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787A -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787A
KR20110096787A KR1020100016231A KR20100016231A KR20110096787A KR 20110096787 A KR20110096787 A KR 20110096787A KR 1020100016231 A KR1020100016231 A KR 1020100016231A KR 20100016231 A KR20100016231 A KR 20100016231A KR 20110096787 A KR20110096787 A KR 2011009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orting
paper
iron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787A/ko
Publication of KR2011009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수거된 다양한 폐기물이 재활용될 수 있도록 분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동일 종류의 폐기물을 포장 배출하는 분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캔, 종이, 유리병의 서로 다른 공정이 하나의 시설에서 종합적으로 분리처리되도록 한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처리라인, 철캔 처리라인, 종이 처리라인 및 유리병 처리라인이 왼쪽부터 반입, 저장, 선별 및 포장 순으로 진행되며, 각 처리라인은 가로축 상에 병렬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플라스틱류, 종이류, 철캔류 및 유리병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가 한 장소에서 처리됨으로써 재활용품의 종합처리가 가능하고, 가로축 상에 배치된 각 처리라인은 다른 처리라인과의 연계를 위한 연계설비의 설치 구조가 간명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separating and treating system for wastes}
본 발명은 분리 수거된 다양한 폐기물이 재활용될 수 있도록 분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동일 종류의 폐기물을 포장 배출하는 분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 캔, 종이, 유리병의 서로 다른 공정이 하나의 시설에서 종합적으로 분리처리되도록 한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쓰레기는 분리수거가 의무화되어 있고, 이 중 플라스틱류, 종이류, 캔류, 유리병류의 분리 수거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 각지에서 수거된 상기 생활쓰레기는 그 종류별로 별도의 처리 시설로 이송된 후 수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다시 선별하여 제거한 후 분쇄 또는 압축 과정 등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친 이후에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압축 또는 포장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품의 제조회사로 반출처리되고 있다.
현재까지 생활쓰레기에 대한 선별, 포장 시설은 그 종류별로 산재에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생활쓰레기를 취급하는 시설에서 선별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는 슬러지로 취급되어 별도로 배출되어 매장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례로 캔류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시설에서 선별과정을 거쳐 산출되는 플라스틱류, 종이류, 유리병류는 상기 시설에서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슬러지로 취급되어 일반 생활쓰레기와 같이 매장처리하게 된다. 이는 선별된 플라스틱류, 종이류, 유리병류에 대한 재선별에 따른 비용증가와 해당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까지의 재운송비용을 감안할 때에 경제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에는 어느 한 종류의 생활쓰레기에 대하여 전문적인 선별처리가 가능하나, 수거 과정 중 섞여 반입되는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어, 자원의 낭비가 있게 되며,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에 대한 처리 공정이 하나의 종합적으로 분리처리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어느 한 생활쓰레기에 대한 선별작업 중 선별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를 해당 생활쓰레기의 처리 고정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처리라인, 철캔 처리라인, 종이 처리라인 및 유리병 처리라인이 왼쪽부터 반입, 저장, 선별 및 포장 순으로 진행되며, 각 처리라인은 가로축 상에 병렬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플라스틱류가 반입되는 플라스틱반입시설; 상기 플라스틱류가 저장되는 플라스틱저장시설; 상기 플라스틱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플라스틱류에서 플라스틱만을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시설;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을 거친 플라스틱을 분쇄 및 세척하는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 상기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을 거친 플라스틱을 열용융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시설; 및 상기 펠릿을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플라스틱포장및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철캔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철캔류가 반입되는 철캔반입시설; 상기 철캔류가 저장되는 철캔저장시설; 상기 철캔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철캔류에서 철캔, 알루미늄캔 및 이종 생활쓰레기를 선별하는 철캔선별시설; 성기 철캔선별시설을 거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압축하여 압축블록을 생성하는 철캔압축시설; 및 상기 압축블록이 저장되는 압축블록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종이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종이류가 반입되는 종이반입시설; 상기 종이류가 저장되는 종이저장시설; 상기 종이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종이류를, 자동화 종이선별장비를 통하여 골판지와, 상기 골판지를 제외한 기타종이로 선별하는 종이선별시설; 및 상기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압축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종이포장및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종이선별시설을 거쳐 선별된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며, 골판지와 기타종이의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종이선별시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유리병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유리병류가 반입되는 유리병반입시설; 상기 유리병류가 저장되는 유리병저장시설; 상기 유리병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유리병류를, 색상별로 자동 선별하는 유리병선별장비를 통하여 분리 배출하는 유리병선별시설; 및 분리 배출된 유리병을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유리병보관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유리병선별시설에서 상기 유리병선별장비는 상기 유리병류를 갈색병, 초록병, 투명병 및 그 외 생활쓰레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유리병선별시설을 거쳐 분리된 각 유리병을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통과시키며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 철캔선별시설, 종이선별시설, 추가종이선별시설, 유리병선별시설 또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에서 원래 목적하는 생활쓰레기 외로 선별된 플라스틱류, 철캔류, 종이류 또는 유리병류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해당 생활쓰레기가 저장된 플라스틱저장시설, 철캔저장시설, 종이저장시설 또는 유리병저장시설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각 선별시설에서 해당 저장시설로 연결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는 가로로 형성된 각 처리라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류, 종이류, 철캔류 및 유리병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가 한 장소에서 처리됨으로써 재활용품의 종합처리가 가능하고, 가로축 상에 배치된 각 처리라인은 다른 처리라인과의 연계를 위한 연계설비의 설치 구조가 간명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한 장소에 각 개별처리라인이 구비됨으로써, 어느 한 처리라인에서 처리할 수 없는 재활용품을 버리지 아니하고, 다른 처리라인에서 반입하여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어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갖는다.
나아가, 잘못 분류된 재활용품의 반입은 각 처리라인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회수함으로써, 각 처리라인에 구비된 연계 처리과정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최적화된 생산처리 과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처리시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채용된 플라스틱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된 철캔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된 종이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된 유리병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100)에는 플라스틱 처리라인(1), 철캔 처리라인(2), 종이 처리라인(3) 및 유리병 처리라인(4)이 포함된다. 각 처리라인은 주거지 등 외부에서 플라스틱류, 철캔류, 종이류, 유리병류로 나눠 수집된 생활쓰레기를 반입하여 임시 저장하였다가, 각 생활쓰레기별로 요구되는 기준에 따라 선별과정을 거쳐 재활용을 위한 최종 처리시설로 운반하기 위하여 포장하는 각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반입, 저장, 선별 및 포장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각 처리라인에는 반입시설, 저장시설, 선별시설 및 포장시설이 일직선 상에 차례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플라스틱류 등 일부 생활쓰레기는 포장 전에 분쇄, 세척, 재가공 등을 더 거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처리시설이 선별시설과 포장시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 처리라인(1)과 철캔 처리라인(2), 종이 처리라인(3) 및 유리병 처리라인(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부지 상에서 가로축 상에 병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입, 저장, 선별 및 포장 공정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도록 가장 왼쪽에 반입설비부터 구비되도록 레이아웃하게 된다.
이로써 공장설비 내에서 처리공정의 흐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추후 설명되는 다른 처리라인과의 연계를 위한 연계설비의 설치 구조가 간명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처리라인, 철캔 처리라인, 종이 처리라인 및 유리병 처리라인이 하나의 부지 위에 집중 설치됨에 따라 어느 한 종의 생활쓰레기 처리라인에서 발생되는 이종(異種)의 생활쓰레기를 해당 생활쓰레기 처리라인에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슬러지로 배출, 매립되었던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어느 한 종류의 생활쓰레기에 섞여 유입된 다른 종류의 생활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재활용률을 증대시켜 이윤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각 생활쓰레기별 처리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플라스틱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플라스틱류는 플라스틱 종류를 일괄하여 수거한 상태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페트(PET), 폴리스티렌(PS), 에이비에스(ABS),염화비닐(PVC) 등의 플라스틱과, 수거 과정 중에 포함되는 다른 이종의 생활쓰레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이종의 생활쓰레기에는 철캔, 종이, 유리병 및 그 외의 슬러지가 포함된다.
플라스틱 처리라인(1)에는 수거된 플라스틱류가 반입되는 플라스틱반입시설(11)과, 상기 플라스틱류가 저장되는 플라스틱저장시설(12)과, 상기 플라스틱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플라스틱류에서 플라스틱류만을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시설(13)과,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을 거친 플라스틱류를 분쇄 및 세척하는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14)과, 상기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을 거친 플라스틱류를 열용융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시설(150 및 상기 펠릿을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플라스틱포장및저장시설(16)이 구비된다.
상기 플라스틱반입시설(11)은 거주지 등에서 수거되어 차량으로 운송된 플라스틱류를 플라스틱저장시설(12)에 옮기기 위한 시설로, 공지된 구성의 크레인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저장시설(12)은 상기 크레인으로 이동된 플라스틱류가 임시 저장되는 장소로, 플라스틱류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수거하기 위한 침출수 수거장비와 침출수 등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가스 배출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침출수 수거장비와 악취가스 배출장치는 공지된 구성의 정화장치와 연결되어 침출수와 악취가스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플라스틱선별시설(13)에는 공지된 구성의 광학선별장치(131)가 설비되어 있다. 광학선별장치(131)는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으로 이동되는 생활쓰레기에 적외선을 투시하여 반사되는 형상을 분석하여 플라스틱의 재질을 선별할 수 있는 것으로, 플라스틱과 다른 생활쓰레기를 선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플라스틱선별시설(13)을 통고하면서 플라스틱류는 순수한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을 제외한 기타 생활쓰레기로 선별된다.
한편, 플라스틱선별시설(13) 이후에는 선별된 플라스틱을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선별된 플라스틱에 이종 생활쓰레기가 포함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추가플라스틱선별설비(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14)에는 세척조(141)와 분쇄장치(142)가 구비되어 있다. 세척조(141)는 선별된 플라스틱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세척용액이 풀어진 침수조와, 상기 침수조에 연이어 세정을 위한 다수의 수조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플라스틱은 상기 침수조와 수조로 차례로 옮겨지며 들어붙은 오물 등을 제거하게 된다.
세척조를 거친 이후 물기를 제거한 플라스틱은 공지된 구성의 분쇄장치(142)에 투입되어 일정 크기로 잘게 부수어진다.
한편, 펠릿제조시설(150에는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구성의 사출장치(151)가 구비된다. 분쇄장치에 배출된 플라스틱은 사출장치에 공급되고, 사출장치에서는 이를 용융하여 소정 크기의 펠릿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펠릿은 플라스틱의 부피를 줄여 포장 및 반출의 소요경비를 줄일 수 있게 한다.
한편, 플라스틱포장및저장시설(16)에서는 경화된 펠릿을 포대(161)에 담아 포장작업을 수행하며, 반출 전에 펠릿을 담은 포대(161)를 적층 보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철캔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철캔류는 음료수캔, 부탄가스캔, 통조림캔 등 일상 생활 속에서 배출된 캔 제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수거 과정 중에 캔 제품 외의 이종의 생활쓰레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이종의 생활쓰레기에는 플라스틱, 종이, 유리병 및 그 외의 슬러지가 포함된다.
상기 철캔 처리라인(2)에는 수거된 철캔류가 반입되는 철캔반입시설(21)과, 상기 철캔류가 저장되는 철캔저장시설(22)과, 상기 철캔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철캔류에서 철캔, 알루미늄캔 및 이종 생활쓰레기를 선별하는 철캔선별시설(23)과, 성기 철캔선별시설을 거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압축하여 압축블록을 생성하는 철캔압축시설(24) 및 상기 압축블록이 저장되는 압축블록저장시설(25)이 구비된다.
철캔반입시설(21)은 거주지 등에서 수거되어 차량으로 운송된 철캔류를 철캔저장시설(22)에 옮기기 위한 시설로, 전술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성의 크레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철캔저장시설(22)도 전술된 플라스틱저장시설과 같이 침출수와 악취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철캔선별시설(23)에는 철캔류에서 철캔과 알루미늄캔 및 이종 생활쓰레기를 선별하는 캔선별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캔선별장치(231)에는 지면과 수평한 회전축 상에서 고속 회전하며, 외주면에 N극과 S극의 자력이 차례로 인가되어 있는 자계드럼(231a)과, 상기 자계드럼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되며 상부면에는 철캔류가 이동되는 벨트(231b)가 구비되어 있다. 벨트 상의 철캔류 중 알루미늄캔에는 자계드럼의 고속회전시에 자계의 교류주파수가 인가되어 소용돌이 전류(Eddy Current)를 발생되고, 이 소용돌이 전류가 자계드럼의 자력과 배척되어 멀리 방출된다. 또한, 철캔은 자계드럼의 자력에 이끌려 자계드럼의 하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궤적으로 방출되고, 그 외 일반 생활쓰레기는 자력과 상관없이 벨트에 의한 수평이동력과 중력에 따라 자유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함(231c)에는 왼쪽에서 순서대로 철캔(a), 그 외 생활쓰레기(b), 알루미늄캔(c)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철캔선별시설(23)에는 철캔과 알루미늄캔으로 압축블록(B)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지된 구성의 압축기(241)가 구비된다. 압축기를 통하여 육면체로 압축된 철캔 압축블록과 알루미늄캔 압축블록은 이웃하는 압축블록저장시설(25)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해당 소요처로 반출된다.
한편, 도 4는 종이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종이류는 포장지로 사용된 골판지와, 인쇄 신문지 등 다양한 재질의 종이와, 종이 수거 과정 중에 종이 외의 이종 생활쓰레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이종의 생활쓰레기에는 플라스틱, 철캔, 유리병 및 그 외의 슬러지가 포함된다.
상기 종이 처리라인(3)에는 수거된 종이류가 반입되는 종이반입시설(31)과, 상기 종이류가 저장되는 종이저장시설(32)과, 상기 종이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종이류를, 자동화 종이선별장비를 통하여 골판지와, 상기 골판지를 제외한 기타종이로 선별하는 종이선별시설(33) 및 상기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압축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종이포장및선별시설(34)이 구비된다.
종이반입시설(31)은 거주지 등에서 수거되어 차량으로 운송된 종이류를 종이저장시설에 옮기기 위한 시설로, 전술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성의 크레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종이저장시설(32)은 선별 전에 임시로 종이를 저장할 수 있는 창고이다.
한편, 종이선별시설(33)에는 골판지와 골판지 외의 일반 종이를 선별배출하는 종이선별장치(3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이선별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058500호(고안의 명칭 : 폐지 자동선별장치) 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08760호(발명의 명칭 : 산업 및 가정용 폐지류 선별장치)의 구성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종이선별장치는 골판지와 그 외 일반 종이인 기타종이 및 기타 생활쓰레기로 선별하는 것이다.
나아가, 전술된 종이선별시설(33)을 거쳐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이송컨베이어(351,352)로 이송하며, 골판지와 기타종이의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종이선별시설(3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종이선별시설(35)은 선별된 골판지가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351)와 기타종이가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35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이송컨베이어에서 작업자 또는 감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하여 잘못 판별된 골판지, 기타종이 또는 기타 생활쓰레기가 있는지를 감시하고, 재선별하여 선별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종이포장및선별시설(34)에는 상기 종이선별시설 또는 추가종이선별시설을 거쳐 선별된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압축하는 공지된 구성의 압축기(도시 생략)와, 압축된 골판지나 기타종이를 묶는 포장기(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포장이 완료된 골판지와 기타종이는 종이포장및선별시설(34)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해당 처리업체로 발송된다.
한편, 도 5는 유리병 처리라인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유리병류는 생활쓰레기에서 주로 수거되는 맥주병, 소주병 및 기타 음료수 등의 유리병이 포함되며, 유리병 수거 과정 중에 뚜껑 등 유리병 외의 이종 생활쓰레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이종의 생활쓰레기에는 플라스틱, 철캔, 종이 및 그 외의 슬러지가 포함된다.
유리병 처리라인(4)에는 수거된 유리병류가 반입되는 유리병반입시설(41)과, 상기 유리병류가 저장되는 유리병저장시설(42)과, 상기 유리병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유리병류를, 색상별로 자동 선별하는 유리병선별장비를 통하여 분리 배출하는 유리병선별시설(43) 및 분리 배출된 유리병을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유리병보관시설(44)이 구비된다.
유리병반입시설(41)은 거주지 등에서 수거되어 차량으로 운송된 유리병류를 유리병저장시설에 옮기기 위한 시설로, 전술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성의 크레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리병저장시설(42)에도 전술된 플라스틱저장시설이나 철캔저장시설과 마찬가지로 침출수와 악취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유리병선별시설(43)에는 유리병의 종류별로 선별할 수 있는 유리병선별장치(43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병선별장치(431)는 유리병의 형상에 따라 맥주병과 소주병 및 기타 잡병을 구별하거나, 색상에 따라 갈색병, 초록병, 투명병(또는 백색병) 및 그 외 생활쓰레기로 분리하는 공지된 구성의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유리병선별시설(43)에서 분리된 각 유리병을 이송컨베이어(451,452,453) 상에서 통과시키며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갈색병, 초록병, 투명병으로 분리된 유리병은 각 이송컨베이어(451,452,453)를 통하여 이송하면서, 작업자 또는 감시카메라의 영상분석을 통하여 잘못 분류된 유리병의 있는지를 검사한 후, 올바른 컨베이어로 옮겨 선별의 정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각 이송컨베이어(451,452,453)에 오분류된 일반 생활쓰레기를 재선별하는 것이다.
한편, 유리병보관시설(44)은 분리 배출된 각 유리병을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창고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13), 철캔선별시설(23), 종이선별시설(33), 추가종이선별시설(35), 유리병선별시설(43) 또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45)에서 원래 목적하는 생활쓰레기 외로 선별된 플라스틱류, 철캔류, 종이류 또는 유리병류는 이송수단(5)을 통하여 해당 생활쓰레기가 저장된 플라스틱저장시설(12), 철캔저장시설(22), 종이저장시설(32) 또는 유리병저장시설(42)로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즉, 플라스틱선별시설(13)에서 이종 생활쓰레기로 분리된 것 중에 유리병인 경우에는 이송수단(5)을 통하여 유리병저장시설(42)로 반입시키는 것이고, 종이나 철캔인 경우에는 이송수단(5)을 통하여 종이저장시설(32)과 철캔저장시설(22)로 각각 반입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반입과정은 플라스틱선별시설(13), 철캔선별시설(23), 종이선별시설(33), 유리병선별시설(43)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이고, 나아가 추가종이선별시설(35)이나 추가유리병선별시설(45)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해당 추가종이선별시설(35)이나 추가유리병선별시설(45)에서도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 해당 처리라인에서 슬러지로 취급되어 버려졌던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를 재수거하여 재활용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에 재활용품이 섞이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효율적인 반입처리를 위하여, 상기 이송수단(5)은 각 선별시설에서 해당 저장시설로 연결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5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51)는 가로로 형성된 각 처리라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벨트(51)는 해당 선별시설에서 다른 3종으로 나뉜 독립된 3종의 단위 이송컨베이어벨트(5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위 이송컨베이어벨트(511)는 벨트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작업자 등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가로로 배치되는 각 처리라인(1,2,3,4)의 사이 공간(S)에 역으로 주행하는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함으로써, 각 처리라인(1,2,3,4)에 구비되는 시설의 연동 작업에 간섭됨을 최소로 하면서 이종으로 선별된 생활쓰레기가 해당 저장시설로 반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100 : 분리처리 시스템
1 : 플라스틱 처리라인
11 : 플라스틱반입시설 12 : 플라스틱저장시설 13 : 플라스틱선별시설
131 : 광학선별장치 14 :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 141 : 세척조
142 : 분쇄장치 15 : 펠릿제조시설 151 : 사출장치
16 : 플라스틱포장및저장시설 161 : 포대
2 : 철캔 처리라인
21 : 철캔반입시설 22 : 철캔저장시설 23 : 철캔선별시설
231 : 캔선별장치 231a : 자계드럼 231b : 벨트
231c : 선별함 a : 철캔 b : 생활쓰레기 c : 알루미늄캔
24 : 철캔압축시설 241 : 압축기 B : 압축블록
25 : 압축블록저장시설
3 : 종이 처리라인
31 : 종이반입시설 32 : 종이저장시설 33 : 종이선별시설
331 : 종이선별장치 34 : 종이포장및저장시설 35 : 추가종이선별시설
351, 352 : 이송컨베이어
4 : 유리병 처리라인
41 : 유리병반입시설 42 : 유리병저장시설 43 : 유리병선별시설
431 : 유리병선별장치 44 : 유리병보관시설 45 : 추가유리병선별시설
451,452.453 : 이송컨베이어
5 : 이송수단
51 : 이송컨베이어벨트 511 : 단위 이송컨베이어벨트
S : 공간

Claims (11)

  1. 플라스틱 처리라인, 철캔 처리라인, 종이 처리라인 및 유리병 처리라인이 왼쪽부터 반입, 저장, 선별 및 포장 순으로 진행되며, 각 처리라인은 가로축 상에 병렬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플라스틱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플라스틱류가 반입되는 플라스틱반입시설;
    상기 플라스틱류가 저장되는 플라스틱저장시설;
    상기 플라스틱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플라스틱류에서 플라스틱만을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시설;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을 거친 플라스틱을 분쇄 및 세척하는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
    상기 플라스틱준비저장시설을 거친 플라스틱을 열용융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시설; 및
    상기 펠릿을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플라스틱포장및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철캔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철캔류가 반입되는 철캔반입시설;
    상기 철캔류가 저장되는 철캔저장시설;
    상기 철캔저장시설에서 공급되는 철캔류에서 철캔, 알루미늄캔 및 이종 생활쓰레기를 선별하는 철캔선별시설;
    성기 철캔선별시설을 거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압축하여 압축블록을 생성하는 철캔압축시설; 및
    상기 압축블록이 저장되는 압축블록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종이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종이류가 반입되는 종이반입시설;
    상기 종이류가 저장되는 종이저장시설;
    상기 종이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종이류를, 자동화 종이선별장비를 통하여 골판지와, 상기 골판지를 제외한 기타종이로 선별하는 종이선별시설; 및
    상기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압축 포장하며,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종이포장및저장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종이선별시설을 거쳐 선별된 골판지와 기타종이를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며, 골판지와 기타종이의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종이선별시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유리병 처리라인에는
    수거된 유리병류가 반입되는 유리병반입시설;
    상기 유리병류가 저장되는 유리병저장시설;
    상기 유리병저장시설에서 공급된 유리병류를, 색상별로 자동 선별하는 유리병선별장비를 통하여 분리 배출하는 유리병선별시설; 및
    분리 배출된 유리병을 반출 전에 임시 저장하는 유리병보관시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유리병선별시설에서
    상기 유리병선별장비는 상기 유리병류를 갈색병, 초록병, 투명병 및 그 외 생활쓰레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유리병선별시설을 거쳐 분리된 각 유리병을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통과시키며 선별결과를 검사하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플라스틱선별시설, 철캔선별시설, 종이선별시설, 추가종이선별시설, 유리병선별시설 또는 추가유리병선별시설에서 원래 목적하는 생활쓰레기 외로 선별된 플라스틱류, 철캔류, 종이류 또는 유리병류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해당 생활쓰레기가 저장된 플라스틱저장시설, 철캔저장시설, 종이저장시설 또는 유리병저장시설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이송수단은 각 선별시설에서 해당 저장시설로 연결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는 가로로 형성된 각 처리라인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KR1020100016231A 2010-02-23 2010-02-23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KR20110096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31A KR20110096787A (ko) 2010-02-23 2010-02-23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31A KR20110096787A (ko) 2010-02-23 2010-02-23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87A true KR20110096787A (ko) 2011-08-31

Family

ID=4493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231A KR20110096787A (ko) 2010-02-23 2010-02-23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31A1 (ko) * 2014-09-02 2016-03-10 (주)밸런스인더스트리 재생용 폐지의 품질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31A1 (ko) * 2014-09-02 2016-03-10 (주)밸런스인더스트리 재생용 폐지의 품질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96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commingled waste materials for recycling
US20090032442A1 (en) Municipal solid waste sorting system and method
JP2004516163A (ja) 包装廃棄物を含む未分別ゴミを乾式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51272B1 (ko)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CN106315067A (zh) 一种垃圾智能分类收集及转运方法
KR20110096787A (ko) 폐기물의 분리처리 시스템
KR102541029B1 (ko) Ai기반 페트병 수거 시스템
KR200421977Y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US20230114094A1 (en) Integrated center and process for recycling both polyolefin and polyester
CN206447257U (zh) 玻璃容器分选破碎一体机
US11952715B2 (en) Process of transforming waste material into useful material
US200200238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rbage recycling
KR20060004143A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방법
Zając et al.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in the Logistics Supply Chain–Overview
JPH04354577A (ja) 飲料容器の分別回収装置
KR20090034614A (ko) 생활쓰레기 자동선별 처리방법
CN105150405A (zh) 一种具有远程输送功能的废旧塑料瓶处理系统及其方法
JP2004283729A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選別装置
CN111727294A (zh) 一种城市生活垃圾的收集、分类和处理系统
CN204914317U (zh) 一种具有远程输送功能的废旧塑料瓶处理系统
CN210121610U (zh) 一种垃圾分选系统
WO2012140456A1 (en) Procedure and plant for sor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JP3192447U (ja) 使用済みボトルの選別装置
JPH0899317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回収装置
RU61603U1 (ru) Комплекс по извлечению полезного вторичного сырья из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