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818A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818A
KR20110093818A KR1020117012170A KR20117012170A KR20110093818A KR 20110093818 A KR20110093818 A KR 20110093818A KR 1020117012170 A KR1020117012170 A KR 1020117012170A KR 20117012170 A KR20117012170 A KR 20117012170A KR 20110093818 A KR20110093818 A KR 20110093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video signal
light emission
display device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 모리
히로시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패널(158)과, 패널(158)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패널(158)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발광량 산출부(164)와,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억부(150)와, 기억부(150)에 축적된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널(158)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과,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DRIV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평면이고 박형인 표시 장치로서,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를 사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 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를 설치하고, 전압의 인가에 의해 액정 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기판 내에 봉입된 가스에 대하여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플라즈마 상태로 되고, 플라즈마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귀될 때에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이, 형광체에 조사됨으로써 가시광이 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한편, 최근에 있어서는, 전압을 인가하면 소자 자체가 발광하는 유기 EL(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를 사용한 자발광형의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는, 전해에 의해 에너지를 받으면, 기저 상태로부터 여기 상태로 변화하고,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복귀될 때에 차분의 에너지를 광으로서 방출한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이 유기 EL 소자가 방출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소자가 스스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동화상 특성, 시야각 특성, 색 재현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는 차세대의 평면 박형 표시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는, 전압을 계속하여 인가하면 발광 특성이 열화되어, 동일한 전류를 입력해도 휘도가 저하된다. 그 결과, 특정한 화소의 발광 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특정한 화소는 다른 화소에 비해 발광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위 「번인(burn in)」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번인 현상은, 액정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이들 표시 장치에서는 교류 전압의 인가에 의해 화상의 표시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서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번인을 보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에서의 번인 보정 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7518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픽셀마다 또는 서브 픽셀마다 누적 발광량을 정렬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으며, 발광체의 열화가 적은 부위에 대하여 본래의 입력 데이터보다 큰 값을 부여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발광량의 균형을 잡을 수는 있지만, 발광체의 열화가 진행되어, 발광체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영상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특히 고휘도측의 피크 휘도를 억제함으로써, 번인에 대한 억제 효과를 얻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고휘도측의 피크 휘도를 억제하면, 영상 전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려,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이 상실됨과 함께, 영상 속의 물체, 살갗으로부터 광택이 상실되어, 화질이 저하될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영상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의 번인 현상을 억제함과 함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양호한 영상을 얻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고 또한 개량된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한 관점에 의하면, 영상 신호에 따라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발광량 취득부와,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부와, 상기 데이터 축적부에 축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고휘도 조정부와,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저휘도 조정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에는 영상 신호에 따라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이 취득된다.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축적된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번인 방지를 위하여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킨 경우에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휘도 조정부는,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이 큰 경우일수록 고휘도측의 휘도를 더욱 저하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고휘도측 및 저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모든 휘도를 일괄하여 저하시키는 전체 휘도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스텝과, 축적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킴과 함께,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이 큰 경우일수록 고휘도측의 휘도를 더욱 저하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측 및 저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모든 휘도를 일괄하여 저하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스텝과, 축적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킴과 함께,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의 번인 현상을 억제함과 함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를 흐르는 신호의 특성의 변천을 그래프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신호 레벨 보정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위험도 산출부에서의 위험도의 산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게인 산출부와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신호 레벨 보정부에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입력 휘도)와, 신호 레벨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출력 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2. 표시 장치에 흐르는 신호의 특성에 대하여
3. 신호 레벨 보정부의 구성
4. 위험도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5. 게인 산출부에서의 게인의 산출의 일례
6.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1.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04)와, 기록부(106)와,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와, 기억부(150)와, 데이터 드라이버(152)와, 감마 회로(154)와, 과전류 검출부(156)와, 패널(1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는, 에지 블러링부(112)와, I/F부(114)와, 리니어 변환부(116)와, 패턴 생성부(118)와, 색온도 조정부(120)와, 정지 화상 검파부(122)와, 장기 색온도 보정부(124)와, 발광 시간 제어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는, 신호 레벨 보정부(128)와, 얼룩 보정부(130)와, 감마 변환부(132)와, 디더 처리부(134)와, 신호 출력부(136)와, 장기 색온도 보정 검파부(138)와,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와, 감마 회로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영상 신호의 공급을 받으면, 그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에 따라, 후술하는 패널(158)의 내부에 배치되는 화소를 점등함으로써, 패널(158)을 통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어부(104)는,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I/F부(114)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04)는 I/F부(114)로부터 수취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4)로 행하는 신호 처리에는, 예를 들어 패널(158)에 표시하는 화상의 휘도 조정에 사용하는 게인의 산출이 있다.
기록부(106)는, 제어부(104)에 있어서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부(106)로서,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끊어져 있는 상태에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고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부(106)로서 채용하는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내용을 재기입할 수 있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EEPROM은 기판에 실장한 채로 데이터의 기입이나 소거를 행할 수 있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표시 장치(100)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적합한 메모리이다.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는,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며, 신호 폭은 10비트이다. 입력한 영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는,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의 내부의 각 블록에서 행한다.
에지 블러링부(112)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에지를 희미하게 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에지 블러링부(112)는, 패널(158)에의 화상의 번인(burn i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화상을 의도적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에지를 희미하게 하여, 화상의 번인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다.
리니어 변환부(116)는, 입력에 대한 출력이 감마 특성을 갖는 영상 신호를, 감마 특성으로부터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입력에 대한 출력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패널(158)로 표시하는 화상에 대한 여러 처리가 용이해진다. 리니어 변환부(116)에서의 신호 처리에 의해, 영상 신호의 신호 폭이 10비트로부터 14비트로 넓어진다.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영상 신호를 변환하면, 후술하는 감마 변환부(132)에 있어서 감마 특성을 갖도록 변환한다.
패턴 생성부(118)는, 표시 장치(100)의 내부의 화상 처리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100)의 내부의 화상 처리에서 사용하는 테스트 패턴으로는, 예를 들어 패널(158)의 표시 검사에 사용하는 테스트 패턴이 있다.
색온도 조정부(120)는, 화상의 색온도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며, 표시 장치(100)의 패널(158)로 표시하는 색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표시 장치(100)에는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색온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용자가 색온도 조정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온도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장기 색온도 보정부(124)는, 유기 EL 소자의 R(적), G(녹), B(청) 각 색의 휘도·시간 특성(LT 특성)이 상이한 것에 의한 경년 변화를 보정하는 것이다. 유기 EL 소자에는 R, G, B 각 색의 LT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발광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색의 균형이 깨진다. 그 색의 균형을 보정하는 것이다.
발광 시간 제어부(126)는, 영상을 패널(158)에 표시할 때의 펄스의 듀티비를 산출하여, 유기 EL 소자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100)는, 펄스가 HI 상태 사이에 패널(158) 내부의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전류를 흘림으로써,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켜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
신호 레벨 보정부(128)는, 화상의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신호의 신호 레벨을 보정함으로써 패널(158)에 표시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화상의 번인 현상은, 특정한 화소의 발광 빈도가 다른 화소에 비해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발광 특성의 열화 현상이며, 열화되어 버린 화소는 다른 열화되지 않은 화소에 비해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주변이 열화되지 않은 부분과의 휘도 차가 커진다. 이 휘도의 차에 의해, 화면에 문자가 번인된 것처럼 보인다.
신호 레벨 보정부(128)는, 영상 신호와 발광 시간 제어부(126)로 산출된 펄스의 듀티비로부터 각 화소 또는 화소군의 발광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발광량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휘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고, 산출한 게인을 영상 신호에 승산하는 것이다. 신호 레벨 보정부(128)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장기 색온도 보정 검파부(138)는, 장기 색온도 보정부(124)로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검지하는 것이다. 장기 색온도 보정 검파부(138)로 검지한 정보는, I/F부(114)를 통하여 제어부(104)에 보내져, 제어부(104)를 경유하여 기록부(106)에 기록된다.
얼룩 보정부(130)는, 패널(158)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영상의 얼룩을 보정하는 것이다. 얼룩 보정부(130)에 있어서, 패널(158)의 가로줄, 세로줄 및 화면 전체의 얼룩을, 입력 신호의 레벨이나 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보정을 행한다.
감마 변환부(132)는,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변환한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감마 특성을 갖도록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감마 변환부(132)로 행하는 신호 처리는, 패널(158)이 갖는 감마 특성을 캔슬하여, 신호의 전류에 따라 패널(158)의 내부의 유기 EL 소자가 발광하도록 리니어 특성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이다. 감마 변환부(132)로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신호 폭이 14비트로부터 12비트로 변화한다.
디더 처리부(134)는, 감마 변환부(132)로 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디더링을 실시하는 것이다. 디더링은, 사용 가능한 컬러수가 적은 환경에서 중간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표시 가능한 색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디더 처리부(134)로 디더링을 행함으로써, 원래 패널 상에서는 표시할 수 없는 색을 외관상 만들어 내어 표현할 수 있다. 디더 처리부(134)에서의 디더링에 의해, 신호 폭이 12비트로부터 10비트로 변화한다.
신호 출력부(136)는, 디더 처리부(134)로 디더링이 실시된 후의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152)에 대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신호 출력부(136)로부터 데이터 드라이버(152)에 전달되는 신호는 R, G, B 각 색의 발광량에 관한 정보가 탑재된 신호이며, 발광 시간의 정보가 탑재된 신호는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로부터 펄스의 형식으로 출력된다.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는, 패널(158)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펄스를 출력하는 것이다.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는, 발광 시간 제어부(126)로 산출한 듀티비에 의한 펄스이다.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패널(158)에서의 각 화소의 발광 시간이 결정된다.
감마 회로 제어부(142)는, 감마 회로(154)에 설정값을 부여하는 것이다. 감마 회로 제어부(142)가 부여하는 설정값은, 데이터 드라이버(152)의 내부에 포함되는 D/A 변환기의 래더 저항에 부여하기 위한 기준 전압이다.
기억부(150)는, 신호 레벨 보정부(128)로 휘도를 보정할 때에 필요해지는, 소정의 휘도를 상회하여 발광하고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정보와, 해당되는 상회량의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기억부(150)로는, 기록부(106)와는 달리, 전원이 끊어지면 내용이 소거되는 메모리를 사용해도 좋고, 그러한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과전류 검출부(156)는, 기판의 쇼트 등으로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그 과전류를 검출하여,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에 통지하는 것이다. 과전류 검출부(156)로부터의 과전류 발생 통지에 의해,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그 과전류가 패널(158)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52)는, 신호 출력부(136)로부터 수취한 신호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여, 패널(158)에 대하여, 패널(158)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데이터 드라이버(15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D/A 변환기가 포함되어 있고, D/A 변환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감마 회로(154)는, 데이터 드라이버(152)의 내부에 포함되는 D/A 변환기의 래더 저항에 기준 전압을 부여하는 것이다. 래더 저항에 부여하기 위한 기준 전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감마 회로 제어부(142)로 생성된다.
패널(158)은, 데이터 드라이버(152)로부터의 출력 신호 및 게이트 펄스 출력부(140)로부터의 출력 펄스를 입력하고, 입력한 신호 및 펄스에 따라, 자발광 소자의 일례인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켜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패널(158)은, 화상을 표시하는 면의 형상이 평면이다. 유기 EL 소자는 전압을 인가하면 발광하는 자발광형의 소자이며, 그 발광량은 전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의 IL 특성(전류-발광량 특성)도 비례 관계를 갖는 것이 된다.
패널(15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정의 주사 주기로 화소를 선택하는 주사선과,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휘도 정보를 부여하는 데이터선과, 휘도 정보에 기초하여 전류량을 제어하여, 전류량에 따라 발광 소자인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화소 회로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주사선, 데이터선 및 화소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 장치(100)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는,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영상 신호를 변환한 후, 변환 후의 영상 신호를 패턴 생성부(118)에 입력했지만, 패턴 생성부(118)와 리니어 변환부(116)를 교체해도 좋다.
[2. 표시 장치에 흐르는 신호의 특성에 대해서]
이어서, 도 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를 흐르는 신호의 신호 특성의 변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각 그래프는, 횡축을 입력, 종축을 출력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는, 피사체의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에 입력했을 때에, 피사체의 광량에 대한 출력 A가 감마 특성을 갖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역 감마 곡선(리니어 감마)을 승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피사체의 광량에 대한 출력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영상 신호가 변환된다.
도 2의 (b)는, 피사체의 광량의 입력에 대한 출력 B의 특성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변환한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감마 변환부(132)로 감마 곡선을 승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피사체의 광량의 입력에 대한 출력이 감마 특성을 갖도록 영상 신호가 변환된다.
도 2의 (c)는, 피사체의 광량의 입력에 대한 출력 C의 특성이 감마 특성을 갖도록 변환한 영상 신호에 대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52)에서의 D/A 변환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D/A 변환은, 입력과 출력의 관계가 리니어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드라이버(152)에 의해 D/A 변환이 실시됨으로써, 피사체의 광량을 입력하면, 출력 전압은 감마 특성을 갖는다.
도 2의 (d)는, D/A 변환이 실시된 후의 영상 신호가, 패널(158)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에 입력됨으로써, 양자의 감마 특성이 상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트랜지스터의 VI 특성은, 피사체의 광량의 입력에 대한 출력 전압의 감마 특성과 역의 커브를 갖는 감마 특성이다. 따라서, 피사체의 광량을 입력하면 출력 전류가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다시 변환할 수 있다.
도 2의 (e)는, 피사체의 광량을 입력하면 출력 전류가 리니어 특성을 갖는 신호가 패널(158)에 입력됨으로써, 해당되는 리니어 특성을 갖는 신호와, 상술한 바와 같이 리니어 특성을 갖는 유기 EL 소자의 IL 특성이 합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광량을 입력하면, 패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량이 리니어 특성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역 감마 곡선을 승산하여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영상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신호 처리 집적 회로(110)에서의 리니어 변환부(116)로부터 감마 변환부(132) 사이를 리니어 영역으로서 신호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를 흐르는 신호의 신호 특성의 변천에 대하여 설명했다.
[3. 신호 레벨 보정부의 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신호 레벨 보정부(12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신호 레벨 보정부(12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신호 레벨 보정부(12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레벨 보정부(128)는, 휘도 산출부(162)와, 발광량 산출부(164)와, 위험도 산출부(166)와, 위험도 갱신부(168)와, 피크 검출부(170)와, 게인 산출부(172)와, 승산기(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휘도 산출부(162)는,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변환된 리니어 특성을 갖는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발광량 산출부(164)는, 휘도 산출부(162)로 산출한 휘도와, 발광 시간 제어부(126)로 산출한 펄스의 듀티비를 입력하고, 휘도에 듀티비를 승산하여 얻어진(휘도×듀티비로 얻어진) 각 화소의 1프레임당 발광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OLED 패널에서의 유기 EL 소자는, 전류와 발광량 사이에 리니어(선형)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휘도와 펄스의 듀티비를 발광량 산출부(164)에 입력함으로써, 발광량 산출부(164)에서는, 입력된 1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1프레임당의 패널(158)의 각 화소의 발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위험도 산출부(166)는, 발광량 산출부(164)로 산출한 발광량에 기초하여, 발광량에 대응하는 발광량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이다. 발광량 파라미터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번인의 위험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위험도 산출부(166)로 산출하는 발광량 파라미터를 「위험도」라고도 칭한다. 위험도 산출부(166)로 산출한 위험도는 위험도 갱신부(168)에 보내진다.
위험도 갱신부(168)는, 위험도 산출부(166)로 산출된 위험도를 화소 또는 복수의 화소를 통합한 화소군마다 기억부(150)에 축적하는 것이다. 위험도 산출부(166)로 산출된 위험도를 화소 또는 화소군마다 축적함으로써, 화면 상의 각 화소 또는 화소군과 위험도의 관계를 알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소 또는 화소군마다 축적된 위험도의 정보를 위험도 맵이라고도 칭한다.
화소군을 설정할 때의 화소를 통합하는 방법은,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통합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횡의 픽셀수를 동일하게 하여 화소군을 설정해도 좋고, 종횡의 픽셀수를 다른 수로 하여 화소군을 설정해도 좋다.
기억부(150)는, 위험도 산출부(166)로 산출한 위험도를 축적하여, 위험도 맵으로서 기억해 두는 것이다. 위험도는, 표시 장치(100)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에 순차적으로 축적하고,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절단하면, 축적한 위험도는 리셋한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부(150)로는, 전원이 끊어지면 내용이 소거되는 메모리, 예를 들어 SDRA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위험도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라, 위험도 산출부(166)에서의 위험도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어느 한 시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위험도 산출부(166)에서의 위험도의 산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패널(158) 중의 어느 한 화소를 주목하여, 발광량 산출부(164)로 산출한 발광량을 검출함으로써 위험도의 산출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는, 위험도 맵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어느 한 시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발광량이 500 내지 600 사이인 경우에는, 번인의 위험도 랭크는 A 랭크라고 판단하여,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험도의 이력에 2를 가산한다. 또한, 어느 한 시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발광량이 300 내지 500 사이인 경우에는 번인의 위험도 랭크는 B 랭크라고 판단하여,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험도의 이력에 1을 가산한다.
한편, 어느 한 시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발광량이 100 내지 300 사이인 경우에는, 번인의 위험도 랭크는 C 랭크라고 판단하여,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이력으로부터 1을 감산한다. 또한, 어느 한 시간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발광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발광량이 0 내지 100 사이인 경우에는, 번인의 위험도 랭크는 D 랭크라고 판단하여,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이력으로부터 2를 감산한다.
이와 같이, 화소 또는 화소군 단위로 소정의 간격으로 발광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발광량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험도의 이력의 가산 및 감산을 반복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시간, 화면 전체에 대하여 위험도를 계속하여 산출한다. 발광량의 검출은 프레임마다 행해도 되고, 소정수의 프레임 간격을 두고 행해도 된다.
화면 전체에 대하여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모든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상의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치와 위험도를 대응시킴으로써 위험도 맵을 작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화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4의 화상은, 좌측 상단의 시각 표시 부분은 화면 상에 항상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각 표시 부분은 통상은 어느 정도 높은 휘도로 표시되므로, 시각을 표시하고 있는 화소는 번인의 위험도의 랭크가 높아, 시각을 계속하여 표시하고 있는 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위험도가 상승한다.
도 5의 (b)는, 위험도 맵에 있어서, 시각을 표시하고 있는 화소의 위험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시각 표시 부분 이외의 화소는 표시하는 화상이 변화하므로 위험도의 상승량은 많지 않지만, 시각 표시 부분의 화소는 시각을 계속하여 표시하고 있는 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위험도가 상승하므로, 위험도 맵에 있어서 시각 표시 부분의 화소의 위험도의 값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치와 위험도의 관계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위험도 맵이라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기억부(150)에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치 정보와 위험도의 정보가 한데 묶인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발광량과 위험도의 관계 및 위험도와 이력의 관계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어느 발광량의 범위에서 어느 위험도를 설정하고, 이력에 대하여 어떻게 가감산할지는,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위험도 산출부(166)에서의 위험도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또한, 화소군 단위로 위험도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발광량 산출부(164)는 해당되는 화소군 단위로 발광량을 산출해도 좋다.
피크 검출부(170)는, 기억부(150)로부터 위험도가 축적됨으로써 얻어지는 위험도 맵을 입력하고, 입력한 위험도 맵으로부터 위험도의 피크를 갖고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치와, 위험도의 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피크 검출부(170)로 검출한 화소 또는 화소군의 위치와 위험도의 값은 게인 산출부(172)에 출력된다.
게인 산출부(172)는, 휘도 산출부(162)로 산출한 휘도와, 피크 검출부(170)로 검출한 피크값과, 기억부(150)에 기억된 위험도를 입력하고, 입력한 정보로부터, 승산기(174)에 있어서 영상 신호에 승산하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는 것이다. 게인 산출부(172)로 산출된 게인은 승산기(174)에 입력되어, 승산기(174)에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보정이 행해진다. 게인 산출부(172)에서의 게인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승산기(174)는, 영상 신호와 게인 산출부(172)가 산출한 게인을 입력하고, 영상 신호에 게인을 승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5. 게인 산출부(172)에서의 게인의 산출의 일례]
이하, 게인 산출부(172)에서의 게인의 산출의 일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게인 산출부(172)와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리스크 검출 블록(180)은, 도 3의 위험도 산출부(166)에 대응한다. 또한, 리스크 시간 적산 블록(182)은 위험도 갱신부(168)에 대응하고, 영상 신호 조정 블록(184)은 승산기(174)에 대응한다.
또한, 도 7은, 신호 레벨 보정부(128)에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입력 휘도)와, 신호 레벨 보정부(12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휘도(출력 휘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파선 a는, 위험도에 따라 게인을 조정하기 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한 파선 b는, 파선 a의 특성에 대하여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이하 「제1 계수」라고 칭한다)을 승산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인 산출부(172)는, 화상 전체 게인 산출부 블록(172a),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전체 게인 산출부 블록(172a)은, 상술한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제1 계수)을 산출하는 블록이다.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은, 고휘도측의 게인을 조정하는 블록이다.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은, 도 7의 (a)의 파선 a, 파선 b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에 있어서, 고휘도측에서 상술한 제2 계수를 사용하여 게인을 저하시킨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 a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은 고휘도측에 있어서,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에 의해 게인이 저하되어, 파선 a1의 특성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파선 b의 특성은 고휘도측에 있어서,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에 의해 게인이 저하되어, 파선 b1의 특성으로 된다.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은, 저휘도측의 게인을 조정하는 블록이다.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은, 도 7의 (b)의 파선 a, 파선 b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에 있어서, 저휘도측에서 제3 계수를 사용하여 게인을 저하시킨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선 a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은 저휘도측에 있어서, 저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c)에 의해 게인이 저하되어, 파선 a2의 특성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파선 b의 특성은, 저휘도측에 있어서, 저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c)에 의해 게인이 저하되어, 파선 b2의 특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전체 게인 산출부 블록(172a),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 및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에서 얻어진 3개의 정보에 의해 감마 곡선이 설정된다. 그리고, 고휘도측에서 게인이 저하됨과 함께(특성 a1, 특성 b1), 저휘도측에 있어서도 게인이 저하된다(특성 a2, 특성 b2). 따라서, 제1 계수에 의해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킴과 함께, 제2 계수에 의해 휘도의 피크를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제3 계수에 의해 흑색에 가까운 배색의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계수를 사용하여, 입력이 큰 고휘도측의 영역에서만 게인을 저하시킨 경우, 번인의 위험도가 높은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한 번인 방지 효과는 얻어지지만,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감시킨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이 상실됨과 함께, 영상 속의 물체, 살갗으로부터 광택이 상실되어 버려, 화질이 저하될 것이 우려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휘도측에서 게인을 저하시킴과 함께, 저휘도측에 있어서도 게인을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휘도측에서는, 어두운 배색(회색 등)으로 표시되는 화소는 흑색으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어두운 배색의 화소를 흑색 화소로 함으로써, 고휘도측에서 게인을 저하시킨 화소에 대한, 저휘도측의 화소의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휘도측에서 휘도를 저하시킨 것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킨 것에 의해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콘트라스트가 강조된, 입체감, 광택감이 있는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입력이 작은 영역에서 게인을 저하시킬 때에는, 휘도의 분포에 있어서 존재 확률이 높은 영역(도 7의 (b) 중에 나타내는 범위 d) 내에서 게인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배색이 흑색에 가깝고, 영상 중에서의 존재 확률이 높은 휘도의 화소가 흑색 화소로서 표시되어, 콘트라스트가 강조된 선명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화상 전체 게인 산출부 블록(172a),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172b) 및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172c)에 의한 게인의 조정은, 연동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한 a1-a-a2의 특성에서는, 제1 계수의 값은 1이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고휘도측과 저휘도측 각각에서 게인을 저하시키는 양(제2 계수 및 제3 계수의 값)은, 제1 계수의 값과 대응시켜 미리 정해져 있다. 마찬가지로, b1-b-b2의 특성에 있어서도, 제1 계수, 제2 계수 및 제3 계수의 값은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계수는 휘도에 따라 복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3 계수에 있어서도, 휘도에 따라 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계수, 제2 계수, 제3 계수의 값은, 위험도에 따라 조정된다. 번인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경우는 도 7의 (b) 중 b1-b-b2의 특성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수가 더욱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제2 및 제3 계수도 제1 계수와 연동하여 변화시킴으로써, 고휘도측에서의 휘도를 충분히 저하시켜, 번인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고휘도측에서의 휘도의 저하량에 따라, 저휘도측에서도 휘도를 충분히 저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번인이 발생할 개연성이 낮은 경우는, 도 7의 (b) 중 a1-a-a2의 특성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계수가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되고, 고휘도측에서의 게인의 저하량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저휘도측에 대해서는, 게인의 저하량을 그다지 크게 하지 않아도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번인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고휘도측에서 게인을 저하시킴으로써 번인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휘도측에서의 게인의 저하에 연동시켜 저휘도측에서도 게인을 저하시킴으로써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상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가 강조된 입체감이 있는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감마 특성을 갖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리니어 변환부(116)에 의해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변환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니어 변환부(116)에서의 변환 처리에 의해, 10비트의 영상 신호가 14비트로 넓어진다.
리니어 특성을 갖도록 변환한 영상 신호는, 발광량 산출부(164)에 입력된다. 발광량 산출부(164)는, 입력된 영상 신호로부터 발광량을 산출한다(스텝 S104). 발광량 산출부(164)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리니어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신호의 크기로부터 패널(158)에서의 발광량을 얻을 수 있다.
발광량은, 화소 단위 또는 화소를 소정수 통합한 화소군 단위로 취득한다. 취득한 발광량을, 화소 또는 화소군과 대응시켜 위험도 산출부(166)에 보낸다. 위험도 산출부(166)에서는, 화소 또는 화소군 단위로, 발광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발광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그 초과하고 있는 값을 위험도로서 산출한다(스텝 S106).
위험도 산출부(166)로 위험도를 산출하면, 산출한 위험도를 위험도 갱신부(168)에 보낸다. 위험도 갱신부(168)에서는, 화소 또는 화소군마다의 위험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도 맵으로서 기억부(150)에 축적한다(스텝 S108). 기억부(150)에서는, 화소 또는 화소군마다의 위험도를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동안 순차적으로 축적한다. 축적된 위험도는 위험도 갱신부(168)에 보내져, 패널(158)에 표시하는 화상의 휘도의 조절에 사용된다.
기억부(150)에 위험도가 축적되어 가면, 위험도의 축적에 의해 작성되는 위험도 맵의 정보를 기초로, 패널(158)에 표시하는 화상의 휘도의 조절을 행한다. 작성된 위험도 맵은 위험도 갱신부(168)로부터 피크 검출부(170)에 보내져, 피크 검출부(170)에 있어서, 위험도 맵 중에서 위험도의 피크의 화소 또는 화소군을 검출한다(스텝 S110).
피크 검출부(170)로, 위험도 맵 중에서 위험도의 피크의 화소 또는 화소군을 검출하면, 게인 산출부(172)에 영상 신호, 위험도 및 위험도의 피크의 화소 또는 화소군을 입력하고, 이들의 입력한 정보를 사용하여 게인을 산출한다(스텝 S112). 여기에서는, 위험도의 피크에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하여, 번인 현상을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휘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인(제1 계수)과,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제1 계수) 및 콘트라스트 강조를 위하여,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인(제3 계수)이 산출된다.
게인 산출부(172)로 게인을 산출하면, 산출한 게인을 승산기(174)에 입력하여, 영상 신호에 대하여 게인을 승산한다(스텝 S114). 여기에서는, 위험도의 피크에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한 게인,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 및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인이 영상 신호에 대하여 승산된다.
이와 같이, 위험도 맵 중에서 위험도의 피크에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을 검출하고, 해당되는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하여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을 산출함으로써, 밝게 계속하여 발광하고 있는 화소에 대한 번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게인도 아울러 산출하고, 위험도의 피크에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뿐만 아니라,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위험도의 피크에 있는 화소 또는 화소군만의 휘도를 억제한 경우와 비교하면,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의 일련의 흐름을 설명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동안, 소정의 간격으로 위험도의 산출 및 축적을 반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또한, 상술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은, 표시 장치(100)의 내부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록부(106))에 미리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실행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해 두고,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연산 장치(예를 들어 제어부(104))가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와 펄스로부터 각 화소의 발광량을 산출하고, 소정의 발광량을 초과하여 발광하는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하여, 그 발광량을 억제하는 게인을 산출하고, 영상 신호에 대하여 산출한 게인을 승산함으로써, 화면의 번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의 열화를 늦출 수 있다.
그리고, 번인이 발생되기 쉬운 상황에서, 고휘도측에서 게인을 저하시킴과 함께, 저휘도측에서도 게인을 저하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번인을 방지함과 함께,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번인 방지의 대책에 기인하여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험값의 축적에 수반하여 서서히 게인 산출부(172)로 게인을 내려감으로써, 표시 장치(100)로 영상을 보고 있는 이용자에 대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의 변화를 느끼게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와 같은 자발광형의 발광 소자는, 전류와 발광량이 리니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류량을 취득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발광량을 검출함으로써 번인을 억제하는 종전의 표시 장치와는 달리, 피드백을 행하지 않고, 미리 발광량을 취득함으로써 번인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화소에 대하여 위험도를 산출하여 위험도 맵을 작성하고, 위험도의 피크값을 갖는 화소 또는 화소군에 대하여 휘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인을 산출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화면 상의 소정 범위에 대해서만 위험도를 산출하여 위험도 맵을 작성해도 좋고, 화면 상의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독립하여 위험도 맵을 작성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0: 표시 장치
104: 제어부
150: 기억부
158: 패널
164: 발광량 산출부
168: 위험도 갱신부
172: 게인 산출부
172a: 화면 전체 게인 계산 블록
172b: 고휘도 감마 조정 블록
172c: 저계조 감마 조정 블록

Claims (7)

  1. 영상 신호에 따라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발광량 취득부와,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부와,
    상기 데이터 축적부에 축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고휘도 조정부와,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저휘도 조정부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 조정부는,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이 큰 경우일수록 고휘도측의 휘도를 더욱 저하시키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측 및 저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모든 휘도를 일괄하여 저하시키는 전체 휘도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4.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스텝과,
    축적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킴과 함께,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이 큰 경우일수록 고휘도측의 휘도를 더욱 저하시키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측 및 저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모든 휘도를 일괄하여 저하시키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자발광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누적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스텝과,
    축적한 상기 발광량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고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킴과 함께, 상기 고휘도측의 휘도의 저하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저휘도측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17012170A 2008-12-11 2009-12-02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10093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6293 2008-12-11
JP2008316293A JP2010139782A (ja) 2008-12-11 2008-12-11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818A true KR20110093818A (ko) 2011-08-18

Family

ID=4224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170A KR20110093818A (ko) 2008-12-11 2009-12-02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446437B2 (ko)
EP (1) EP2367166A4 (ko)
JP (1) JP2010139782A (ko)
KR (1) KR20110093818A (ko)
CN (1) CN102239514B (ko)
AU (1) AU2009325584A1 (ko)
BR (1) BRPI0921542A2 (ko)
RU (1) RU2011121640A (ko)
TW (1) TW201030712A (ko)
WO (1) WO2010067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9782A (ja) * 2008-12-11 2010-06-24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18762B2 (en) * 2010-09-01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Dimming techniques for emissive displays
KR2013000211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를 위한 신호 제어 장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4126698A (ja) * 2012-12-26 2014-07-0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
JP2014126699A (ja) * 2012-12-26 2014-07-0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自発光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88818B2 (ja) * 2013-11-11 2018-03-07 株式会社Joled 信号生成装置、信号生成プログラム、信号生成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5174125A1 (ja) * 2014-05-15 2015-11-19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方法
JP2016218238A (ja) * 2015-05-20 201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Led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WO2016194512A1 (ja) * 2015-06-04 2016-12-0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と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10060B (zh) * 2017-08-29 2020-03-17 西安交通大学 一种oled图像灼烧改善方法及装置
US11276369B2 (en) * 2017-09-08 2022-03-15 Apple Inc. Electronic display burn-in detection and mitigation
JP2020144256A (ja) 2019-03-07 2020-09-10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ドライバ及び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2640687B1 (ko) 2019-03-13 2024-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1902698B2 (en) * 2019-07-31 2024-02-13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US11094268B1 (en) * 2020-08-12 2021-08-17 Himax Technologies Limited Local dimm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5209968A (zh) * 2021-02-10 2022-10-18 范来特有限公司 用于演出公演场面的位图控制系统、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7683A (en) * 1988-05-02 1989-07-11 Dubner Computer Systems, Inc. Diagonal correction in composite video decoder
JP3184309B2 (ja) * 1992-07-10 2001-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調補正回路及び撮像装置
JPH06332399A (ja) * 1993-05-19 1994-12-02 Fujitsu General Ltd 電子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056658A (ja) * 1999-06-07 2001-02-27 Sony Corp 陰極線管並びに輝度制御装置および方法
AU2040701A (en) * 1999-12-02 2001-06-12 Channel Storm Ltd. System and method for rapid computer image processing with color look-up table
JP2002116732A (ja) * 2000-10-05 2002-04-19 Pioneer Electronic Corp 自発光パネル駆動方法及び装置
JP2003015588A (ja) * 2001-06-28 2003-01-17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JP3760815B2 (ja) * 2001-07-27 200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装置
JP3995505B2 (ja) * 2002-03-25 2007-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914216B2 (ja) * 2003-05-15 2007-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欠陥補正装置、及び、画像欠陥補正方法
TWI292138B (en) * 2004-03-11 2008-01-01 Mstar Semiconductor Inc Device for adaptively adjusting video's luminance and related method
JP4534548B2 (ja) * 2004-03-26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焼き付き補正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590896B2 (ja) 2004-03-26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焼き付き補正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030317A (ja) * 2004-07-12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表示装置
JP4799890B2 (ja) * 2004-12-03 2011-10-2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表示方法
JP2006235157A (ja) * 2005-02-24 2006-09-0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67148A (ja) * 2005-03-22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6284971A (ja) * 2005-04-01 2006-10-19 Sony Corp 焼き付き現象補正方法、自発光装置、焼き付き現象補正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26497B2 (ja) * 2005-11-24 2011-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処理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5050462B2 (ja) * 2006-09-15 2012-10-17 ソニー株式会社 焼き付き抑制装置、自発光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焼き付き抑制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25703B2 (ja) * 2007-05-24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AU2008258912B2 (en) * 2007-06-08 2013-12-05 Joled Inc.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139782A (ja) * 2008-12-11 2010-06-24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39782A (ja) 2010-06-24
US8446437B2 (en) 2013-05-21
AU2009325584A1 (en) 2010-06-17
EP2367166A4 (en) 2013-01-09
WO2010067739A1 (ja) 2010-06-17
US9398246B2 (en) 2016-07-19
US20110216084A1 (en) 2011-09-08
RU2011121640A (ru) 2012-12-10
BRPI0921542A2 (pt) 2016-03-15
US20130242196A1 (en) 2013-09-19
TW201030712A (en) 2010-08-16
EP2367166A1 (en) 2011-09-21
CN102239514B (zh) 2014-10-15
CN102239514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818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487548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8456492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 device
KR1019644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JP5293367B2 (ja) 自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RU24694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пле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исплея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KR20080101679A (ko) 표시 장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EP32232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88978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263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로드이펙트 보상장치
JP5651419B2 (ja) 補正方法、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22997A (ja)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8122516A (ja) 表示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システム
WO2011030669A1 (ja) 表示装置、ムラ補正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05639A (ko) 자발광 표시 장치 및 자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06284972A (ja) 焼き付き現象補正方法、自発光装置、焼き付き現象補正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5469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향상 방법
KR20150078025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6195312A (ja) 焼き付き現象補正方法、自発光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990248A (zh) 用来补偿显示屏上的电压衰退的图像处理电路及方法
JP200601816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温度補正方法
KR20180034207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20120078442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0026406A (ja) 自発光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