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26B1 -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26B1
KR0179326B1 KR1019960007618A KR19960007618A KR0179326B1 KR 0179326 B1 KR0179326 B1 KR 0179326B1 KR 1019960007618 A KR1019960007618 A KR 1019960007618A KR 19960007618 A KR19960007618 A KR 19960007618A KR 0179326 B1 KR0179326 B1 KR 017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steel support
support box
wa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904A (ko
Inventor
심동수
Original Assignee
심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동수 filed Critical 심동수
Priority to KR101996000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326B1/ko
Publication of KR97006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02D5/187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the bulkheads or walls being made continuously, e.g. excavating and constructing bulkheads or walls in the same process, without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구조물을 구축하기에 앞서 트렌치를 형성함에 있어 제어발파의 기술과 강재지지박스에 의한 지보공간을 활용하는 기술을 접목시킨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지하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내측트렌치선 및 외측트렌치선의 2줄로 일정간격을 따라 수직으로 지표면에서 지하암반층까지 소정깊이로 소구경공과 대구경공을 각각 교대로 천공한 후, 상기 천공된 소구경공 내부에 층상장약과 전색물을 교대로 설치하여 제어발파시킴으로써 절리되는 인공절리면의 형성단계와; 상기 인공절리면이 형성된 상부 좌우측에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가이드월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월 사이의 지반을 굴토하면서 상하부가 트인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 지지박스를 단계적으로 인입하여 토압을 지지시켜 나가면서 토사층을 굴토하는 토사층트렌치의 형성단계와; 상기 토사층 트렌치내로 인입된 강재 지지박스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에 발파공들을 천공한 후, 장약 및 전색물을 설치하여 발파시켜 암반층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암반층트렌치의 형성 단계와; 상기 강재 지지박스 내부로 암반층의 트렌치하단으로부터 토사층의 트렌치 상단까지 철근케이지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토사층을 지지하는 강재지지박스를 상부로 단계적으로 인발시키면서 성형되는 단위지중벽체의 형성단계로 이루어져서, 기성형된 단위지중벽체와 서로 맞물리도록 그 다음 단위지중벽체를 성형 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지하연속벽을 구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본발명은 구조물을 구축하기에 앞서 외곽테두리 지하를 굴토 및 굴착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지하연속벽체를 시공하는 것으로, 특히 트렌치를 형성함에 있어 선시공으로 제어발파에 의한 인공절리면을 형성한 후, 토사층은 굴토하여 강재지지박스에 의한 지보구간으로 하고, 암반층은 무지보구간으로 하여 발파시켜 굴착하는 발파를 혼합시킨 형태로 전반적으로 작업성을 증대시켜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시켜 주며, 또한 얼굴·과굴이 없는 트렌치를 형성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하연속벽 또는 다이아프램월(diaphragm wall)이라고 불리는 지하연속벽의 시공법은 거푸집이나 기타 가설재 대신에 지반을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트렌치(trench)를 형성하고, 이 트렌치의 좌우벽면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반 안정액을 트렌치내로 충진시켜서, 미리 제작된 철근케이지를 트렌치내로 인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연속벽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공법으로서,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데 많이 채택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법은 기존 건물에 인접한 경계면을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도심지 공사에 특히 유리하며, 또한 기초토공사에서 흙막이·차수벽 및 내력벽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공기 단축과 공사비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공법으로 건설현장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종래의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굴착기로 지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까지의 토사층을 굴착하여 토사층의 트렌치를 형성하고, 그 트렌치를 굴착함과 병행하여 토사붕괴를 방지하도록 트렌치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주입하고, 상기 토사층의 트렌치를 형성한 후 그 직하부에 형성된 암반층을 암반굴착기로 소정깊이로 굴착하여 암반층의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 내부에 철근케이지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그 하부로는 암반층에서부터 그 상부로는 지표면까지 지하연속벽을 구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첫째, 토사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트렌치 내부에 주입하는 지반안정액이 지반속으로 무한정으로 새어나가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그에 따라 안정액이 크게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토사층의 트렌치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채워 넣게 됨으로써 그 하부에 형성된 암반층을 굴착하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트렌치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채워넣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그 내부에 들어가서 암반을 굴착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암반굴착기계를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며, 또한 암반굴착기계를 사용하더라도 안정액이 채워진 관계로 식별하기가 곤란하여 굴착작업이 불편함과 아울러 그 굴착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중장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제어발파라고 하는 용어는 다단계의 지발뇌관들을 이용하여 일정한 지연시차를 갖고 기폭되어 다단계로 분산발파되는 것을 의미하며, 토사층이라 함은 일정두께의 지표면의 토사와, 토사 하부의 토사로 분리될 수 있는 퇴적층 및 풍화암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암반층은 연암 및 경암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토사층의 트렌치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강재 지지박스를 인입하여 토압을 지지시켜 가면서 그 지지박스를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의 굴착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증대시켜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층은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보작업구간으로 하고, 암반층은 무지보작업구간으로 하여 여굴·과굴이 없는 트렌치를 형성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a도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A부를 확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본발명의 시공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도는 제어발파에 의한 인공절리면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3도는 가이드월의 설치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4도는 토사층트렌치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5도는 암반층트렌치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6도는 단위지중벽체의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토사층트렌치에 사용되는 강재 지지박스를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골절리면 10a : 대구경공
10b : 소구경공 10c : 발파공
11 : 장약 12 : 전색물
20 : 가이드월 30 : 강재 지지박스
30a : 분리형박스 31 : 요부
32 : 철부 40 : 철근케이지
50 : 단위지중벽체 t1: 내측트렌치선
t2: 외측트렌치선 S : 토사층
s1: 토사층트렌치 R : 암반층
r1: 암반층트렌치
이하,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은 제1a도 내지 제7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조물의 지하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내측트렌치선(t1) 및 외측트렌치선(t2)의 2줄로 일정간격을 따라 수직으로 지표면에서 지하암반층까지 소정깊이로 소구경공과 대구경공을 각각 교대로 천공한 후, 상기 천공된 소구경공 내부에 층상 장약과 전색물을 교대로 설치하여 제어발파시킴으로써 절리되는 인공절리면(10)의 형성단계와 상기 인공절리면이 형성된 상부 좌우측에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가이드월(20)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월(20) 사이의 지반을 굴토하면서 상하부가 트인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 지지박스(30)를 단계적으로 인입하여 토압을 지지시켜 나가면서 토사층(S)을 굴토하는 토사층트렌치(s1)의 형성단계와; 상기 토사층 트렌치내로 인입된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R)에 발파공(10c)들을 천공한 후, 장약 전색물을 설치하여 발파시켜 암반층(R)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암반트렌치(r1)의 형성단계와; 상기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로 암반층의 트렌치하단으로부터 토사층의 트렌치상단까지 철근케이지(40)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토사층을 지지하는 강재지지박스를 상부로 단계적으로 인발시키면서 성형되는 단위지중벽체(50)의 형성단계로 이루어져서, 기성형된 단위지중벽체와 서로 맞물리도록 그 다음 단위지중벽체를 성형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지하연속벽을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이 토사층트렌치(s1)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채워 넣음으로써 그 하부에 있는 암반층(R) 굴착작업을 값비싼 중장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것과는 달리, 선시공공정으로서 굴토 및 굴착이 용이하도록 제어발파에 의한 인공절리면(10)을 형성한 다음, 토사층(S)을 굴토하면서 상하부가 트인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 지지박스를 굴토와 동시에 단계적으로 상하로 연결하여 토사층트렌치 내로 인입시켜 트렌치 좌우측벽의 토압을 지지시켜 주는 토사층의 지보작업구간형태와, 강재 지지박스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R)을 천공하여 소구경 파쇄발파 형태로써 굴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암반층트렌치(r1)의 무지보작업구간의 혼합형태로 이루어져 시공됨으로써 전반적으로 시공기간의 단축과 공사비를 절감시켜 주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통하여 본발명의 시공공정을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공절리면(10)의 형성단계는 제1a도, 제1b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조물의 지하외벽이 설치되는 지반의 내,외측 트렌치선의 2줄을 미리 절리하는 단계로서, 그 깊이는 토사층(S)의 하부에 형성된 암반층(R)의 소정깊이까지 트렌치를 굴착하기 쉽도록 일정간격으로 대구경공과 소구경공으로 각각 교대로 천공하여 소구경공 내부에 뇌관이 장전된 충상장약(11)과 전색물(12)을 교대로 설치하여 제어발파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약 200㎜ 직경으로 천공되는 대구경공(10a)과 약 100㎜ 직경으로 천공되는 소구경공(10b)으로 교대로 내,외측 트렌치선을 따라 각각 천공되는데, 이때, 대구경공(10a)과 소구경공(10b)은 25-35㎝의 간격을 갖고 천공된다.
이후, 대구경공(10a)은 층상장약(11)을 설치하지 않은 무장약공 상태로 두고, 소구경공(10b)은 암반층(R) 및 토사층(S)을 모두 포함한 전 깊이에 층상장약(11)과 전색물(12)을 교대로 층상으로 설치하게 되며, 이때, 소구경공(10b)내에 설치되는 층상장약의 폭약량은 30-50g의 폭약량을 장전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폭약량이 적은 이유는 발파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인데, 즉 여러개의 층상장약을 설치하여 0.025-0.05초의 지연시차를 갖는 다단계의 지발뇌관(제1b도의 1-10번으로 기재된 것은 장약에 지발뇌관들이 장전된 것임)들에 의하여 장전기폭시 다단계의 시차를 갖고 분산발파가 가능하기 때문에 발파시 발생하는 진동을 제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한 벽면씩 전체를 동시에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순차적으로 장약들을 지발발파하게 되면, 장약공에서 무장약공의 방향으로 폭발시 발생하는 가스가 방출되며, 그 폭발력에 의하여 장약공과 무장약공의 선을 따라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절리됨으로써 인공단층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트렌치가 형성될 벽면을 미리 절리하게 됨으로써 굴토 및 굴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가이드월(20)의 설치단계는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렌치가 형성될 상부좌우측 지표면에 나란히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이드월(20)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가이드월(20)은 임시 구조물로서 트렌치 상부의 좌우측 벽면의 토사붕괴를 방지하고, 상재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강재 지지박스(30)의 인입을 유도하고, 또한 강재 지지박스(30)을 인발할 시 유잡액의 반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토사층트렌치(s1)의 형성단계는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재 지지박스(30)를 가이드월 사이에 인입해 가면서 토사층(S)을 암반층(R)이 나올 때까지 굴토하여 토사층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토사층을 굴토하는 장비로는 크램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강재 지지박스(30)는 제7a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좌우 2.6m, 전후 0.7m이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하부가 트인 직육면체 형상의 4면의 판체가 일체로 성형된 사각통형박스(30)가 있고, 또한 제7b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면의 판체가 분리되는 작은 크기의 분리형박스(30a)가 있으나 그 크기는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이, 2개로 구분되는 이유는 사각통형 강재 지지박스(30)는 단위지중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고, 분리형박스(30a)는 단위지중벽체사이나 모서리부위등에서 작은 중간지중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재 지지박스(30)는 그 좌우측 모서리에 요부(31)와 철부(32)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강재 지지박스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박스(30)는 전후 평탄한 판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요철형 구조외에 미끌림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인발시에 작용되는 힘은 자중과 토압 그리고 주변마찰력외에 베아링 및 바퀴 또는 할면 마찰력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강재 지지박스는 기본적으로 토사층의 벽면을 지지함으로써 지보재 및 차수벽으로서의 기능과 기존의 안정액의 대체기능과, 또한 그 내부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하 지지박스간에 연결가능하도록 상하단부에 연결홈들을 형성하여 그 연결홈에 연결편을 끼운 후 볼트로 결합하여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적인 연결방법으로 인접 강재지지박스와 연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강재 지지박스(30)는 토사층(S)이 굴토됨에 따라 동시에 인입된 최상단의 강재 지지박스에 또다른 강재 지지박스를 계속적으로 연결하여 지하로 하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강재 지지박스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육안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박스(30) 3개를 1스판으로 하여 2개층이 조립되어 가이드월 내부로 거치시킨 후, 강재 지지박스(30) 내부에서 굴토장비로 굴토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인입된 강재 지지박스는 굴토된 트렌치의 좌우벽면을 지지시켜 주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게 되며, 그 내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암반층에 들어가서 암반층의 굴착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굴착된 암반을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추후 강재 지지박스가 토사층을 지지하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트렌치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표면이 일정하게 성형됨으로써 여굴 또는 과굴이 없게 되어 일정한 두께의 지중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암반층트렌치(r1)의 형성단계는 이미 토사층트렌치(s1)에 인입된 지지박스(30)의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R)에 발파공(10c)들을 천공하는 굴착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지상의 기계장비로도 천공이 가능하나 지상의 기게장비에 의존하지 아니하고도, 즉 작업자가 직접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로 들어가서 기계식 6비트 천공기에 의하여 발파공(10c)을 천공작업을 할 수가 있는데, 이때, 발파공(10c)들의 천공직경은 28-36㎜로서 기계식 6비트 천공기에 의하여 천공된다.
즉,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로 굴착기를 내려 작업자가 들어가서 암반층(R)에 발파공(10c)들을 일정깊이로 천공하고 난 후, 장약(11)을 설치하여 전색물로 전색한 후, 장약을 기폭시켜서 암반을 발파하여 암반의 버럭처리를 하게 되면 암반층트렌치(r1)가 형성된다. 이때, 소구경파쇄발파를 하게 되면 여러 자유면들로 인하여 발파진동을 최소로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의 발파작업은 1회의 천공 및 발파작업만이 아니라, 현장여건에 따라 여러 횟수의 천공발파작업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필요한 깊이까지 굴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암반층트렌치 형성단계는 강재 지지박스(30) 내부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육안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파공(10c)의 천공 및 장약(11)을 설치하여 발파시킴으로써 암반굴착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암반트렌치의 소구경 파쇄발파는 지반안정액을 충정하여 암반굴착 작업이 곤란했던 종래의 것과는 확실히 구분되는 것이다.
단위지중벽체(50)의 형성단계는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강재 지지박스(30) 내부에 철근케이지(40)를 삽입하여 암반층트렌치(r1) 하단으로부터 토사층트렌치(s1) 상단까지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로서, 2가지의 형태를 갖고 있다.
먼저 암반층트렌치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암반층의 좌우벽면이 거푸집의 역할을 하면서 성형되어지는 것이며, 이후, 타설높이가 높아지면서 토사층트렌치에 도달하게 되면 토사층의 좌우측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지하고 있는 강재 지지박스가 거푸집의 역할을 하면서 단계적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져 경화되는데, 이때 강재 지지박스(30)또 잭이나 크레인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상부로 인발시키면, 콘크리트가 강재 지지박스의 두께로 인한 공극대로 밀려들어가서 메꾸어 주면서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한편, 제7b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재 지지박스의 변형된 분리형박스(30a)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폭이 좁은 트렌치나 또는 모서리부분의 트렌치의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단위지중벽체(50)를 형성한 후, 기성형된 단위지중벽체의 요부와 철부에 의하여 서로 맞물려 일체가 되도록 그 다음 단위지중벽체를 연속적으로 성형시킴으로서 지하연속벽의 구축을 완료하게 되며, 한편 인발된 강재 지지박스는 회수됨으로써 다음 작업구간에 다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지하연속벽은 건축물의 탑다운 공법(지하의 토목공사와 지상의 건축공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공법)이나, 하천·해안등의 차수벽 또는 상하수시설이나 쓰레기매립장등에서의 차수벽을 시고할 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제어발파의 기술과 강재지지박스에 의한 지보공간을 활용하는 기술을 접목시킨 것으로써, 첫째, 트렌치를 굴착하기 이전에 인공절리면(10)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토사층(S) 및 암반층(R)의 굴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토사층의 트렌치 내부에 지반안정액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강재 지지박스를 인입하여 토압을 지지시켜 가면서 그 지지박스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의 굴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셋째, 토사층은 강재지지박스에 의한 지보작업구간으로 하고, 암반층은 무지보작업구간으로 하기 때문에 여굴·과굴이 없는 트렌치를 형성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기타, 강재 지지박스(30)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암반층(R)에 들어가서 암반굴착작업을 하여 발파를 가능케 하기 때문에 대심도의 암반굴착작업도 가능하다.

Claims (5)

  1. 구조물의 지하벽체가 시공되는 위치에 내측트렌치선(t1) 및 외측트렌치선(t2)의 2줄로 일정간격을 따라 수직으로 지표면에서 지하암반층까지 소정깊이로 소구경공과 대구경공을 각각 교대로 천공한 후, 상기 천공된 소구경공 내부에 층상장약과 전색물을 교대로 설치하여 제어발파시킴으로써 절리되는 인공절리면(10)의 형성단계와; 상기 인공절리면이 형성된 상부 좌우측에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가이드월(20)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월(20) 사이의 지반을 굴토하면서 상하부가 트인 직육면체 형상의 강재 지지박스(30)를 단계적으로 인입하여 토압을 지지시켜 나가면서 토사층(S)을 굴토하는 토사층트렌치(s1)의 형성단계와; 상기 토사층 트렌치내로 인입된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를 통하여 암반층(R)에 발파공(10c)들을 천공한 후, 장약 및 전색물을 설치하여 발파시켜 암반층(R)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암반층 트렌치(r1)의 형성단계와; 상기 강재 지지박스(30) 내부로 암반층의 트렌치하단으로부터 토사층의 트렌치상단까지 철근케이지(40)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토사층을 지지하는 강재지지박스를 상부로 단계적으로 인발시키면서 성형되는 단위지중벽체(50)의 형성단계로 이루어져서, 기성형된 단위지중벽체와 서로 맞물리도록 그 다음 단위지중벽체를 성형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지하연속벽을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절리면 형성단계에서 교대로 천공되는 대구경공(10a)과 소구경공(10b)은 25-35㎝의 간격을 갖고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절리면 형성단계에서 소구경공(10b)내에 설치되는 층상장약의 폭약량은 30-5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층 트렌치형성단계에서 인입되는 강재 지지박스(30)는 금속판제의 사각통형으로서 모서리 좌우측에 각각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단위지중벽체(50)간에 서로 맞물려 일체로 성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반층 트렌치형성단계에서 천공되는 발파공(10c)들의 천공직경은 28-36㎜이며, 이 발파공(10c)내에 장약 및 전색물을 설치하여 암반층(R)을 발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KR1019960007618A 1996-03-20 1996-03-20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KR017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618A KR0179326B1 (ko) 1996-03-20 1996-03-20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618A KR0179326B1 (ko) 1996-03-20 1996-03-20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338A Division KR0182394B1 (ko) 1997-06-20 1997-06-20 인장파괴를 이용한 암반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904A KR970065904A (ko) 1997-10-13
KR0179326B1 true KR0179326B1 (ko) 1999-04-01

Family

ID=1945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618A KR0179326B1 (ko) 1996-03-20 1996-03-20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688A (ko) * 2000-02-28 2001-09-06 홍원기 암반 절취 방법 및 장약공 배열 구조
KR101521556B1 (ko) * 2013-10-02 2015-05-19 (주)천마엔지니어링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101521558B1 (ko) * 2013-10-02 2015-05-19 (주)천마엔지니어링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CN109518718B (zh) * 2019-01-19 2023-09-22 安徽工程大学 组合式预警型挡土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904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861A (en) Trench wall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JP6661448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
CN104963346A (zh) 复杂地质的深基坑围护施工方法
JP2023113780A (ja) 地下トンネルを建設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395350A (zh) 一种软土深基坑挖土施工工法
US44962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walls in the earth
JP2008231810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CN109208594A (zh) 钢护筒下沉遇孤石的处理方法、钢护筒结构及钻孔桩
JP4132442B2 (ja) トンネル施工法
KR102325623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0179326B1 (ko) 강재 지지박스에 의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US4422798A (en) Process for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structure thus obtained
KR102079190B1 (ko) 자중식 수직구 하이브 컷 압입 공법
CN115262567A (zh) 一种超窄全硬岩深基坑开挖方法
JP3948655B2 (ja) 山留め壁及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WO2020193960A5 (ko)
RU2058464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фундаментов
JP5960787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シールド機撤去方法
JP4180347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工法および地中連続壁
JP2004003229A (ja) 立坑の築造方法
RU1794192C (ru)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 котлованов
JPS62206119A (ja) 連続止水壁の築造方法
KR19990007580A (ko)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로 활용하는 지하옹벽 구축방법
JP2018035623A (ja) 地下構造物構築方法
JPH0823266B2 (ja) 地下空間体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