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80B1 -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80B1
KR101657880B1 KR1020150033708A KR20150033708A KR101657880B1 KR 101657880 B1 KR101657880 B1 KR 101657880B1 KR 1020150033708 A KR1020150033708 A KR 1020150033708A KR 20150033708 A KR20150033708 A KR 20150033708A KR 101657880 B1 KR101657880 B1 KR 101657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ress
steel pipes
stee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관권
Original Assignee
송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관권 filed Critical 송관권
Priority to KR102015003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2009/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중에 소구경 강관을 선시공한 이후에 대구경 강관을 시공함으로써, 강관의 압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좌우 양측에 다수의 측벽 제1강관을 압입하는 제1강관 압입 단계; 상기 상측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외측에 상측 제2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측벽 제1강관의 외측에 측벽 제2강관을 압입하는 제2강관 압입 단계; 상기 상측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상측 제1강관을 제거하고, 상기 측벽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을 제거하는 제1강관 제거 단계;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내측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 단계; 및,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토사를 굴착하고,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철골 및 철근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Assembling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underground structure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암거(下水暗渠), 지하차도 또는 터널 구조물과 같은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지하 구조물이 축조될 위치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각종 응력에 대해 충분히 지지 가능하도록 구조적으로 계산을 한 후에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종래의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은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하기 위한 지하 구조물이 설치될 예정 위치에 추진 기지 조성 및 강관 압입에 필요한 제반 작업을 수행하는 강관 압입 준비 작업 단계; 지하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강관을 압입하고, 상측 강관의 좌우 양측에 측벽 강관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 단계; 압입된 강관에 가해지는 각종 외력에 대해 지지 가능하도록 강관의 내측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강관 보강 단계; 압입된 강관의 하부에 대해 굴착을 실시하고, 강관의 내측으로 빔 조립체가 설치 가능하도록 빔 조립체가 삽입될 위치에 맞추어 강관 내부에서 절단을 실시한 후에 빔 조립체를 설치하는 빔 조립체 설치 단계; 빔 조립체가 설치된 이후에 중장비를 동원하여 지하 구조물이 축조될 전 구간에 대해 굴착을 실시하는 내부 굴착 단계; 및 내부 굴착이 완료된 이후에 강관의 하부를 모두 절단하고, 지하 구조물이 축조될 바닥과 좌우 양측 및 상측에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은 지하 구조물이 설치될 위치의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대구경 상측 강관을 직접 압입하고, 또한 상측 강관의 좌우 양측에 대구경 측벽 강관을 직접 압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측 및 측벽 강관과 토사 사이의 마찰력이 큼으로써, 상측 및 측벽 강관의 압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지하 구조물의 축조 기간이 길어지고, 또한 공사비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13787(2007.05.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중에 소구경 강관을 선시공한 이후에 대구경 강관을 시공함으로써, 강관의 압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양측 단부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측벽 제1강관을 압입하는 제1강관 압입 단계; 상기 제1강관 압입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외측에 상측 제2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측벽 제1강관의 외측에 측벽 제2강관을 압입하는 제2강관 압입 단계; 상기 제2강관 압입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상측 제1강관을 제거하고, 상기 측벽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을 제거하는 제1강관 제거 단계; 상기 제1강관 제거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내측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 단계; 및, 상기 보강재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토사를 굴착하여 제거하고,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철골 및 철근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상측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측벽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상측 제1강관 및 측벽 제1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상측 제1강관은 상기 상측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은 상기 측벽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상측 제1강관이 위치하고, 상기 측벽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축조 방법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제1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제1강관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강관의 하부에 제2강관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 단계; 및, 상기 제2강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토사를 굴착하고, 상기 제2강관에 철골 및 철근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압입된 다수의 제1강관; 상기 다수의 제1강관의 하부에 상기 제1강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입된 제2강관; 및, 상기 제2강관의 내부 벽면을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중에 소구경 강관을 선시공한 이후에 대구경 강관을 시공함으로써, 강관의 압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지하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수직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소구경 강관(제1강관)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대구경 강관(제2강관)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소구경 강관(제1광관)의 제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소구경 강관 압입, 대구경 강관 압입 및 소구경 강관 제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내부에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철골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철근 가공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양생 및 마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은 수직구 설치 단계(S1), 소구경 강관(제1강관) 압입 단계(S2), 대구경 강관(제2강관) 압입 단계(S3), 소구경 강관(제1강관) 제거 단계(S4), 보강재 설치 단계(S5), 철골 설치 단계(S6), 철근 가공 조립 단계(S7), 콘크리트 타설 단계(S8) 및 양생/마감 단계(S9)를 포함한다.
도 2는 수직구(1)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1)의 설치 단계(S1)에서는, 강관이 삽입되어 지하 구조물이 설치될 예정 위치에 수직구(1)가 설치되고, 강관 추진 기지가 조성된다. 또한, 강관 추진 기지에 강관 추진에 필요한 가시설과 반력벽 및 추진 레일(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도 3은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이 유압잭 등에 의해 압입된다. 일례로,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이 압입되고, 상측 제1강관의 좌우 양측 단부에 다수의 측벽 제1강관이 압입된다.
도 4는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구경 강관(3)(제2광관)이 유압잭 등에 의해 압입된다. 일례로, 상측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측 제1강관의 외측에 상측 제2강관이 압입된다. 또한, 측벽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측벽 제1강관의 외측에 측벽 제2강관이 압입된다.
도 5는 소구경 강관(2)(제1광관)의 제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에 위치된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이 제거된다. 물론, 이때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 토사는 굴착되어 제거된다. 일례로, 상측 제2강관 내부의 상측 제1강관이 제거되고, 측벽 제2강관 내부의 측벽 제2강관이 제거된다. 이때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내부에 있는 토사는 굴착되어 제거된다.
도 6a 및 도 6b는 소구경 강관(2)의 압입, 대구경 강관(3)의 압입 및 소구경 강관(2)의 제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이 토사에 횡 방향으로 압입되고, 이어서 다수의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이 토사에 횡 방향으로 압입되며, 마지막에는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에 있는 다수의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이 제거된다. 이때,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에 있는 토사도 굴착되어 제거되며, 소구경 강관(2)(제1강관)은 절단되어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로 토사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소구경 강관(2a)(제1강관)이 토사에 횡 방향으로 압입되고, 이어서 하나의 소구경 강관(2a)(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이 토사에 압입되며, 마지막에는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에 있는 하나의 소구경 강관(2a)(제1강관)이 제거된다. 이때,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부에 있는 토사도 굴착되어 제거되되며, 소구경 강관(2a)(제1강관)은 절단되어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로 토사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이 압입되고, 상측 제1강관의 좌우 양측 단부에 다수의 측벽 제1강관이 압입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측 제1강관과, 좌우 양측 단부의 측벽 제1강관의 전체 단면 형태는 대체로 "∩"자 형태를 한다.
이어서, 상측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측 제1강관의 외측에 상측 제2강관이 압입되고, 측벽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측벽 제1강관의 외측에 측벽 제2강관이 압입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측 제2강관과, 좌우 양측 단부의 측벽 제2강관 역시 전체 단면 형태는 대체로 "∩"자 형태를 한다.
마지막으로, 상측 제2강관 내부의 상측 제1강관이 폐기 또는 제거되고, 측벽 제2강관 내부의 측벽 제2강관이 폐기 또는 제거된다. 물론, 이때 상측 제2강관 내부의 토사 및 측벽 제2강관 내부의 토사는 굴착되어 제거된다.
이때, 소구경 강관(2,2a)(제1강관)의 직경은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다. 즉, 상술한 상측 제1강관(2,2a)의 직경은 상술한 상측 제2강관(3)의 직경보다 작고, 상술한 측벽 제1강관(2,2a)의 직경은 상술한 측벽 제2강관(3)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소구경 강관(2,2a)(제1강관) 및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은 단면 형태가 대략 타원형 형태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상측 제1강관 및 측벽 제1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더불어, 소구경 강관(2,2a)(제1강관)은 대구경 강관(3)(제2강관)의 내경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측 제1강관(2,2a)은 상측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하고, 상술한 측벽 제1강관은 측벽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이 위치하고, 측벽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구경 강관(2,2a)이 선시공된 이후 대구경 강관(3)이 시공됨으로써, 대구경 강관(3)의 압입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시공 시간 및 비용도 절약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선시공된 소구경 강관(2)이 미리 토사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대구경 강관(3)의 압입 시 전단 파괴 현상이 방지된다.
도 7은 상측 제2강관(30a) 및 측벽 제2강관(30b)의 압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상측에 타원 형태의 다수의 상측 제2강관(30a)이 압입되고, 이후 또는 동시에 좌우 양측 단부에 타원 형태의 다수의 측벽 제2강관(30b)이 압입된다. 또한, 제2강관들 사이의 틈에는 토사(50)의 유출 방지를 위한 그라우트(40)가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타원 형태의 상측 제2강관(30a) 및 타원 형태의 측벽 제2강관(30b)이 이용됨으로써, 이들에 의한 토사(50)의 무게를 견디는 힘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소구경 강관(제1강관)(2,2a)은 이미 폐기 또는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8은 상측 제2강관(30a) 및 측벽 제2강관(30b)의 내부에 보강재(6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제2강관(30a) 및 좌우 양측 단부의 측벽 제2강관(30b)의 내부에는 각각 보강재(60)가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측 제2강관(30a) 및 측벽 제2강관(30b)에 의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압력으로 인한 출입 통로의 벽과 토사가 무너지는 현상이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도 9는 철골(7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제2강관(30a) 및 측벽 제2강관(30b)에는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철골(7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철골(70)의 전체적인 형상도 대략 "∩"자 형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철골(70)에는 스트프너 및 고장력 철판(미도시)이 보강될 수 있고, 또한 중앙에도 철골(70a)이 설치되고, 중앙의 철골(70a)에 유압잭(70b)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철근(80)의 가공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70)에는 철근(80)이 가공되어 조립될 수 있고, 또한 철골(70)과 철근(80)의 일부는 상호간 용접될 수 있다.
도 11은 콘크리트(90)의 타설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70) 및 철근(80)에는 콘크리트(90)가 타설됨으로써, 대략 "□" 형태의 지하 구조물이 형성된다.
도 12는 양생 및 마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90)의 양생 및 마감 이후에는 중앙의 철골(70a) 및 유압잭(70b)이 제거됨으로써, 완벽한 지하 구조물이 완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축조 방법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제1강관(110)을 압입하고, 제1강관(110)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제1강관(110)의 하부에 제2강관(120)을 압입하는 강관 압입 단계와, 제2강관(120)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토사를 굴착하여 제거하고, 제2강관(120)에 철골 및 철근을 설치하며, 콘크리트(90)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다수의 소구경 제1강관(110)을 설치하고, 다수의 소구경 제1강관(110)의 하부에 하나의 대구경 제2강관(120)을 압입하며, 대구경 제2강관(120)의 내부에서 토사를 굴착하여 제거함으로써, 지하 구조물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1강관(110)의 직경은 제2강관(120)의 직경보다 작다. 물론, 여기서도 제1강관(110)의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횡 방향으로 압입된 다수의 제1강관(110)과, 다수의 제1강관(110)의 하부에 제1강관(11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입된 제2강관(120)과, 제2강관(120)의 내부 벽면을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130)로 이루어진 지하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소구경 강관(110)을 선시공한 이후에 대구경 강관(120)을 시공함으로써, 강관의 압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구경 강관(110)은 직경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반의 상태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은 소구경 강관(210)이 대구경 강관(120)의 상부 형상을 따라 곡선으로 배열되는 대신, 상측에 위치한 토사(50)의 표토와 나란하게 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소구경 강관(210)은 이러한 배열을 통해 토사(50)가 대구경 강관(120)을 향해 인가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소구경 강관(210)은 이러한 배열로서 상기 토사(50)가 하측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수직구 2, 2a; 소구경 강관
3; 대구경 강관 30a; 상측 제2강관
30b; 측벽 제2강관 40; 그라우트
50; 토사 60; 보강재
70; 철골 70a; 중앙 철골
70b; 유압잭 80; 철근
90; 콘크리트 110; 제1강관
120; 제강관 130; 콘크리트

Claims (10)

  1. 지하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측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상측 제1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양측 단부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측벽 제1강관을 압입하는 제1강관 압입 단계;
    상기 제1강관 압입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외측에 상측 제2강관을 압입하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 측벽 제1강관의 외측에 측벽 제2강관을 압입하는 제2강관 압입 단계;
    상기 제2강관 압입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상측 제1강관을 제거하고, 상기 측벽 제2강관 내부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을 제거하는 제1강관 제거 단계;
    상기 제1강관 제거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의 내측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 단계; 및,
    상기 보강재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의 토사를 굴착하여 제거하고,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에 철골 및 철근을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상측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의 직경은 상기 측벽 제2강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2강관 및 측벽 제2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강관 및 측벽 제1강관은 단면 형태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강관은 상기 상측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 제1강관은 상기 측벽 제2강관의 상측 내경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상측 제1강관이 위치하고,
    상기 측벽 제2강관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측벽 제2강관이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3708A 2015-03-11 2015-03-11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KR10165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08A KR101657880B1 (ko) 2015-03-11 2015-03-11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08A KR101657880B1 (ko) 2015-03-11 2015-03-11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880B1 true KR101657880B1 (ko) 2016-09-19

Family

ID=5710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708A KR101657880B1 (ko) 2015-03-11 2015-03-11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621B1 (ko) * 2020-04-14 2020-10-05 주식회사 지오건설 좌굴방지모듈이 구비된 대직경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박스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992A (ja) * 2000-12-25 2002-07-10 Nanno Construction Co Ltd 管体の推進工法
JP2005042366A (ja) * 2003-07-28 2005-02-17 Kajima Corp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KR100713787B1 (ko) 2006-08-25 2007-05-02 송관권 지하 구조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JP2009185468A (ja) * 2008-02-04 2009-08-20 Taisei Corp 推進管およびトンネル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992A (ja) * 2000-12-25 2002-07-10 Nanno Construction Co Ltd 管体の推進工法
JP2005042366A (ja) * 2003-07-28 2005-02-17 Kajima Corp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KR100713787B1 (ko) 2006-08-25 2007-05-02 송관권 지하 구조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JP2009185468A (ja) * 2008-02-04 2009-08-20 Taisei Corp 推進管およびトンネル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621B1 (ko) * 2020-04-14 2020-10-05 주식회사 지오건설 좌굴방지모듈이 구비된 대직경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박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1582173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101324173B1 (ko) 가이드 형강을 이용한 함체 추진공법
KR100713787B1 (ko) 지하 구조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KR101040066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터널 시공방법
KR101278687B1 (ko) 박스형 추진 강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69702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측벽형성용 방수철판 및 토류방지판의 설치방법
KR101479267B1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2149473B1 (ko) 피씨 강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적용 지중 비개착의 강합성콘크리트 터널 시공방법
KR101657880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KR101216126B1 (ko)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73492B1 (ko)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KR100806867B1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터널구조체 시공방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KR101431623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102361505B1 (ko) 피씨 강선을 적용한 비개착 지중 구조물의 설치 시공방법
KR101275468B1 (ko) 비개착식 터널형성용 구조물 조립체 및 이의 축조방법
KR102310091B1 (ko) 가설기둥의 설치가 필요없는 지하구조물 설치공법
KR101249603B1 (ko) 비개착 슬래브 구조물의 수직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강관 설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28563A (ko) 지하구조물 축조에 있어서의 압입강관을 이용한 2방향 거더 형성방법
JP2017227070A (ja) セグメント壁体及びトンネル覆工体
JP6827294B2 (ja) セグメント壁体及びトンネル覆工体
KR101304659B1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수직 기둥 시공 방법
JP2021143576A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