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523A -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 Google Patents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523A
KR20110096523A KR1020110079959A KR20110079959A KR20110096523A KR 20110096523 A KR20110096523 A KR 20110096523A KR 1020110079959 A KR1020110079959 A KR 1020110079959A KR 20110079959 A KR20110079959 A KR 20110079959A KR 20110096523 A KR20110096523 A KR 2011009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truck
wing body
shaped
right u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11007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523A/ko
Publication of KR2011009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윙바디를 장착한 윙바디 트럭을 구성함에 있어, 사각박스 형태의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간 상부면에는 덮개를 장착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되 "1" 자형 윙(20)을 개폐시키는 구동실린더(28)에 의해 최대 윙바디트럭 높이만큼이나 조금 더 들려지도록 구성하여서 현장여건상 하역공간의 현장 높이가 낮더라도 하역작업에 애로가 없게 해주며, 일반 트럭(4)의 적재함(6)을 최대한 그대로 이용하는 트럭 윙바디를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하고 제작기간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TRUCK WINGBODY HAVING LOWRISE WING}
본 발명은 윙바디 트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의 천장 여건상 화물 하역작업이 어려운 곳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아울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트럭 윙바디에 관한 것이다.
윙바디 트럭은 화물차량인 트럭의 적재칸 부분에 날개형태로 개폐 가능한 좌우 윙(wing)을 갖는 윙바디를 장착한 차량을 일컫는다. 이러한 윙바디 트럭은 화물의 적재나 하역작업을 수월하게 해주며 운반 도중에 눈이나 비 따위의 열악한 외부 환경에도 안전하게 적재 화물을 보호할 수 있어 윙바디 트럭의 사용빈도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트럭과 같은 화물차에 윙바디를 트럭 적재칸에 장착할 경우에는 기존 적재함을 해체해서 내리고 새롭게 제작한 윙바디 전용 프레임을 트럭 적재칸에 탑재하고, 윙바디 전용 프레임에 좌우 윙을 힌지연결하여서 제작하므로 제작 비용(톤급)은 일천 수백만원 내지 수천만원에 이르고, 윙바디의 제작 기간이 길고 차량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불리한 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윙바디는 옆문인 좌우 윙이 "ㄱ"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좌우 윙을 개방하였을 때의 그 높이가 차량높이보다 더 높이올라가게 된다. 현장 여건에 따라 공장이라 현장의 천장높이가 이를 수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좌우 윙을 열지 못하게 되고, 결국 공장 내부로는 트럭과 같은 화물차량이 들어갈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과 같은 현장 내부에 윙바디 트럭이 출입할 수 있으면 현장의 천장높이가 낮더라도 좌우 윙을 열어 화물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윙바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가능하고 제작기간도 줄일 수 있는 트럭 윙바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윙바디 트럭에 장착된 저상형 윙바디로서, 사각박스 형태의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간 상부면에는 덮개를 장착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되 "1" 자형 윙(20)을 개폐시키는 구동실린더(28)에 의해 최대 윙바디트럭 높이만큼 들려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상형 윙바디를 구현함과 동시에 기존 윙바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윙바디로서, 철판 절곡으로 "ㄷ"자형 전방 좌우지주(8)를 형성하고, "ㄷ"자형 전방 좌우지주(8)를 일반 트럭(4)의 트럭 적재함(6)을 구성하는 전방벽체(6b)의 좌우양측에 끼운 상태로 결합 고정하고 전방 좌우지주(8) 상단 간에 전방 수평받침대(10)를 설치하고, 일반 트럭(4)의 적재함(6)의 후미 좌우모서리 바닥부에 각관형 후방 좌우지주(12)를 결합고정하고 후방 좌우지주(12) 상단 간에는 후방 수평받침대(14)를 설치하며, 전후방 수평받침대(10)(14)의 좌우 양단에는 전후를 가로지르는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여서 윙바디 프레임(A)을 구성하고,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윙바디 트럭이 출입문을 통해 공장내부에 진입할 수만 있다면 날개를 완전히 열수 있기 때문에 현장여건상 하역공간의 현장 높이가 낮더라도 하역작업에 애로가 없으며, 저상형 윙을 갖는 윙바디를 구현함에 있어 기존 적재함을 최대한 그대로 이용하여서 윙바디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 비용이 기존 윙바디의 1/2~1/3정도로 저렴하게 할 수 있고 제작기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를 갖는 윙바디 트럭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윙바디 프레임의 전방 좌우지주의 분리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2)를 갖는 윙바디 트럭(4)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윙바디(2)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윙바디 트럭(4)의 윙바디(2)는 공장과 같은 현장 내부에 윙바디 트럭(4)이 출입할 수만 있으면 현장의 천장높이가 낮더라도 좌우 윙을 열어 화물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좌우 윙(20)을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ㄱ"자형으로 하지 않고 "1" 자형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윙바디 트럭(4)에 윙바디(2)를 장착함에 있어, 사각박스 형태의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간 상부면에는 상부덮개(34)를 장착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되 "1" 자형 윙(20)을 개폐시키는 구동실린더(28)에 의해 최대 윙바디트럭 높이만큼이나 조금 더 들려지도록 하는 요지적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트럭 윙바디(2) 구조는 제작경비도 줄이고 제작기간도 짧도록 하기 위해서 또 차량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 일반 트럭(4)의 적재함(6)을 해체하지 않고 가능한 한 그대로 활용한다. 즉 트럭 적재함(6)을 구성하는 바닥판체(6a)과 전방 벽체(6b), 좌우 옆문(6c) 및 뒷문(6d)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저상형 윙(20)을 갖는 윙바디 구조와 제작비용을 줄이는 윙바디 구조를 함께 구현하는 구성 및 제작 과정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반 트럭(4)의 적재함(6) 구성요소가 되는 전방벽체(6b)는 각관 휀스 형태나 휀스에 금속판이 용접된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라 윙바디 프레임(A)의 전방 좌우지주(8) 구성에 그대로 활용된다.
제작자는 수 밀리미터(4~10mm)두께의 철판을 절곡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ㄷ"자형태의 전방 좌우지주(8)를 형성한다. "ㄷ"자형 전방 좌우지주(8) 각각은 도 3에서와 같이, 일반 트럭(4)의 트럭 적재함(6)을 구성하는 전방벽체(6b)의 좌우양측을 감싸듯이 끼운 상태로 용접함으로써 결합 고정되게 한다. 이때 전방벽체(6b)의 좌우양측을 감싸는 시작 위치는 트럭 적재함(6)의 옆문(6b) 바로 위쪽부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 좌우지주(8) 상단 간을 잇는 전방 수평받침대(10)를 전방 좌우지주(8)와 용접으로 설치한다. 전방 수평받침대(10)에는 전후 연장되는 축대(18)가 얹힐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윙바디 프레임(A)의 전방 좌우지주(8)를 설치하는 트럭 적재함(6)의 공간 소모를 최소화하여 본 발명 윙바디(2)의 활용공간을 최대화시켜줄 뿐 아니라 제작 원재료의 소모도 줄여준다.
또 제작자는 일반 트럭(4)의 적재함(6)의 후미 좌우모서리 바닥부에 사각금속파이프 등의 각관으로 후방 좌우지주(12)를 용접으로 결합고정하되,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후방 좌우지주(12) 각각이 평판형 밑판브라켓(12a)을 갖도록 한 후 적재함(6)의 바닥판체(6a)상에 용접하여 견고하게 용접될 수 있게 하며, 후방 좌우지주(12) 상단 간에도 전후 연장되는 축대(18)를 얹을 후방 수평받침대(14)를 설치한다. 각관형 후방 좌우지주(12)는 직사각관체로 설치하는 것이 윙바디(2)의 공간활용에 좀 더 유리하다.
후방 수평받침대(14)를 설친 한 후, 전후방 수평받침대(10)(14)의 좌우양단에는 전후를 가로지르는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여서 본 발명의 윙바디 프레임(A)을 구성한다.
사각박스형태의 윙바디 프레임(A)의 구성요소로서 좌우상단 축대(16)(18)간 상부면에는 뼈대를 갖는 상부덮개(34)를 장착하되 세차 가능하도록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방수판재로 바람직하게 구성하며 경량재질이면 더욱 양호하다.
그리고,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한다.
본 발명의 "1"자형 윙(20)은 적재함(6)에 구비된 좌우 옆문(6b)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윙(20)은 좌우상단 축대(16)(18)나 수평받침대(10)(14)의 각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소각관을 이용하여서 윙뼈대부(20a)를 형성하며, 윙뼈대부(20a)의 외면부에는 세차 가능하도록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된 방수판재로 윙커버(20b)를 형성한다. 기존의 좌우 윙은 방수섬유포로 주로 덮혀졌는바 셀프세차가 되지 않았던 점을 본 발명의 윙커버(20b)가 보완할 수 있으며, 좌우 윙(20)의 무게를 좀더 줄여주기 위해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재와 같은 경량재 판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윙(20)의 윙뼈대부(20a)는 좌우상단 축대(16)(18)보다는 훨씬 작은 소각관을 사용하며, 외곽을 빙두르는 외곽관체와 가로 및 세로 연장되는 횡방 및 종방 관체를 용접하여서 형성하며, 좌우 윙(20)의 외곽관체와 축대(18)의 힌지부(24)간의 힌지연결을 위해 힌지부(24)을 갖는 힌지연결대(22)가 외곽관체에 덧대어 보강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죄우 윙(20)을 "1"자형으로 구성함에 있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4)를 다소 절곡하여서 구성하는 것이 힌지연결과 덮개부 형성에 보다 바람직하고, 이때 윙뼈대부(20a)의 절곡부 외면에는 곡형으로 절곡하되 절곡으로 인한 강도 저하방지와 절곡으로 인한 각진 돌출부 형상을 완만하게 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보강곡판(23)을 리벳이나 용접 고정히며, 그 위에 방수판재형 윙커버(20b)를 장착한다.
좌우방의 "1"자형 윙(20)의 윙뼈대부(20a)에는 실린더지지대(26)도 함께 장착되어 윙의 틀어짐을 방지하며, 상기 실린더지지대(26)에는 전후방 수평받침대(10)(14)에 후미 링크 연결된 구동실린더(28)의 작동로드 선단이 링크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1"자형 좌우 윙(20)은 기존 적재함(6)에 구비된 좌우 옆문(6b)을 그대로 남겨두고 그 위에서 90°각도범위로 개폐 작동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90°보다 조금 더(5~10°) 들려질 수도 있다.
상기 좌우 옆문(6b)은 필요에 따라서 알루미늄합금재와 같은 경량재질로 제작하여 기존 옆문역할을 하도록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후방 좌우지주(12)와 후방 수평받침대(14) 및 적재함(6)의 뒷문(6d) 사이가 이루는 수직평면 공간부에는, 방수포 등으로도 내려칠 수 있지만 빗물유입방지 환기창(32)이 형성된 경량재질 막음판(30)이 취부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막음판(30)은 윙바디(2)내 적재 화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상기 환기창(32)을 이용해 내외부간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해주어 적재화물내 습기 등을 제거해줄 수 있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1"은 빗물차단 절곡판이며, 적재함(6)의 전방벽체(6b)와 전방좌우지주(8)와 전방수평받침대(10) 사이의 뚫린 수직평면 공간은 방수섬유포나 알루미늄합금재와 같은 판재로 밀폐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윙바디는 윙바디 트럭(4)이 출입문을 통해 공장내부에 진입할 수만 있다면 날개를 완전히 열수 있기 때문에 현장여건상 하역공간의 현장 높이가 낮더라도 하역작업에 애로가 없게 해주며, 윙바디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비용이 기존 동일 사이즈 윙바디의 1/2~1/3정도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 기간도 훨씬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트럭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의 트럭의 윙바디로서 이용할 수 있다.
(2)-- 트럭 윙바디 (4)-- 트럭
(6)-- 적재함 (6a)-- 바닥판체
(6b)-- 전방벽체 (6c)-- 좌우 옆문
(6d)-- 뒷문 (8)-- 전방 좌우지주
(10)-- 전방수평 받침대 (12)-- 후방 좌우지주
(14)-- 후방 수평받침대 (16)(18)-- 축대
(20)-- 윙 (20a)-- 윙뼈대
(20b)-- 윙커버 (22)-- 힌지 연결대
(24)-- 힌지부 (26)-- 실린더 지지대
(28)-- 구동실린더 (30)-- 막음판
(32)-- 빗물유입방지 환기창 (34)-- 상부덮개
(A)-- 윙바디 프레임

Claims (2)

  1. 윙바디를 장착한 윙바디 트럭에 있어서,
    사각박스 형태의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간 상부면에는 덮개를 장착하고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되 "1" 자형 윙(20)을 개폐시키는 구동실린더(28)에 의해 윙바디트럭 높이까지 들려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윙을 갖는 윙바디.
  2. 철판 절곡으로 "ㄷ"자형 전방 좌우지주(8)를 형성하고, "ㄷ"자형 전방 좌우지주(8)를 일반 트럭(4)의 트럭 적재함(6)을 구성하는 전방벽체(6b)의 좌우양측에 끼운 상태로 결합 고정하고 전방 좌우지주(8) 상단 간에 전방 수평받침대(10)를 설치하고, 일반 트럭(4)의 적재함(6)의 후미 좌우모서리 바닥부에 각관형 후방 좌우지주(12)를 결합고정하고 후방 좌우지주(12) 상단 간에는 후방 수평받침대(14)를 설치하며, 전후방 수평받침대(10)(14)의 좌우 양단에는 전후를 가로지르는 좌우상단 축대(16)(18)를 설치하여서 윙바디 프레임(A)을 구성하고, 윙바디 프레임(A)의 좌우상단 축대(16)(18)에는 "1" 자형 윙(20)을 힌지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KR1020110079959A 2011-08-11 2011-08-11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KR20110096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59A KR20110096523A (ko) 2011-08-11 2011-08-11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959A KR20110096523A (ko) 2011-08-11 2011-08-11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23A true KR20110096523A (ko) 2011-08-30

Family

ID=4493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959A KR20110096523A (ko) 2011-08-11 2011-08-11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5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99B1 (ko) * 2012-03-05 2012-06-22 김순재 폐기물 운반 차량
KR101453044B1 (ko) * 2013-07-30 2014-10-22 주식회사이노랩 링크식 적재함 리프트 장치
KR101602347B1 (ko) * 2014-07-21 2016-03-21 김동근 이동 정비용 하드탑이 장착된 다목적 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99B1 (ko) * 2012-03-05 2012-06-22 김순재 폐기물 운반 차량
KR101453044B1 (ko) * 2013-07-30 2014-10-22 주식회사이노랩 링크식 적재함 리프트 장치
KR101602347B1 (ko) * 2014-07-21 2016-03-21 김동근 이동 정비용 하드탑이 장착된 다목적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523A (ko) 저상형 윙을 갖는 트럭 윙바디
CN109955698A (zh) 车辆的车门
RU2015125262A (ru) Замыкающий элемент, узел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и узел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усиления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JP6615502B2 (ja) サッシ
US20090284049A1 (en) Sunroof Mounting Assembly
BR102012032629A2 (pt) Arranjo de um painel de cobertura
JP2013082361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CN205292645U (zh) 轨道车辆导流罩结构
KR100917980B1 (ko) 지붕형 확장 컨테이너
CN106004280A (zh) 车身后部结构
KR20130016716A (ko) 간편제조형 트럭 윙바디
CN209888783U (zh) 一种汽车尾门下饰板
CN201484513U (zh) 厢式半挂车后门结构
CN212308719U (zh) 一种带有伸缩支撑脚的消火栓箱
JP4198821B2 (ja) ウイング車両の荷箱構造
JP5439084B2 (ja) 出窓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3064038U (zh) 可扩展的特种车体
KR20090064178A (ko) 차량의 도어 내측패널
KR100854392B1 (ko) 전동차의 알루미늄 단부 골조의 구조
KR20130072257A (ko) 차량 운전실의 루프 선반
CN215665103U (zh) 一种角柱及具有其的集装箱
CN217864369U (zh) 车体接头结构和车辆
JP5593816B2 (ja) 車体のルーフサイド構造
CN214326060U (zh) 冷藏集装箱的箱门挡风帘组件以及冷藏集装箱
RU86165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й бортовой платформы с каркасом под т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