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214A - 흡입 후드 - Google Patents

흡입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214A
KR20110094214A KR1020117015940A KR20117015940A KR20110094214A KR 20110094214 A KR20110094214 A KR 20110094214A KR 1020117015940 A KR1020117015940 A KR 1020117015940A KR 20117015940 A KR20117015940 A KR 20117015940A KR 20110094214 A KR20110094214 A KR 2011009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hood
air
area
su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세스코 콜레오니
세드릭 다미엔 카탈로네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filed Critical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9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Cyclon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흡입하는 흡입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 후드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흡입을 흡입 후드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1 흡입 수단(64)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사이클론 또는 나선형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2 흡입 수단(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흡입 후드에 의해 공기 흡입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 후드{SUCTION HOOD}
본원 발명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후드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 처리 장치(destructor) 후드, 레인지(range) 후드, 부엌 후드, 스토브 후드, 배기 후드, 조리 장치 후드, 추출 후드, 요리용 캐노피 또는 환기 후드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공지된 또는 통상적인 흡입 후드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공기의 여과 및 배기의 조합에 의해서, 조리대 상에서의 조리 프로세스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공기중의 유분(grease), 연소 생성물, 연기, 냄새 및/또는 열과 증기를 제거한다. 그러한 흡입 후드들은 일반적으로 3개의 주요 부품들을 포함한다: 즉, 상승 가스(폐기 가스 기둥으로도 알려져 있다)를 수용하기 위한 스커트 또는 캡쳐(capture) 패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분 필터, 그리고 강제 환기를 위한 팬 또는 접선형(tangential) 송풍기를 포함한다.
추출기 후드의 2가지 주요 용도로서 배기 용도 및 재순환 용도가 있다. 배기 용도에서, 추출기 후드의 송풍기 모터의 출력 칼라(collar)가 덕트 시스템에 부착되고, 그러한 덕트 시스템은 부엌의 외부에서 종료된다. 재순환 용도에서, 청정 처리된 공기를 부엌 분위기로 다시 되돌려 보내기에 앞서서, 활성화 차콜(charcoal)을 포함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냄새 및 연기 입자를 제거한다. 팬 또는 송풍기는, 작동되었을 때, 저압 영역을 생성하고, 그러한 저압 영역은 후드 주위에서 구형(球形)으로 영향을 미친다.
조리 장치에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발생되는 공기 중의 유분, 연소 생성물, 연기, 냄새, 열 및 증기는 중력 효과로 인해서 수직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상승하고, 그리고 저압 영역에 의해서 캡쳐되는 후드의 유효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후드들은, 적어도, 조리 장치로부터의 연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낮은 효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주변 분위기로부터 공기도 동일하게 흡입하기 때문이다. 도 1a는 그러한 후드(1')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가스가 화살표(74')로 도시된 경로들을 따라서 모든 측면으로부터 흡입된다.
종래의 후드(1')의 조리 장치(7') 위쪽의 압력 필드(field)(71')를 도 1b에 도시하였다. 압력 필드는 후드의 유효 흡입 용적을 나타낸다.
WO 89/11926 A1에서, 하나 이상의 중심에 위치된 배기 채널 주위에 장착된 노즐들 및/또는 송풍기들을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후드의 특성, 특히 흡입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흡입 후드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특히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를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흡입하는 흡입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 후드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흡입을 흡입 후드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1 흡입 수단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사이클론 또는 나선형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2 흡입 수단을 포함한다.
제2 흡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그 아래의 영역에서 개선되고 집중된 흡입을 허용하는 토네이도 흡입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흡입 수단과 제2 흡입 수단의 조합은, 제2 흡입 수단의 추가가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리에 사용되는 제2 흡입 수단의 아래 영역에서 흡입의 개선 및/또는 집중을 허용할 때에 흡입 후드의 흡입 특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흡입 수단은 부스트 모드로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어, 제2 흡입 수단은 제1 흡입 수단의 흡입을 일시적으로 부스트한다. 이는 예컨대 많은 연기가 발생되는 경우에 흡입을 부스트하게 한다. 부스트 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연기는 일반적으로 보다 빨리 배기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흡입 수단은 펄스 작동 모드로 및/또는 번갈아서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제2 흡입 수단이 활성화될 때에 제2 흡입 수단 아래의 연기가 보다 빨리 배기 또는 감소될 수 있는 반면에, 또한 제1 흡입 수단이 활성화될 때에 주변 영역으로부터의 연기가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흡입 수단은 함께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어, 제2 흡입 수단은 제1 흡입 수단의 흡입을 연속적으로 부스트한다. 이는 제2 흡입 수단 아래의 영역에서 개선된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또한 공기가 제1 흡입 수단에 의해 주변 영역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흡입 영역은 내측 흡입 영역을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제1 흡입 수단은 공기를 대개 외측 흡입 영역을 통해 흡입 후드로 흡입하고/하거나
제2 흡입 수단은 공기를 외측 흡입 영역과 내측 흡입 영역을 통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흡입 후드로 끌어당긴다. 이 경우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별개인 흡입 영역이 양 흡입 수단에 대해 제공되어 흡입 영역은 서로 너무 많이 간섭 또는 상쇄하는 일 없이 서로 보완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와류를 작동시키는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개구를 통해 및/또는 외측 흡입 영역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흡입된다. 이는 필요한 공기를 적어도 비교적 쉽게 공급하게 하지만 필요한 것보다 많이 원형, 사이클론 또는 나선형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흡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소음, 효율 및/또는 연기에 따라 추가 수단에 의해 추가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며, 추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및/또는 센서 구동 장치이다. 이에 의해, 제2 흡입 수단은 필요할 때에만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흡입 수단은 토네이도 흡입 후드이고/이거나 제1 흡입 수단은 표준 흡입 후드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후드는 배기형 및/또는 재순환 흡입 후드이다. 양 실시예는 흡입 수단과 함께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전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흡입 후드에 의해 공기 흡입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가스가 화살표(74')로 도시된 경로들을 따라서 모든 측면으로부터 흡입되는 종래의 후드(1')를 도시한다.
도 1b는 종래의 후드(1')의 조리 장치(7') 위쪽의 압력 필드(7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토네이도 흡입 후드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도 1c에 따른 후드 시스템의 압력 필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원 발명에 따른 흡입 후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c는 토네이도 흡입 후드(1)의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75)는 공기의 회전 기둥(column)을 나타내고, 화살표(74)는 흡입 드래프트(draft)를 나타낸다. 이들 두 유동의 조합이 토네이도를 생성한다. 공기가 공기 유입구(101, 102)를 통해서 흡입되고 그리고 흡입 채널(13) 내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한 후드 시스템(1)의 압력 필드(71)가 도 1d에 도시되어 있다. 압력 필드는 후드의 유효 흡입 용적을 나타낸다. 조리 장치(7)와 후드(1) 사이에서 발생된 와류가 조리 장치(7)로부터 소용돌이 운동 형태로 연기를 흡입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와류형 모듈(62)을 갖는 후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후드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2c는 와류형 모듈(62)을 갖는 후드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흡입 후드(6)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흡입을 흡입 후드(6)에 대해 발생시킴으로써 흡입 후드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제1 흡입 수단(64)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사이클론 또는 나선형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 후드(6)로 공기를 끌어당기는 제2 흡입 수단(62)을 포함한다.
흡입 후드(6)는 입방형 상부(681)를 포함하고, 이 상부 아래에는 4개의 긴 측면 사이에서 적어도 거의 사각형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하부(682)가 배치된다. 하부(682)의 측면에 공기 유입구(601, 6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681)와 하부(682)는 공통 표면이 공기를 통과하게 하도록 된 곳에서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2b는 링형 영역(622) 둘레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 와류형 모듈(62)의 다수의 흡입 채널(623)을 도시하고 있다. 엔진이 공기를 접선 방향으로 공기 유입구(601, 602)로부터 외측 흡입 영역(634)을 통해 후드(6)의 내측 흡입 영역(631)으로 송풍하여 순환 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순환 공기는 공기를 내측 흡입 영역(631)을 통해 내측 흡입 영역 내로 흡입하는 흡입을 발생시킨다. 공기는 유출구(633)에서 흡입 영역을 탈출한다. 이는 또한 토네이도 흡입이라고 한다.
흡입 수단(64)은 상부(681)에서 중앙에 배치되고, 이 흡입 수단은 내측 흡입 영역(631)과 외측 흡입 영역(634)을 통해 공기를 상방으로 직접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를 또한 표준 흡입이라고 한다.
후드(6)는 표준 흡입 뿐만 아니라 토네이도 흡입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3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토네이도 흡입이 펄스 작동 모드에 추가되어 토네이도 흡입과 표준 흡입이 번갈아 작동된다. 예컨대, 제1 반쪽에서, 토네이도 흡입이 사용되는 반면, 제2 반쪽에서 표준 흡입이 사용된다. 다음 반쪽에서, 토네이도 흡입이 다시 사용된다. 이는 토네이도 흡입 중에 흡입 영역(631)을 통한 흡입이 부스트되고, 표준 흡입 중에 흡입은 내측 흡입 영역(631)과 외측 흡입 영역(634)에 걸쳐 적어도 실질적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모드에서, 토네이도 흡입이 표준 흡입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부스트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정상 모드에서 표준 흡입만이 작동되는 반면, 부스트를 위해 토네이도 흡입이 추가되어 대개 내측 흡입 영역(631)에서 흡입을 부스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모드에서, 토네이도 흡입은 표준 흡입과 함께 작동되어 양 모드가 동시에 작동된다. 이는 내측 흡입 영역(631)이 부스트되고, 외측 흡입 영역(634)은 적어도 내측 흡입 영역(631)에 대해 표준 흡입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1, 102, 601, 602: 공기 유입구
13: 흡입 채널
6: 흡입 후드
61: 제1 흡입 수단
62: 제2 흡입 수단
622: 링형 영역
623: 흡입 채널
63, 631, 632, 634: 흡입 영역
681, 682: 하우징

Claims (10)

  1. 공기를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흡입하는 흡입 후드로서,
    상기 흡입 후드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흡입을 흡입 후드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1 흡입 수단(64)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사이클론 또는 나선형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제2 흡입 수단(62)을 포함하는 것인 흡입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 수단(62)은 부스트 모드로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어, 제2 흡입 수단(62)은 제1 흡입 수단(64)의 흡입을 일시적으로 부스트하는 것인 흡입 후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수단(64)과 제2 흡입 수단(62)은 펄스 작동 모드로 및/또는 번갈아서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는 것인 흡입 후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수단(64)과 제2 흡입 수단(62)은 함께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어, 제2 흡입 수단(62)은 제1 흡입 수단(64)의 흡입을 연속적으로 부스트하는 것인 흡입 후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흡입 영역(634)은 내측 흡입 영역(631)을 둘러싸고, 바람직하게는
    제1 흡입 수단(64)은 공기를 대개 외측 흡입 영역(634)을 통해 흡입 후드로 흡입하고/하거나
    제2 흡입 수단(62)은 공기를 외측 흡입 영역(634)과 내측 흡입 영역(631)을 통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흡입 후드로 끌어당기는 것인 흡입 후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와류형 모듈인 제2 흡입 수단(62)을 작동시키는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개구(601, 602)를 통해 및/또는 외측 흡입 영역(63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흡입되는 것인 흡입 후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 수단(62)은 바람직하게는 소음, 효율 및/또는 연기에 따라 추가 수단에 의해 추가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및/또는 센서 구동 장치인 것인 흡입 후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 수단(62)은 토네이도 흡입 후드이고/이거나
    상기 제1 흡입 수단(64)은 표준 흡입 후드인 것인 흡입 후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후드는,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이 방의 내측에 있고 제2 영역이 방의 외측에 있는 배기형 흡입 후드이고/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이 방의 내측에 있고 제2 영역도 방의 내측에 있는 재순환 흡입 후드인 것인 흡입 후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입 후드에 의해 공기 흡입을 발생시키는 방법.
KR1020117015940A 2008-12-10 2009-12-10 흡입 후드 KR20110094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21414.1 2008-12-10
EP08021414A EP2196736B1 (en) 2008-12-10 2008-12-10 Suction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214A true KR20110094214A (ko) 2011-08-22

Family

ID=4082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940A KR20110094214A (ko) 2008-12-10 2009-12-10 흡입 후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232625A1 (ko)
EP (2) EP2487423B1 (ko)
JP (1) JP2012511684A (ko)
KR (1) KR20110094214A (ko)
CN (1) CN102282424B (ko)
AT (1) ATE549583T1 (ko)
AU (1) AU2009326527A1 (ko)
BR (1) BRPI0922449A2 (ko)
CA (1) CA2750832A1 (ko)
MX (1) MX2011006137A (ko)
RU (1) RU2526932C2 (ko)
WO (1) WO20100664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4515A (zh) * 2011-08-27 2013-03-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龙卷风产生装置和设置有该龙卷风产生装置的抽油烟机
KR101934457B1 (ko) * 2011-11-17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2075916B1 (ko) * 2013-02-21 2020-02-11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소음 방지 후드
CN105928031B (zh) * 2014-07-16 2017-11-10 侯春景 一种抽油烟机
CN106091060A (zh) * 2016-07-26 2016-11-09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带有轴流风扇的离心式抽油烟机
WO2018157664A1 (en) * 2017-02-28 2018-09-07 Lien Fue Sang Fume cyclonic-collection device, range hood, and kitchen fume-extracting and cooking equipment
CN106949520A (zh) * 2017-05-23 2017-07-14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旋流式集排油烟机
JP7349597B2 (ja) * 2019-04-18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サイクロン分離装置
EP4010634A4 (en) 2019-08-07 2023-09-13 ANH Innovation, Inc. MOBILE RECIRCULATION GRID WITH PLENUM AND DIFFUS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3712A (en) * 1954-02-26 1957-05-28 Dohrmann Hotel Supply Co Grease extracting attachment for ventilators for kitchen ranges
US2889007A (en) * 1955-12-27 1959-06-02 Dohrmann Hotel Supply Co Grease extracting ventilator for kitchen ranges
DE1274081B (de) * 1958-08-22 1968-08-01 Siemens Ag Drehstroemungswirbler zum Trennen von Medien unterschiedlicher Dichte
US3664255A (en) * 1970-07-06 1972-05-23 Irvin R Kuechl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umes from the space above a cooking appliance
US3800689A (en) * 1972-07-24 1974-04-02 L Brown Building ventilating system
US4038912A (en) * 1974-08-15 1977-08-02 Vent-Cair, Inc. Combination forced-flow and convective-flow grease-hood system and method having a low-level entry portion over a protruding cooking appliance
US4506655A (en) * 1981-02-03 1985-03-26 Kuechler Irvin R Compact double fan apparatus and method with grease-separating capabilities
JPS62261842A (ja) * 1986-05-09 1987-11-14 Nippon Air Curtain Kk 人工竜巻発生機構とその利用法
DK312288D0 (da) 1988-06-08 1988-06-08 Hansen & Raagaard Aps Fremgangsmaade og anlaeg til mekanisk punktudsugning
JPH0264840U (ko) * 1988-11-05 1990-05-16
JP2538750B2 (ja) * 1992-11-25 1996-10-02 鹿島建設株式会社 排気装置
FR2736567B1 (fr) * 1995-07-13 1997-08-08 Europ Equip Menager Systeme d'aspiration d'emanations, notamment pour hotte aspirante
CN2269543Y (zh) * 1996-06-10 1997-12-03 彭大齐 灯罩式抽油烟机
EP1069381A4 (en) * 1998-03-30 2001-05-09 Daikin Ind Ltd AIR INTAKE AND BLOWER
JP3327247B2 (ja) * 1999-01-14 2002-09-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JP2000234773A (ja) * 1999-02-15 2000-08-29 Daikin Ind Ltd 換気装置
JP2001174037A (ja) * 1999-07-01 2001-06-29 Daikin Ind Ltd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US20110005507A9 (en) * 2001-01-23 2011-01-13 Rick Bagwell Real-time control of exhaust flow
DE10208488A1 (de) * 2002-02-27 2003-09-0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bzugshaube und Verfahren zur Absaugung und/oder Aufreinigung kontaminierter Trägerstoffe
JP3969536B2 (ja) * 2002-12-27 2007-09-05 株式会社イトーキ ヒュームフード
JP4526780B2 (ja) * 2003-04-30 2010-08-18 富士夫 堀 フード装置
JP4366236B2 (ja) * 2004-04-26 2009-11-18 邦昭 堀越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US7699051B2 (en) * 2005-06-08 2010-04-20 Westen Industries, Inc. Range hood
JP2006349237A (ja) * 2005-06-15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ジフード
ITPN20060058A1 (it) * 2006-07-27 2008-01-28 Electrolux Professional Spa Cappa di aspirazione a ventilazione perfezionata
US20080127403A1 (en) * 2006-11-30 2008-06-05 Airex, Inc. Ventilating fan with grill having high static pressure resistance
CN201043775Y (zh) * 2007-03-13 2008-04-02 杜崇福 环保型厨房脱排油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2424A (zh) 2011-12-14
AU2009326527A1 (en) 2011-06-23
EP2487423B1 (en) 2014-02-12
WO2010066421A2 (en) 2010-06-17
RU2526932C2 (ru) 2014-08-27
MX2011006137A (es) 2011-07-28
EP2196736A1 (en) 2010-06-16
US20110232625A1 (en) 2011-09-29
CN102282424B (zh) 2014-08-20
EP2196736B1 (en) 2012-03-14
EP2487423A1 (en) 2012-08-15
BRPI0922449A2 (pt) 2018-11-06
JP2012511684A (ja) 2012-05-24
RU2011128298A (ru) 2013-01-20
CA2750832A1 (en) 2010-06-17
WO2010066421A3 (en) 2011-08-11
ATE549583T1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4214A (ko) 흡입 후드
JP5637996B2 (ja) 吸入手段、吸入フード、及び吸入フードによって空気吸入を生ぜしめる方法
JP4095663B2 (ja) 作業場用空気排出装置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JP2005513407A (ja) 台所用排気フード
KR20110094110A (ko) 흡입 후드
JPH01114649A (ja) 調理用排煙処理装置
JP2005241233A (ja) フード一体型電子レンジ
US20050000509A1 (en) Exhaust hood with UVC light assembly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JPS63267854A (ja) 排煙処理装置
KR20200126623A (ko) 공기청정기가 일체화된 인공지능형 렌지 후드
JPH04225743A (ja) 排気フード構造
KR20140104750A (ko) 소음 방지 후드
KR20060017406A (ko) 주방용 배기후드
JPH0210039A (ja) 調理用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