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263B1 -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263B1
KR101278263B1 KR1020110114112A KR20110114112A KR101278263B1 KR 101278263 B1 KR101278263 B1 KR 101278263B1 KR 1020110114112 A KR1020110114112 A KR 1020110114112A KR 20110114112 A KR20110114112 A KR 20110114112A KR 101278263 B1 KR101278263 B1 KR 10127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uilding
support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073A (ko
Inventor
제이슨 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럭스
Priority to KR102011011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2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7Outdoor lighting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옥탑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에 연결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조경을 조명하는 조명등으로 구성되어, 시야에 조명등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하여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조경 지역에 따른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조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외부 조경을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지역에 따른 휘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 가로등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실외 조경을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조경 가로등은 공개특허공보 10-2005-0117855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117855호에 개시된 가로등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등주와, 등주의 상단 측면에 설치되는 주전등과, 등주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보조전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등주는 실외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고 설치 장소의 크기에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그리고, 주전등은 등주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도어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가로등은 주전등의 높이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조경을 지나다니는 사람의 시야에 주전등이 직접 들어오므로 눈부심이 발생되고 주전등 및 보조전등에 의해 조명되는 부분은 밝고 주전등 및 보조전등이 미치지 않는 지역은 어두워 지역에 따라 밝기가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가로등은 등주를 복수로 설치해야되므로 설치비용 및 제조비용이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가로등은 전등의 유지 보수작업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주전등이나 보조전등을 교체해야되므로 전등 교체작업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11785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옥탑이나 높은 위치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시야에 조명등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하여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조경 지역에 따른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조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를 건축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조명등 교체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장치를 건축물에 설치하여 조경을 조명하기 때문에 조명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고, 조경시설에 직접 조명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경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옥탑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에서 연장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조경을 조명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상기 승강 부재가 인입되는 공간을 갖고,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과 승강 부재 사이는 고정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상기 승강 부재에 직각 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가 안착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고정핀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대를 받침대 위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 사이는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은 조명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명등과 하우징 사이는 낙하 방지용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하우징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이 낙하 방지바에 고정되고, 상기 낙하 방지바의 일단은 벽면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에는 상기 조명등의 조사방향 및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명등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곡면 형태의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형성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제1슬롯 및 제2슬롯에 조절볼트로 체결되어 조명등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양단이 조명등의 양쪽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대과,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제1힌지 브라켓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조명등에 고정되는 제2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은 램프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내경과, 빛이 나오는 입구부의 내경이 동일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부재의 입구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옥탑이나 건축물의 외벽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시야에 조명등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고, 조경 지역에 따른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조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안쪽으로 조명등을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조명등 교체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조명장치를 건축물에 설치하여 조경을 조명하기 때문에 조명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고, 조경시설에 직접 조명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경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조명등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를 갖는 실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외벽(100)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고정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 부재(20)와, 승강 부재(20)의 상단에 받침대(30)와, 받침대(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건축물의 벽면에서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대(40)과, 지지대(40)에 설치되는 조명등(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 옥탑이나 외벽면에 설치되어 조경을 조명하는 조명장치이다. 조명장치가 건축물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조경 내에 조명장치를 설치할 때에 비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조명장치가 시야에 직접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은은한 달빛 조명이 가능하다. 그리고, 조명장치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조경 지역에 따른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은 승강 부재(20)가 인출 및 인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건축물의 옥탑에 설치할 경우 건물 벽면(100)의 안쪽에 고정되는데, 고정용 브라켓(12)을 이용하여 벽면(100) 안쪽면에 고정된다.
하우징(10)은 사각통 형태 이외에 다각형 형태, 원형 또는 타원형 통 형태 다양한 형태가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등(50)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4)가 구비되는데, 컨트롤 박스(14)는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10) 이외의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복수의 조명등을 하나의 컨트롤 박스로 제어가 가능할 경우 복수의 조명등(50)이 하나의 컨트롤 박스(14)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승강 부재(20)는 단면이 하우징(10)의 내면과 동일한 형태로 하우징(1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승강 부재(2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승강 부재(2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6)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하우징(10)의 측면에서 고정볼트(16)를 조이면 승강 부재(20)가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볼트(16)를 풀면 승강 부재(20)의 잠금이 해제되어 하우징(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승강 부재(20)에는 직각방향 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받침대(30)가 연결되고, 받침대(30)는 지지대(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30)는 상면이 개구되고, 양쪽 측면에 수직으로 측판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40)이 받침대(30) 위에 안착된다.
그리고, 받침대(30)와 지지대(40)의 끝부분은 상호 힌지축(32)으로 연결되어 지지대(40)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받침대(30)에 지지된다. 그리고, 받침대(30)의 길이(H1)는 지지대(40)의 길이(H2)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지지대(40)의 하면에 조명등(50)을 설치할 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받침대(30)에는 고정핀(34)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대(40)를 받침대(30)에 고정시킨다. 지지대(40)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고정핀(34)을 받침대(30)에서 분리한 후 지지대(40)를 회전시키면 된다.
받침대(30)의 끝부분과 지지대(40)의 끝부분에는 힌지축(42)이 연결되어 받침대(30)에 지지대(4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대(40)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받침대(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면에는 조명등(50)이 장착된다. 지지대(40)는 조명등을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다.
지지대(40)의 하면에는 조명등(50)의 조사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조사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등 조절유닛(60)이 설치된다.
조명등 조절유닛(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의 하면에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는 조절판(62)과, 조절판(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이 조명등(50)의 양쪽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70)를 포함한다.
조절판(62)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1슬롯(64) 및 제2슬롯(66)이 형성되고, 제1슬롯(64) 및 제2슬롯(66)에는 지지부재(70)를 고정시키는 조절볼트(68)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70)는 조절판(62)의 제1슬롯(64) 및 제2슬롯(66)에 각각 조절볼트(68)로 체결되는 제1지지부(72)와, 제1지지부(72)의 양쪽 끝단에서 절곡되어 조명등(50)의 양쪽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2지지부(74)를 포함한다. 조명등(50)의 양쪽 측면에는 힌지핀(76)이 고정되고, 힌지핀(76)은 지지부재(70)의 제2지지부(74)의 끝부분에 삽입된다.
그리고, 힌지핀(76)에는 조명등(5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6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68)를 푼 상태에서 조절볼트(68)를 제1슬롯(64) 및 제2슬롯(66)을 따라 이동시켜서 조명등(5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사방향을 조절한 후 조절볼트(68)를 조여서 세팅된 조사방향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조명등(50)을 힌지핀(76)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명등(50)의 조사각도를 조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90)은 지지대(40)의 하면에 고정되는 원판부(80)와, 이 원판부(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힌지 브라켓(82)과, 제1힌지 브라켓(82)의 끝부분에 힌지 연결되고 조명등(50)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2힌지 브라켓(88)을 포함한다.
원판부(80)의 중심에는 지지홈(92)에 형성되고 이 지지홈(92)에 제1힌지 브라켓(8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힌지 브라켓(82)의 상면에는 힌지 연결부(84)가 형성되어 힌지핀(86)이 고정된다.
제2힌지 브라켓(88)은 조명등(50)의 후방 측면에 장착되고 힌지 연결부(84)에 삽입되어 힌지핀(86)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조절유닛(90)의 작용을 살펴보면, 제1힌지 브라켓(82)을 원판부(80)에서 회전시켜 조명등(50)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제2힌지 브라켓(88)을 힌지핀(8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조명등(50)의 조사각도를 조절한다.
조명등(50)은 램프와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는 본체(52)와, 본체(52)의 전방에 연결되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부재(54)는 일정 길이를 갖고 본체(52)에 연결되는 연결부(56)의 직경(L1)와 빛이 나오는 입구부(58)의 직경(L2)이 동일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가이드 부재(54)의 단면 형태는 원통,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54)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램프에서 발생된 빛이 가이드 부재(54)에 의해 거의 직선 형태로 조사되므로 조사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원하는 장소에 조명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54)의 입구부(58)는 일정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이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옆 건물에서 수평방향으로 조명장치를 바라볼 때 조명장치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 옆 건물에 주거하는 사람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가이드 부재(54)의 입구부(58)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빛이 옆으로 새는 것을 막아주어 옆 건물에 주거하는 사람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건물의 벽면(100)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기타 외부의 영향 또는 조명장치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조명장치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다.
낙하 방지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낙하 방지바(130)와, 낙하 방지바(130)의 일단에 연결되고 건축물의 벽면(100)에 장착된 고정 브라켓(134)에 연결되는 제1낙하 방지용 와이어(132)를 포함한다.
낙하 방지바(13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10)이 고정된다. 즉, 낙하 방지바(130)는 복수의 하우징(10)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어 복수의 하우징(10)이 하나의 낙하 방지바(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낙하 방지용 와이어(132)는 고정 브라켓(134)과 낙하 방지바(130) 사이에 연결되어 낙하 방지바(13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명등(5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명등(50)과 낙하 방지바(130) 사이가 제2낙하 방지용 와이어(136)로 연결된다. 따라서, 조명등(50)이 지지대(40)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를 건축물 옥탑에 고정시킨다.
조명장치가 건축물의 옥탑 벽면에 설치되므로, 조경에 조명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조경에 조명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불필요하여 조경의 환경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옥탑에서 조경을 조명함에 따라 조경 지역에 따른 휘도 편차를 최소화하여 조경 전체에 은은한 달빛 조경이 가능하다.
또한, 조명장치가 직접 시야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를 건축물의 옥탑에 설치할 때 위에서 설명한 조명등 조절유닛을 조절하여 조명등의 조사방향 및 조사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조명등(50)의 램프 교체 등 조명등을 보수하고자 할 때, 옥탑의 벽면(100)에 조형물(110)이 있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형물(110)을 피하도록 조명등(50)을 상승시킨다. 즉, 하우징(10)에 결합된 고정볼트(16)를 풀어서 승강 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한 후 승강 부재(20)를 하우징(10)에서 상측 방향으로 인출한다. 그러면 조명등(50)이 상승되어 조형물과의 간섭을 피한다.
여기에서, 옥탑에 조형물(110)이 없는 경우에는 조명등(50)을 상승시킬 필요없이 바로 회전시켜 벽면(100) 안쪽으로 조명등(50)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대(30)에서 고정핀(34)을 분리하여 지지대(40)의 잠금을 해제한 후 지지대(40)을 180도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안쪽으로 지지대(40)이 위치된다. 그리고, 지지대(40)에 장착된 조명등(50)은 위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조명등(50)에서 램프를 교체하기 편리하다.
램프 교체가 완료되면 위와 반대로 작동시켜 조명등(5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조명등의 램프교체를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조명장치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전문가가 아닌 누구나 램프 교체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외벽(100)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고정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 부재(20)와, 승강 부재(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받침대(30)와, 받침대(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건축물의 벽면에서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대(40)과, 지지대(40)에 설치되는 조명등(5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명장치의 구조와 동일하고, 다만 승강 부재(20)의 상면에 회전부재(140)가 구비되어 조명등(5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승강 부재(20)의 상면에 회전부재(140)가 베어링이나 힌지축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부재(140)에 받침대(30)가 고정된다.
따라서, 받침대(30)에 연결되는 지지대(40)이 스윙 운동되어 조명등(5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사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고정용 브라켓
14: 컨트롤 박스 16: 고정볼트
20: 승강 부재 30: 받침대
32: 힌지축 34: 고정핀
40: 지지대 50: 조명등
52: 본체 54: 가이드 관
60: 조명등 조절유닛 62: 조절판
64: 제1슬롯 66: 제2슬롯
68: 조절볼트 70: 지지부재
72: 제1지지부 74: 제2지지부
100: 외벽면

Claims (11)

  1. 건축물의 벽면 또는 옥탑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측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측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상단에 직각 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벽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일측에 조명등이 고정되어, 상기 건축물의 벽면을 중심으로 상기 조명등을 건축물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거나 건축물의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일단이 받침대에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건축물의 벽면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될 때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대에는 고정핀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받침대 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승강 부재가 인입되는 공간을 갖고,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과 승강 부재 사이는 고정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조명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명등과 하우징 사이는 낙하 방지용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이 벽면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이 낙하 방지바에 고정되고, 상기 낙하 방지바의 일단은 벽면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조명등의 조사방향 및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조명등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곡면 형태의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형성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제1슬롯 및 제2슬롯에 조절볼트로 체결되어 조명등의 조사방향을 조절하고, 양단이 조명등의 양쪽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램프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어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내경과, 빛이 나오는 입구부의 내경이 동일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입구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11. 삭제
KR1020110114112A 2011-11-03 2011-11-03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KR10127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12A KR101278263B1 (ko) 2011-11-03 2011-11-03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12A KR101278263B1 (ko) 2011-11-03 2011-11-03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73A KR20130049073A (ko) 2013-05-13
KR101278263B1 true KR101278263B1 (ko) 2013-06-24

Family

ID=486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112A KR101278263B1 (ko) 2011-11-03 2011-11-03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8135B2 (en) 2015-05-21 2018-10-02 Akron Brass Company Mounting base for work light
CN109578906B (zh) * 2018-12-28 2024-03-08 南方雄狮创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室外两用工程嵌入式照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674U (ko) * 2007-05-22 2008-11-26 박문화 제도용 전기스탠드
KR20100008206U (ko) * 2009-02-09 2010-08-18 임재운 베란다용 옥외이불 건조대
JP2010218835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屋外照明器具
KR20100012088U (ko) * 2009-06-02 2010-12-10 (주)디케이인터내셔널 조명기구의 지지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674U (ko) * 2007-05-22 2008-11-26 박문화 제도용 전기스탠드
KR20100008206U (ko) * 2009-02-09 2010-08-18 임재운 베란다용 옥외이불 건조대
JP2010218835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屋外照明器具
KR20100012088U (ko) * 2009-06-02 2010-12-10 (주)디케이인터내셔널 조명기구의 지지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73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75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장치
KR101670544B1 (ko) 엘이디 모듈의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등기구
KR100799695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캐리어 조명등 조사범위확대장치
US7246918B2 (en) Large area lighting system
KR101278263B1 (ko) 건축물 조경 조명장치
KR100985715B1 (ko) 각도조절용 가로등
CN211119102U (zh) 一种具有定位探视功能的防盜太阳能路灯
US4819143A (en) Projector lamp
KR100898030B1 (ko) 등기구 시험장치
RU98229U1 (ru) Опора для наружного освещения складывающаяся
CN205579368U (zh) 一种升降路灯
US11262036B1 (en) High mast lighting system
CN215648996U (zh) 一种输配电线路驱鸟装置
KR101353382B1 (ko) 무대설비의 조명설치용 수직형 스윙 암 장치
CN211283368U (zh) 一种便于检修的电梯轿顶
CN210241293U (zh) 一种投光灯的投光角度调节装置
ITRM20000172A1 (it) Torre faro dotata di stazione radio base per telefonia mobile.
CN209011390U (zh) 一种光影动感一体化建筑幕墙
JP3216147U (ja) 光照射方向の選択が自由な室外灯
CN214275399U (zh) 一种建筑施工工地用辅助照明装置
CN219063184U (zh) 一种便于调节光路的散射型路灯
CN219912938U (zh) 一种光照角度可调的led智慧路灯
CN218237236U (zh) 一种led智能投光灯
JP2002270028A (ja) 昇降式照明装置
CN217540426U (zh) 一种户外角度可调节型led投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