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004A -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004A
KR20110095004A KR1020100014784A KR20100014784A KR20110095004A KR 20110095004 A KR20110095004 A KR 20110095004A KR 1020100014784 A KR1020100014784 A KR 1020100014784A KR 20100014784 A KR20100014784 A KR 20100014784A KR 20110095004 A KR20110095004 A KR 20110095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film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720B1 (ko
Inventor
구재필
심재훈
강준구
장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1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7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재층; 및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상선명도를 나타낼 수 있고, 고해상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왜곡이 적은 효과, 및 저반사에 의한 눈부심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ANTI-GLARE FILM AND ANTI-GLARE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휘도와 고명암비를 유지하면서도 눈부심 방지 효과를 지니는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 텔레비전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텔레비전 등이 실생활에까지 확대 보급됨에 따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시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자연광 등의 외부 빛에 노출될 경우, 표면 반사광으로 인하여 눈에 피로감을 주거나 두통을 유발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눈에 선명하게 맺히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표면 코팅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표면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코팅하고, 각 코팅층에서 유발되는 반사광들의 소멸간섭을 유도하여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반사방지 필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반사방지 필름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특허문헌 1과 같은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바인더와 굴절률차이가 있는 유기 필러를 사용하여 필름 내부에서 빛이 확산되는 광확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광확산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휘도와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
JP1999-138712 A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기재층; 및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상선명도를 보임으로써 고해상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왜곡이 적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낮은 반사율을 보임으로써, 저반사에 의한 눈부심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기재층 위에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층은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다종의 유기 고분자로 형성되는 필름 혹은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투명기재는 투명성, 빛의 굴절률, 내충격성, 내열성, 내구성 등의 제물성을 고려하고, 폴리올레핀계 (polyolefin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등), 폴리에스테르계 (polyest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alate) 등), 셀룰로오스계 (cellulose)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riacetylcellulose), 셀로판 (cellophane) 등, 폴리아마이드계 (나일론-6 (nylon-6), 나일론-66 (nylon-66) 등), 아크릴계 (acryl)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 methyl methacrylate) 등), 폴리스티렌 (polystyrene),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에틸렌 비닐 알코올 (ethylenen vinyl alcohol) 등의 유기 고분자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노보넨계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물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투명기재층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물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명기재층의 평균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45 ~ 2.0 범위 이내인 것이 적당하다.
상기 투명기재층은 가시광선을 최소 50% 이상 투과시키는 정도의 투광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시광선 투광성이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투명기재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1.40 ~ 1.57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이 투명기재층보다 낮을 때 기재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외부광이 바인더 수지 상에서 산란되어 눈부심 방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바인더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의 굴절률과 상기 투명기재층의 굴절률 차이는 0.02 ~ 1.0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기재층과 눈부심 방지층의 굴절률 차이가 1.0을 초과하게 되면, 명암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0.02 미만이면 눈부심 방지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실란화합물과 불소계 알킬실란을 이용한 솔겔(sol-gel) 반응물 및/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의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알킬실란의 예로, 트리데카플루오로 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및 헵타데카플루오로 데실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소계 알킬실란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70 중량부이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하는 굴절률 값을 얻기 힘들고, 7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강도 및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바인더 수지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눈부심방지층은 굴절률이 낮고, 불소계 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클수록 굴절률이 더 낮아진다. 또한 상기 눈부심방지층의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이 많아지면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려워지므로 오염 방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는 플루오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70 중량부이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원하는 굴절률 값을 얻기 힘들고, 7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강도 및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예로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경화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러의 굴절률은 1.20 내지 1.65이고, 입체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무정형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체로 구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상기 필러는 유기입자, 및 무기입자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입자로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유기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의 예시로는, 실리카(silica)를 들 수 있다.
상기 필러는 1 종 이상의 다종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투명기재층의 굴절률 보다 낮은 것을 1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눈부심 방지 효과를 높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의 입경은 0.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요철이 얻어지지 않고, 20㎛ 초과인 경우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필러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중량부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코팅성이 불량해지고 내부산란에 의한 헤이즈 값이 너무 커져서 명암비(Contrast Ratio)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기재 필름 위에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하는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하는 방법으로는 광경화 또는 열경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광개시제에 의하고, 불소계 알킬실란의 경우 열경화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는 고온의 오븐에서 경화할 수 있고, 상기 광개시제는 UV 경화개시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의 두께는 1~2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상선명도 100 이상, 반사율 4% 이하, 및 콘트라스트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동일한 외부 시감상에서 180 이상의 높은 상선명도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해상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의 왜곡이 적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조성물은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5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상기 하한에 미달하면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커서 코팅성이 불량하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코팅 필름의 막강도가 저하되며, 후막을 제조하기 어렵다. 중량부로 첨가되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니 않으나,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케톤류, 셀로솔브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톨루엔, 및 자이렌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눈부심 방지 조성물에는 레벨링제, 웨팅제, 소포제 및 평균 입경이 1~50 nm인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코팅막의 표면을 균일하게 해줄 수 있다.
상기 웨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함에 따라,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투명기재층에 코팅할 때,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내의 기포를 제거해 주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부심 방지 조성물에는 경화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에너지 선의 조사에 따라서, 수지 성분의 중합을 촉진하는 물질로,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 부틸 에테르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화개시제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경화가 일어나지 않아 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눈부심 방지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져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필름을 화면 전면에 부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눈부심 방지 조성물의 제조>
실란화합물과 불소계 알킬실란을 이용한 sol-gel 반응물(굴절률 1.42)50g, 평균입경 3.5㎛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g, 평균입경 4㎛의 실리콘입자 1g,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30g, 첨가제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기재층(두께 80㎛) 위에 롤 코팅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액상의 눈부심 방지 조성물을 건조 두께가 3.5~4.5㎛가 되도록 도포한 후 90도 오븐에서 5분간 경화하여 헤이즈 9.9인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눈부심 방지 조성물의 제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5g,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5g,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30g, 톨루엔 38g, UV 경화개시제 2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굴절률 1.45), 평균 입경 3.5㎛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g, 평균 입경 4㎛의 실리콘입자 1g을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기재층(두께 80㎛, 굴절률 약 1.52) 위에 롤 코팅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눈부심 방지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건조 두께가 3.5~4.5㎛가 되도록 도포한 후 UV 경화를 통하여 헤이즈 9.3인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눈부심 방지 조성물의 제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5g,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g,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30g, 톨루엔 38g, UV 경화개시제 2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굴절률 약 1.53), 평균 입경 3.5㎛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g, 평균 입경 4㎛의 실리콘입자 1g을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기재층(두께 80㎛, 굴절률 약 1.52) 위에 롤 코팅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눈부심 방지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건조 두께가 3.5~4.5㎛가 되도록 도포한 후 UV 경화를 통하여 헤이즈 9.3인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를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필름의 물성 측정 실험을 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측정방법
A. 투과율/헤이즈 (%): JIS-K-7105에 의거 무라카미 색책술연구소(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사의 HM-150을 이용하여, 투과율과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B. 60°반사 광택도 (Gloss): 비와이케이 가드너(BYK Gardner)사의 마이크로-트리-그로스(micro-TRI-gloss)를 이용하여, 60°반사 광택도(Gloss)를 측정하였다.
C. 상선명도 (%): 슈가 테스트 인스트루먼트(Suga Test Instrument Co., Ltd.)사의 ICM-1T를 이용하여 상선명도를 측정하였다.
D. 콘트라스트: 한국산업규격 (KS C IEC 61988-2-1) 에 의거하여 명실 콘트라스트(CR)를 측정하였다.
E. 반사율 (%): 시마츠(Shimadzu)사의 Solid Spec-3700을 이용하여,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필름 종류 투과율 헤이즈 Gloss 상선명도 반사율 명실 CR
실시예 1 94.9 9.9 87 368.5 3.2 65.5
실시예 2 93.5 9.3 100 320 3.7 62.0
비교예 93.6 8.9 100 220 4.2 6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비교예 보다 반사율은 더 낮음에도 불구하고 상선명도, 명실 CR 값이 더 높았다. 이는 눈부심 방지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5)

  1. 투명기재층; 및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
    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율이 4% 이하인 눈부심 방지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노보넨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눈부심 방지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는 불소계 알킬실란 화합물 및 실란화합물의 솔겔(sol-gel) 반응물을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과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굴절률 차이는 0.02 ~ 1.0 범위 이내인 것인 눈부심 방지 필름.
  7.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는 불소계 알킬실란 화합물 및 실란화합물의 솔겔(sol-gel) 반응물을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는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바인더 수지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5~7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눈부심 방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케톤류, 셀로솔브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톨루엔, 및 자이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 조성물은 광경화개시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눈부심 방지 조성물.
  15.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14784A 2010-02-18 2010-02-18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KR10125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84A KR101251720B1 (ko) 2010-02-18 2010-02-18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84A KR101251720B1 (ko) 2010-02-18 2010-02-18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004A true KR20110095004A (ko) 2011-08-24
KR101251720B1 KR101251720B1 (ko) 2013-04-05

Family

ID=4493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84A KR101251720B1 (ko) 2010-02-18 2010-02-18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7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64A1 (ko) 2011-12-21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0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3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220122285A (ko) * 2021-02-26 2022-09-02 율촌화학 주식회사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01220A1 (ko)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소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9463B2 (en) * 2005-03-30 2015-04-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Glare-proofing optical laminate
JP5092744B2 (ja) * 2005-06-09 2012-12-05 Jsr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64A1 (ko) 2011-12-21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0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3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2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9868883B2 (en) 2013-06-19 2018-01-16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10066133B2 (en) 2013-06-19 2018-09-04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10066130B2 (en) 2013-06-19 2018-09-04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10227508B2 (en) 2013-06-19 2019-03-12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220122285A (ko) * 2021-02-26 2022-09-02 율촌화학 주식회사 저반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저반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01220A1 (ko)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소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720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90B1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101044839B1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CN100480737C (zh) 防反射叠层体和光学元件
KR101870473B1 (ko) 반사 방지 필름,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24609B1 (ko) 방현성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JP6078938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798354B1 (ko)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EP2537886B1 (en) Coating layer for an antiglare film, and an antiglare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1487039B1 (ko) 광학 적층 필름
KR101727702B1 (ko) 우수한 고명암비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KR101983925B1 (ko) 눈부심 방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코팅 제품 및 그들의 형성 방법
KR101501682B1 (ko) 우수한 내지문성을 갖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
KR101182476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방지 필름
CN102911539A (zh) 防眩性防反射涂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的防眩性防反射薄膜、偏光板以及显示装置
KR101463949B1 (ko) 고 명암비를 나타내는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1720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조성물
KR101182519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방지 필름
JP2009265651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2646501A (zh) 一种高透过率防眩防爆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1285465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
KR102120989B1 (ko)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JP2010186020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20038701A (ko) 광학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140036771A (ko) 광학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080054806A (ko) 방현성 하드코팅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