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001A -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001A
KR20110096001A KR1020100015467A KR20100015467A KR20110096001A KR 20110096001 A KR20110096001 A KR 20110096001A KR 1020100015467 A KR1020100015467 A KR 1020100015467A KR 20100015467 A KR20100015467 A KR 20100015467A KR 20110096001 A KR20110096001 A KR 2011009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mesh
mixing
constru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김영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김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김영연 filed Critical 김용배
Priority to KR102010001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001A/ko
Publication of KR2011009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음용 패드(4)의 상면에 요철부(16)가 형성된 단열재(6)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3)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조립패널(3)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조립패널(3)들의 단열재(6)의 요철부(16)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14)를 끼우고, 난방용 파이프(14)가 끼워진 조립패널(3)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19∼9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을 타설하고 경화함으로서,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강도가 높고,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대규모의 플로팅이나 마감 과정없이도 자체적으로 표면이 수평이 되고, 미관이 매우 수려하며,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고,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OF INSULATING COMPOSITE FLOO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반건식으로 시공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단열 복합바닥재를 시공할 때에는 합판, 철판, 각목 등의 재료로 한 거푸집으로 형틀을 만들고, 형틀 내부에 철근으로 배근공사를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철근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면에 차음용 패드를 깔고, 그 상면에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와이어메쉬를 설치하고, 와이어메쉬에 난방용 파이프를 장착하고, 그 상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여서 마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공정수가 상당히 많고 복잡하여 공사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고, 시공성이 떨어지며, 최상층에 도포되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펌핑(pumping)한 후에는 표면이 평평하도록 펴바르는(spreading) 등 번거로운 마감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였다. 또, 경화시에는 표면에 균열현상 및 하부층과의 박리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강도가 높지 못하여 진동 및 충격에 대하여 균열이 생기는 등 바닥재로서의 내구성이 떨어지며, 내열성 및 내화성이 좋지 못하여 화염에 의하여 균열 및 틈이 발생하고 내부로 화염이 전파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인데 비하여 강도가 높고, 높은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가지고, 시공이 매우 편리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쏟아 붓는 것만으로 플로팅이나 별도의 마감 과정없이도 표면이 평평하게 되고, 미관이 매우 수려하고,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19∼9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19∼90메쉬(mesh)의 규사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aggregate)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19∼9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재활용 세라믹모래와 19∼90메쉬(mesh)의 규사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aggregate)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에 조립패널을 조립한 후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얇은 두께로 쏟아 붓는 것만으로도 고강도의 바닥재를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공사 기간과 시공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량인데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며,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을 향상시키고, 대규모의 플로팅이나 마감 과정없이도 자체적으로 표면이 수평이 되고, 미관이 매우 수려하며,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고,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단열재가 적층된 조립패널들을 바닥 슬래브에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난방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위에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서 형성한 재활용 세라믹모래와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가 혼합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를 시공하여서 그 시공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하면서도, 건축물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높힌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부는 재활용 세라믹모래,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이다.
본 발명의 재활용 세라믹모래,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는 일반모래와 달리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농도를 묽게 하여도 가라앉음 현상이 없고, 시멘트 및 석고와 비중이 비슷하여 골고루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자동수평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모래보다 강도가 높아 단열재의 표면에 재활용 세라믹모래,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가 혼합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얇은 층으로 타설하여도 구조체로서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가능하며 열전달 및 열의 유지가 탁월하여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되고,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서 매우 친환경적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용 패드(4)의 상면에 단열재(6)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3)을 형성한다.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의 최하층에 형성되는 차음용 패드(4)는 고무, 펠트,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음용 패드(4)를 5∼10㎜의 두께를 가진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차음용 패드(4)는 1개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차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2개 이상이 적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음용 패드(4)의 상면에 단열재(6)를 접착하여 적층하는데,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단열재(6)를 스티로폼 패널로 형성하나, 변형예로서 단열재(6)는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우레탄 등의 유기질 단열재와, 유리질, 광물질, 금속질 등을 포함한 무기질 단열재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단열재(6)는 상면에는 난방용 파이프(14)를 끼울 수 있도록 요철부(16)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방음돌기(18)가 형성된다. 단열재(6)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16)는 일정 형태의 무늬로 형성된 철부(20)들과 요부(22)들로 구성되고, 단열재(6)의 하면에 형성된 방음돌기(18)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서 구성된다. 바닥재의 차음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2개 이상의 단열재(6)들이 적층되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용 패드(4)와 단열재(6)로 형성된 조립패널(3)들을 바닥 슬래브에 연속으로 깔아서 상호 조립한다. 이 때, 조립패널(3)의 몸체는 일단에는 결합돌기(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요부(12)가 형성되어서 복수개가 연속 조립되어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조립패널(3)들을 바닥 슬래브에 연속으로 깐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파이프(14)를 단열재(6)의 철부(20)들 사이에 있는 요부(22)들을 따라 형성된 설치라인에 안착한다. 난방용 파이프(14)들을 단열재(6)에 설치한 후에는 난방용 파이프(14)들이 단열재(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파이프(14)들이 설치된 조립패널들(3)의 상면에 재활용 세라믹모래,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가 혼합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을 일정 두께로 타설한다.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재활용 세라믹모래, 규사로 조성된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서 제조한다.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은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 수경성 시멘트, 고유동화제, 소포제 및 알킬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서 제조된다.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제1 성분인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석고(gypsum)의 일종으로 그 중에서도 알파(α)형의 소석고(calcined gypssum)에 속한다.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전체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70질량% 이상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79∼94질량%의 함유량 범위를 유지하도록 조성한다.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제2 성분인 수경성 시멘트는 물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딱딱하게 굳게 되는 시멘트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V형 포틀랜드 시멘트는 내황산성이 우수하고, 습식인 경우 경화 중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 등에 의한 치수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에서 수경성 시멘트의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의 5∼20질량%가 적당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이다. 상기 수경성 시멘트를 전체 석고계 시멘트의 20% 이상으로 사용하면 무게가 많이 나가고 건조시 크랙(Crack)현상이 생길 수 있다.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미량 성분으로 첨가되는 고유동화제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naphthalene sulfonates),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naphthale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calcium lignosulfonate), 멜라민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melami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및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고유동화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0.5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5∼0.7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다른 미량 성분으로서 소포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실리콘(silicones), 보레이트 에스테르(borate esters), 석유 유도체(petroleum derivatives) 및 3차 부틸 프탈레이트(tert-butyl phthalate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서 사용한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석고계 시멘트 조성물의 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2∼0.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에는 미량의 알킬셀룰로오스가 함유된다. 알킬셀룰로오스로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celluloses), 2-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2-hydroxypropylcellulose)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알킬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의 0.0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002∼0.01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응집체는 폐유리제품, 폐도자기제품을 파쇄 및 분쇄하여 얻은 재활용 세라믹모래와 규사를 이용하여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응집체를 재활용 세라믹모래로만 조성하거나, 규사로만 조성하거나, 규사와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 : 9∼9 : 1의 질량비내에서 자유자재로 배합하여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유리병이나 유리그릇 등 각종 폐유리제품, 각종 폐도자기제품을 파쇄 및 분쇄하는 가공을 통해서 얻어진 구상 다면체의 가루알갱이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 여기서, '구상 다면체'라 함은 판상이 아니라 구형에 가까운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의 다면체를 통칭하는 것이다.
일반 유리조각, 일반 도자기조각은 파쇄시 날카롭거나 납작하게 되고, 여러번 파쇄시 구형 분말입자가 되므로 접착성이 떨어지고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펌핑시 호스 및 장비안에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폐유리제품, 폐도자기제품을 예컨대, 해머밀(hammer mill) 또는 트로멜밀(tromell mill)에 의해 1차적으로 파쇄한 후, 수직축 임팩터(VSI)에 의해 2차적으로 분쇄되고 스크리닝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되어서 얻어진 것으로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 구상 다면체로 된 알갱이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재활용 세라믹모래는 습식 석고계 시멘트와 혼합시 접착이 잘 이루어지고, 제품 펌핑시 호스안에서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일반 유리조각, 일반 도자기조각과는 달리 강도가 강하다.
그리고, 응집체를 조성하는 또 다른 성분인 규사는 SiO2성분이 포함된 석영 알갱이 모래로 형성되어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만드는 주재료인 유리나 도자기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따라서, 그 효능이 재활용 세라믹모래와 유사하다. 즉, 규사는 일반모래와 달리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농도를 묽게 하여도 가라앉음 현상이 없고, 시멘트 및 석고와 비중이 비슷하여 골고루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자동수평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일반모래보다 강도가 높고, 시공시 비틀림이나 금가는 현상이 없으며, 열전달 및 열의 유지가 탁월하여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되며,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높으며, 열을 발산하여 신속하게 경화되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많은 실험을 거친 결과, 19∼90메쉬(mesh)의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 바람직하게는 30∼60메쉬(mesh)의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작업시 펌핑이 원활하며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로서의 효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일정 크기를 가진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정해진 단위 크기별로 골고루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의 충격으로 도막의 파손, 깨짐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크랙을 보완 및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0∼60메쉬(mesh)의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30∼6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혼합이 잘될뿐만 아니라, 혼합시 가라앉음 현상이 전혀 없고 작업 후 열 전달도 가장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0∼60메쉬의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골고루 혼합함에 있어서, 예컨대, 30∼60메쉬 범위내에서 30메쉬, 40메쉬, 50메쉬, 60메쉬의 규사 또는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골고루 혼합하여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조성된 응집체를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에 사용할 경우,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높으며, 열을 발산하여 신속하게 경화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경화시 자체 크리스탈을 형성하여 빠른 시간내에 굳고, 수분을 빠르게 배출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상기 재활용 세라믹모래 또는 규사 또는 규사와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된 응집체는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1 : 2.25의 질량비로 혼합 제조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혼합물과 물은 1 : 0.2 내지 1 : 0.75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는 것이 좋다.
규사와 재활용 세라믹모래로 된 응집체는 사용량에 따라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강도 조절이 가능하며, 응집체에 세라믹분진을 소량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자체의 강도도 여러 형태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은 교반기를 통하여 충분히 교반된 후에 난방용 파이프(14)가 설치된 조립패널들(3)의 상면에 1∼4㎝로 타설된다. 이러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타설 두께가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건축물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건축물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되는 반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은 한 번의 연속 동작으로 난방용 파이프(14)가 설치된 조립패널(3)의 상면에 부었을 때, 플로팅이나 마감 과정없이도 반죽물 그 자체로 완전히 편평하게 되어 지형학적으로 평활한 표면이 형성되고, 60∼90분 이내에 신속하게 경화되며, 경화 후에 표면에 먼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완성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가 구조체로서의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의 주요 성분인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로 압축강도, 휨강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의 시험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기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압축강도와 휨강도 시험은 타설 후 3일, 7일, 14일 강도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하기의 표 1은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결과이며, 하기의 표 2는 휨강도에 대한 시험결과이다.
석고계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비율 3일 평균 압축강도
(㎫)
7일 평균 압축강도
(㎫)
14일 평균 압축강도
(㎫)
1 : 1.4 9.5 18.4 21.3
1 : 1.7 8.5 15.5 17.1
1 : 2.0 7.0 13.2 16.1
석고계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비율 3일 휨강도
(㎫)
7일 휨강도
(㎫)
14일 휨강도
(㎫)
1 : 1.4 3.6 6.1 8.7
1 : 1.4 3.6 7.1 8.6
1 : 1.4 3.4 6.1 8.7
1 : 1.7 3.1 5.3 7.1
1 : 1.7 3.1 5.9 7.0
1 : 1.7 2.9 6.4 6.7
1 : 2.0 2.7 5.0 6.2
1 : 2.0 2.7 5.1 5.7
1 : 2.0 2.7 5.1 6.0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은 경량인데 비하여 경화 후 압축강도가 3일 압축강도 7∼9.5㎫, 7일 압축강도 13.2∼18.4㎫, 14일 압축강도 16.1∼21.3㎫로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서와 같이 휨강도가 3일 휨강도 2.7∼3.6㎫, 7일 휨강도 5.0∼7.1㎫, 14일 휨강도 5.7∼8.7㎫로 일반시멘트의 휨강도에 비해 2배정도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의 유해성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해성분에 대한 시험 역시, 한국건자재시험연구기관에 의해 실시하였으며,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과 일반 시멘트의 유해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한 수치이다.
유해성분 본 발명의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ℓ) 일반 시멘트
(㎎/ℓ)
납(Pb) 0.04 56.1
카드늄(Cd) 0.004 0.8
구리(Cu) 0.108 225.7
수은(Hg) 0.0244 0.025
비소(As) 없음 26.4
크롬(Cr) 2.4 40.2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일반 시멘트의 경우는 유해성분의 수치가 높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은 유해성분의 수치가 0에 가까운 수치로 나왔으며, 비소의 경우는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8)을 이용하여 시공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는 압축강도, 휨강도가 매우 높아 구조체로서의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유해성분이 거의 배출되지 않아 매우 친환경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2)는 반건식으로 시공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화성이 우수하여 스티로폼 패널의 취약점인 화염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표면이 매우 매끄럽게 처리되어 미관이 수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 단열 복합패널 3 : 조립패널
4 : 차음용 패드 6 : 단열재
8 :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
14 : 난방용 파이프 16 : 요철부

Claims (7)

  1.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19∼9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재활용 세라믹모래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2.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19∼90메쉬(mesh)의 규사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aggregate)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3. 차음용 패드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단열재를 적층하여서 조립패널을 형성하고, 바닥 슬래브에 상기 조립패널들을 상호 조립하여서 깔고, 상기 조립패널들의 단열재의 요철부에 형성된 설치라인을 따라 난방용 파이프를 끼우고,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폐유리, 폐도자기를 파쇄 및 분쇄가공하여 19∼90메쉬(mesh)의 구상 다면체 형상의 알갱이로 된 재활용 세라믹모래와 19∼90메쉬(mesh)의 규사를 19∼90메쉬(mesh)내 정해진 단위 메쉬별로 골고루 혼합하여서 얻어진 응집체(aggregate)를 1 : 0.5 내지 1 : 3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물을 섞어서 반죽하여 제조된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계 시멘트조성물은 79∼94질량%의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5∼20질량%의 수경성 시멘트와 0.5∼0.75질량%의 고유동화제와 0.2∼0.5질량%의 소포제와 0.002∼0.01질량%의 알킬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계 시멘트조성물과 응집체의 혼합물에는 물을 1 : 0.2 내지 1 : 0.75의 질량비로 섞어서 반죽하여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조성물은 1∼4㎝의 두께로 상기 난방용 파이프가 끼워진 조립패널들의 상면에 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패널은 일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요부가 형성되어서 복수개가 연속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00015467A 2010-02-20 2010-02-20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11009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67A KR20110096001A (ko) 2010-02-20 2010-02-20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67A KR20110096001A (ko) 2010-02-20 2010-02-20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001A true KR20110096001A (ko) 2011-08-26

Family

ID=4493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467A KR20110096001A (ko) 2010-02-20 2010-02-20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69454U1 (ru) * 2016-02-04 2017-03-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пласт"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69454U1 (ru) * 2016-02-04 2017-03-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пласт" Плита для системы отопл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3419A (zh) 一种地面找平用快流平砂浆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WO2020249145A1 (en) Dry mixture for the preparation of concrete, fresh concret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resh concrete
RU2404146C1 (ru) Сух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месь на основе гипсового вяжущег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гких бетоно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нелей, стен, полов, кровель 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межэтажных перекрытий зданий
CN111550001A (zh) 一种轻质石膏基自流平楼地面保温隔音结构及其施工方法
Aydın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for the marble cement paste products for better sustainable construction
TWM618294U (zh) 隔音構造
JP4781290B2 (ja) 埋設型枠用ボード
KR20110095999A (ko)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001A (ko) 건축용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2577733B1 (ko)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 모르타르층,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JPH07233587A (ja) 軽量コンクリ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建築用パネル
CN212641922U (zh) 发泡陶瓷复合板和建筑用墙板
KR100903342B1 (ko)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002A (ko) 건축용 황토 단열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CN108018986A (zh) 一种结构与节能一体化半装配式预制外墙板及其施工方法
KR200399319Y1 (ko) 고무칩을 이용한 공동 주거 건물용 층간 방음층
KR100547955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의 시공방법
KR100973295B1 (ko)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황토 콘크리트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urpińska et al.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of CEM III with exposed aggregate as an alternative to CEM I for road pavements
KR100547954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2227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고강도 모르타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08473B1 (ko) 자체 평활성을 갖는 습식 석고계 콘크리트 바닥재 제조방법
KR100532540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차음 기능을 갖는 뜬바닥 구조층용기포 콘크리트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792377B (zh) 隔音構造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