이나 클리콜 워터(glycol water)를 사용할 경우 대략 -10 ~ 0℃까지 냉각되고, 증발형 냉매를 사용할 경우 대략 -50 ~ 0℃까지 냉각되어 응축된다. 이러한 저온의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상온의 대기를 저온의 공기로 냉각시킨다. 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아직 대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므로, LNG 기화기(25)에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해서는 열전달 매체를 추가로 가열할 필요가 있다. 가열기(23)는 열전달 매체에 대한 추가 열원의 공급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며, 가열기(23)를 통과한 열전달 매체는 그 열전달 매체의 종류에 따라 대략 0 ~ 90℃까지 가열된 후 LNG 기화기(25)로 공급된다.
열전달 매체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열기는 열매체 오일 시스템 (thermal(hot) oil system)이나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혹은 증발형 냉매 시스템(evaporated refrigeration system)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22)에 의해 열교환기(27)에 공급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27)를 통과하여 가스 터빈(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기온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터빈(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27)에서 열전달 매체로부터 냉열을 공급받아 냉각된 공기는 가스 터빈(30)에 공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된 공기는, 가스 터빈(30)에 포함되 어 연소전에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 압축기(31)의 입구측으로 공급된다. 공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32)로 공급된 후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되고, 터빈(33)을 구동시킨다.
터빈(33)과 공기 압축기(31), 나아가서 발전기(35)는 모두 하나의 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발전기(35)에서 생산된 전력은 해상 구조물 내에서 각종 장치 등을 구동시키거나 동력원으로서 쓰일 수 있다. 즉, 가스 터빈(30)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LNG 기화기(25)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는 가스 터빈(30)의 연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LNG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대기온도와 관계없이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항상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스 터빈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열기를 이용하여 열전달 매체를 가열한 후 LNG 기화기로 공급하기 때문에, LNG의 기화에 필요한 열 에너지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LNG와 공기 사이에 직접적인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열전달 매체 회로를 통하여 LNG의 냉열을 공기에 전달하므로,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공기에 LNG의 메탄 성분이 혼합될 가능성을 원천 적으로 제거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래와 동일한 사양의 가스 터빈을 가지고도 종래에 비해 더욱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의 연료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고, 해상 구조물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더욱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 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 효율 증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 효율 증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LNG 이송펌프 12 : LNG 조절밸브
20 : 열전달 매체 회로 21 :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
22 :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 23 : 가열기
25 : LNG 기화기 27 : 열교환기
30 : 가스 터빈 31 : 공기 압축기
32 : 연소실 33 : 터빈
35 : 발전기

Claims (16)

  1.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상기 열교환 수단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회로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2.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상기 열교환기에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LNG 기화기에서 LNG의 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 열교환 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LNG 기화기와, 상기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열전달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열전달 매체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이송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열전달 매체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는, 극저온 상태인 LNG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동결되지 않도록 빙점이 낮은 열매체 오일(thermal(hot) oil), 글리콜 워터(glycol water), 및 증발형 냉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LNG 기화기에서 기화된 LNG는 상기 가스 터빈의 연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 회로는 폐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상 구조물은, LNG 재기화 설비가 장착되어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서, LNG RV, LNG FSRU 및 LNG FPSO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
  12.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 또는 동력 발생용으로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 는 방법으로서,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LNG를 재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LNG의 재기화시 발생하는 냉열을 전달받은 상기 열전달 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상기 연소용 공기를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전달 매체를 외부로부터의 열 에너지에 의해 더욱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되는 상기 열전달 매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소용 공기의 냉각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16. 극저온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전력 생산을 위해 설치되는 가스 터빈을 구비한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가스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열전달 매체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의 냉열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상기 가스 터빈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소용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전달 매체를 외부로부터의 열 에너지에 의해 더욱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KR1020080031955A 2008-04-07 2008-04-07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KR20090106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55A KR20090106681A (ko) 2008-04-07 2008-04-07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US12/175,231 US20090249799A1 (en) 2008-04-07 2008-07-17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gas turbine and a marine structur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955A KR20090106681A (ko) 2008-04-07 2008-04-07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681A true KR20090106681A (ko) 2009-10-12

Family

ID=4113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955A KR20090106681A (ko) 2008-04-07 2008-04-07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49799A1 (ko)
KR (1) KR200901066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35B1 (ko) * 2020-06-01 2020-09-16 오승재 열부하 조절 시스템
WO2021112504A1 (ko) * 2019-12-02 2021-06-10 오승재 열교환 시스템 및 열부하 조절 시스템
KR2021007911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디이앤씨 냉열 활용 시스템
KR102383198B1 (ko) * 2020-09-28 2022-04-05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Lng 냉열을 활용한 가스터빈 연소용 공기 냉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52B1 (ko) * 2010-02-24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lng 충전소
CA2813263A1 (en) * 2010-09-30 2012-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Aircraft engine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DE102012005770A1 (de) * 2012-03-23 2013-09-26 Linde Aktiengesellschaft Wärmekraftanlage mit gekühlter Supraleiterstruktur
EP2796689B1 (en) 2013-04-25 2016-09-14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Liquid fuel ignited gas engine with emergency operation
CN106461159A (zh) * 2014-02-21 2017-02-22 舟波电子工程设备有限公司 冷能回收系统和方法
KR101788749B1 (ko) * 2014-02-24 2017-10-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02554A (ja) * 2014-11-28 2016-06-02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ガス用気化装置
EP3184876A1 (en) * 2015-12-23 2017-06-2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Liquid natural gas cogeneration regasification terminal
JP6916061B2 (ja) * 2017-08-10 2021-08-11 株式会社Ihiプラント 熱交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12932C (ko) * 1958-06-11
US3986340A (en) * 1975-03-10 1976-10-19 Bivins Jr Henry W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erheated gaseous fluid from a low temperature liquid supply
NO800935L (no) * 1980-03-31 1981-10-01 Moss Rosenberg Verft As Fremdriftsmaskineri for lng-skip.
US5390505A (en) * 1993-07-23 1995-02-21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Indirect contact chiller air-precooler method and apparatus
JP2954466B2 (ja) * 1993-10-29 1999-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吸気冷却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WO1995016105A1 (en) * 1993-12-10 1995-06-15 Cabot Corporation An improved liquefied natural gas fueled combined cycle power plant
MXPA02000764A (es) * 1999-07-22 2002-07-22 Bechtel Corp Un metodo y aparato para vaporizar gas liquido en una planta de energia de ciclo combinado.
US6688114B2 (en) * 2002-03-29 2004-02-10 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US6945049B2 (en) * 2002-10-04 2005-09-20 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4261582B2 (ja) * 2003-08-12 2009-04-30 エクセルレイト・エナジー・リミテッド・パートナーシップ Lng搬送体に関する交流推進設備を使用した船上での再ガス化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04A1 (ko) * 2019-12-02 2021-06-10 오승재 열교환 시스템 및 열부하 조절 시스템
KR2021007911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디이앤씨 냉열 활용 시스템
KR102156735B1 (ko) * 2020-06-01 2020-09-16 오승재 열부하 조절 시스템
KR102383198B1 (ko) * 2020-09-28 2022-04-05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Lng 냉열을 활용한 가스터빈 연소용 공기 냉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9799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6681A (ko) Lng의 냉열을 이용한 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 해상 구조물
KR101258934B1 (ko) 선박
KR100981146B1 (ko) 선박용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668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647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as in a gas storage facility for a gas tanker
KR20170033649A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130062006A (ko) Ln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2393101B1 (ko)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1363A (ko) 가스연료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96641A (ko) 재기화 유닛을 구비한 수용 터미널의 가스 처리 시스템 및 대응하는 가스 처리 방법
KR102067892B1 (ko)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70033675A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CN110167837B (zh) 燃料气体供应系统
US20240159460A1 (en) Method for cooling a heat exchanger of a gas supply system for a gas-consuming apparatus of a ship
KR102426559B1 (ko) 유기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7021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1623092B1 (ko)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KR102098875B1 (ko) 개방형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67858B1 (ko) 선박용 쿨링 장치의 폐열을 이용한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90041859A (ko) Lng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751850B1 (ko) Lng 운반선의 화물 하역 방법과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 공급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608692B1 (ko)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6682A (ko) 대기식 기화기를 통하여 회수된 lng의 냉열을 이용한가스 터빈의 효율 증가 방법 및 상기 가스 터빈을 갖는해상 구조물
KR20210008254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315029B1 (ko)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