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285A - c-Met 단백질 키나제의 트리아졸로티아디아졸 억제제 - Google Patents

c-Met 단백질 키나제의 트리아졸로티아디아졸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285A
KR20110094285A KR1020117011277A KR20117011277A KR20110094285A KR 20110094285 A KR20110094285 A KR 20110094285A KR 1020117011277 A KR1020117011277 A KR 1020117011277A KR 20117011277 A KR20117011277 A KR 20117011277A KR 20110094285 A KR20110094285 A KR 20110094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canc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로우퍼
판 리
딘 섀넌
장린 량
Original Assignee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4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33Thi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et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에 유용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증식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Description

c-Met 단백질 키나제의 트리아졸로티아디아졸 억제제 {A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 of c-Met protein kinase}
본 발명은 c-Met의 선택적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c-Met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각종 증식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산란 인자(scatter factor)로도 공지되어 있는 간세포 성장 인자(HGF)는 유사분열생식(mitogenesis) 및 세포 이동을 유발시킴으로써 형질전환 및 종양 발생을 증대시키는 다기능성 성장 인자이다. 또한, HGF는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세포 이동 및 침윤을 자극함으로써 전이를 촉진시킨다. 세포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HGF는 이의 수용체인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에 결합해야 한다. 50kDa α-서브유닛 및 145kDa 알파-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 광범위하게 발현되는 이형이량체(heterodimeric) 단백질인 c-Met(참조: Maggiora et al., J. Cell Physiol., 173:183-186, 1997)는 상당한 백분율의 사람 암에서 과발현되며, 원발 종양과 전이 사이의 이행 과정에서 증폭된다. c-Met 과발현과 관련이 있는 각종 암으로는 위선암, 신장암, 소세포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뇌암, 간암, 췌장암 및 유방암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c-Met는 죽상동맥경화증 및 폐 섬유증과도 관련이 있다.
최근, 약물-유도된 심장 QT 연장(QT prolongation)은 다수의 임상 실습에서 해롭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심장 칼륨 채널 hERG(human ether-a-go-go-related gene)는, 사람의 심실근 세포에서의 말단 재분극에 주로 기여하는, 심장에서의 급속 지연 정류 전류 IKr의 α-서브유닛을 암호화한다[참조: Dennis et al.,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35(5):1060-1063 (2007)]. hERG 칼륨 채널의 억제는 토르사드 드 포인트(TdP, torsades de point) 부정맥에 대한 중대한 위험 인자로 널리 간주되고 있는 QT 간격의 연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hERG 결합의 극복은 약물 개발에서의 주요한 장애물이 되고 있다.
약물-유도된 QT 연장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사이토크롬 P450 활성에 의한 약리학적 제제들의 대사도 중요하며, 이러한 제제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치료에서는 특히 그러하다. 사이토크롬 P450 효소는 다수의 치료 화합물들의 산화를 촉매하고; 약물들을 불활성 대사물로 이화시킴으로써 또는 전구체들을 이들의 활성 형태로 생체활성화시킴으로써 약물 효과의 정도 및 지속 기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항암제는 부분적으로 약동학적 다양성으로 인해 개체 간의 반응에서 광범위한 변화를 나타낸다[참조: Scipture et al., Lancet Oncology 6:780-789 (2005)]. 사이토크롬 P450에 의해 매개되는 대사의 가장 중요한 부위는 간(liver)이며, 여기서 이들 효소들은 편재하여 발현된다. 또한, 대사가 종양 내부에서 일어나며, 종양 내부에서의 이들 효소들의 존재는, 존재하는 동위체(isoform) 및 주어진 세포 독성제에 따라, 화학요법제의 효능에 바람직하거나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유리한 약물 대사 프로파일을 갖는 항종양제의 개발도, 약물 발견에 있어서의 목표이다.
따라서, c-Met 단백질 키나제 수용체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화합물들의 개발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른 키나제 수용체들에는 친화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면서, c-Met 수용체에 높은 친화성을 가지며 길항제로서의 기능적 활성을 나타내야 한다. 또한, hERG 결합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고 유리한 약동학적/약력학적 프로파일을 갖는 c-Met 수용체 길항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지
6-((S)-1-(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3,4-b][1,3,4]티아디아졸-3-일)에틸)퀴놀린(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조성물은 c-Met의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생물학적 분석에서 c-Met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데, 예를 들면, 이 수용체를 과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에서 c-Met 활성의 억제를 나타낸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최소한의 hERG-관련 칼륨 채널 활성을 나타낸다. 추가로, 동물 모델 및 시험관내 분석에서의, 특히, 사이토크롬 P450 동위효소를 포함하는 대사 연구에서의 이의 거동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적합한 약동학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임의의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증식성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거나 증식성 질환, 상태 또는 장애의 중증도를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및 일반적 용어
본원에서는 달리 언급이 없다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화학적 원소는 CAS 버전 및 문헌(참조: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 1994)의 원소 주기율표에 따라 식별된다. 추가로, 유기 화학의 일반적 원리는 문헌(참조: "Oganic Chemistry", Thomas Sorrell,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and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 Smith, M.B. and March, J., eds.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1)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의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설명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2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정질 형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결정질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X-선 회절 패턴(2-세타 크기)에 있어서 20℃에서 하기 피크들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해 확인된다: 6.2 내지 6.4(예: 약 6.3), 9.1 내지 9.3(예: 약 9.2), 11.4 내지 11.6(예: 약 11.5), 13.2 내지 13.4(예: 약 13.3), 13.7 내지 13.9(예: 약 13.8), 14.1 내지 14.3(예: 약 14.2), 14.7 내지 14.9(예: 약 14.8), 16.1 내지 16.3(예: 약 16.2), 18.1 내지 18.3(예: 약 18.2), 18.6 내지 18.8(예: 약 18.7) 및 19.7 내지 19.9(예: 약 19.8).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조성물, 제형, 및 투여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화합물의 양은 생물학적 시료 또는 환자에서 c-Met를 측정가능하게 억제시키기에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되도록 제형화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게 경구 투여되도록 제형화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환자"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의미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치료를 위한 유리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적합한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유도체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알게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럭, 염, 에스테르, 이러한 에스테르의 염, 또는 필요로 하는 환자에 투여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부가물 또는 유도체, 또는 이의 대사물 또는 잔류물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부적절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사람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문헌(참조: S. M. Berge et al., J. Pharmaceutical Sciences, 66:1-19, 1977)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적합한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도된 것들이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산 부가염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과 같은 무기산에 의해, 또는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석신산 또는 말론산과 같은 유기산에 의해 형성된 아미노 그룹의 염, 또는 이온 교환법과 같은 당업계에 사용되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염이 있다. 그 밖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중황산염, 붕산염,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르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질산염,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과황산염,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인산염,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황산염,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등이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및 N+(C1 -4 알킬)4 염이 포함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원하는 특정 투여형에 적합한 임의의 모든 용매, 희석제 또는 기타의 액체 비히클, 분산 또는 현탁 보조제, 표면 활성제, 등장화제, 증점제 또는 유화제, 보존제, 고체 결합제, 윤활제 등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문헌[참조: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th Ed., 2005, ed. D.B. Tro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and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eds. J. Swarbrick and J. C. Boylan, 1988-1999, Marcel Dekker, New York]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데 사용되는 각종 담체들 및 이의 제조를 위한 공지된 기술들이 기술되어 있다. 임의의 통상의 담체 매질이,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영향을 줌으로써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기타 성분(들)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용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의 담체 매질의 사용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재료의 몇 가지 예로는 이온 교환제,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사람 혈청 알부민과 같은 혈청 단백질;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또는 소르브산칼륨과 같은 완충 물질; 식물성 포화 지방산들의 부분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를 들면, 황산프로타민,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삼규산마그네슘,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양모지;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당류;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분말화 트라가칸트; 맥아; 젤라틴; 활석; 코코아 버터 및 좌제용 왁스와 같은 부형제;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깨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와 같은 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에틸 올레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한천;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완충제; 알긴산; 발열성 물질 비함유수(pyrogen free water); 등장성 염수; 링거액; 에틸 알코올, 및 인산염 완충 용액, 뿐만 아니라,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기타 무독성의 상용성 윤활제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되고, 또한, 착색제, 방출제, 피복제, 감미제, 풍미제 및 향신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도 조제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 비경구 투여,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투여, 국소 투여, 직장 투여, 비강 투여, 구강 투여, 질 투여 또는 이식 저장기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활액내, 흉골내, 척수강내, 안내, 간내, 병변내 및 두개강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복강내 또는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무균성 주사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일 수 있다. 이들 현탁제는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무균성 주사 제제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는 무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성 주사 용액제 또는 현탁제, 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제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로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무균성의 불휘발성 오일(fixed oil)도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성(blade) 불휘발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는,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형태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과 같이, 주사제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들 오일 용액제 또는 현탁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또는 유화과 현탁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여형의 제형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분산제도 함유할 수 있다. 트윈(Tween), 스판(Span)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계면활성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고체, 액체 또는 기타 투여형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유화제 또는 생체이용율 증진제 또한, 제형화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캡슐제, 정제, 수성 현탁제 또는 용액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경구 투여 가능한 임의의 투여형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오스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도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경구용 수성 현탁제가 필요한 경우, 활성 성분을 유화제 및 현탁제와 배합한다. 필요에 따라, 특정 감미제, 풍미제 또는 착색제도 첨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 좌제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이들은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여서 직장 내에서 용융됨으로써 약물을 방출시키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약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특히 눈, 피부 또는 하부 장관의 질환을 포함하는 치료의 표적이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는 부위 또는 장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국소 투여될 수도 있다. 적합한 국소 제형이 이들 각각의 부위 또는 장기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하부 장관을 위한 국소 적용은 직장용 좌제 제형(상기 참조) 또는 적합한 관장 제형에 유효할 수 있다. 국소 경피 패치도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을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담체로는 미네랄 오일, 액체 페트롤레이텀, 백색 페트롤레이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성 왁스 및 물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미네랄 오일,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코올 및 물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안내 사용을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부제가 함유되거나 함유되지 않은, pH 조절된 등장성 무균 염수 또는 기타 수성 용액 중의 미분 현탁제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pH 조절된 등장성 무균 염수 또는 기타 수성 용액 중의 용액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또는, 안내 사용을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페트롤레이텀과 같은 연고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화 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되며, 벤질 알코올 또는 기타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기타 통상의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 중의 용액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경구용 액체 투여형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화제, 미세유화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및 엘릭시르제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활성 화합물들 이외에도, 액체 투여형은 물 또는 기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면,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경구 조성물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 제제, 감미제, 풍미제 및 향신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제제, 예를 들면, 무균성의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는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무균성 주사 제제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는 무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성 주사 용액제, 현탁제 또는 유화제, 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제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로는 물, 링거액, U.S.P.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추가로, 무균성의 불휘발성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성 불휘발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주사 제형은, 예를 들면, 세균-보유 필터를 통해 여과시킴으로써, 또는 사용 전에 무균수 또는 기타 무균성 주사 매질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는, 무균성 고체 조성물 형태의 멸균제를 혼입시킴으로써 멸균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효능을 지속시키기 위해,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로부터의 화합물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성이 불량한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재료의 액체 현탁제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때,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흡수 속도는 이의 용출 속도에 의존하고, 용출 속도는 다시 결정 크기 및 결정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또는, 비경구 투여된 화합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오일 비히클 중에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데포 제형은 폴리락타이드-폴리글리콜라이드와 같은 생분해성 중합체 중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미세캡슐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중합체에 대한 화합물의 비율 및 사용되는 특정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화합물의 방출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기타 생체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안하이드라이드)가 포함된다. 주사 가능한 데포 제형은 체조직과 상용될 수 있는 리포솜 또는 미세유화액 중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직장 또는 질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주위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여서 직장 또는 질강 안에서 용융됨으로써 활성 화합물을 방출시키는,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용 왁스와 같은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좌제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여형은 캡슐제, 정제, 환제, 분말제 및 과립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고체 투여형에서는, 활성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불활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를 들면,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이칼슘 및/또는 a)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니톨 및 규산과 같은 충전제 또는 증량제, b)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와 같은 결합제, c) 글리세롤과 같은 보습제, d) 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규산염 및 탄산나트륨과 같은 붕해제, e) 파라핀과 같은 용해 지연제, f) 4급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흡수 촉진제, g)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h)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와 같은 흡착제, 및 i) 탈크, 스테아르산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라우릴 셀퍼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윤활제와 혼합한다. 캡슐제,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상기 투여형은 완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한 형태의 고체 조성물은 락토오스 또는 유당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하는 연질 및 경질 충전된 젤라틴 캡슐제 속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의 고체 투여형은 피복물 및 쉘, 예를 들면, 장용 피복물 및 약제 제형화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타 피복물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활성 물질(들)을 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유일하게 또는 우세하게 방출시키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매립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체성 물질 및 왁스가 포함된다. 유사한 형태의 고체 조성물은 락토오스 또는 유당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한 연질 및 경질 충전 젤라틴 캡슐제 속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활성 화합물은 앞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갖는 미세캡슐화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의 고체 투여형은, 피복물 및 쉘, 예를 들면, 장용 피복물, 방출 제어용 피복물 및 약제 제형화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타 피복물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투여형에서는 활성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전분과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형은, 통상의 실시에서와 같이,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추가 물질, 예를 들면, 타정 윤활제 및 기타의 타정 보조제,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제,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상기 투여형은 완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고,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활성 물질(들)을 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유일하게 또는 우세하게 방출시키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매립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체성 물질 및 왁스가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국소 또는 경피용 투여형으로는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젤, 파우더, 용액, 스프레이, 흡입제 또는 패치가 포함된다. 활성 성분을 멸균 조건하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필요한 임의의 보존제 또는 완충액과 혼합한다. 안과용 제형, 점이액 및 점안액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신체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어된 전달을 제공하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 경피 패치의 용도를 고려한다. 이러한 투여형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적합한 매질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켜서 제조한다. 피부를 통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수 증진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속도는 속도 제어용 멤브레인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젤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투여의 용이성 및 용량의 균일성을 위해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단위 투여형"은 치료 대상 환자에게 적합한 약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1일 총 사용량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주치의가 결정할 것으로 이해된다. 임의의 특정 환자 또는 유기체에 대한 특정 유효 용량은, 치료 대상 장애 및 상기 장애의 중증도,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사용되는 특정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전반적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방출 속도; 치료 기간;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과 병용 또는 동시사용되는 약물, 및 의학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인자들을 포함한 각종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일 투여형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담체 재료와 배합될 수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양은 치료 대상 및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0.01 내지 100㎎/㎏(체중)/일의 용량의 억제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하나의 예에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량이 5 내지 30㎎/㎏(체중)/일이 되도록 제형화된다.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특정 상태 또는 질환에 따라, 상기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추가의 치료제의 예는 아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상기 치료제를 유일한 활성제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양보다 적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의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상기 약제를 유일한 치료학적 활성제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양의 약 50% 내지 100% 범위일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물학적 시료를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c-Met 단백질 키나제 활성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생물학적 시료"는 살아있는 유기체 외부의 시료를 의미하고, 세포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되는 생검 재료 또는 이의 추출물; 혈액, 타액, 뇨, 변, 정액, 누액 또는 기타 체액 또는 이의 추출물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키나제 활성의 억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각종 목적에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의 예로는 생물학적 표본 저장 및 생물학적 분석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생물학적 시료에서의 키나제 활성의 억제 방법은 비-치료적 방법들에 한정된다.
용어 "c-Met"는 "c-MET", "cMet", "MET", "Met"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표기와 동의어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c-Met 키나제 활성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c-Met-매개된 질환" 또는 "c-Met-매개된 상태"는 c-Met가 관여하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질환 또는 기타의 유해한 상태를 의미한다. 용어 "c-Met-매개된 질환" 또는 "c-Met-매개된 상태"는 c-Met 억제제로 치료함으로써 완화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로는 신장암, 위암, 대장암, 뇌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췌장암 또는 폐암, 교아종, 죽상동맥경화증 또는 폐 섬유증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증식성 장애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증식성 장애는, 예를 들면, 신장암, 위암, 대장암, 뇌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췌장암 및 폐암과 같은 암, 또는 교아종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간세포암종의 치료 또는 간세포암종의 중증도의 완화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간세포암종의 치료 또는 간세포암종의 중증도의 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증식성 장애는 진성 적혈구증가증,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만성 특발성 골수섬유증, 골수섬유증이 동반된 골수화생증,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골수단구성 백혈병, 만성 호산구성 백혈병, 과호산구 증후군, 전신성 비만 세포병, 비정형 CML 또는 소아 골수단구성 백혈병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증식성 장애는 죽상동맥경화증 또는 폐 섬유증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종양 전이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종양 전이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료하고자 하는 특정 상태 또는 질환에 따라, 상기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도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를 위해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증식성 질환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해 화학요법제 또는 기타 항증식제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배합할 수 있다. 공지된 화학요법제의 예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로무스틴, 부설판 프로카바진, 이포스파미드, 알트레타민, 멜팔란, 에스트라무스틴, 인산염, 헥사메틸멜라민, 메클로레타민, 티오테파, 스트렙토조신, 클로람부실, 테모졸로마이드, 다카바진, 세무스틴 또는 카부스틴과 같은 알킬화제; 시스플라틴, 카보플래티늄, 옥살리플라틴, ZD-0473(AnorMED), 스피로플래티늄, 로바플라틴(Aeterna), 카복시프탈라토플래티늄, 사트라플라틴(Johnson Matthey), 테트라플라틴, BBR-3464(Hoffmann-La Roche), 오르미플라틴, SM-11355(Sumitomo), 이프로플라틴 또는 AP-5280(Access)과 같은 백금 약제; 아자시티딘, 토무덱스, 겜시타빈, 트리메트렉세이트, 카페시타빈, 데옥시코포르마이신, 5-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라빈, 플록수리딘, 펜토스타틴, 2-클로로데옥시아데노신, 랄티트렉세드, 6-머캅토푸린, 하이드록시우레아, 6-티오구아닌, 데시타빈(SuperGen), 시타라빈, 클로파라빈(Bioenvision), 2-플루오로데옥시 시티딘, 이로풀벤(MGI Pharma), 메토트렉세이트, DMDC(Hoffmann-La Roche), 이다트렉세이트 또는 에티닐시티딘(Taiho)과 같은 항대사물질; 암사크린, 루비테칸(SuperGen), 에피루비신, 엑사테칸 메실레이트(Daiichi), 에토포시드, 퀴나메드(ChemGenex), 테니포사이드, 미톡산트론, 지마테칸(Sigma-Tau), 이리노테칸(CPT-11), 디플로모테칸(Beaufour-Ipsen), 7-에틸-10-하이드록시-캄토테신, TAS-103(Taiho), 토포테칸, 엘사미트루신(Spectrum), 덱스라족산(TopoTarget), J-107088(Merck & Co), 릭산트론(Novuspharma), BNP-1350(BioNumerik), 레벡카마이신 동족체(Exelixis), CKD-602(Chong Kun Dang), BBR-3576(Novuspharma) 또는 KW-2170(Kyowa Hakko)과 같은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닥티노마이신(악티노마이신 D), 아모나피드,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아조나피드, 데옥시루비신, 안트라피라졸, 발루비신, 옥산트라졸, 다우노루비신(다우노마이신), 로속산트론, 에피루비신, 블레오마이신, 황산염(블레녹산), 테라루비신, 블레오마이신산, 이다루비신, 블레오마이신 A, 루비다존, 블레오마이신 B, 플리카마이신, 미토마이신 C, 포르피로마이신, MEN-10755(Menarini), 시아노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GPX-100(Gem Pharmaceuticals) 또는 미톡산트론(노반트론)과 같은 항종양 항생제; 파클리탁셀, SB 408075(GlaxoSmithKline), 도세탁셀, E7010(Abbott), 콜키친, PG-TXL(Cell Therapeutics), 빈블라스틴, IDN 5109(Bayer), 빈크리스틴 A, 105972(Abbott), 비노렐빈, A 204197(Abbott), 빈데신, LU 223651(BASF), 돌라스타틴 10(NCI), D 24851(ASTAMedica), 리족신(Fujisawa), ER-86526(Eisai), 미보불린(Warner-Lambert), 콤브레타스타틴 A4(BMS), 세마도틴(BASF), 이소호모할리콘드린-B(PharmaMar), RPR 109881A(Aventis), ZD 6126(AstraZeneca), TXD 258(Aventis), PEG-paclitaxel(Enzon,) 에포틸론 B(Novartis), AZ10992(Asahi), T 900607(Tularik), IDN-5109(Indena), T 138067(Tularik), AVLB(Prescient NeuroPharma), 크립토피신 52(Eli Lilly), 아자에포틸론 B(BMS), 빈플루닌(Fabre), BNP-7787(BioNumerik), 아우리스타틴 PE(Teikoku Hormone), CA-4 프로드럭(OXiGENE), BMS 247550(BMS), 돌라스타틴-10(NIH), BMS 184476(BMS), CA-4(OXiGENE), BMS 188797(BMS) 또는 탁소프렉신(Protarga)과 같은 항유사분열제;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엑세메스탄, 레트로졸, 아타메스탄(BioMedicines), 아나스트라졸, YM-511(Yamanouchi) 또는 포르메스탄과 같은 아로마타제 억제제; 페메트렉세드(Eli Lilly), 놀라트렉세드(Eximias), ZD-9331(BTG) 또는 CoFactor™(BioKeys)와 같은 티미딜레이트 신타제 억제제; 트라벡테딘(PharmaMar), 마포스파미드(Baxter International), 글루포스파미드(Baxter International), 아파지쿠온(Spectrum Pharmaceuticals), 알부민+32P(Isotope Solutions), O6 벤질 구아닌(Paligent), 티멕타신(NewBiotics) 또는 에도트레오티드(Novartis)와 같은 DNA 길항제; 아르글라빈(NuOncology Labs), 티피파르니브(Johnson & Johnson), 로나파르니브(Schering-Plough), 페릴릴 알코올(DOR BioPharma) 또는 BAY-43-9006(Bayer)과 같은 파네실트랜스퍼라제 억제제; CBT-1(CBA Pharma), 조수퀴다르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Eli Lilly), 타리퀴다르(Xenova), 비리코다르 디시트레이트(Vertex) 또는 MS-209(Schering AG)와 같은 펌프 억제제; 타세디날린(Pfizer), 피발로일옥시메틸 부티레이트(Titan), SAHA(Aton Pharma), 뎁시펩타이드(Fujisawa) 또는 MS-275(Schering AG)와 같은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 억제제; 네오바스타트(Aeterna Laboratories), CMT-3(CollaGenex), 마리마스타트(British Biotech) 또는 BMS-275291(Celltech)과 같은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갈륨 말톨레이트(Titan), 테자시타빈(Aventis), 트리아핀(Vion) 또는 디독스(Molecules for Health)와 같은 리보뉴클레오사이드 리덕타제 억제제; 비룰리진(Lorus Therapeutics), 레비미드(Celgene), CDC-394(Celgene), 에타네르셉트(Immunex Corp.), 인플릭시마브(Centocor, Inc.) 또는 아달리무마브(Abbott Laboratories)과 같은 TNF 알파 작용제/길항제; 아트라센탄(Abbott), YM-598(Yamanouchi) 또는 ZD-4054(AstraZeneca)와 같은 엔도텔린 A 수용체 길항제; 펜레티니드(Johnson & Johnson), 알리트레티노인(Ligand) 또는 LGD-1550(Ligand)과 같은 레티노산 수용체 작용제; 인터페론 덱소솜 요법제(Anosys), 온코파지(Antigenics), 펜트릭스(Australian Cancer Technology), GMK(Progenics), ISF-154(Tragen), 선암종 백신(Biomira), 암 백신(Intercell), CTP-37(AVI BioPharma), 노렐린(Biostar), IRX-2(Immuno-Rx), BLP-25(Biomira), PEP-005(Peplin Biotech), MGV(Progenics), 신크로백스 백신(CTL Immuno), 베타-알레틴(Dovetail), 흑색종 백신(CTL Immuno), CLL 요법제(Vasogen) 또는 p21 RAS 백신(GemVax)과 같은 면역 조절제; 에스트로겐, 프레드니손, 접합형 에스트로겐, 메틸프레드니솔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프레드니솔론, 클로르트리아니센,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이데네스트롤, 루프롤리드, 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에이트, 고세렐린,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루포렐린, 테스토스테론, 비칼루타미드,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미드, 메틸테스토스테론, 옥트레오티드,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닐루타미드, 메게스트롤, 미토탄, 타목시펜, P-04(Novogen), 토레모핀, 2-메톡시에스트라디올(EntreMed), 덱사메타손 또는 아르족시펜(Eli Lilly)과 같은 호르몬제 및 항호르몬제; 탈라포르핀(Light Sciences), Pd-박테리오페오포르비드(Yeda), 테랄룩스(Theratechnologies), 루테튬 텍사피린(Pharmacyclics), 모텍사핀 가돌리늄(Pharmacyclics) 또는 하이페리신과 같은 광역학적 약제; 및 이마티니브(Novartis), 카할라이드 F(PharmaMar), 레플루노미드(Sugen/Pharmacia), CEP-701(Cephalon), ZD1839(AstraZeneca), CEP-751(Cephalon), 에를로티니브(Oncogene Science), MLN518(Millenium), 카네르티니브(Pfizer), PKC412(Novartis), 스쿠알라민(Genaera), 페녹소디올, SU5416(Pharmacia), 트라스투주마브(Genentech), SU6668(Pharmacia), C225(ImClone), ZD4190(AstraZeneca), rhu-Mab(Genentech), ZD6474(AstraZeneca), MDX-H210(Medarex), 바탈라니브(Novartis), 2C4(Genentech), PKI166(Novartis), MDX-447(Medarex), GW2016(GlaxoSmithKline), ABX-EGF(Abgenix), EKB-509(Wyeth), IMC-1C11(ImClone) 또는 EKB-569(Wyeth)와 같은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가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이들 추가의 약제들은 다중 투여 계획의 부분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함유 조성물과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또는, 이들 약제들은 단일 조성물 중에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혼합되어 있는 단일 투여형의 부분일 수도 있다. 다중 투여 계획의 부분으로서 투여되는 경우, 두 활성제는 동시에 투여되거나, 순차적으로 투여되거나, 일정한 시간 간격, 통상적으로는 5시간 이내의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추가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단일 투여형을 제공하기 위해 담체 재료와 배합될 수 있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둘 다 치료 대상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1 내지 100㎎/㎏(체중)/일의 용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하나의 예에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량이 5 내지 30㎎/㎏(체중)/일이 되도록 제형화된다.
추가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상기 추가의 치료제와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 중의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상기 치료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단일요법에서 요구되는 양보다 적을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에서 0.01 내지 100㎎/㎏(체중)/일의 용량의 추가의 치료제가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상기 치료제를 유일한 활성제로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서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양보다 적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의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상기 약제를 유일한 치료학적 활성제로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양의 약 50% 내지 100% 범위일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공 보철물, 인공 판막, 혈관 그래프트, 스텐트 및 카테터와 같은 이식형 의료 장치를 피복하기 위한 조성물 내에 첨가될 수도 있다. 혈관 스텐트는, 예를 들면, 재협착(손상 후 혈관벽이 다시 좁아지는 것)을 극복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텐트 또는 기타 이식형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는 응괴 형성 또는 혈소판 활성화의 위험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치않는 영향은 상기 장치를 키나제 억제제를 포함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로 미리 피복시킴으로써 예방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적합한 피복물 및 피복된 이식형 장치의 일반적 제조 방법이 미국 특허 제6,099,562호, 제5,886,026호 및 제5,304,121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피복물은 전형적으로 하이드로겔 중합체, 폴리메틸디실록산, 폴리카프롤락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락트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생체적합성 중합체성 재료이다. 상기 피복물은 임의로, 조성물에서의 제어된 방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플루오로실리콘,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인지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적합한 상층 피복물로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피복된 이식형 장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이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을 더욱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예시를 목적으로 할 뿐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및 약어는 다음과 같은 정의를 갖는다.
염수 NaCl 포화 수용액
BSA 소 혈청 알부민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ESMS 전기분무(electrospray) 질량 분석법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틸 알코올
FB 유리 염기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Me 메틸
MeOH 메탄올
Ph 페닐
RT 실온
TCA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본원에서 사용된 기타 약어, 기호 및 규약은 현재의 과학 문헌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일치한다[참조 예: Janet S. Dodd ed., The ACS Style Guide: A Manual for Authors and Editors,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7,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Rt(분)"는 화합물과 관련된 HPLC 체류 시간(단위: 분)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기록된 체류 시간을 수득하는 데 사용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컬럼: Zorbax SB C18 컬럼, 3.0×150㎜; 구배: 10 내지 90% 아세토니트릴/물(0.1% TFA), 5분; 유속: 1.0㎖/min; 및 검출: 254㎚ 및 214㎚.
합성 방법
반응식 1에 도시되고 실시예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3

실시예 1. 6-((S)-1-(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3,4-b][1,3,4]티아디아졸-3-일)에틸)퀴놀린(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반응식 1의 단계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탄올 6.5ℓ 중의 2-(퀴놀린-6-일)아세트산(화학식 1001의 화합물, 658.2g, 3.516mol, Okeanos Tech Co., Cat. No. OK-J-05024)의 용액에 농축 황산(206㎖, 3.868mol)을 적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약간의 발열이 관찰되었다. 첨가를 마친 후, 반응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휘발 물질들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수득된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4ℓ에 희석시키고, 얼음욕에서 냉각시키고, pH 4에 도달할 때까지 2N NaOH(2.1ℓ, 1.2당량)로 처리한 후, pH 8에 도달할 때까지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들을 포화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물로 세척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증발시켜서 메틸 2-(퀴놀린-6-일)아세테이트를 투명한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화학식 1002의 화합물, 696.8g, 수율 98%): ESMS (M+1), 202.14; 1H NMR (300.0 MHz, DMSO-d6) δ 8.90 (1H, dd, J = 1.7, 4.2 Hz), 8.14 - 8.10 (1H, m), 8.08 (1H, d, J = 8.7 Hz), 7.72 (1H, d, J = 1.4 Hz), 7.65 (1H, dd, J = 2.0, 8.7 Hz), 7.40 (1H, dd, J = 4.2, 8.3 Hz), 3.83 (2H, s), 3.73 (3H, s).
반응식 1의 단계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 2-(퀴놀린-6-일)아세테이트(82g, 407.5mmol), 파라포름알데하이드(25.89g, 862.1mmol), K2CO3(101.4g, 733.5mmol) 및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15.55g, 40.75mmol)를 톨루엔(1.6ℓ)에 흡수시키고, HPLC에 의한 모니터링에서 출발 물질이 완전히 소모된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욕을 사용하여 냉각시키고,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물 1ℓ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증발시켜서 메틸 2-(퀴놀린-6-일)아크릴레이트를 투명한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5.0g). 이 물질을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반응에 즉시 사용하였다.
이에 적절하게, 반응식 1의 단계 i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 2-(퀴놀린-6-일)아크릴레이트(75.0g)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1ℓ와 물 1.1ℓ 중의 수산화나트륨(65.2g, 1.63mol) 함유 용액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배시키고, 수성 층을 톨루엔 500㎖로 세척하였다. 이후, 수성 층을 얼음욕으로 냉각시키고, pH 4.5에 도달할 때까지 농축 HCl을 적가하여 산성화하여(농축 HCl 약 125㎖, 1.508mol) 백색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반응물을 5℃에서 0.5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물로 세척하고, 메틸 3급-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시켜서 2-(퀴놀린-6-일)아크릴산을 수득하였다(화학식 1003의 화합물, 36.2g): ESMS (M+1), 200.06; 1H NMR (300.0 MHz, DMSO-d6) δ 13.01 (1H, s), 8.91 (1H, dd, J = 1.8, 4.2 Hz), 8.40 (1H, d, J = 7.5 Hz), 8.07 (1H, d, J = 1.8 Hz), 8.01 (1H, d, J = 8.7 Hz), 7.84 (1H, dd, J = 1.9, 8.9 Hz), 7.55 (1H, dd, J = 1.2, 8.4 Hz), 6.39 (1H, d, J = 0.9 Hz), 6.17 (1H, d, J = 0.9 Hz).
반응식 1의 단계 iv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퀴놀린-6-일)아크릴산(84.5g, 424mmol), 메탄올(422㎖) 및 트리에틸아민(118㎖)을 질소하에 2ℓ 유리 원통형 용기 안에 투입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상기 용액을 통해 1시간 동안 버블링함으로써 용액을 탈산소화하였다. 디클로로[(S)-(-)-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루테늄(II)(710㎎, 0.848mmol)을 용액에 첨가하고, 유리 용기를 스테인리스 스틸 파르(Parr) 고압 반응기 안에 넣고, 실온에서 1,000psi의 수소 기체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수소 분위기를 제거하고, 루테늄 스캐빈저(Silicycle®-DMT, 8.78g, 6당량)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의 점성 오일을 수득하고, 이것을 물 170㎖에 용해시켰다. 수성 용액을 pH 4 내지 5에 도달할 때까지 6N HCl을 적가하여 산성화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메틸 3급-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50℃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서 (S)-2-(퀴놀린-6-일)프로판산을 적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화학식 1004의 화합물, 68.6g): ESMS (M+1), 202.19; 1H NMR (300.0 MHz, DMSO-d6) δ 12.42 (1H, br.s), 8.87 (1H, dd, J = 1.7, 4.2 Hz), 8.35 (1H, d, J = 7.6 Hz), 7.98 (1H, d, J = 8.7 Hz), 7.87 (1H, d, J = 1.7 Hz), 7.71 (1H, dd, J = 2.0, 8.7 Hz), 7.52 (1H, dd, J = 4.2, 8.3 Hz), 3.91 (1H, q, J = 7.1 Hz), 1.48 (3H, d, J = 7.1 Hz). 결정질 생성물의 2번째 수확물(11.5g)을 수집하여 전체 수율은 94%였다. 키랄 Whelk-O® 컬럼을 사용하여 CO2 중에서 (30% MeOH/0.2% 디에틸아민)으로 용리하는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SFC)에 의한 분석으로, 91% 거울상이성체 과량(ee)의 목적 S-이성체가 확인되었다.
반응식 1의 단계 v에 나타낸 바와 같이, (S)-2-(퀴놀린-6-일)프로판산(50g, 248.5mmol) 및 1,3-디아미노티오우레아(29.02g, 273.4mmol)를 테트라메틸렌 설폰(설폴레인, 38㎖)과 물(57㎖)의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메탄 설폰산(35.5㎖, 546.7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이때 모든 고체들이 용해되었다. 반응 온도를 90℃로 서서히 증가시키고, 반응물을 90℃에서 40시간 동안 가열하였고, 이때 HPLC 분석에 의해 출발 물질의 68%가 생성물로 전환된 것이 관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욕에서 냉각시키고, 물(75㎖)을 첨가한 후, pH 8에 도달할 때까지 포화 중탄산나트륨(500㎖)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수득된 미세한 자주색 침전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포화 중탄산나트륨, 물 및 메틸 3급-부틸 에테르로 각각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55℃의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시켜서 6-((S)-1-(5-머캅토-4-아미노-4H-1,2,4-트리아졸-3-일)에틸)퀴놀린을 수득하였다(화학식 1005의 화합물, 43g): ESMS (M+1), 272.09; 1H NMR (300.0 MHz, DMSO-d6) δ 13.65 (1H, br s), 8.86 (1H, dd, J = 1.8, 8.4 Hz), 8.34 (1H, d, J = 7.5 Hz), 7.98 (1H, d, J = 8.7 Hz), 7.84 (1H, dd, J = 1.7, 13.7 Hz), 7.82 (1H, d, J = 1.5 Hz), 7.70 (1H, dd, J = 1.8, 8.7 Hz), 7.50 (1H, dd, J = 1.8, 8.7 Hz), 5.44 (2H, s), 4.57 (1H, q, J = 7.2 Hz), 1.65 (3H, d, J = 7.2 Hz). 1H NMR 분석에 의하면 상기 생성물은 92% 순도를 가졌고, 주요 불순물은 화학식 1004의 화합물과 설폰이었다. 키랄 HPLC 분석은 92% ee를 나타냈다(ChiralPak® AD-H, 70% i-프로판올/헥산; 체류 시간: S-거울상이성체의 경우 4.98분, R-거울상이성체의 경우 12.33분).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화학식 1004의 화합물을, 이의 pH를 5로 조절하고 임의의 침전된 물질을 수집하고 나머지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3회)함으로써, 수성 여액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었다. 합한 유기물들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증발시켜서 진한 오일을 수득하고,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 90㎖에 흡수시키고, 0.5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냉각시켜서 추가의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앞서 수집한 침전물과 배합하여, 화학식 1004의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회수하였다(7g).
반응식 1의 단계 vi에 나타낸 바와 같이, 6-((S)-1-(5-머캅토-4-아미노-4H-1,2,4-트리아졸-3-일)에틸)퀴놀린(123.0g, 453.3mmol) 및 1-메틸-1H-피라졸-4-카복실산(60.03g, 476.0mmol, Aldrich Chemical Co. Cat. No. 682063)을 POCl3(1.23ℓ) 및 설폴레인(246㎖)에 용해시키고, 83℃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 물질들을 감압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감압하에 톨루엔에 의해 2회 더 추가로 공비시켰다. 수득된 오일을 교반 중인 얼음물에 서서히 붓고, 수성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임의의 잔류 설폴레인을 제거하였다. 수성 용액을 pH 7에 도달할 때까지 포화 중탄산나트륨(3.2ℓ)으로 처리하였다. 수득된 오일을 따라내고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나머지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4회)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들, 및 오일의 메탄올 용액을 합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물 및 염수로 각각 세척하였다. 유기물들을 무수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켜서 조 생성물을 걸쭉한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5% 메탄올/디클로로메탄의 구배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들을 감압 증발시켜서 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이것을 디클로로메탄(300㎖) 및 메틸 3급-부틸 에테르(300㎖)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6-((S)-1-(6-(1-메틸-1H-피라졸-4-일)-[1,2,4]트리아졸로[3,4-b][1,3,4]티아디아졸-3-일)에틸)퀴놀린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화학식 1의 화합물, 62.8g, 수율 38%): ESMS (M+1), 362.38; 1H NMR (300.0 MHz, DMSO-d6) δ 8.87 (1H, dd, J=1.7, 4.3 Hz); 8.54 (1H, s); 8.36 (1H, br. d, J=8.3Hz); 8.03 (1H, s); 8.00 (1H, d, J=8.3 Hz); 7.92 (1H, d, J=1.7 Hz); 7.80 (1H, dd, J=1.9, 8.8 Hz); 7.52 (1H, dd, J=4.2, 8.2 Hz); 4.90 (1H, q, J=7.2 Hz); 3.90 (3H, s); 1.86 (3H, d, J=7.2Hz). 키랄 HPLC 분석은 99+% ee를 나타냈다(ChiralPak® AD-H, 70% 에탄올/헥산).
실시예 2.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결정화(유리 염기)
화학식 1의 화합물(906㎎)에 아세토니트릴 40㎖ 및 메탄올 10㎖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약 90℃의 고온 수욕(hot water bath) 상에서 용해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서서히 증발시켰다. 결정이 서서히 침전되었다. 모액을 따라내고, 고체를 실온에서 4mm Hg 진공하에 밤새 건조시켰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결정질 유리 염기(FB) 약 10㎎를 자석 교반 막대가 달린 바이알 안에 넣었다. 용매 약 150㎕를 각각의 바이알에 첨가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되면, 바이알에 고체를 더 첨가하고, 수득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4일 용액을 원심분리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HPLC 분석에 의한 용해도 데이터를 수득하기 위해 메탄올에 희석하였다. 용해도 연구의 결과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슬러리 내 결정들의 X-선 회절 데이터를 4일 및 14일 후에 수집하였다. 남아있는 모든 결정질 형태들은 하기된 피크들(세타 크기)을 포함하는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냈다: 6.2 내지 6.4(예: 약 6.3), 9.1 내지 9.3(예: 약 9.2), 11.4 내지 11.6(예: 약 11.5), 13.2 내지 13.4(예: 약 13.3), 13.7 내지 13.9(예: 약 13.8), 14.1 내지 14.3(예: 약 14.2), 14.7 내지 14.9(예: 약 14.8), 16.1 내지 16.3(예: 약 16.2), 18.1 내지 18.3(예: 약 18.2), 18.6 내지 18.8(예: 약 18.7) 및 19.7 내지 19.9(예: 약 19.8).
표 1. HPLC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각종 용매 중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해도
Figure pct00004
얇고 긴 바늘 모양의 치수 0.5×0.05×0.05㎣를 갖는 무색 결정을 연구를 위해 선택하였다. Bruker APEX II CCD 회절계 상에서 Cu Kα 방사선에 의해 실온에서 단일 결정 회절을 수행하였다. ω 축 둘레로 4 φ각도에서 진동 사진들을 촬영하였다. 데이터를 APEX 소프트웨어로 인덱싱하고, 통합시키고, 스케일링하였다. SHELX-TL 패키지로 구조를 해명(solving)하고 정밀화(refining)하였다. 결정학적 데이터가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표 2.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결정 데이터
Figure pct00005

실시예 3.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 형성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에탄올에 용해시켜서 0.02mmol/㎖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함유하는 개개의 바이알들에 염기 및 산 용액을 첨가하고, 용매를 실온에서 진공하에(4mmHg 압력) 증발시켰다. 2-프로판올(IPA) 및 에탄올을 개개의 바이알에 개별적으로 첨가하여 고체를 재용해시키고, 실온에서의 느린 증발에 의해 각각의 바이알 중의 고체의 결정화를 달성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X-선 회절 연구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표 3
Figure pct00006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분석
실시예 4. c-Met 키나제 억제 분석
화학식 1의 화합물을, c-Met 키나제를 억제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능력에 대해, 표준 방사능계량 분석(radiometric assay)을 사용하여 스크리닝하였다. 간략하게, 본 키나제 분석에서는, 33P-ATP에서의 말단 33P-인산염이 기질 polyE4Y로 이동하는 것을 조사하였다. 상기 분석은 96-웰 플레이트 내에서 0.5nM c-Met, 100mM HEPES(pH 7.5), 10mM MgCl2, 25mM NaCl, 0.01% BSA, 1mM DTT, 0.5㎎/㎖ polyE4Y 및 35μM ATP를 함유하는 100㎕/웰의 최종 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적절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DMSO에 용해시켜서 10mM 초기 스톡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DMSO 중의 일련의 희석액들을 제조하여 분석을 위한 최종 용액들을 수득하였다. DMSO 또는 DMSO 중의 억제제 1.5㎕ 분취량을 각각의 웰에 첨가한 후, 33P-ATP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c-Met 및 polyE4Y(Sigma로부터 구입)를 첨가하였다. 20분 후, 4mM ATP를 함유하는 30%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 50㎕로 상기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66㎜ GF 필터 플레이트(Corning)로 옮기고, 5% TCA로 3회 세척하였다. Ultimate Gold™ 고효율 신틸런트(scintillant)(Packard Bioscience) 50㎕를 첨가한 후, Packard TopCount NXT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 섬광 및 발광 계수기(Scintillation and Luminescence Counter)(Packard BioScience)에서 시료들을 계수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솔버 매크로스(Microsoft Excel Solver macros)를 사용하여 경쟁적 밀접-결합 억제(competitive tight-binding inhibition)에 대한 동역학 모델에 데이터를 적합시켜서 Ki 값들을 산출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Ki는 0.024+/-0.008μM이다.
실시예 5. Snu5 위암종 세포에서의 c-Met 활성 억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변형된 Snu5 세포주에서 루시퍼라제-유도된 신호를 억제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능력에 대해서도 스크리닝하였다. Snu5[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구입(Catalog number CRL-5973)]는, 본질적으로 활성인 c-Met를 과발현하는 것으로 공지된 사람 위암종이다. 6xAP1 프로모터 반응 요소, 및 C-말단 PEST 서열(루시퍼라제의 반감기를 감소시키는 마우스 오르니틴 데카복실라제로부터의 단백질 가수분해 신호)을 갖는 루시퍼라제 유전자로 이루어진 유전 구성체를 함유하는 레트로바이러스 pCLPCX를, 세포주에 형질 도입하였다. 본질적으로 활성인 c-Met는 세포 경로들(주로 MAP 키나제)을 활성화하여, 루시퍼라제-PEST의 AP-1-유도 전사 및 최종 생성물로의 번역을 일으키고, 이의 활성은 루시페린(Steady-Glo, 제조원: Promega)의 첨가시 화학발광 판독으로서 정량화될 수 있다. 잔류 발광은 c-Met의 억제와 강하게 연관된다. 푸로마이신을 갖는 새로운 세포주(Snu5-AP1-Luc-Pest)를 선택함으로써, 안정한 세포주를 수득하였다. 세포들은 완전 배지[10% 소 태아 혈청(FBS, Hyclone) 및 페니실린/겐타마이신(Invitrogen)을 함유하는 Iscove 배지(Invitrogen)] 중에서 성장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DMSO에 용해시켜서 10mM 초기 스톡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DMSO 중의 일련의 희석액들을 제조하고, 완전 배지로 옮겨 10× 용액을 제조하였다. Snu5-AP1-Luc-Pest 세포들을 계수하고, 세포 200,000개/㎖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투명한 바닥 플레이트를 갖는 96-웰 블랙(Costar) 내의 각각의 웰에 세포들(90㎕)을 첨가하였다. 이후, 10× 화합물 용액 10㎕를 3회 세포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항온배양하였다. 6시간 후, Steady-Glo 시약(Promega) 50㎕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 5분간 위치시켜서 세포가 완전히 용해(lysing)되도록 하였다. 플레이트를 1450 마이크로베타(Microbeta) 액체 섬광 및 발광 계수기(Perkin-Elmer) 상에서 판독하였다. 도식화 소프트웨어 프리즘(Software Prism)(GraphPad)을 사용하는 4-파라미터 적합(fit)을 사용하여 IC50을 산출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IC50은 0.023+/-0.012μM이다.
실시예 6. hERG 억제 분석
심장 칼륨 채널 hERG는 사람 심실에서의 급속 지연 정류 전류(IKr)를 담당한다. IKr의 억제는 비-심장 약물에 의한 심장 활동 전위 연장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동 전위 기간의 증가는 위험한 심실성 부정맥인 토르사드 드 포인트와 관련되어 있는 QT 간격의 연장을 일으킨다. 주어진 시험 화합물이 포유동물 세포에서 발현되는 클로닝된 hERG 채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ERG 차단 비교 연구를 사용하여 hERG 결합을 측정하였다[참조예: Brown and Rampe, Pharmaceutical News 7, 15-20, 2000; Rampe et al., FEBS Lett., 417, 28-32, 1997; Weirich and Antoni, Basic Res. Cardiol. 93(Suppl. 1), 125-132, 1998; and Yap and Cain, Clin. Exp. Allergy, 29(Suppl 3), 174-181, 1999].
시험 화합물을 HEPES-완충 생리 염수(HB-PS) + 0.3%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공급하였다. IC50을 측정하기에 충분한 농도로 각각의 시험 화합물을 hERG를 발현하는 사람 배아 신장 세포(HEK293, 구입처: ChanTest Corp., Cleveland OH)(n≥3, 여기서 n은 세포 수)에 적용시켰다. 세포들을 정상 상태 차단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 동안, 그러나 10분을 넘지 않도록 하여, 시험 화합물에 노출시켰다. 양성 대조물(90nM 시사프리드)을 2개의 세포(n≥2)에 적용시켰다. 이후, hERG-노출된 세포를 기록 챔버로 옮기고, HB-PS 용액으로 과융해시켰다. 전체 세포 기록을 위한 피펫 용액은, KOH에 의해 7.2로 조절된 pH에서 칼륨 아스파르테이트(130mM), MgCl2(5mM), EGTA(5mM), ATP(4mM) 및 HEPES(10mM)를 포함하였다. -80mV의 유지 전위로부터, 10초 간격으로 반복되는, 고정된 진폭을 갖는 펄스 패턴(탈분극화: 2초간 +20mV; 재분극화: 2초간 -50mV)을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로 인한 hERG 전류의 개시(onset) 및 정상 상태 차단(steady state block)을 측정하였다. 2초간 -50mV의 단계 동안 최대 꼬리 전류를 측정하였다. 시험 화합물 또는 양성 대조 화합물을 적용하기 전 적어도 30초 동안 정상 상태를 유지시켰다. 새로운 정상 상태가 달성되기 전까지 최대 꼬리 전류를 측정하였다.
pCLAMP(버전 8.2) 프로그램(MDS-AT,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소재) 세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화합물을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에 수득된 정상 상태를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에서 억제된 전류의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농도-반응 데이터를 하기 식에 적합(fit)시켰다:
억제율(%) = {1-1/[1+([Conc]/IC50)N]}×100
상기 식에서,
[Conc]는 시험된 각각의 화합물 용액의 농도이고,
IC50은 절반-최대 억제를 제공하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이며,
N는 힐 계수(Hill coefficient)이고,
억제율(%)은 각각의 화합물 농도에서 억제된 hERG 칼륨 전류의 백분율이다.
비선형 최소 제곱 적합(least squares fits)을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2000용 솔버 애드-인(Solver add-in)(Microsoft, 미국 워싱턴주 레드몬드에 소재)으로 해명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10μM의 IC50으로 hERG를 억제하는 반면, 화학식 2의 화합물(아래에 도시됨)은 13μM의 IC50으로 hERG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7

실시예 7. 사이토크롬 P450 억제 분석
cDNA 바큘로바이러스-곤충 세포-발현된 사람 사이토크롬 P450(CYP) 동위체 CYP1A2,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CYP2E1 및 CYP3A4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적절하게, 사람 재조합 사이토크롬 P450 동위체를, CYP 50pmol/㎖의 최종 농도에서, 2.0mM NADPH와 1μM 및 10μM 농도의 화학식 1의 화합물 함유 인산염 완충액(pH 7.4) 중에서 항온배양하였다. 0분 및 120분에서 시료 채취를 수행하고, 잔류하는 화합물의 양을 LC/MS/MS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가 표 4에 제공되어 있으며, 120분의 항온배양 기간 후에 잔류하는 화합물이, 0분에 존재했던 화합물의 양에 비교한 백분율로서 표시되어 있고(2개의 개별 연구에서 n=3), 각각의 연구에 대한 표준 편차(SDEV)도 함께 기재되어 있다. 표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CYP2C19 및 CYP3A4 동위체 모두에 의해 대사되는 반면,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는 CYP3A4 동위체에 의해서만 대사된다. CYP2C19 동위체를 더 높은 농도(10μM)의 화학식 1의 화합물로 공격했을 때 화학식 1의 화합물 대사에서의 이의 대사 용량이 변하지 않았으며, 이는, 생체내 화학식 1의 화합물 대사에서의 적절한 용량을 제시한다. 시험관내 결과는, 120분에 걸친 하나 이상의 사이토크롬 p450 동위체에 의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부분적 대사가, 생체내에서 공동-투여된 약물들의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임을 나타낸다.
표 4. 사람 재조합 CYP 동위체들에서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대사
Figure pct00008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 및 특허들은 각각의 개별 문헌 또는 특허가 특정하게 개별적으로 참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앞에서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을 예시와 실시예를 통해 다소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교시에 비추어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취지에서 벗어남 없이 특정 변형 및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것이다.

Claims (9)

  1.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화학식 1
    Figure pc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결정질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X-선 회절 패턴에서 하기 피크들: 6.3, 9.2, 11.5, 13.3, 13.8, 14.2, 14.8, 16.2, 18.2, 18.7 및 19.8 중 하나 이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화학요법제 또는 항증식제, 항염증제, 죽상동맥경화증 치료제 또는 폐 섬유증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의 증식성 장애를 치료하거나 증식성 장애의 중증도를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을 포함하는, 환자에서의 증식성 장애를 치료하거나 증식성 장애의 중증도를 완화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전이성 암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교아종; 위암종; 또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뇌암, 간암, 췌장암 또는 폐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간세포암종인, 방법.
KR1020117011277A 2008-11-19 2009-11-18 c-Met 단백질 키나제의 트리아졸로티아디아졸 억제제 KR20110094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3308P 2008-11-19 2008-11-19
US61/116,033 2008-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285A true KR20110094285A (ko) 2011-08-23

Family

ID=4202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277A KR20110094285A (ko) 2008-11-19 2009-11-18 c-Met 단백질 키나제의 트리아졸로티아디아졸 억제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8217056B2 (ko)
EP (1) EP2365977B1 (ko)
JP (1) JP5596047B2 (ko)
KR (1) KR20110094285A (ko)
CN (1) CN102216309B (ko)
AR (1) AR074379A1 (ko)
AU (1) AU2009316756B2 (ko)
BR (1) BRPI0921509A2 (ko)
CA (1) CA2743000A1 (ko)
CL (1) CL2011001152A1 (ko)
ES (1) ES2393693T3 (ko)
IL (1) IL212906A0 (ko)
MX (1) MX2011005250A (ko)
NZ (1) NZ592825A (ko)
RU (1) RU2011124894A (ko)
TW (1) TW201024309A (ko)
WO (1) WO2010059668A1 (ko)
ZA (1) ZA201103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6008A1 (en) *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10A1 (en) *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BRPI0921509A2 (pt) * 2008-11-19 2016-03-08 Vertex Pharma inibidor triazolotiadiazol de proteína quinase c-met
EP2435443B1 (en) * 2009-05-28 2013-07-3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Aminopyrazole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s of c-met protien kinase
CN102448968A (zh) * 2009-05-28 2012-05-09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C-met蛋白激酶的取代的吡唑抑制剂
CN102448969A (zh) * 2009-05-28 2012-05-09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C-met蛋白激酶抑制剂
CN109283279B (zh) * 2017-07-21 2019-11-01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通过高效液相色谱法分离测定雷替曲塞及其对映异构体的方法
JP7268957B2 (ja) 2017-12-01 2023-05-08 英典 佐藤 振動発生装置、及び振動発生システム
CN109897054B (zh) * 2017-12-08 2021-12-10 中国药科大学 三唑并噻二唑类c-Met激酶抑制剂的制备方法及其用途
EA202192575A1 (ru) 2019-03-21 2022-01-14 Онксео Соединения dbait в сочетании с ингибиторами киназ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EP4054579A1 (en) 2019-11-08 2022-09-14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SERM)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that have acquired resistance to kinase inhibitors
WO2021148581A1 (en) 2020-01-22 2021-07-29 Onxeo Novel dbait molecule and its 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8017B2 (en) * 2005-11-30 2010-06-0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c-Met and uses thereof
WO2007138472A2 (en) * 2006-05-30 2007-12-06 Pfizer Products Inc. Triazolopyridazine derivatives
MX2009012623A (es) * 2007-05-21 2009-12-11 Sgx Pharmaceuticals Inc Moduladores de cinasa heterociclicos.
BRPI0921509A2 (pt) * 2008-11-19 2016-03-08 Vertex Pharma inibidor triazolotiadiazol de proteína quinase c-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4309A (en) 2010-07-01
AR074379A1 (es) 2011-01-12
CA2743000A1 (en) 2010-05-27
BRPI0921509A2 (pt) 2016-03-08
NZ592825A (en) 2013-01-25
EP2365977A1 (en) 2011-09-21
CN102216309B (zh) 2014-05-07
MX2011005250A (es) 2011-07-29
JP2012509279A (ja) 2012-04-19
CL2011001152A1 (es) 2012-02-24
ES2393693T3 (es) 2012-12-27
US20110301195A1 (en) 2011-12-08
WO2010059668A1 (en) 2010-05-27
US8217056B2 (en) 2012-07-10
ZA201103170B (en) 2012-08-29
JP5596047B2 (ja) 2014-09-24
CN102216309A (zh) 2011-10-12
US20110207774A1 (en) 2011-08-25
AU2009316756B2 (en) 2016-02-25
EP2365977B1 (en) 2012-10-03
AU2009316756A1 (en) 2010-05-27
US20100234423A1 (en) 2010-09-16
IL212906A0 (en) 2011-07-31
US8343998B2 (en) 2013-01-01
RU2011124894A (ru)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056B2 (en)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 of c-Met protein kinase
US20130018072A1 (en) Aminopyrazole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s of c-met protein kinase
EP2435443B1 (en) Aminopyrazole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s of c-met protien kinase
US8263776B2 (en) Inhibitors of c-Met protein kinase
US8263777B2 (en) Aminopyrazole triazolothiadiazole inhibitor of c-Met protein kin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