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242A -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242A
KR20110096242A KR1020100015583A KR20100015583A KR20110096242A KR 20110096242 A KR20110096242 A KR 20110096242A KR 1020100015583 A KR1020100015583 A KR 1020100015583A KR 20100015583 A KR20100015583 A KR 20100015583A KR 20110096242 A KR20110096242 A KR 20110096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panel
male
fitting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857B1 (ko
Inventor
권기준
Original Assignee
석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8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종고정 단위패널 이후에 연속되게 중간고정 단위패널들을 끼우게 되고, 이때 중간고정 단위패널들의 각 타단부를 장착대상물(프레임 또는 합판)에 고정하며, 최종 위치한 중간고정 단위패널에 최종고정 단위패널을 끼운 후 최종고정 단위패널의 타단부를 장착대상물에 고정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아울러 중간고정 단위패널 및 최종고정 단위패널에 대한 고정 작업이 한 쪽 단부에서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되는 암(雌) 및 수(雄) 끼움부, 상기 플레이트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되, 각각 상기 암 및 수 끼움부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수(雄) 및 암(雌) 대응끼움부, 및 상기 수끼움부와 상기 수대응끼움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장착공을 포함하는 단위패널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PANE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에 있어 천장이나 벽체 등을 마감하기 위한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인접한 패널들 간의 상호 암수 결합되는 구조로 연결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최초 고정된 패널에 끼워진 일단부가 끼워진 인접 패널의 타단부가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 패널의 타단부에 다른 인접 패널의 일단부가 끼워지고, 이런 일렬의 결합 구조가 반복되고,
아울러 설치되는 각 패널의 한 단부만이 볼팅 또는 태커(tacker) 핀 작업을 함으로서, 신속한 마감 패널 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체 등을 마감하기 위한 패널은,
통상의 패널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고 석고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석고 패널은 일일이 볼트 체결 작업을 해야 하기에, 시공 소요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개선하고자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3407호(2002.10.15.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천정패널 고정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평판형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에서 각각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탄성편과, 탄성편의 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단부가 탄성적으로 밀며 맞닿아 있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갖추고, 패널의 고정편에 걸림편 사이로 끼워져 고정편에 돌출구성되는 걸림돌기가 걸림편 단부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천정패널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패널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은 물론 이탈을 제한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패널의 고정편에 걸림편 사이로 끼워져 고정편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가 걸림편 단부에 의해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한 패널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감안한다면 성형에 있어 더욱더 어려움이 있으며, 탈장착 시 걸림돌기나 걸림편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특히 프레임의 걸림편이 손상되는 경우 기 설치된 패널 전체 또는 일부를 해체한 후 새로운 프레임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은,
플레이트(10);
상기 플레이트(10)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되는 암(雌) 및 수(雄) 끼움부(20A, 20B);
상기 플레이트(10)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되, 각각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수(雄) 및 암(雌) 대응끼움부(30A, 30B); 및
상기 수끼움부(20B)와 상기 수대응끼움부(30A)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장착공(41, 42);
을 포함하는 단위패널(U)로 이루어져,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에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 및 수 끼움부(20A, 20B)가 각각 끼워짐에 따라 인접한 두 단위패널(U) 간의 상호 조립이 가능하고,
이때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끼움부(20A)에 끼워지게 되는 하나의 단위패널(U)의 수대응끼움부(30A)는 제2장착공(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에 의해서 장착대상물(1)에 고정되며,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암대응끼움부(30B)에 끼워지게 되는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수끼움부(20B)는 장착대상물(1)에 비(非)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는 상기 플레이트(10) 일단부에 상호 번갈아 가는 형태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레이트(10) 타단부에 상호 번갈아 가는 형태로 각각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동일 개수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는 사각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 둘레를 따라 하방 절곡 형성된 플랜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랜지(20) 하단부에 치우쳐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43)은 체결볼트 또는 태커(tacker)용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은,
천장이나 벽체의 시작 단부에 위치하는 패널을 고정한 후, 이 패널 타단부에 인접 패널 일단부를 끼우고, 이 인접 패널 타단부를 고정한 후, 이 인접 패널 타단부에 다른 인접 패널 일단부를 끼우고, 이 다른 인접 패널 타단부를 고정하는 등의 일렬 반복 작업에 의해서 천장이나 벽체의 설치면에 대한 마감 시공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히 패널에 있어 인접 패널이 끼워지는 단부端部)에 대한 볼팅 또는 태커 핀 작업을 함으로서, 패널 양단부에 대한 볼팅 또는 태커 핀 작업을 하게 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시공 소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크나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을 하부에서 바라본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천장에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들을 벽체에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플레이트 문양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이의 반대편인 끼움부나 대응끼움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은,
크게 플레이트(10), 암 및 수 끼움부(20A, 20B),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 그리고 제1 및 제2 장착공(41, 42)을 포함하는 단위패널(U)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플레이트(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베이스(11), 그리고
상기 베이스(11) 둘레를 따라 하방 절곡 형성된 플랜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는 경량성을 갖는 열경화성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는 상부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암(雌) 및 수(雄) 끼움부(20A, 2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되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암끼움부(20A)는 상기 플레이트(10)에서 일단부에 위치한 플랜지(12)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끼움부(20B)는 상기 암끼움부(20A)와 인접한 개소(個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는 상기 플랜지(12) 하단부에 치우쳐 배열되는데,
특히 상기 수끼움부(20B)는 이의 하부면과 해당 플랜지(12) 하부면이 상호 연결된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배열 형성된다.
수(雄) 및 암(雌) 대응끼움부(30A, 3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수대응끼움부(30A)는 상기 플레이트(10)에서 타단부에 위치한 플랜지(12)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암대응끼움부(30B)는 상기 수대응끼움부(30A)와 인접한 개소에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대응끼움부(30A)는 상기 암끼움부(20A)와 동일 직선상에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암대응끼움부(30B)는 상기 수끼움부(20B)와 동일 직선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랜지(12) 하단부에 치우쳐 배열되는데,
특히 상기 수끼움부(20B)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대응끼움부(30A)는 이의 하부면과 해당 플랜지(12) 하부면이 상호 연결된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배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는 각각 최소 1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대응되는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의 해당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레이트(10)의 크기나 중량 등을 고려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다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는 상기 플레이트(10)의 플랜지(12) 일단부에 상호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 또한 대응되는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의 배열에 맞게 번갈아 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장착공(41, 42)은
상기 수끼움부(20B)와 상기 수대응끼움부(30A)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장착대상물(1)과의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기 수끼움부(20B)와 상기 수대응끼움부(30A)에는 선택적으로 고정수단(43)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수단(43)으로는 체결볼트 또는 태커(tacker)용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인 경우는 금속 프레임 등의 장착대상물(1)에 설치할 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태커용 핀인 경우는 합판이 설치된 벽체 등의 장착대상물(1)에 설치할 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플레이트 - 암 및 수 끼움부 - 수 및 암 대응끼움부 - 제1 및 제2 장착공]으로 이루어진 단위패널(U)은
인접한 두 단위패널(U) 간의 상호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에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 및 수 끼움부(20A, 20B)가 각각 끼워짐에 따라 인접한 두 단위패널(U) 간의 상호 조립이 가능하고,
이때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끼움부(20A)에 끼워지게 되는 하나의 단위패널(U)의 수대응끼움부(30A)는 제2장착공(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에 의해서 장착대상물(1)에 고정되며,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암대응끼움부(30B)에 끼워지게 되는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수끼움부(20B)는 장착대상물(1)에 비(非)고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이하에서는 프레임(1a)에 최초 고정된 단위패널(U)을 '최초고정 단위패널(U1)'이라 정하고, 이후에 끼워지게 되는 단위패널(U)을 '중간고정 단위패널(U2)'이라 정하며,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는 단위패널(U)을 '최종고정 단위패널(U3)'이라 정한다.(도 5를 참조)
천장 마감 시공 시
행거에 의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에 설치된 장착대상물(1), 즉 프레임(1a)에
최초고정 단위패널(U1)의 수끼움부(20B)와 수대응끼움부(30A) 각 장착공(41, 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을 통해 최초고정 단위패널(U1)을 고정하고,
고정된 최초고정 단위패널(U1)의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에 중간고정 단위패널(U2)의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를 각각 끼운 후, 이 중간고정 단위패널(U2)의 수대응끼움부(30A) 제2장착공(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을 통해 중간고정 단위패널(U2)을 고정하며,
다시 다른 중간고정 단위패널(U2)들을 연속되게 반복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위치한 중간고정 단위패널(U2)의 수 및 암 때응끼움부(30A, 30B)에 최종고정 단위패널(U3)의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를 각각 끼운 후, 이 최종고정 단위패널(U3)의 수대응끼움부(30A) 제2장착공(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을 통해 최종고정 단위패널(U3)을 고정함으로서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마감 시공 시
벽체가 콘크리트인 경우 일반 볼트 등으로 체결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므로,
앙카볼트 등을 이용해 장착대상물(1)인, 즉 별도의 합판(1b)을 벽체 외벽에 설치하고,
다수의 단위패널(U)들은 상기한 천장 마감 시공에서와 같이 연속되게 반복 연결되게 시공한다.
결국 본 발명의 패널을 이용한 천장 또는 벽체 마감 시공 시, 최초고정 단위패널(U1)의 양단부를 고정하고, 이후에 연속되게 끼워지는 중간고정 단위패널(U2)들은 각 타단부를 고정하며, 최종고정 단위패널(U3)은 타단부를 고정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호 조립 및 고정이 되는 마감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장착대상물
1a : 프레임 1b : 합판
U : 단위패널
U1 : 최초고정 단위패널 U2 : 중간고정 단위패널
U3 : 최종고정 단위패널
10 : 플레이트
11 : 베이스 111 : 문양부
12 : 플랜지
20A : 암끼움부
20B : 수끼움부
30A : 수대응끼움부
30B : 암대응끼움부
41 : 제1장착공
42 : 제2장착공
43 : 고정수단

Claims (4)

  1. 플레이트(10);
    상기 플레이트(10)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되는 암(雌) 및 수(雄) 끼움부(20A, 20B);
    상기 플레이트(10)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되, 각각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수(雄) 및 암(雌) 대응끼움부(30A, 30B); 및
    상기 수끼움부(20B)와 상기 수대응끼움부(30A)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장착공(41, 42);
    을 포함하는 단위패널(U)로 이루어져,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에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 및 수 끼움부(20A, 20B)가 각각 끼워짐에 따라 인접한 두 단위패널(U) 간의 상호 조립이 가능하고,
    이때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암끼움부(20A)에 끼워지게 되는 하나의 단위패널(U)의 수대응끼움부(30A)는 제2장착공(42)에 삽입되는 고정수단(43)에 의해서 장착대상물(1)에 고정되며,
    인접한 두 단위패널(U)에서 하나의 단위패널(U) 암대응끼움부(30B)에 끼워지게 되는 다른 하나의 단위패널(U) 수끼움부(20B)는 장착대상물(1)에 비(非)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는 상기 플레이트(10) 일단부에 상호 번갈아 가는 형태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레이트(10) 타단부에 상호 번갈아 가는 형태로 각각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동일 개수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는 사각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 둘레를 따라 하방 절곡 형성된 플랜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 및 수 끼움부(20A, 20B)와 상기 수 및 암 대응끼움부(30A, 30B)는 상기 플랜지(20) 하단부에 치우쳐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3)은 체결볼트 또는 태커(tacker)용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KR1020100015583A 2010-02-22 2010-02-22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KR10117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83A KR101176857B1 (ko) 2010-02-22 2010-02-22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83A KR101176857B1 (ko) 2010-02-22 2010-02-22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42A true KR20110096242A (ko) 2011-08-30
KR101176857B1 KR101176857B1 (ko) 2012-08-24

Family

ID=4493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83A KR101176857B1 (ko) 2010-02-22 2010-02-22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8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254B1 (ko) 2001-03-17 2003-12-18 안이준 건축 외장재
KR200296637Y1 (ko) * 2002-08-31 2002-11-29 김종록 건축용 벽면 마감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857B1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7553B (zh) 模块式地板系统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298698B1 (ko) 합성목재 조립패널 연결구조체
JP2008544120A (ja) 天井パネルシステム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101638239B1 (ko)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KR20110113092A (ko) 울타리 지주 결합구조
KR101176857B1 (ko) 시공이 용이한 건축용 패널
KR101352058B1 (ko)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KR200381740Y1 (ko) 조립식 바닥판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10114466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825251B1 (ko)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101331883B1 (ko) 벽체 개구부 보강용 플레이트
KR20090060687A (ko) 펜스고정장치
KR102361122B1 (ko) 결속 간격재,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유지 구조 및 공법
CN104499724A (zh) 临边防护栏
EP2474788B1 (en) Grid element, moulded form part, grid, and method of mounting a heating and/or cooling pipe to a concrete building structure
KR101114308B1 (ko) 인삼밭 차광막 골조
JPH09273251A (j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KR20160041580A (ko) 스틸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