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613A -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13A
KR20110094613A KR1020100014138A KR20100014138A KR20110094613A KR 20110094613 A KR20110094613 A KR 20110094613A KR 1020100014138 A KR1020100014138 A KR 1020100014138A KR 20100014138 A KR20100014138 A KR 20100014138A KR 20110094613 A KR20110094613 A KR 2011009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house
steel pipe
vari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613A/ko
Publication of KR2011009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는, 프레임과 외피체 등으로 구성되어 강관 외면 용접 작업시에 용접 작업 공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강관 외면 용접 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뢰성 있게 진행할 수 있고, 특히 배관 작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규격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전체적인 폭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배관 규격 및 작업 조건이 달라지더라도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Welding house being used to construct pipe line}
본 발명은 대형 강관들을 배열하고 연결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600mm 이상의 대형 강관 시공시에 배관 및 용접을 자동으로 시행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강관의 시공방법'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한 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청으로부터 위의 기술에 대하여 등록번호 10-0440555호로 특허 받은 바 있다.
이후, 본 출원인은, 강관 정형기로부터 외면 용접기를 분리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정형기와 외면 용접기를 별도로 이용하여 강관 시공을 진행함으로써 작업 준비 시간은 물론 시공 시간, 정리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독립적인 기구도 별도 시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보다 우수한 시공성을 달성할 수 있는 '강관 시공 방법'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한 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청으로부터 등록번호 10-0847547호로 특허 받은 바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특허 발명들은, 대형 강관 시공시에 배관 설치 작업 및 용접 연결 작업 등을 자동으로 시행하여 시공성, 경제성, 안전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배관 설치 작업시에 비, 눈, 바람 등에 의한 기상 악화 조건, 야간 작업 조건 등 주변 환경을 극복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관 용접시에 강관 연결 시공 구간의 주변에 설치하여 강관 용접 작업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작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크기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전체적인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강관의 크기 및 작업 조건 등이 달라지더라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짜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전면, 상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체를 포함하고, 웰딩 하우스의 폭방향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외피체 중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록킹 수단에 의해 폭방향 조절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와, 웰딩 하우스의 측면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와, 웰딩 하우스의 정면과 후면, 또는 중간 부분에서 수직 지지대 또는 수평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그 상부에 지붕을 구성하는 상부 지지대가 중앙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는, 웰딩 하우스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중앙 연결부 및 수직 지지대와 연결된 부분이 모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지지대는, 분할된 한쪽 가변 지지대가 분할된 다른 쪽 가변 지지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부분을 록킹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록킹 수단은 한쪽 가변 지지대와 이에 삽입된 다른 쪽 가변 지지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록킹 핀을 삽입하여 가변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웰딩 하우스는 폭을 조절하기 위해 폭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폭 조절장치는,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에 각각 브래킷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 중 한쪽 브래킷에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다른 쪽 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딩 하우스의 상면 및 전면과 후면에 상면 외피체 및 전후면 외피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면 외피체 및 전후면 외피체는,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에 각각 분할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분할된 양쪽 외피체가 서로 겹치게 설치되어 가변 지지대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분할된 양쪽 상면 외피체 및 분할된 양쪽 전후면 외피체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후면 외피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된 방풍 커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에 필요한 부대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형 장비 탑재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조명장치, 환풍 장치,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작업자가 상하 승강 이동을 위해 탑승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강관 외면 용접 작업시에 용접 작업 공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강관 외면 용접 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신뢰성 있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작업에 사용되는 강관의 크기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전체적인 폭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배관 규격 및 작업 조건에 따라 폭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폭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폭방향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는, 대형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와 소형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웰딩 하우스는 전체적인 구성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세부적인 구성을 달리하므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소형 강관 연결 시공시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제1실시예의 웰딩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 구성도,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웰딩 하우스의 폭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폭방향 조절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400)는, 강관(P) 연결 시공 공간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의 연결부의 외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그 내부에서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200)를 이용하여 강관 외면 연결부 용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웰딩 하우스(4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 구조로 짜인 프레임(410)과, 이 프레임(410)에 장착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체(43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410)은 기본적으로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411)와, 웰딩 하우스(400)의 측면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411)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415; 도 3 참조)와, 웰딩 하우스의 정면과 후면, 또는 중간 부분에서 수직 지지대(411) 또는 수평 지지대(415)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변 지지대(420; 도 2 참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직 지지대(411)는 웰딩 하우스(400)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수평 지지대(415)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결합되게 추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직 지지대(411)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직 지지대(411)에 높이 조절 지지대(4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 지지대(411)로부터 그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록킹 핀(414) 등을 홀(413)에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웰딩 하우스(400)는 강관의 크기 등 작업 조건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가변 지지대(420)의 중간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가변 지지대(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딩 하우스(400)의 전면, 후면, 중간 부분에 3개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가변 지지대(420)의 길이 조절 가능 구조는, 하나의 가변 지지대(420)가 분할된 상태에서 한쪽 가변 지지대(421)가 다른 쪽 가변 지지대(4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부분을 록킹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록킹 수단은 가변 지지대(42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연결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일례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에 홀(423)을 형성한 다음, 이 홀(423)에 록킹 핀(424; 도 3 등 참조)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에 다수의 홀(423)을 형성한 상태에서 가변 지지대(4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다음,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의 홀(423)을 관통하는 록킹 핀(424)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가변 지지대(420)의 가변 길이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변 지지대(420)의 가변 길이를 결정하는 구조는 공지의 록킹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웰딩 하우스(40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폭 조절장치(450)가 구비되는데, 그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스크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에서 브래킷(421b)(422b)이 각각 돌출되고, 한쪽 브래킷(421b)에 스크류(4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다른 쪽 브래킷(422b)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451)가 회전함에 따라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웰딩 하우스(400)의 전체 폭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451)의 회전은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와,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455는 상기 스크류(4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수직 지지대(411), 상측의 수평 지지대(415), 가변 지지대(420)가 만나는 네 모서리 천정 부분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웰딩 하우스(400)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리프팅 결합체(470)가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 결합체(470)는 후크 등이 끼워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리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410)에 결합되는 외피체(4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피체(430)는 금속 등 경질의 판재 또는 천류 등 플렉시블한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410)이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외피체(430)도 웰딩 하우스(400)의 양측면, 상면, 전면 및 후면에서 측면 외피체(431), 상면 외피체(433), 전후면 외피체(435)가 각각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측면 외피체(431)에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창(432)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내부 또는 외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웰딩 하우스(400)의 상면(천정면)과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외피체(430)는, 웰딩 하우스(400)의 폭 조절 구조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421)(422)에 상면 외피체(433), 전후면 외피체(435) 역시 각각 분할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분할된 양쪽 외피체가 서로 겹치게 설치되어 가변 지지대(4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양쪽의 상면 외피체(433) 및 전후면 외피체(435)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433a와 433b는 상면 외피체(433)가 분할된 부분을 나타내고, 435a와 435b는 전후면 외피체(435)가 분할된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면 외피체(433)와 전후면 외피체(435)에서 서로 분할된 끝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은 외부에서 바람 또는 물 등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대 외피체 방향을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웰딩 하우스(400)의 전면과 후면으로는 강관이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웰딩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플렉시블한 소재(예를 들면 비닐막, 합성수지막 또는 천류 등)로 방풍 커튼(437; 도 1 참조)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풍 커튼(437)은 수직 지지대(411)와 전후면 외피체(435)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관의 둘레까지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방풍 커튼(437) 역시 전후면 외피체(435)와 같이 분할된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운데 부분은 강관이 통과하도록 반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웰딩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전후면 외피체(435)를 생략하고, 상기한 방풍 커튼(437)으로 모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웰딩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방풍 커튼(437) 대신에 전후면 외피체(435)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의 판재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웰딩 하우스(400)에는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에 필요한 부대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형 장비 탑재부(480)가 구성될 수 있다. 장비 탑재부(480)는 웰딩 하우스(400) 내에서 상기한 프레임(410) 또는 외피체(43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비 탑재부(480)에는 통상 용접 작업에 필요한 용접기 파워 소스, 콘트롤러, 가스 공급기, 용접 캐리지, 용접 와이어 송급장치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웰딩 하우스(400)에는, 강관 외면 자동용접 작업시에 필요한 여러 부가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웰딩 하우스(400)의 내부를 밝히는 조명장치, 웰딩 하우스(400) 내에서 용접 작업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장치(490), 웰딩 하우스(400)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웰딩 하우스(400)는 눈, 비, 바람, 야간 등 기상 조건 및 작업 환경이 좋지 않을 때에도, 강관 외면 연결부의 용접 연결 작업을 보다 원활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은 웰딩 하우스(400) 내에서, 자동용접 캐리지(250)를 구비한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200)를 이용한 용접 작업 상태를 보여준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P)(P')의 규격 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웰딩 하우스의 전체 폭을 일정 폭(+W)만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강관 연결 시공 작업시에 적용성 및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대형 강관 연결 시공시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이들 도면에서 외피체(530)의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프레임(510) 등의 구조를 중심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5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대략 육면체형 구조로 짜인 프레임(510)과, 이 프레임(510)에 장착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체(53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510) 역시, 수직 지지대(511), 수평 지지대(515; 도 8 참조), 가변 지지대(5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웰딩 하우스(500)는 강관의 크기 등 작업 조건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가변 지지대(520)의 중간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변 지지대(520)의 길이 조절 가능 구조는, 하나의 가변 지지대(520)가 분할된 상태에서 한쪽 가변 지지대(521)가 다른 쪽 가변 지지대(5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부분을 록킹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록킹 수단은 가변 지지대(52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연결부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일례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쪽 가변 지지대(521)(522)에 홀(533)을 형성한 다음, 이 홀(533)에 록킹 핀(미도시)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양쪽 가변 지지대(521)(522)에 다수의 홀(533)을 형성한 상태에서 가변 지지대(5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다음, 양쪽 가변 지지대(521)(522)의 홀(533)을 관통하는 록킹 핀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가변 지지대(520)의 가변 길이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변 지지대(520)의 가변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록킹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직 지지대(511), 수평 지지대(515), 가변 지지대(520)가 서로 결합된 프레임(510)은, 그 상부에 지붕을 구성하는 별도의 상부 지지대(525)가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525)는, 중앙 연결부(526)를 중심으로 양쪽의 수직 지지대(511)의 상단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중앙 연결부(526) 및 수직 지지대(511)와의 연결부는 모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웰딩 하우스(500)의 폭을 조절할 때 가변 지지대(520)의 길이에 따라 상부 지지대(525)도 중앙 연결부(526)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지지대(525)의 경사가 변화되면서 웰딩 하우스(500)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중앙 연결부(526)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웰딩 하우스(500)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리프팅 결합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 결합수단은 후크 등이 끼워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외피체(530)는 경질의 판재 또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된 천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510)이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외피체(530)도 웰딩 하우스(500)의 양측면, 전면, 상면에서 각각 프레임(5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웰딩 하우스(50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외피체(530)는, 웰딩 하우스(500)의 폭 조절 구조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521)(522)에 양쪽의 외피체(530)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양쪽 전후 외피체(531)가 서로 겹치게 설치(도 7의 A부분)되어 가변 지지대(52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양쪽 전후 외피체(531)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후 외피체(531)는 강관이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플렉시블한 소재로 웰딩 하우스(500)의 수직 지지대(511) 및 가변 지지대(5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관의 둘레까지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양쪽 전후 외피체(531)의 가운데 부분은 강관이 통과하도록 반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후 외피체(531)는, 웰딩 하우스(500)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측은 경질(금속 또는 합성수재)의 판재류로 구성하고, 강관이 통과하는 하부는 방풍 커튼 구조로 플렉시블한 연질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웰딩 하우스(500)의 전면과 후면을 모두 경질의 판재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웰딩 하우스(500)에는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에 필요한 부대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형 장비 탑재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장비 탑재부는 웰딩 하우스(500) 내에서 상기한 프레임(510) 또는 외피체(53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웰딩 하우스(500)에는, 강관 외면 자동용접 작업시에 필요한 여러 부가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웰딩 하우스(500)의 내부를 밝히는 조명장치, 웰딩 하우스(500) 내에서 용접 작업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장치, 웰딩 하우스(500)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웰딩 하우스(500)의 내부에는 작업자의 상하 승강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리프팅 장치(540)가 구성될 수 있다.
리프팅 장치(540)는, 웰딩 하우스(500)의 내측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 가이드(541)와, 이 승강 가이드(541)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탈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탑승판(543)과, 상기 탑승판(543)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54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탑승판(543)은 수평 방향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승강 가이드(54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탑승 지지판(544)과, 이 탑승 지지판(544)의 앞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탑승판(543)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판(5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판(545)과 탑승 지지판(544) 사이에는 슬라이딩판(545)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구동기구(546)는 웰딩 하우스(500)의 상부쪽에 설치된 윈치(winch)로 구성할 수 있다. 윈치는 권선 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탑승판(543)에 연결된 체인 또는 와이어(로프) 등의 선재(547)를 끌어 올리거나 풀어주는 방식으로 탑승판(543)을 리프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승강구동기구(546)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부에 구동 풀리를 설치하고, 이 구동 풀리를 중심으로 로프를 상기 탑승판(543)과 웨이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웰딩 하우스(500)도 기상 조건 및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200A)를 이용하여 강관 외면 연결부의 용접 연결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되고, 또한 강관의 규격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전체적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전면, 상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체를 포함하고,
    웰딩 하우스의 폭방향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외피체 중 폭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록킹 수단에 의해 폭방향 조절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와, 웰딩 하우스의 측면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 지지대와, 웰딩 하우스의 정면과 후면, 또는 중간 부분에서 수직 지지대 또는 수평 지지대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변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상부에 지붕을 구성하는 상부 지지대가 중앙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는, 웰딩 하우스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중앙 연결부 및 수직 지지대와 연결된 부분이 모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대는, 분할된 한쪽 가변 지지대가 분할된 다른 쪽 가변 지지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부분을 록킹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은 한쪽 가변 지지대와 이에 삽입된 다른 쪽 가변 지지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록킹 핀을 삽입하여 가변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6.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웰딩 하우스는 폭을 조절하기 위해 폭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폭 조절장치는,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에 각각 브래킷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 중 한쪽 브래킷에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다른 쪽 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7.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웰딩 하우스의 상면 및 전면과 후면에 상면 외피체 및 전후면 외피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면 외피체 및 전후면 외피체는, 분할된 양쪽 가변 지지대에 각각 분할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분할된 양쪽 외피체가 서로 겹치게 설치되어 가변 지지대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분할된 양쪽 상면 외피체 및 분할된 양쪽 전후면 외피체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외피체는, 적어도 일부분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된 방풍 커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강관 외면 자동용접장치에 필요한 부대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형 장비 탑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조명장치, 환풍 장치, 냉난방을 위한 공조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11.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웰딩 하우스는, 그 내부에 작업자가 상하 승강 이동을 위해 탑승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KR1020100014138A 2010-02-17 2010-02-17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KR2011009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38A KR20110094613A (ko) 2010-02-17 2010-02-17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38A KR20110094613A (ko) 2010-02-17 2010-02-17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13A true KR20110094613A (ko) 2011-08-24

Family

ID=4493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138A KR20110094613A (ko) 2010-02-17 2010-02-17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6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2006A (zh) * 2016-05-30 2016-10-12 哈电集团(秦皇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房式清洁防护装置和清洁连接方法
KR102130251B1 (ko) 2019-07-31 2020-07-03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파이프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조절식 웰딩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2006A (zh) * 2016-05-30 2016-10-12 哈电集团(秦皇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房式清洁防护装置和清洁连接方法
KR102130251B1 (ko) 2019-07-31 2020-07-03 주식회사 삼천리이엔지 파이프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조절식 웰딩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460B2 (en) Vehicle for performances
KR20090041382A (ko) 승강식 지주대
PT2114810E (pt) Comando para uma cabina de elevador cuja manutenção pode ser realizada a partir da própria cabina
KR20110094613A (ko) 강관 연결 시공시에 사용되는 웰딩 하우스
CN109264601B (zh) 一种空调室外机安装装置及方法
KR20090015168A (ko) 상하 레일 이동식 조명장치
CN111188440B (zh) 一种etfe膜结构幕墙安装施工方法
CN109812712B (zh) 气体泄漏检查设备
CN215479467U (zh) 一种门窗安装用门板托起装置
KR101070760B1 (ko) 원터치형 이중 고정식 완강기 지지기구
JP2010229782A (ja) 防音壁装置
CN208378357U (zh) 一种安装交通监控设备用的升降柱
CN210426925U (zh) 风管安装用漏风检测装置
CN209409883U (zh) 一种全天候作业照明车厢体
CN208552900U (zh) 一种应急通道通风平台
KR101278263B1 (ko)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CN108442599B (zh) 一种钢结构厂房电动启闭式气楼
CN206878409U (zh) 电缆桥架安装支架
CN219751808U (zh) 一种升降装置
CN206387080U (zh) 储水装置和精密空调
CN109501659A (zh) 一种全天候作业照明车厢体及自动控制方法
KR20150076520A (ko) 선박의 유닛 캐빈 디퓨저 설치 구조
CN109441315B (zh) 具有气水分离功能的船用气动风雨密百叶窗结构
CN101963001A (zh) 海缆光纤故障修复多功能平台工作间
FI121856B (fi) Laitteisto seinämän katt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