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897A -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897A
KR20110094897A KR1020100014620A KR20100014620A KR20110094897A KR 20110094897 A KR20110094897 A KR 20110094897A KR 1020100014620 A KR1020100014620 A KR 1020100014620A KR 20100014620 A KR20100014620 A KR 20100014620A KR 20110094897 A KR20110094897 A KR 2011009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tbm
longitudinal direction
excavating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투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투아치 filed Critical (주)한국투아치
Priority to KR102010001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897A/ko
Publication of KR2011009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1Methods or apparatus for enlarging or restoring the cross-section of tunnels, e.g. by restoring the floor to its original leve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BM을 이용하여 파일롯 터널을 굴착하고 그 주위를 확대굴착하여 최종터널을 완성하는 TBM 터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은 터널의 내부(30)에는 상기 터널을 상하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20)가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은 복층으로 이루어진 터널을 굴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단계;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이외의 잔여터널부(12)를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널의 내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20)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30)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Constructing Method For The Tunnel Using TBM}
본 발명은 TBM을 이용하여 파일롯 터널을 굴착하고 그 주위를 확대굴착하여 최종터널을 완성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터널공사에 있어서 지반의 진동문제를 감안하고, 굴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먼저 TBM을 이용하여 파일롯 터널을 굴착하고 그 주위를 발파를 통해 확대 굴착하여 최종터널을 완성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공법이 최근 들어 국내외 여러 터널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굴착하여 TBM 파일롯 터널(1)을 일정 길이만큼 굴착한다.
그리고, 상기 TBM 파일롯 터널(1)의 천정부와 측부에 발파를 위해 발파공(2)을 천공한다. 상기 발파공(2)은 현장여건에 따라 여러 작업자가 레그드릴(leg drill)을 이용하거나, 락볼트의 천공, 발파공 천공 등에 사용되는 점보드릴(Jumbo drill)을 이용한다.
상기 발파공(2)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완성된 발파공(2)에 화약을 장약하고 계획된 순서대로 발파하여 잔여터널부(3)를 굴착한다.
그리고, 발파과정에서 발생된 버럭을 제거한다. 그 결과 파일롯 터널(1)의 내부는 점진적으로 확대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부가 시공할 최종 터널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와 같은 발파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후, 다시 TBM을 이용하여 다시 일정 길이만큼 천공하고 상기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굴진하여 터널을 완성한다.
이와 함께 파일롯 터널(1)의 바닥부에 발파공(2)을 천공하고 화약을 장약한 다음 발파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터널(1)의 바닥부를 굴착하고 버럭을 제거하면 터널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TBM을 이용한 터널시공방법은 파일롯 터널(1)의 천정부의 발파진동과 소음이 지표면으로 그대로 전파되면서 터널 직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이나 진동이나 소음에 민감한 시설물들에 큰 피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아 민원이 다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BM 굴착작업과 발파작업과 버럭 제거작업을 다수회 반복 수행해 가면서 굴진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굴착작업도 매우 번거롭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파작업시 진동과 소음이 최소화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최소화되고 굴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은 터널의 내부에 상기 터널을 상하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가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는 터널의 내부를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하도록 터널의 중앙에 단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일측부에는 흡기구 또는 배기구 또는 공용구 전선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타측부에는 상기 각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최하층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은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부분 이외의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이외의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종방향 발파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며,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굴착하는 단계 및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서로 병행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은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이외의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굴착하는 단계 및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서로 병행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여 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는 단일의 슬라브를 터널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각 층의 내벽면을 마감하거나,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일측부에 흡기구 또는 배기구 또는 공용구 전선 중 하나 이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타측부에 각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상용 계단은 프리캐스팅 공법으로 통해 미리 제작된 비상용 계단을 현장에서 일괄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최하층의 바닥면에 배수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함으로써 잔여터널부를 굴착할 때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종방향으로 발파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파작업시 진동과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여터널부의 굴착시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굴착하고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최소화되고 굴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널의 내부에 상기 터널을 상하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설치하여 복수의 터널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굴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을 원형으로 굴착하여 터널의 양측에 흡,배기구 또는 비상계단과 같은 부대시설물들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매우 뛰어나며 이러한 부대시설물들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굴착 및 매립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파일롯터널이 굴착되고 파일롯터널의 천정부에 발파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잔여터널부의 굴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파이롯터널의 바닥부를 굴착하여 최종터널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파일럿터널이 굴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굴착된 파일럿터널 주변의 잔여터널부의 굴착을 위하여 종방향 발파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도 6의 잔여터널부를 다단으로 굴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터널의 내부에 슬라브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따라 완성된 터널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은 터널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20)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브(20)에 의해 구획된 각층의 일측부에는 흡기구(40) 또는 배기구(50) 또는 공용구 전선(60) 등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브(20)에 의해 구획된 각층의 타측부에는 상기 각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7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계단(70)은 간편한 시공을 위하여 프리캐스팅 공법을 통해 미리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일괄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브(20)에 의해 구획된 최하층의 바닥면에는 배수구(8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구(80)에는 터널 내부를 흐르는 지하수가 모이게 되며 이와 같이 배수구(80)로 집수된 지하수는 배수구(80)에 연결된 별도의 배수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브(20)가 터널의 내부를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하도록 터널의 중앙에 단일로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TBM을 이용한 터널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시공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여 일정길이의 파일롯 터널(10)을 만든다.
그리고,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파일롯 터널(10)의 주변부를 원형으로 굴착하는 잔여터널부(12)의 굴착이 완성되면 최종적인 터널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여터널부(1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종방향 발파방식에 따라 굴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종방향 발파방식은 파일롯 터널(10)이 완성될 터널의 상부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며 그 결과, 발파진동과 소음이 지표면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널 직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이나 진동이나 소음에 민감한 시설물들에 피해를 끼치지 않게 된다.
미설명부호 11은 종방향 발파를 위한 발파공이다.
또한, 상기 잔여터널부(12)는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파일롯 터널(1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굴착된다.
즉,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터널(10)의 바닥을 굴착하여 1차잔여터널부(12a)를 완성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잔여터널부(12a)의 바닥을 2차로 굴착하여 2차잔여터널부(12b)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잔여터널부(12)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잔여터널부(12)는 다단의 계단 형태로 굴착되는 것이다.
이때,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2차잔여터널부(12b)의 굴착시 1차잔여터널부(12a)의 굴착작업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잔여터널부(12a) 및 2차잔여터널부(12b)의 굴착시에도 종방향 발파방식을 따른다.
또한,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파일롯 터널(10)을 굴착하는 작업과 파일롯 터널(10)의 바닥잔여터널부(12)를 굴착하는 작업은 서로 병행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길이만큼 파일롯 터널(10)이 굴착되면 파일럿 터널(10)의 굴착중에 발생된 버럭들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버럭들이 정리된 공간에서 종방향 발파방식을 통해 1차잔여터널부(12a)의 굴착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1차잔여터널부(12a)의 굴착시 발생된 버럭들을 후방으로 이송하여 처리하고 나서 2차잔여터널부(12b)의 굴착을 실시한다. 이 경우에도 파일롯 터널(10)의 굴착은 여전히 진행상태이며 이 과정에서 새롭게 발생된 버럭들은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켜 1차잔여터널부(12a)의 굴착시 형성된 1차잔여터널부(12a)의 굴착로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된 후 2차잔여터널부(12b)의 굴착시 발생된 버럭들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면 계단식으로 1차잔여터널부(12a)와 2차잔여터널부(12b)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굴착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파일럿 터널(10)과 1차잔여터널부(12a)와 2차잔여터널부(12b)의 굴착구간을 동시에 연장시켜 나가면서 최종적으로 원형의 터널 내부를 만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주변의 잔여터널부(12)를 원형으로 굴착한 이후에, 완성된 터널의 내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20)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슬라브(20)는 터널의 내부(30)를 복층으로 구획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슬라브(20)가 설치되어 터널의 내부(30)를 상층(31)과 하층(32)으로 구획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널의 내부(30)에 슬라브(20)가 설치되면, 각 층의 내벽면에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천공홀을 천공한 후, 그 내부에 다수 개의 강관을 삽입하고, 상기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면 상기 천공홀 및 강관 사이의 공간부에 그라우팅재가 경화되면서 쉽고 간편하게 주변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강관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강관 사이에 압축력을 가하도록 하는 압축연결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일부 강관에 있어서의 프리스트레스 측 압축력이 손실되더라도 다른 강관 및 압축연결모듈이 설치된 부위는 계속적인 프리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을 유리섬유재질의 GRP(Glass Reinforced Plastic)로 구성되도록 하여, 터널 내측면을 시공 시에 장비의 파손 등을 방지하면서 유연하게 터널 내측의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강관이 연결되는 부위마다 앵커모듈을 구비하도록 하여 천공홀의 임의의 위치마다 압축연결모듈을 고정시켜 각 구간마다의 강관에 압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안정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강관에 인장력을 가한 후에 그라우팅함으로써 그라우팅이 경화작업까지 완료된 경우 지반에 상하로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보다 강화된 보강작업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하여 터널의 내부(30)를 마감한다. 미설명부호 G는 시공이 완료되어 터널 내벽면에 타설된 그라우팅층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20)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일측부에는 흡기구(40) 또는 배기구(50)또는 공용구 전선(60) 등을 설치하고, 타측부에는 각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70)을 설치한다.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는 원형의 터널에 존재하는 자투리 공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데드스페이스(dead space)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용 계단(70)은 프리캐스팅 공법을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상용 계단(70)을 미리 제작한 다음 비상계단(70)이 설치되는 시점에서 현장으로 공급되어 일괄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의 혼잡을 덜면서 비상용 계단(70)의 설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터널의 내부(30)에 슬라브(20)가 설치되면, 상기 슬라브(20)에 의해 구획된 최하층의 바닥면에 배수구(80)를 설치하여 터널의 최하층 바닥으로 지하수를 집수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파일롯 터널 11...발파공
12...잔여터널부 12a...1차잔여터널부
12b...2차잔여터널부 20...슬라브
30...터널의 내부 31...상층
32...하층 40...흡기구
50...배기구 60...공용구 전선
70...비상용 계단 80...배수구
G...그라우팅층

Claims (13)

  1.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부분 이외의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이외의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종방향 발파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굴착하는 단계 및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서로 병행하여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5. 복층으로 이루어진 터널을 굴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완성될 터널의 상부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TBM을 이용하여 굴착하는 단계;
    상기 TBM을 이용한 굴착부분 이외의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BM을 이용하여 시공될 터널의 상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굴착하는 단계 및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서로 병행하여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터널부를 굴착하는 단계는,
    TBM을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다단의 계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는 단일의 슬라브를 터널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하여 완성된 각 층의 내벽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10.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일측부에 흡기구 또는 배기구 또는 공용구 전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11.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각 층의 타측부에 각층을 연결하는 비상계단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계단은 프리캐스팅 공법으로 통해 미리 제작된 비상용 계단을 현장에서 일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13.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브를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하여 터널의 내부를 복층으로 구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슬라브에 의해 구획된 최하층의 바닥면에 배수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20100014620A 2010-02-18 2010-02-18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2011009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20A KR20110094897A (ko) 2010-02-18 2010-02-18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20A KR20110094897A (ko) 2010-02-18 2010-02-18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897A true KR20110094897A (ko) 2011-08-24

Family

ID=449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620A KR20110094897A (ko) 2010-02-18 2010-02-18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8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588A (ko) * 2019-06-21 2019-07-05 전영권 복층 터널 공법
KR102157220B1 (ko) 2019-11-06 2020-09-17 (주)호반산업 Tbm 장비를 이용한 터널 굴착 시 콘크리트 라이닝 동시 시공방법
CN114688930A (zh) * 2022-03-30 2022-07-01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硬岩中控制爆破粉尘范围的爆破方法及爆破结构
CN114688930B (zh) * 2022-03-30 2024-06-07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硬岩中控制爆破粉尘范围的爆破方法及爆破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588A (ko) * 2019-06-21 2019-07-05 전영권 복층 터널 공법
KR102157220B1 (ko) 2019-11-06 2020-09-17 (주)호반산업 Tbm 장비를 이용한 터널 굴착 시 콘크리트 라이닝 동시 시공방법
CN114688930A (zh) * 2022-03-30 2022-07-01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硬岩中控制爆破粉尘范围的爆破方法及爆破结构
CN114688930B (zh) * 2022-03-30 2024-06-07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硬岩中控制爆破粉尘范围的爆破方法及爆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5109C1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мощных руд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одземным способом с креплением междукамерных целиков
CN107461200B (zh) 一种处理盾构机穿越锚索障碍区域锚索的施工工艺
KR101247702B1 (ko) 파일럿 터널을 적용한 다단 굴착 방식의 터널 시공방법
KR102211018B1 (ko) 대단면 터널에서 파일럿 터널을 이용한 미진동 급속 굴착 방법
CN112160755B (zh) 一种先行施工盾构隧道后扩挖车站的地铁线路施工方法
KR102136951B1 (ko) 복층 터널 공법
RU2012140916A (ru) Трехсводчатая станция метрополитена колонного типа и способы ее возвед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юркевича п.б.)
CN111456025A (zh) 超深基坑组合式换撑拆撑施工方法
JP4634363B2 (ja) 多連円弧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20110094897A (ko) Tbm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100898969B1 (ko) 쉬트 파일을 이용한 터널 굴착 공법 및 이에 의한 터널구조물
SG180105A1 (en) Tunne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ground displacement using pressurization
KR20140082343A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1025075B1 (ko) 연속압출방식의 지중터널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69675B1 (ko) 지하광장 굴착공법
KR20190072213A (ko) 터널 굴착을 위한 반개착 방법
KR101447381B1 (ko) 상향으로 경사 추진된 갤러리관을 이용한 계단부 통로의 비개착 시공 공법
KR101407632B1 (ko)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 및 지중 보조통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강관 추진공법
KR20170035321A (ko) 하향식 다단계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KR100746594B1 (ko) 조립식 수직구 건설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프리캐스트 구조물
CN111502750A (zh) 一种岩溶隧道隧底大规模溶洞处理方法
RU2768765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эскалаторного тоннеля, сооружаемого закрытым способом производства работ в слабых обводненных грунтах
JP2006336228A (ja) 地下空間の構築方法
KR0179326B1 (ko)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KR101657880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