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492B1 -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 Google Patents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492B1
KR101673492B1 KR1020150137642A KR20150137642A KR101673492B1 KR 101673492 B1 KR101673492 B1 KR 101673492B1 KR 1020150137642 A KR1020150137642 A KR 1020150137642A KR 20150137642 A KR20150137642 A KR 20150137642A KR 101673492 B1 KR101673492 B1 KR 10167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wall
bracket
primary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환
임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이기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3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04B1/58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or H -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서 CIP 벽체에 대한 영구벽체의 형성 이전, 상기 CIP 벽체에 대하여 영구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CIP 벽체에 매설된 H 파일(10)의 노출면에 결합한 브래킷(100); 상기 영구보(20)를 상기 브래킷(100)에 매달아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100) 및 영구보(20)에 결합한 지지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영구보와 바닥슬래브의 설치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TOP 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IR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역타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역타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층의 바닥슬래브를 보다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거푸집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역타(逆打) 공법이란, 굴착공사 이전에 지하외부 벽체(지중연속벽)와 지하층 기둥(bored pile)을 선시공한 후, 단계별로 지하층 바닥슬래브와 토공사를 위에서 아래로 반복해 가면서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탑 다운(top down) 공법 또는 다운워드(downward) 공법이라고도 한다.
도 1 내지 3은 종래의 역타공법에서 CIP 벽체에 대한 영구벽체의 형성 이전, CIP 벽체에 대하여 영구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영구보 지지구조물은, CIP 벽체의 H 파일(10)의 노출면에 결합한 좌대(60)와, 그 위에 설치된 하부 띠장(70)과, 그 위에 설치된 영구보(20)에 의해 구성된다.
즉, 종래의 영구보 지지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영구보(20)가 좌대(60) 위에 거치됨으로써 상측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영구보(20)의 위에는 띠장(50) 및 간격재(51)가 설치되는데, 이는 CIP 벽체의 H 파일(10)과 바닥슬래브(30) 사이에서 토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6은 이러한 종래의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공법의 공정도이다.
복수의 H 파일(10)이 매설되도록 CIP 벽체를 형성하고, CIP 벽체의 내부 영역을 굴착한 후,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4).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에 복수의 좌대(60) 중 1차 좌대(60a)를 결합하고, 그 위에 1차 하부 띠장(70a) 및 1차 영구보(20a)를 거치한 후, 1차 영구보(20a)에 의해 지지되도록 1차 바닥슬래브(30a)를 형성한다.
1차 바닥슬래브(30a)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에 복수의 좌대(60) 중 2차 좌대(60b)를 결합하고, 그 위에 2차 하부 띠장(70b) 및 2차 영구보(20b)를 거치한 후, 2차 영구보(20b)에 의해 지지되도록 2차 바닥슬래브(30b)를 형성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에 3차 좌대(60c)를 결합하고, 그 위에 3차 하부 띠장(70c), 3차 영구보(20c), 3차 바닥슬래브(30c)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영구보 및 바닥슬래브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순서로 시공하지만, 영구벽체(40)는 반대의 순서로 시공한다.
즉, 2차 바닥슬래브(30b)와 3차 바닥슬래브(30c) 사이의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는데, 3차 영구보(20c) 및 3차 바닥슬래브(30c)의 단부가 매설되도록 한다(도 5).
이때, 3차 영구보(20c) 및 3차 바닥슬래브(30c)를 지지하는 3차 좌대(60c), 3차 하부 띠장(70c)은 이들과 함께 매설될 수밖에 없다.
영구벽체(40)의 타설 및 양생 공정에 걸쳐, 3차 영구보(20c) 및 3차 바닥슬래브(30c)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후, 이와 같은 방식으로 1차 바닥슬래브(30a)와 2차 바닥슬래브(30b) 사이 영역에도 영구벽체(40)를 형성하는데, 이때에도 2차 영구보(20b) 및 2차 바닥슬래브(30b)를 지지하는 2차 좌대(60b), 2차 하부 띠장(70b)은 이들과 함께 매설된다(도 6).
이와 같이, 종래의 역타공법에서는 영구보를 지지하는 구조물(좌대, 하부 띠장)이 영구벽체에 매설되는데, 이들 지지구조물은 본 구조물인 영구벽체의 타설 이후에는 구조적으로 아무런 역할이 없는 가시설임에 불구하고, 매설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영구보와 바닥슬래브의 설치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역타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서 CIP 벽체에 대한 영구벽체의 형성 이전, 상기 CIP 벽체에 대하여 영구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CIP 벽체에 매설된 H 파일(10)의 노출면에 결합한 브래킷(100); 상기 영구보(20)를 상기 브래킷(100)에 매달아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100) 및 영구보(20)에 결합한 지지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지지장치(200)는,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거치부재(210); 상기 영구보(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받침부재(220); 상기 거치부재(210)와 받침부재(220)를 연결하도록, 상기 영구보(20)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보(20) 및 거치부재(210)는 H 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220)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하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30)의 상단은 상기 거치부재(21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하단은 상기 받침부재(22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보(20)의 상면에는 직교방향을 따라 띠장(50)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띠장(50)의 관통공을 통해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브래킷(100)의 하부 영역과 상기 띠장(50)의 상부 영역 사이에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커플러(233)에 의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부강봉(231)과 하부강봉(2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영구보 지지구조물 복수를 이용한 역타 공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H 파일(10)이 매설되도록 상기 CIP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CIP 벽체의 내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1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1차 브래킷(100a)을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1차 지지장치(200a)와 상기 1차 브래킷(100a)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1차 영구보(20a)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1차 영구보(20a)에 의해 지지되도록 1차 바닥슬래브(30a)를 형성하는 지하 1층 형성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2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2차 브래킷(100b)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2차 지지장치(200b)와 상기 2차 브래킷(100b)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2차 영구보(20b)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2차 영구보(20b)에 의해 지지되도록 2차 바닥슬래브(30b)를 형성하는 지하 2층 형성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와 2차 바닥슬래브(30b) 사이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상기 1차 영구보(20a) 및 1차 바닥슬래브(30a)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가 매설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 2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상기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의 상부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는 지하 1층 영구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지하 2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지하 2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이전, 상기 2차 바닥슬래브(30b)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3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3차 브래킷(100c)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3차 지지장치(200c)와 상기 3차 브래킷(100c)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3차 영구보(20c)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3차 영구보(20c)에 의해 지지되도록 3차 바닥슬래브(30c)를 형성하는 지하 3층 형성단계; 상기 2차 바닥슬래브(30b)와 3차 바닥슬래브(30c) 사이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상기 2차 영구보(20b) 및 2차 바닥슬래브(30b)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가 매설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 3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상기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영구보와 바닥슬래브의 설치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역타 공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영구보 지지구조물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단면도.
도 4 내지 6은 역타공법의 공정도.
도 7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은 영구보 지지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C-C`단면도.
도 9 내지 12는 역타공법의 공정도.
도 13은 영구보 지지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역타공법에서 CIP 벽체에 대한 영구벽체의 형성 이전, CIP 벽체에 대하여 영구보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CIP 벽체에 매설된 H 파일(10)의 노출면에 결합한 브래킷(100); 영구보(20)를 브래킷(100)에 매달아 지지하도록, 브래킷(100) 및 영구보(20)에 결합한 지지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영구보를 좌대의 상부에 거치하여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였음에 비해, 본 발명은 영구보를 브래킷에 매달아 지지하는 방식을 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의 공정은 다음과 같다(도 9 내지 12).
복수의 H 파일(10)이 매설되도록 CIP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하고, CIP 벽체의 내부 영역을 굴착한 후, CIP 벽체의 내면 일부(콘크리트)를 제거하여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1차 브래킷(100a)을 결합하고, 복수의 지지장치(200) 중 1차 지지장치(200a)와 1차 브래킷(100a)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영구보(20) 중 1차 영구보(20a)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1차 영구보(20a)에 의해 지지되도록 1차 바닥슬래브(30a)를 형성하여 지하 1층을 시공한다.
1차 바닥슬래브(30a)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에 복수의 브래킷(100) 중 2차 브래킷(100b)를 결합하고, 복수의 지지장치(200) 중 2차 지지장치(200b)와 2차 브래킷(100b)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2차 영구보(20b)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2차 영구보(20b)에 의해 지지되도록 2차 바닥슬래브(30b)를 형성하여 지하 2층을 시공한다.
2차 바닥슬래브(30b)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에 복수의 브래킷(100) 중 3차 브래킷(100c)를 결합하고, 복수의 지지장치(200) 중 3차 지지장치(200c)와 3차 브래킷(100c)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영구보(20) 중 3차 영구보(20c)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3차 영구보(20c)에 의해 지지되도록 3차 바닥슬래브(30c)를 형성하여 지하 3층을 시공한다.
2차 바닥슬래브(30b)와 3차 바닥슬래브(30c) 사이의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상기 영구보(20b) 및 2차 바닥슬래브(30b)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가 매설되지 않도록 한다(도 11).
재활용을 위하여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를 제거한다.
이후, 1차 바닥슬래브(30a)와 2차 바닥슬래브(30b) 사이의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1차 영구보(20a) 및 1차 바닥슬래브(30a)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가 매설되지 않도록 한다(도 12).
역시 재활용을 위하여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를 제거한다
1차 바닥슬래브(30a)의 상부의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여 지하 1층을 시공한다.
즉, 종래에는 영구보를 좌대의 상부에 거치하여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므로, 그 좌대 등의 가시설이 영구벽체에 매설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였음에 비해, 본 발명은 영구보를 브래킷에 매달아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영구보의 설치 및 바닥슬래브와 영구벽체의 타설 공정 중에는 브래킷 및 지지장치에 의해 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영구벽체의 양생 완료 이후에는 브래킷 및 지지장치(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는 지하 3층인 구조물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지하 층수가 아무리 큰 경우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가시설의 소요량이 많을수록 더 큰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영구보 지지구조물의 구체적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장치(200)는,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거치부재(210); 영구보(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받침부재(220); 거치부재(210)와 받침부재(220)를 연결하도록, 영구보(20)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부재(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도 7,8,13).
이는 영구보의 하중을 양측 브래킷에 분산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영구보(20) 및 거치부재(210)는 H 빔 구조를 적용하면 충분하다.
받침부재(220)는 판형 구조이고, 연결부재(230)는 상하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연결부재(230)의 상단은 거치부재(21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부재(230)의 하단은 받침부재(22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영구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브래킷에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영구보(20)의 상면에 직교방향을 따라 띠장(50)이 결합하는 경우, 위 연결부재(230)는 띠장(50)의 관통공을 통해 결합한 구조를 취하면 된다.
연결부재(230)가 브래킷(100)의 하부 영역과 띠장(50)의 상부 영역 사이(영구벽체의 타설면)에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영구벽체(40)의 타설 후 지지장치(200)의 제거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이는 연결부재(230)가 커플러(233)에 의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부강봉(231)과 하부강봉(232)을 포함하는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H 파일 20 : 영구보
30 : 바닥슬래브 40 : 영구벽체
50 : 띠장 100 : 브래킷
200 : 지지장치 210 : 거치부재
220 : 받침부재 230 : 연결부재
231 : 상부강봉 232 : 하부강봉
233 : 커플러 234 : 너트

Claims (9)

  1. 역타공법에서 CIP 벽체에 대한 영구벽체의 형성 이전, 상기 CIP 벽체에 대하여 영구보를 지지하기 영구보 지지구조물 복수를 이용한 역타 공법으로서,
    상기 영구보 지지구조물은,
    상기 CIP 벽체에 매설된 H 파일(10)의 노출면에 결합한 브래킷(100);
    상기 영구보(20)를 상기 브래킷(100)에 매달아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100) 및 영구보(20)에 결합한 지지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장치(200)는,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거치부재(210);
    상기 영구보(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설치된 받침부재(220);
    상기 거치부재(210)와 받침부재(220)를 연결하도록, 상기 영구보(20)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220)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하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30)의 상단은 상기 거치부재(21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하단은 상기 받침부재(22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234)에 의해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H 파일(10)이 매설되도록 상기 CIP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
    상기 CIP 벽체의 내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1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1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1차 브래킷(100a)을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1차 지지장치(200a)와 상기 1차 브래킷(100a)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1차 영구보(20a)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1차 영구보(20a)에 의해 지지되도록 1차 바닥슬래브(30a)를 형성하는 지하 1층 형성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2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2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2차 브래킷(100b)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2차 지지장치(200b)와 상기 2차 브래킷(100b)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2차 영구보(20b)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2차 영구보(20b)에 의해 지지되도록 2차 바닥슬래브(30b)를 형성하는 지하 2층 형성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와 2차 바닥슬래브(30b) 사이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상기 1차 영구보(20a) 및 1차 바닥슬래브(30a)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가 매설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 2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상기 1차 브래킷(100a) 및 1차 지지장치(200a)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1차 바닥슬래브(30a)의 상부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는 지하 1층 영구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보(20) 및 거치부재(210)는 H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보(20)의 상면에는 직교방향을 따라 띠장(50)이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띠장(50)의 관통공을 통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브래킷(100)의 하부 영역과 상기 띠장(50)의 상부 영역 사이에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30)는 커플러(233)에 의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상부강봉(231)과 하부강봉(2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2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지하 2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이전,
    상기 2차 바닥슬래브(30b)의 하부 영역을 굴착하고, 상기 CIP 벽체의 내면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3차 H 파일 노출단계;
    상기 H 파일(10)의 3차 노출면에 복수의 상기 브래킷(100) 중 3차 브래킷(100c)를 결합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장치(200) 중 3차 지지장치(200c)와 상기 3차 브래킷(100c)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복수의 상기 영구보(20) 중 3차 영구보(20c)를 매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3차 영구보(20c)에 의해 지지되도록 3차 바닥슬래브(30c)를 형성하는 지하 3층 형성단계;
    상기 2차 바닥슬래브(30b)와 3차 바닥슬래브(30c) 사이의 상기 CIP 벽체의 내면에 영구벽체(40)를 형성하되, 상기 2차 영구보(20b) 및 2차 바닥슬래브(30b)의 단부가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가 매설되지 않도록 하는 지하 3층 영구벽체 형성단계;
    상기 2차 브래킷(100b) 및 2차 지지장치(200b)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
KR1020150137642A 2015-09-30 2015-09-30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KR10167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42A KR101673492B1 (ko) 2015-09-30 2015-09-30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642A KR101673492B1 (ko) 2015-09-30 2015-09-30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492B1 true KR101673492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42A KR101673492B1 (ko) 2015-09-30 2015-09-30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6A (ko)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Cip흙막이 벽체용 필러부재
KR102055891B1 (ko) 2018-12-18 2020-01-22 임세춘 흙막이 벽체용 필러
CN113529790A (zh) * 2021-07-26 2021-10-22 中铁四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行车道预应力侧墙及其张拉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278A (ja) * 1994-09-02 1996-03-19 Tokyu Constr Co Ltd 地下大空間構築工法
KR20120094666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분리형 좌대와 띠장 지점조절용 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 구조 및 흙막이 지지 공법
KR101433632B1 (ko) * 2013-04-10 2014-08-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브라켓 일체형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278A (ja) * 1994-09-02 1996-03-19 Tokyu Constr Co Ltd 地下大空間構築工法
KR20120094666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분리형 좌대와 띠장 지점조절용 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 구조 및 흙막이 지지 공법
KR101433632B1 (ko) * 2013-04-10 2014-08-2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브라켓 일체형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6A (ko)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Cip흙막이 벽체용 필러부재
KR102055891B1 (ko) 2018-12-18 2020-01-22 임세춘 흙막이 벽체용 필러
CN113529790A (zh) * 2021-07-26 2021-10-22 中铁四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行车道预应力侧墙及其张拉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CN102444130B (zh) 深基坑工程中的快速换撑施工方法
KR101111594B1 (ko) 지상 구조물을 통과하는 지중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73492B1 (ko) 영구보 지지구조물을 이용한 역타 공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CN106545019B (zh) 用于级差式地下结构施工的换撑体系及施工方法
JP2017031583A (ja) インバート施工方法、トンネル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用テルハクレーン
KR101041264B1 (ko) 가압을 이용한 변위제어 터널의 보강구조체
KR101703946B1 (ko)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KR101471058B1 (ko) 가시설 흙막이 벽체의 공극부 충진 공법
JP7225356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CN105909280A (zh) 一种用于超大断面隧道拱墙衬砌钢筋定位加固的安装结构
JP5367452B2 (ja) 地下壁体構築方法および地下壁体
KR102358570B1 (ko) 굴착면 보강을 위한 하향식 콘크리트 타설 보강공법
KR101818428B1 (ko) 콘크리트 파일의 결합면 형성을 위한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시공방법
CN210459229U (zh) 一种深基坑内支撑装配式换撑施工工装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20190142677A (ko)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역타 공법
KR101657880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KR20130004798A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적용되는 벽체 트렌치 토압 지지 방법
KR100959946B1 (ko) 인장력에 의한 루프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루프 구조체
CN112012771A (zh) 一种洞桩暗挖顺筑地下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940183U (zh) 一种钢管桩连续墙换撑结构
KR102526362B1 (ko) 하향식 콘크리트 타설 방식을 이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 장치 및 방법
JP5123967B2 (ja) 免震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