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698A -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 Google Patents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98A
KR20110094698A KR1020100014254A KR20100014254A KR20110094698A KR 20110094698 A KR20110094698 A KR 20110094698A KR 1020100014254 A KR1020100014254 A KR 1020100014254A KR 20100014254 A KR20100014254 A KR 20100014254A KR 20110094698 A KR20110094698 A KR 2011009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lyolefin
polyphenylene oxid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928B1 (ko
Inventor
김환기
남기준
김원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928B1/ko
Priority to PCT/KR2010/006728 priority patent/WO2011102582A1/en
Publication of KR2011009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7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이 조화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난연성 절연 재료와 이를 이용한 절연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90 중량%와 폴리올레핀 10~7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2∼10 중량부와 안정제 0.2∼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0~50 중량%와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고무 중에서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성분 50~90 중량%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Modified polyphenylene oxide-polyolefin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nd electrical cable produced therewith}
본 발명은 난연성 절연 재료와 이를 이용한 절연 전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할로겐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절연 재료에 관한 것이다.
전선의 절연층용 난연 재료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저렴한 비용 때문에 폴리염화비닐이나 난연제를 함유한 폴리올레핀을 널리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할로겐 함유 폴리올레핀이나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성 기체를 방출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환경 보호를 위하여 PVC와 같이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난연성 절연 재료에 대한 사용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할로겐계 난연성 절연 재료의 대안으로 금속 수산화물계 무기 난연제를 비할로겐 폴리올레핀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유력하게 대두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고분자 수지 가공 온도에서 금속 수산화물 성분의 열적 안정성이 떨어져서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 수산화물 사용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충전제(filler)를 도입하는 경우, 상기 충전제를 과량으로 넣어야 하기 때문에 충전제가 포함된 고분자 수지의 점도가 늘어나 가공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충분한 난연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기계적 성질과 가공성이 양호한 경제적인 비할로겐계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은 아직까지도 꾸준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할로겐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유연성과 신장률 등의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 경제성을 두루 갖춘 고난연성 절연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 절연 재료로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90 중량%와 폴리올레핀 10~7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활제 0.2~10 중량부 및 안정제 0.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0~50 중량%와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중에서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성분 50~9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는 변성하지 않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극성 작용기를 도입한 극성화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이러한 난연성 절연 재료를 이용하여 절연층을 제조한 절연 전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를 이용하여 얻은 전선은 우수한 난연성, 예를 들어 UL 1581 규격에 따른 수직 난연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가교 공정 없이 절연층을 완성할 수 있고, 종래 기술보다 저렴한 구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절연 재료처럼 매끄러운 외관을 갖출 수 있어 전선 제조시 작업 선속이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 oxide, PPO)와 고무 수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수지에 활제와 안정제를 포함하며 별도의 난연제가 없이도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폴리(2,6-디메틸페닐렌 옥사이드)를 비롯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고분자는 챠(char) 형성이 수월하므로 자체적인 난연성이 좋으며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열성이 큰 장점이 있다. 반면에 PPO는 취성(脆性)이 있고 가공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난연성이 뛰어난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다른 고분자를 혼합하여 기계적 특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가교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절연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면 전선의 절연층으로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수지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에 폴리올레핀을 혼합하여 난연성과 기계적 강도는 물론 전선용 절연층에서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절연 재료에서 기본 수지는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90 중량%와 폴리올레핀 10~7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쓰일 수 있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로는 폴리(2,6-디메틸페닐렌 옥사이드)를 비롯하여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고분자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란 용어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고무 수지(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이 분야에서는 이미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고무 수지의 혼합물로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라고 지칭하는 것을 시판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기본 수지에 이러한 시판 변성 PPO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에 포함되는 고무 수지 성분의 예를 일부만 들자면 고내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고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더욱 바람직한 고무 수지 성분으로는 고내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고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에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또는 SEBS 고무를 섞어주면 절연 재료의 유연성과 신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재료에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로는 10~50 중량%의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50~90 중량%의 고무 수지, 예를 들어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또는 SEBS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고무 수지의 함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전선용 재료로서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유연성과 가공성을 가질 수 있어 유리하다.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속에서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의 함량이 10 중량%에 못 미치면 기계적 강도와 난연특성이 떨어져 전선용 재료로 적절하지 못하고,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의 함량이 50 중량%를 넘으면 유연성과 가공특성이 떨어져 사용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은 전선 외관을 매끄럽게 하여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고, 압출 제조 공정에서 작업 선속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유연성과 신장률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의 타 성분에 비하여 저렴하므로 원료의 단가도 낮춰줄 수 있다.
절연 재료의 성분으로 쓰일 수 있는 폴리올레핀으로는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에틸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로 용융 흐름 지수가 이 분야에서 전선용 절연 재료로 흔히 쓰이는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용융 흐름 지수가 0.1~10인 것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리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가공특성과 더불어 가공후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폴리올레핀의 용융 흐름 지수가 0.1에 못 미치면 압출가공시 부하가 너무 높아 적절한 가공특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반대로 10을 넘어도 압출시 처짐 현상등으로 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피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절연 재료에서 기본 수지는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를 30~90 중량%, 폴리올레핀을 10~70 중량%로 함유한다. 폴리올레핀이 상기 비율로 기본 수지에 포함되면 제조 공정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절연 재료의 신장률과 유연성이 좋아진다. 기본 수지에서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유연성이 저하되고 가공특성이 열등해 불리하고, 70 중량%를 넘어도 기계적 물성 및 난연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기본 수지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으로는 처리하지 않은 그대로의 무변성 폴리올레핀만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극성 작용기를 도입한 극성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거나 무변성과 극성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극성 작용기를 갖춘 극성화 폴리올레핀을 기본 수지에 사용하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의 화학결합을 형성하여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극성화를 위하여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작용기를 도입하는 것은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말레산무수물 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물질로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처리하여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무수물로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그라프트하여 카르복시기 또는 카르복시산 무수물을 폴리올레핀 사슬에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의 극성화 처리 방법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하지 않는다. 간략하게, 이러한 처리는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극성기 도입 물질(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을 처리(예를 들어 그래프트화)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본 수지에 쓰이는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이나 극성화 폴리올레핀으로는 용융 흐름 지수가 0.1~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기계적 강도와 가공성 확보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절연 재료는 상기 기본 수지와 더불어 가공 활제와 안정제를 더 포함한다. 활제는 제조 기계 표면의 금속으로부터 절연 재료의 이형성(離型性)을 높이고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쓰일 수 있는 활제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활제를 사용하면 무방하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부틸, 왁스 등이 있다. 활제의 함량은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10 중량부가 적당하다. 활제의 함량이 0.2 중량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윤활 효과가 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련이 곤란하게 되는 등 전체적인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안정제로는 산화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고온에서 일어나는 고분자 수지의 공기 산화를 막아 물성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산화 방지제로는 티오에스테르계 및 페놀계 물질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인 예로는 A/O 1010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산화 방지제는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산화 방지제가 0.2 중량부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산화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여도 산화 방지 효과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으므로 산화 방지제 함량은 이 범위가 적당하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절연 재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절연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자외선 방지제, 항블록킹제, 정전기 방지제, 왁스, 커플링제, 안료 등이 있는데, 비록 예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상기 난연성 절연 재료로 절연층을 구성한 절연 전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로 절연층을 구성하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의 고온 안정성 때문에 가교 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절연층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난연제 없이도 높은 수준의 난연성, 예를 들어 미국 UL 1581 규격 이상의 난연성을 가지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는 금속 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층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혼련과 가압 프레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실시 태양 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따름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아래 실시예 범위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조성물의 성분 조성에 따른 성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비교예와 실시예의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의 모든 단위는 중량부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에서 벗어난 성분값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시하였다.
조 성 ( 중량부 ) 실 시 예 비 교 예
1 2 3 1 2 3 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90 50 70 100 0 0 10
폴리올레핀 1(LLDPE)** 10 50 100 90
폴리올레핀 2(EVA 수지) 30 100
활제 0.5 0.5 0.5 0.5 0.5 - 0.5
안정제 0.5 0.5 0.5 0.5 0.5 - 0.5
[표에 사용한 성분의 설명]
* 일본 아사히화성(化成)社 제품인 Xyron WH100.
** 밀도가 0.922 g/㎤, 용융 흐름 지수가 2.3 (g/10분, 190℃) 인
Sumitomo Chemical社 제품 SP2030
† 밀도가 0.94 g/㎤, 용융 흐름 지수가 1.8 (g/10분, 190℃), 아세트산비닐
모노머가 19% 인 한화석유화학사 제품 EVA-1316
‡ Lion Chem 사의 PE계 Wax로 제품명 LC-Wax 102N
※ Ciba Specialty사의 산화방지제 제품명 Ir-1010
물성 측정 및 평가
상기 실시예(1~3) 및 비교예(1~4)에 따르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편 절연층은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다.
롤밀을 이용하여 120℃에서 각각의 조성물을 10분간 혼련시킨 후, 170℃에서 20분간 가압 프레스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외관 평가와 난연성 평가를 위해서는 120~230℃에 이축압출기(30 mm)를 통해 컴파운드 가공한 다음 45 mm 일축압출기를 통하여 뽑아냄으로써 절연층을 갖춘 전선 시편을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렇게 얻은 실시예와 비교예 시편에 대하여 기계적 물성, 난연성과 외관을 시험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간략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상온 기계적 물성
전자 기기용 전선은 미국 UL 1581 규격에서 정하는 조건에 따라 상온 인장 강도가 1.05 kg중/㎟ 이상, 상온 신장률이 150% 이상이어야 한다.
㉡ 가열 후 기계적 물성
전자 기기용 전선 중 내열 등급 105℃급인 전선은 UL 1581규격에서 정하는 조건에 따라 136℃에서 168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강도 잔율이 70% 이상, 신장 잔율이 50% 이상이어야 한다.
㉢ 난연성
고난연 열수축 튜브의 난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국 UL 1581 규격에 따른 VW-1 수직 난연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불꽃을 15초 인가한 후, 15초 소화를 5회 반복하고, 총 연소시간은 60초 이내이고, 전소되지 않을 것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외관
색상을 포함한 외관의 평가는, 제조한 전선 시편의 표면을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하였는데,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없고 매끈하면 합격, 돌기가 있고 표면이 거칠면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번호 비교예 번호
1 2 3 1 2 3 4
상온
특성
인장 강도
(kg중/㎟)
2.57 2.45 2.16 3.1 2.9 2.4 1.8
신장률(%) 177 346 256 70 540 600 300
가열
특성
강도 잔율(%) 101 97 117 101 0 0 0
신장 잔율(%) 88 89 107 95 0 0 0
수직 난연성 (VW-1)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외관 평가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표 2에 정리한 바와 같은 물성 측정 결과, 실시예 조성물은 상온과 가열 후 기계적 특성, 수직 난연성, 외관, 경제성의 모든 평가 항목에서 모두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만을 기본 수지에 포함하는 비교예 1은 난연성과 인장 강도, 가열 특성은 양호하였으나, 신장률 면에서 유연성이 매우 떨어졌고 절연층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였다. 기본 수지에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지만, 변성 PPO의 함량이 본 발명이 규정하는 값에 못 미치는 비교예 4의 경우, 신장률이 우수하였으나, 난연성과 가열 특성이 매우 나빠, 열에 매우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 재료와 그를 이용한 전선은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의 조화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을 개시하였다. 본 실시예를 포함하는 명세세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님을 밝혀 둔다.

Claims (11)

  1.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90 중량%와 폴리올레핀 10~7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2∼10 중량부; 및
    안정제 0.2∼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0~50 중량%와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고무 중에서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성분 50~9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난연성 절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에틸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용융 흐름 지수가 0.1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4.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30~90 중량%와 폴리올레핀 10~7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활제 0.2∼10 중량부; 및
    안정제 0.2∼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10~50 중량%와 고내충격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중에서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성분 50~9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무변성 폴리올레핀과 극성화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산에틸 함량이 2~40%의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화 폴리올레핀은 제5항의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또는 극성화 폴리올레핀은 용융 흐름 지수가 0.1~10, 말레산 무수물등의 극성기 그래프트화율이 0.1~5 중량부의 비율로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는 용융 흐름 지수가 5~50 (220℃,10kg,10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충격 폴리스티렌은 스티렌의 비율이 중량비로 30~70%이며 용융 흐름 지수가 0.1~30 (190℃, 2.16kg,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고무는 스티렌의 비율이 중량비로 30~70% 이며 용융 흐름 지수가 0.1~30 (190℃, 2.16kg,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절연 조성물.
  11. 도체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절연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며,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절연 전선.
KR1020100014254A 2010-02-17 2010-02-17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69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54A KR101696928B1 (ko) 2010-02-17 2010-02-17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PCT/KR2010/006728 WO2011102582A1 (en) 2010-02-17 2010-10-01 Modified polyphenylene oxide-polyolefin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nd electrical cable produce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54A KR101696928B1 (ko) 2010-02-17 2010-02-17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98A true KR20110094698A (ko) 2011-08-24
KR101696928B1 KR101696928B1 (ko) 2017-01-17

Family

ID=4448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54A KR101696928B1 (ko) 2010-02-17 2010-02-17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6928B1 (ko)
WO (1) WO20111025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62A (ko) * 2012-02-15 2013-08-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케이블 쉬스용 수지 조성물
KR102099809B1 (ko) * 2018-10-21 2020-04-10 대륙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동차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WO2022025409A1 (ko) * 2020-07-30 2022-02-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9460A (zh) * 2021-12-08 2022-02-01 青岛国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家电产品的耐热氧老化以及耐候的pp材料以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84A (ko) * 1995-07-07 1997-02-19 성기웅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688643B1 (ko) * 2006-02-10 2007-03-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JP2007510256A (ja) * 2003-05-16 2007-04-19 ネクサン ソシエテ アノニム 結合層内で被覆された導電体と同導電体を製造する方法
KR20080093920A (ko) * 2007-04-18 2008-10-22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프리프레그, 그것을 이용한 다층 배선 기판 및 전자 부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521B2 (ja) * 1993-05-28 2004-03-29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難燃ツイストフラットケーブル
JPH07117174A (ja) * 1993-10-26 1995-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箔張り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1397B2 (ja) * 1995-10-26 2001-04-03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プレグ及び金属箔張り積層板
KR100819607B1 (ko) * 2006-01-25 2008-04-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이 개선된 비할로겐계 절연 및 시스재 제조용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전선
KR100688642B1 (ko) * 2006-02-10 2007-03-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84A (ko) * 1995-07-07 1997-02-19 성기웅 절연재료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7510256A (ja) * 2003-05-16 2007-04-19 ネクサン ソシエテ アノニム 結合層内で被覆された導電体と同導電体を製造する方法
KR100688643B1 (ko) * 2006-02-10 2007-03-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20080093920A (ko) * 2007-04-18 2008-10-22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프리프레그, 그것을 이용한 다층 배선 기판 및 전자 부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62A (ko) * 2012-02-15 2013-08-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케이블 쉬스용 수지 조성물
KR102099809B1 (ko) * 2018-10-21 2020-04-10 대륙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동차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WO2022025409A1 (ko) * 2020-07-30 2022-02-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015060A (ko) * 2020-07-30 2022-02-0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2582A1 (en) 2011-08-25
KR101696928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286B1 (ko) 고난연 전자 기기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314010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EP2355111A2 (en) Cross-linked clean flame retardant wire and cable insulation compositions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WO2007058349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絶縁シールド電線、絶縁ケーブル及び絶縁チューブ
EP2343334A2 (en) Clea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or flame retardancy and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to insulate wire and cable
JP5387944B2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WO2011129129A1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20140009373A (ko) 논할로젠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절연 전선 및 튜브
JP5182580B2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EP2275477A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n ethylene copolymer with maleic anhydride units as coupling agent
EP2532707B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KR101696928B1 (ko)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627512B1 (ko) 비할로겐계 내한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WO2013140692A1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100896105B1 (ko) 이산화규소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719761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100655532B1 (ko)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KR100688643B1 (ko)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1808828B1 (ko)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KR100874538B1 (ko) 내 컷스루 특성을 갖는 난연성이 개선된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절연전선,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재 제조방법
KR100949031B1 (ko) 전자기기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절연체로 포함하는전선
JP4776208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被覆した絶縁電線
KR20200102704A (ko) 단열재 배관 테이프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KR100782231B1 (ko) 난연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